KR20150081845A -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845A
KR20150081845A KR1020140001750A KR20140001750A KR20150081845A KR 20150081845 A KR20150081845 A KR 20150081845A KR 1020140001750 A KR1020140001750 A KR 1020140001750A KR 20140001750 A KR20140001750 A KR 20140001750A KR 20150081845 A KR20150081845 A KR 2015008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frame group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상원
석동륜
이라야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845A/en
Publication of KR2015008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8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which can construct a plurality of frames to make a first video and a second video to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a set unit interval respectively.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video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first video of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video of second content; a display unit capable of either displaying or blocking display of each of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which are processed; and a control unit making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vide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constructing the frames included in the set unit interval respectively, displaying the first frame group in the display unit and blocking display of the second frame group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a user, and displaying the second frame group in the display unit and blocking display of the first frame group if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may reduce time consumption when the videos are changed and remove a screen stop and an operation such as maximization and minimization of the video which can occur when the videos are chang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가 영상을 전환하는 경우, 영상전환에 대한 동작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an operation and time for image switching when an image is viewed and switched.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TV 방송의 영상을 표시하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브라우저의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이전에 표시되던 영상으로부터 다음의 영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다소의 불연속적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기에, 이전의 영상이 점점 작아지면서 최소화되는 한편, 이전의 영상이 사라지고 난 후에는, 다음의 영상이 점점 커지면서 최대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영상의 전환에서 불연속적인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시청하고 있는 영상의 디코딩을 차단하고, 시청할 영상의 디코딩을 시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버퍼에 시청하고 있는 영상의 프레임만을 생성 및 배열한 후 표시하는데 영상전환을 하는 경우, 프레임버퍼에 시청하고 있는 영상의 프레임을 삭제하고, 시청하려는 영상의 프레임을 생성 및 배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The display device can switch the image and display the imag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a case where a video of a TV broadcast is displayed, and the video is switched to an image of the Internet browser at the request of a user and displayed. In this case, some discontinuous phenomenon may occur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previously displayed image to the next image.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the previous image is minimized while getting smaller, and after the previous image disappears, the next image may appear to be enlarged and maximized. The reason why the discontinuous phenomenon occurs in the switching of the image as described above is that it is necessary to stop the decoding of the image being watched and start decoding the image to be watched. More specifically, when only a frame of an image viewed in a frame buffer is generated and arranged and then displayed, a frame of an image viewed in the frame buffer is deleted, and a frame of an image to be viewed is generated and arranged .

이러한 동작과 함께 영상을 전환하는 시간이 1-2초 정도 소요될 수 있다. 고화질의 영상을 시청하려는 경우에는 영상전환시간이 조금 더 소요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더욱 빠르고 깔끔하게 영상이 전환도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With this operation, it takes about 1-2 seconds to switch the image. In order to view a high-quality image, the image switching time may be further shortened. Such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nvenient for a user who wants a quick and clean image to be converted.

사용자는 영상전환 시 상기한 동작이 없고, 전환시간이 거의 없이 영상을 전환하게 된다면 그 만족도가 상당히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user does not have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t the time of video switching and switches the video with almost no switching tim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use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된 복수의 영상의 프레임이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영상전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mptly switching the image so that frames of a plurality of processed images are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And a control method.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제1 영상 및 제2영상 각각에 대하여 표시 및 표시 차단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은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2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first image of a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a second content in parallel;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nd blocking the processed first and second image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constituting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frame group is not displayed, and when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프레임군 및 상기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킬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alternately arrange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경로의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소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And an interface unit connectable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wherein whe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content by the interface unit of the different paths,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the first image may be changed to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하나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wherein when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e address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video status information fo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ideo frame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t at least one of the setting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tting of the second content by the user's input, the number of viewing times, the viewing time, the predetermined setting, and the random setting of the preferred channel Lt; / RTI >

여기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wherein, when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2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processing a first image of a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a second content in parallel; Configuring a plurality of frames such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displaying the first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displaying the second group of frames on the display unit and blocking the first group of frames on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군 및 상기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structing the plurality of frames may include the steps of alternately arranging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경로의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소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frame group may include display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content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content, And changing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여기서, 상기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하나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causing the display to be blocked may include displaying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f the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 Channel information, and video statu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set by at least one of setting by the user's input, setting by the number of times of viewing, setting by the viewing time, predetermined setting, and random setting among the preferred channels have.

