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8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88A
KR20150081788A KR1020140001620A KR20140001620A KR20150081788A KR 20150081788 A KR20150081788 A KR 20150081788A KR 1020140001620 A KR1020140001620 A KR 1020140001620A KR 20140001620 A KR20140001620 A KR 20140001620A KR 20150081788 A KR20150081788 A KR 2015008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ing
terminals
power
terminal
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연
김세호
최윤석
황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788A/ko
Priority to US14/591,744 priority patent/US20150195834A1/en
Publication of KR2015008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은,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할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을 상기 후보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AIRING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하나의 타임 슬롯을 복수의 단말들이 공유하는 VAMOS(Voice services over Adaptive Multi-user channels on One Sho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음성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GSM 네트워크는 급격한 개발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 결과 한정된 스펙트럼 자원으로는 특히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 사람들의 통신 요구에 부합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GSM 네트워크 장치가 노후화되어 감에 따라 GSM 네트워크 용량의 확장이 매우 시급해지고 있다. 그러나 운용자 관점에서 보면 음성 서비스 요금은 해마다 조금씩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하드웨어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시스템 주파수 자원을 늘리지 않음을 전제로 한 시스템 용량 개선이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로 되고 있다.
MUROS(Multiple User Reuse One Slot: 한 개의 슬롯을 다수의 사용자가 재사용) 기술은 주로 3GPP GERAN(GSM/EDGE Radio Access Network: GSM/EDGE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MUROS 기술은 2008년 11월에 열린 GERAN#40 회의에서 VAMOS(Voice service over Adaptive Multi-user channels on One Slot: 한 개의 슬롯을 통한 적응식 다수 사용자 채널을 이용하는 음성 서비스)로 공식 명명되었다. 즉, VAMOS(Voice services over Adaptive Multi-user channels on One Shot)란 하나의 타임 슬롯을 통하여 복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음성 서비스를 지원 하는 것이다.
한편, VAMOS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복수 개의 단말들이 사용하도록 할당하는 것을 "페어링(pairing)"이라고 칭한다. 그런데 이렇게 복수의 단말들이 페어링되어 하나의 타임 슬롯을 통하여 음성 서비스를 지원받을 경우 하나의 단말은 페어링된 다른 단말에 의하여 간섭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된 단말들 간에 전력 경쟁(power racing)이 생길 수 있는데 전력 경쟁이 발생하게 되면 단말에 통신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없게 된다.
이해를 위하여 전력 경쟁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지국이 단말 1과 단말 2를 페어링한 상태를 가정할 때, 단말 1은 기지국이 단말 1에게 송신한 신호와 기지국이 단말 2에게 송신한 간섭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단말 1이 수신한 신호가 간섭 신호에 의하여 SINR이 수신에 필요한 SINR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단말 1은 기지국에게 송신 신호의 전력을 높일 것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이에 따라 단말 1에 대한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킨다. 한편, 단말 2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기지국은 단말 2에 대한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되면 단말 1과 단말 2의 상호 간섭에 의하여 단말 1과 단말 2는 각각 기지국에 송신 신호의 전력 증가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그에 따라 단말 1과 단말 2에 대하여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단말 1에 대한 송신 전력을 높일수록 단말 1에게 송신한 신호에 의한 단말 2의 간섭 신호가 커지고,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 2에 대한 송신 전력을 높일수록 단말 2에게 송신한 신호에 의한 단말 1의 간섭 신호가 커진다. 이렇게 단말들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하여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경쟁적으로 증가시켜도 각각의 단말들이 수신한 신호는 필요한 SINR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전력 경쟁"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AMOS 시스템에서 단말들을 페어링하기 이전에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전력 경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AMOS 시스템에서 페어링된 단말들에서 전력 경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AMOS 시스템에서 페어링된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은,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할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을 상기 후보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은,