여기서, 상기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step of causing the display unit to block the display may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using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For example.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영상전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영상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멈춤, 영상에 대한 최대화 및 최소화 등의 동작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figured so as to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of a first video and a second video,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video switching,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operations such as stopping of the screen that may occur at the time of image enlargement and minimization of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전환 시 영상프레임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전환을 위한 영상소스의 경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witching of an image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image frame when a video is switch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th of an image source for image switch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Par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버퍼(미도시)에 복수의 영상을 함께 처리하여 소정 단위 구간에 복수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프레임을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영상을 전환할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화면의 멈춤, 영상에 대한 최대화 및 최소화 등의 동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The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images are processed together with a frame buffer (not shown) capable of storing image frames and image fram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mages are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You can reduce the time it takes to switch, remove motion such as stopping the screen, maximizing and minimizing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영상수신부(110)를 도시하였지만, 생략되어도 무방하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00. Although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s shown in FIG. 1,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be omitted.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TV방송신호 등의 방송신호 송신장치(도시안됨)로부터 방송신호를 영상신호로서 수신하거나, DVD플레이어, BD플레이어 등의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PC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컨텐츠를 영상신호로서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신호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지 아니하고, 저장부(160)(도시 안됨)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the image signal / image data by wire or wireless, and may transmit the image signal / image data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rom a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not shown) such as a TV broadcast signal as a video signal,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a video apparatus such as a DVD player or a BD player, Receive a video signal from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receive a video signal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input video content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storage medium as a video signal . As another example, the video signal may not be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bu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not shown).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image signal to be received and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display device 1. [ For exampl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radio frequency (RF) signal, or may be a composite video, a component video, a super video, a SCART,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display port, a unified display interface (UDI), or a wireless HD standard. When the video signal is a broadcast signal,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signal on a channel-by-channel basis.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 예에는 영상수신부(110)가 꼭 필요한 구성은 아니나, 디스플레이장치(1)가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시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but it is desirable that the display device 1 can receive images from the outside.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소스영상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여 소스 영상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미도시) 및 디코딩된 소스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de-multiplexing for distribu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each characteristic signal, decoding corresponding to the image format of the image signal, De-interlacing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video signal into a progressive mode, noise reduction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etail enhancement, frame refresh rate (frame refresh rate) (not shown) for decoding a source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format of an encoded source image, and a frame buffer (not shown) for storing a decoded source image on a frame basis can do.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에 내장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20 may be a system-on-a-chip (SOC) that integrates various functions, or an individual configuration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of the processes, And can be embodied in the display device 1.

영상처리부(120)는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processes on a source image including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a receiving unit (not shown) and a video signal supplied from a video source (not show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utputs the process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1, so that the processed source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

영상처리부(120)는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first imag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in parallel.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 The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electron 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ght thereto, And a panel drive substrate (not shown).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nner in which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n image, but includes a method of an LCD, a PDP, and an OL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n LCD panel, a PDP panel, an OLED pane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제1 영상 및 제2영상 각각에 대하여 표시 및 표시 차단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nd / or block the first and second images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respectively.

제어부(100)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은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제1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제2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corresponds to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When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is case,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1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인터페이스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storage unit 160.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의 입력소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외부의 입력소스는 생성된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달하는 그래픽카드를 포함하고, 색보정을 위한 소정의 그래픽카드 패치(graphic card patch)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의 입력소스는 PC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체적인 구현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140)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퍼넌트(Component),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DI(Serial Digital Interface) 등의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input source. The external input source includes a graphics card for converting the generated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data to the display device 1, and may store a predetermined graphics card patch for color correction. The external input source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 PC, but a specific implementa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terface unit 14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input source by usin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a Component, an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or an SDI (Serial Digital Interface).

인터페이스부(140)는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부(100) 또는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00) 또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커넥터로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신호의 중계, 전달,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40)는 영상처리부(120) 및 제어부(100)와 분리된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나,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영상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00)와 일체화된 구성이거나 종속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transmi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to the control unit 100 or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0 or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the connector. The interface unit 140 performs relaying, transmission, and interface of signals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display device 1. The interface unit 140 may be separate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0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100 may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 Or may be implemented in a dependent configuration.

인터페이스부(140)는 커넥터가 USB 기반인 경우에, 해당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커넥터를 통한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USB 컨트롤러 모듈(controller 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USB controller module that controls signal transmission through a connector by being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USB-based.

통신부(15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a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100.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external input by wire or a signal received wireless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by connecting various external input cables.

통신부(15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ors (not shown) to which the respective cabl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a signal from a connected external input such as an HDMI, a USB, a component standard,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or the like, or receives communication data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통신부(15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영상처리장치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15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웹페이지를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or a tuner (not shown)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design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 (Not show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receiving a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also transmit the information / data /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not be limited to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UI from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ublicly know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R, UWB, Zigbee, etc. and may be a known communication port for wired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command for operating a display,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UI. You can also connect to the network to open a web page.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6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writable nonvolatile memory (Writable ROM) so that data may remain in the display device 1 even if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change of the user data may be reflected. That is, 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an EPROM, or an EEPROM.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제어부(100)는 제1프레임군 및 상기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킬 수 있다.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이 하나씩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alternately arrange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A plurality of frames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are arranged in order ≪ / RTI >

제어부(100)는 서로 다른 경로의 인터페이스부(140)로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의 소스와 연결되어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제1영상을 인터페이스부(140)에 대응하는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t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content by the interface unit 140 having different paths and the first video is displayed,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o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unit 140 and display the second image on the display unit 130.

일 예로, 제2영상은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부(140)로 연결되어 있어 제공된다. 제1영상은 통신부(150)를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제공된 웹페이지의 영상이다.For example, the second image is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n image is stored, via the interface unit 140. The first image is an image of a web page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영상을 보고 있다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외부장치로 연결하는 버튼인 외부입력버튼을 누르면, 영상처리되고 있던 외부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a user views an image of a web page and presses an external input button, which is a butt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ler, the second image is converted into a second image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Can be displayed.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가 표시되면, 표시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140)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interface 140, address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If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using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제어부(100)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may se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a setting by a user's input, a setting by a viewing count, a setting by a viewing time, a predetermined setting, and a random setting of a preferred channel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로 영상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mage switching to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웹브라우져(10)를 보고 있으며, 영상처리는 웹브라우져의 영상과 sport channel(20)의 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하지만, sport channel의 영상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3 (a) shows a user viewing the web browser 10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image processing, the image of the web browser and the image of the sport channel 20 are processed in parallel, Is not displayed.

도3의 (b)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져(10)를 보고 있다가 sport channel(20)의 영상을 선택하여 영상전환이 되어 웹브라우져(10) 의 영상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있으며, sport channel의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3 (b) shows a case in which a user views the web browser 10 and selects an image of the sport channel 20 so that the image of the web browser 10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Indicating that the image is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로 영상전환 시 영상프레임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image frame at the time of image switching b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서의 영상전환에 대한 동작과 영상이 변경되는 구현을 도4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4 specifically shows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image and changing the image in FIG. 3.

도 4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은 소정 단위 구간 즉, 1초사이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며,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킨 것을 나타내었다. 제1프레임군은 1로 표시하였고, 제2프레임군은 2로 표시하였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1초간 제공하는 프레임수가 240Hz인 경우 소정 단위 구간인 A가 1초라면, 제1프레임군이 120개의 프레임, 제2프레임군이 12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프레임군이 표시되는 경우, 영상은 120Hz로 표시되는 것으로 1초에 120개의 제1프레임이 보여지는 것이다. 1초에 보여지는 프레임의 수가 많을수록 영상의 화질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한다.4,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respectively, constituting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that is, one second, and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groups were alternately arranged. The first frame group is denoted by 1 and the second frame group is denoted by 2. If the number of frames provided by the display apparatus 1 for one second is 240 Hz, i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A is 1 second, the first frame group will consist of 120 frames and the second frame group 120 frames. Here, when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the image is displayed at 120 Hz, and 120 first frames are displayed in one second. The larger the number of frames shown in one second, the better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여기서, 사용자가 영상을 제2영상에서 제1영상으로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시점에 입력되면, 제2프레임 중 ①의 프레임까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그 이후에는 제1프레임 중 ②의 프레임부터 디스플레이부(130)는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을 하여 제1프레임군만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Here, when the user changes the image from the second image to the first image, if the input of the user is input at the time point of the (a), the frame of the first fra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until From the frame (2) of the frame,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first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130 by blocking the display of the second frame group.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영상전환을 위한 영상소스의 경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ath of an image source for image switching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되는 영상소스의 여러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5 shows various paths of an image sour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 is provided.

첫째, 영상수신부(110)로 방송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로First, a path for receiving a broadcast video signal to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둘째, 통신부(150)로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영상소스를 수신하는 경로Secondly, the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the image source provided from the network

셋째, 인터페이스부(140)인 USB port로 메모리가 연결되어 수신하는 경로Third, the memory 140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which is the interface unit 140,

넷째, 저장부(160)에 이미 저장되어 제공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Fourth, the path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s provided.