하기 <수학식>
K=SINR_req_dB(1) + SINR_req_dB(2) + Delta_dB(1) + Delta_dB(2) + M < 0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SINR_req_dB(i) (i=1,2)는 i번째 단말에게 요구되는(required) 서비스 품질을 위해서 만족되어야 하는 SINR을 나타내며,
Delta_dB(i) (i=1,2)는 i번째 단말에 대하여 페어링된 상대 단말의 수신 신호 전력 중 i번째 단말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후보 단말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한 경우,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의 수신 신호 세기와 비트 오류율을 이용하여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재의 발생이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은,
하기 <수학식>
RXLEV > TH_LEV and RXQUAL > TH_QUAL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RXLEV는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며,
상기 TH_LEV는 상기 RXLEV의 기준값이며,
RXQUAL은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이며,
TH_QUAL은 RXQUAL의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는,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할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전력 경쟁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을 상기 후보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페어링 여부를 결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AMOS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VAMOS 시스템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들 간의 전력 경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VAMOS 페어링 이전에 미리 검사하고 전력 경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이동 단말(이하에서 "단말"로 약칭될 수 있다.)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들이 페어링된 이후에도 페어링된 단말들에 대한 전력 경쟁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전력 경쟁이 발생할 경우 이미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AMOS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것처럼VAMOS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하나의 타임 슬롯이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도 1에서는 하나의 타임 슬롯을 통하여 두 개의 단말들만이 동시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BS)(110)이 관리하는 셀 영역 내에 N개의 단말(Mobile Station: MS)들이(121, 122, 123, … , 12N) 있고, 각 단말들은 서로 다른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때 기지국(110)은 단말1(121)과 페어링하기 위한 후보 단말을 N-1개의 단말들(122, … , 12N) 중에서 단말 2(122)로 결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시간에 따라 단말 1(121)과 단말 2(122)에 할당되는 타임 슬롯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 T1에서 단말 1(121)은 타임 슬롯 1을 할당받은 상태이고(131), 시간 T1에서 단말 2(122)는 타임 슬롯 2를 할당받은 상태이다(133). 기지국(110)이 단말 1(121)에 대한 페어링 후보 단말을 단말 2(122)로 결정한 상태이다. 기존의 페어링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110)은 시간 T2에서 단말1(121)과 단말 2(122)에게 타임 슬롯 1을 할당한다(132, 134).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10)이 단말들을 페어링하기 전에 페어링할 단말들에 대하여 전력 경쟁이 발생할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기지국(110)은 단말 1(121)과 단말 2(122)에 대하여 페어링 이전, 즉, 시간 T1과 T2 사이에 전력 경쟁이 발생할 지 여부를 소정의 조건(이하에서 "전력 경쟁 사전 검사 조건"으로 칭할 수 있다.)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이에 따라 단말 1(121)과 단말 2(122)가 전력 경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면 비로소 단말 1(121)과 단말 2(122)를 페어링시킨다.
한편, 페어링 이후에는 단말 1(121)과 단말 2(122)가 동일한 타임 슬롯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어링된 단말들에 대해서도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소정의 조건(이하에서 "전력 경쟁 사후 검사 조건"으로 칭할 수 있다.)을 이용하여 다시 검사한다. 만일 전력 경쟁이 발생한다면 해당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21)과 단말 2(122)가 페어링된 이후에 전력 경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한 결과 전력 경쟁이 발생하였다면, 기지국(110)은 단말 1(121)과 단말 2(122)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참고로 페어링 이후의 전력 경쟁 발생 여부의 검사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거나, 시스템 설정에 의한 특정 이벤트의 발생과 같이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시간 T3에서 단말 1(121)과 단말 2(122)의 페어링을 해제하여 단말 1(121)은 시간 T3에서 타임 슬롯 1을 사용하고 있고(135), 단말 2(122)는 시간 T3에서 타임 슬롯 6을 사용하고 있는 예(136)가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들의 페어링 이전과 페어링 이후에 각각 전력 경쟁의 발생 여부를 검사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페어링 이전 및 페어링 이후에 수행되는 전력 경쟁의 발생 여부의 검사를 "전력 경쟁 사전 검사" 및 "전력 경쟁 사후 검사"로 약칭한다.
먼저 전력 경쟁 사전 검사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력 경쟁 사전 검사 조건은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은 두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가정한 것이고, 이때 K는 4개의 성분의 합으로 구성되며, <수학식 1>에 해당하면, 즉, K<0이면 두 개의 단말이 페어링될 경우 전력 경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K의 성분 중 SINR_req_dB(i) (i=1,2)는 i번째 단말에게 요구되는(required) 서비스 품질을 위해서 만족되어야 하는 SINR을 나타내며, 이 값은 단말의 부호율에 따라서 기지국이 결정한다.
K의 성분 중 Delta_dB(i) (i=1,2)는 i번째 단말에 대하여 페어링된 상대 단말의 수신 신호 전력 중 i번째 단말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는 전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Delta(1) = -10dB (0.1)인 경우 단말 1에 대하여 페어링된 상대 단말인 단말 2의 수신 전력 중 10%가 단말 1에 대하여 간섭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값은 i번째 단말의 수신 성능에 따라서 기지국이 결정하는 값이며, 단말이 기지국과의 호 설정(call setup)과정에서 기지국에 보고한 단말의 능력(capability)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단말의 수신 능력에 따라 기지국이 Delta_dB(i)를 결정하기 위한 일 예이다. <표 1>에서 Delta1,…,Delta9는 소정의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기지국에서 미리 결정되어야 하는 값이다.
Downlink Advanced Receiver Performance VAMOS Level Delta_dB(i)
0 0 Delta1
1 Delta2
2 Delta3
1 0 Delta4
1 Delta5
2 Delta6
2 0 Delta7
1 Delta8
2 Delta9
참고로, 상기 <표 1>에서 "Downlink Advanced Receiver Performance" 및 "VAMOS Level"은 호 설정 과정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는 값이며, 클래스 마크 3(Classmark 3)에 포함되어 있다.
다시 <수학식 1>을 참조하면, K에서 "M"은 전력 경쟁 검사를 위한 마진(Margin) 값으로 시스템 설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상수값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SINR_req_dB(1)과 SINR_req_dB(2)은 주로 양의 값이 고, Delta_dB(1), Delta_dB(2)은 음의 값이고, Margin은 양의 값이다. 즉, 단말 상호 간의 간섭의 정도를 의미하는 Delta_dB(1) + Delta_dB(2)의 절대값이 커질수록 (즉 간섭 성분이 작아질 수록) K의 값은 음의 값이 되고, 절대값이 작아질수록 K의 값은 양의 값이 될 것이다. 즉, K에서 간섭 성분이 작아질수록 K는 음의 값이 될 것이고 K에서 간섭 성분이 커질수록 K는 양의 값이 될 것이다. 따라서 두 개의 단말들에 대하여 K의 값이 0보다 작으면 전력 경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기지국은 페어링을 수행하고, K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으면 전력 경쟁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기지국은 두 개의 단말을 페어링하지 않는다. 다만, K에서 마진값(M)을 조절하여 페어링 결정 여부에 대하여 여유를 두고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전력 경쟁 사전 검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두 개의 단말들에 대해서는 페어링 이후에 기지국이 해당 단말들에 대한 송신 전력을 아무리 높인다고 하여도 해당 단말에게 필요한 SINR을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페어링 후보 단말들이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두 개의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실패로 간주하여 두 개의 후보 단말에 대한 실제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대로 후보 단말들이 <수학식 1>을 만족한다면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이 성공할 것을 판단하고, 해당 페어링 후보 단말들에 대하여 실제로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전력 경쟁 사후 검사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력 경쟁 사전 검사를 통하여 전력 경쟁 발생 여부가 미리 검사되었음에도, 추정된 델타(Delta) 값과 실제(Delta) 값과의 오차로 인하여 페어링 이후에도 전력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페어링 이후에도 전력 경쟁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 경쟁이 발생한다면 페어링된 단말들을 해제할 수 있다. 전력 경쟁 사후 검사 조건은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RXLEV는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수신 신호 세기(RSSI: Recie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양자화된(quantized)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_LEV는 상기 RXLEV의 기준값(또는 임계값)이다.