상기의 경로는 4가지로 기술하였지만, 연결되어 영상소스를 수신할 수 있는 형태면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path is described in four ways, it may be possible that the path is connected and capable of receiving an image sour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Fig. 6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한다(S11).A first image of the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are processed in parallel (S11).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S12).A plurality of frames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12).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제1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한다(S13).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S13).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제2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한다(S14).If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S1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7 is a control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설정한다(S21). 여기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re set (S21). Here, the setting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set by at least one of a setting by the user's input, a setting by the number of times of viewing, a setting by the viewing time, a predetermined setting, and a random setting among the preferred channels.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한다(S22).A first image of the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are processed in parallel (S22).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S23). 소정 단위 구간에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이 혼합되어 존재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rames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23).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may be arranged to be mixed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킨다(S24). 영상전환 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이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장 신속하게 영상전환이 가능하다.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are alternately arranged (S24). Since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are alternately arranged at the time of image switching, the image can be switched most quickly.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제1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한다(S25). 여기서, 저장된 제1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S25). Here, if there is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first content, the first content may be displayed using the information.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한 인터페이스부(140)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S26).At least one of the interface 140 information, the address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image status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to be displayed is stored (S26).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제2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한다(S27).If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S27).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한 인터페이스부(140)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S28). 여기서, 저장된 제2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제2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And stores at least one of the interface 140 information, the address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image status information for the displayed second image (S28). Here, if there is information on the stored second contents, the second contents can be displayed using the information.

상기한 디스플레이장치(1)로 인하여, 영상전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영상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멈춤, 영상에 대한 최대화 및 최소화 등의 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the image, and to eliminate the operations such as stopping of the screen, maximization and minimization of the image, which may occur in switching the image.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r spirit of this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but rather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디스플레이장치 100 : 제어부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 Display device 100:
110: image receiving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display unit 140:
150: communication unit 160:

Claims (12)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제1 영상 및 제2영상 각각에 대하여 표시 및 표시 차단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은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2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first image of the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in parallel;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nd blocking the processed first and second image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constituting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frame group is not displayed, and when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the second frame grou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frame group is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프레임군 및 상기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lternately arranges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경로의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소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connectable with the plurality of content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content to the interface unit of the different paths to display the first video and when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And changing the image to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하나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a command of a user and to display interface unit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And stores th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인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setting by the user's input, setting by the number of times of viewing, setting by viewing time, predetermined setting, and random setting of the preferred channel Lt; / RTI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using information on the stored content when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컨텐츠의 제1영상과, 제2컨텐츠의 제2영상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소정 단위 구간에 포함된 제1프레임군 및 제2프레임군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프레임군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2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2프레임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Processing a first image of the first content and a second image of the second content in parallel;
Configuring a plurality of frames such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 to a first frame group and a second frame group included in a predetermined unit section;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displaying the first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And if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displaying the second frame group on the display unit and blocking the display of the first frame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군 및 상기 제2프레임군을 서로 교번적으로 나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plurality of frames comprises:
And arranging the first frame group and the second frame group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군은 표시 차단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경로의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소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frame group comprises:
Whe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tent and the source of the second content by an interface part of different paths,
And changing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if the first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하나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정보, 주소정보, 채널정보, 영상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claim 1,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t least one of interface unit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and image status information for on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설정, 시청 횟수에 의한 설정, 시청 시간에 의한 설정, 미리 정해진 설정, 선호채널 중 랜덤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설정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tting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set by at least one of a setting by the user's input, a setting by the number of times of viewing, a setting by a viewing time, a predetermined setting, / RTI >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10,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content if on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mmand of a user Control method.
KR1020140001750A 2014-01-07 2014-01-07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1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750A KR20150081845A (en) 2014-01-07 2014-01-07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750A KR20150081845A (en) 2014-01-07 2014-01-07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845A true KR20150081845A (en) 2015-07-15

Family

ID=5379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750A KR20150081845A (en) 2014-01-07 2014-01-07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8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620B1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9313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ing and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CN111899680B (en) Display device and setting method thereof
US20120113170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9720638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8767052B2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6168A (en) Apparatas and method for dual display of television using f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US2014026728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applying motion compensation to remove artifacts from images
US9264700B2 (en) Multi viewer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US8848042B2 (en) Display device, video device, menu-screen display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JP2014066928A (en) Video signal supply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display system, video signal supply method,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31113A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81845A (en) Display apparu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499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57462B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76778A1 (en) Image transmitting apparatus, image receiving apparatus, image transmitting method, and image receiving method
KR20150081840A (en) Display device, calib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09014A (en) A method for displaying muli-screen in the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capable of muli-screen displaying
US20230247254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11875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98249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3877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31357B1 (en)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quality and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101223604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