RXQUAL은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의 양자화된(qualtized)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_QUAL은 RXQUAL의 기준값(또는 임계값)이다.
RXQUAL이 크다는 것은 수신된 신호에 오류가 많은 것이므로 RXQUAL값이 커질수록 수신 신호의 품질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상기 RXLEV, RXQUAL 값은 모두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는 값이다. 한편, TH_LEV 및 TH_QUAL 기지국에서 최적화 과정을 통해서 미리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게 되면, 수신 신호 레벨(RXLEV)은 기준값(TH_LEV)보다 크지만, 수신 신호 품질의 나쁜 정도(RXQUAL)가 기준값(TH_QUAL)을 초과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에 간섭 신호가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VAMOS 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간섭 신호가 VAMOS 페어링된 상대 단말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수신 신호에 간섭 신호가 일정 기준 이상 포함되어 있음은 VAMOS 페어링된 단말들 간에 간섭이 일정량 이상으로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페어링 이후에 페어링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라도 상기 <수학식 2>에 해당하면, 기지국은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01단계에서 기지국은 페어링 후보 단말들을 선택한다. 페어링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기준은 본 발명의 주된 관심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3단계에서는 선택된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availability)을 이용하여 <수학식 1>에 의한 전력 경쟁 사전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단말들의 부호율 또는 단말 능력값은 해당 단말과의 호 설정 과정에서 획득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들을 획득하는 것에 특별한 제한을 하지 않는다.
205단계에서는 상기 <수학식 1>에서 설명된 전력경쟁 사전 검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건에 해당하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에 다시 201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페어링 후보 단말들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20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페어링 후보 단말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한다. 즉, 205단계 내지 209단계에서는 <수학식 1>의 K값이 0보다 작으면 페어링을 수행하고, K값이 0보다 크거나 같으면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211단계에서 기지국은 페어링된 단말들에 대하여, 해당 단말들의 수신신호세기와 비트오류율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서 설명된 전력경쟁 사후검사를 수행한다. 213단계에서는 <수학식 2>의 전력경쟁 사후 검사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되지 않으면 211단계로 다시 돌아가서 사후 검사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사후 검사는 소정 주기 또는 시스템 설정에 따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사후 조건에 만족한다면 21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송수신부(301)는 단말들과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특히, 전력 경쟁 사전 검사를 위하여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단말 능력값(availability)을 획득하고, 전력 경쟁 사후 검사를 위하여 수신 신호 세기 및 비트 오류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페어링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고 전력 경쟁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전력 경쟁 판단부(305)는 전력 경쟁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303)에 전달한다. 즉, 전력 검사 사전 검사 시에는 선택된 페어링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availability)을 이용하여 <수학식 1>에 의한 전력 경쟁 사전 검사를 수행한다. 전력 경쟁 사후 검사 시에는 페어링된 단말들에 대하여 <수학식 2>에 의한 전력 경쟁 사후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303)로 전달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VAMOS 시스템에서 단말들 간의 전력 경쟁을 페어링 이전에 미리 차단할 수 있고, 페어링 이후에는 단말의 수신 신호 세기와 신호 품질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이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 경쟁이 발생한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력 경쟁을 페어링 이전에 인식하여 불필요한 페어링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고, 페어링 이후의 전력 경쟁을 검출하면 전력 증가에 따른 간섭 신호의 증가를 방지하여 전력 경쟁에 의한 호 누락(call drop)을 방지할 수 있다. 음질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1~12N: 단말들
110: 기지국
301: 송수신부
303: 제어부
305: 전력 경쟁 판단부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할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을 상기 후보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은,
    하기 <수학식>
    K=SINR_req_dB(1) + SINR_req_dB(2) + Delta_dB(1) + Delta_dB(2) + M < 0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SINR_req_dB(i) (i=1,2)는 i번째 단말에게 요구되는(required) 서비스 품질을 위해서 만족되어야 하는 SINR을 나타내며,
    Delta_dB(i) (i=1,2)는 i번째 단말에 대하여 페어링된 상대 단말의 수신 신호 전력 중 i번째 단말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말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한 경우,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의 수신 신호 세기와 비트 오류율을 이용하여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재의 발생이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과정은,
    하기 <수학식>
    RXLEV > TH_LEV and RXQUAL > TH_QUAL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RXLEV는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며,
    상기 TH_LEV는 상기 RXLEV의 기준값이며,
    RXQUAL은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이며,
    TH_QUAL은 RXQUAL의 기준값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하는 복수 개의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타임 슬롯을 공유할 후보 단말들을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후보 단말들의 부호율 및 단말 능력값을 이용하여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는 전력 경쟁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하나의 타임 슬롯을 상기 후보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페어링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경쟁 판단부는,
    하기 <수학식>
    K=SINR_req_dB(1) + SINR_req_dB(2) + Delta_dB(1) + Delta_dB(2) + M < 0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SINR_req_dB(i) (i=1,2)는 i번째 단말에게 요구되는(required) 서비스 품질을 위해서 만족되어야 하는 SINR을 나타내며,
    Delta_dB(i) (i=1,2)는 i번째 단말에 대하여 페어링된 상대 단말의 수신 신호 전력 중 i번째 단말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K>=0이면 상기 후보 단말들의 페어링을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경쟁 판단부는, 상기 후보 단말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한 경우,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의 수신 신호 세기와 비트 오류율을 이용하여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의 발생을 검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된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페어링 이후 전력 경재의 발생이 경우, 상기 단말들의 페어링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경쟁 판단부는,
    하기 <수학식>
    RXLEV > TH_LEV and RXQUAL > TH_QUAL
    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RXLEV는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며,
    상기 TH_LEV는 상기 RXLEV의 기준값이며,
    RXQUAL은 해당 단말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이며,
    TH_QUAL은 RXQUAL의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는 장치.
KR1020140001620A 2014-01-07 2014-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81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20A KR20150081788A (ko) 2014-01-07 2014-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4/591,744 US20150195834A1 (en) 2014-01-07 2015-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ring between mobil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20A KR20150081788A (ko) 2014-01-07 2014-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88A true KR20150081788A (ko) 2015-07-15

Family

ID=5349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620A KR20150081788A (ko) 2014-01-07 2014-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95834A1 (ko)
KR (1) KR20150081788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6542B (zh) * 2011-05-27 2014-06-2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设备和系统
US20130176874A1 (en) * 2011-12-09 2013-07-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rate shaping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cance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5834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03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ference control
US8761791B2 (en) Resources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radio remote units sharing a cell
US20140241198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feeding back radio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6405447B2 (ja) ネットワーク支援参照信号送信を有する装置間(d2d)チャネル管理
US114124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communication in a user equipment or a base station
KR101908951B1 (ko)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804674B (zh) 用于从覆盖区域减轻覆盖盲区的系统和方法
WO2020243971A1 (zh) 一种车联网系统中的资源选取方法及其用户设备
US9467265B2 (en) Method and access point for assigning sounding resources
CN105379367B (zh) 发射功率控制方法及设备
US10560979B2 (en) Measurement result reporting method, method for counting by timer,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KR10159450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5245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23193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171029B (zh) 一种信号传输的装置、系统及方法
US119299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speed doppler compensation in a cellular environment
WO2021088089A1 (zh) 链路质量监测方法及相关产品
US20230036406A1 (en) Method of codebook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antenna mapping to improve uplink performance
CN104144507B (zh) 一种确定d2d对的通信资源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30258761A1 (en) Positioning
CN112751657B (zh) 干扰测量方法、基站、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KR201500817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페어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08950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EP4346314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601130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manage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