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53A -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53A
KR20150081753A KR1020140001540A KR20140001540A KR20150081753A KR 20150081753 A KR20150081753 A KR 20150081753A KR 1020140001540 A KR1020140001540 A KR 1020140001540A KR 20140001540 A KR20140001540 A KR 20140001540A KR 20150081753 A KR20150081753 A KR 20150081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panel
display
sens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건
장창재
조진호
김권수
김무영
홍주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753A/ko
Priority to PCT/KR2014/012196 priority patent/WO2015102260A1/ko
Priority to US15/109,737 priority patent/US20160328086A1/en
Publication of KR2015008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제 1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1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상기 주사 주기가 제 2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2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환경에 따라 함께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의 오브젝트 검출 조건이 최상이 되도록 적응적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원활한 위치 검출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PANE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장치에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들과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출력 장치들을 구비한다. 입력 장치로는 전자 장치의 적소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싱 방식으로 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와 동일 영역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수용하는 패널이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직접 터치하는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직접 터치 방식에 해당하는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근접하는 오브젝트(object)(예를 들어, 사람의 손가락, 전자 펜 등)가 일정 감지거리 이내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간접 터치 방식(호버링 입력 방식)에 해당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간접 터치 방식의 일환으로써 전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수의 코일이 직교하도록 배치된 자기 유도 패널(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 평판이라고 함)을 센싱 수단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펜 타입 오브젝트에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유도 패널의 코일 어레이에 교류 신호를 인가시켜 동작하게 하고,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되면 오브젝트와 인접한 자기 유도 패널의 코일이 자계를 형성하고, 자계와 공진하여 오브젝트에서는 공진 주파수가 발생되며, 발생된 공진 주파수는 전자 장치의 자기 유도 패널용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에서 감지되어 해당 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자기 유도 패널을 구비하고, 직접 또는 간접 터치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더라도, 디스플레이와 직접 접촉하여 데이터 입력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별도로 더 구비하여 복수의 패널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동작 환경에 따라 오브젝트의 검출 조건이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합 패널들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배제시켜 원활한 성능 구현이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도록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제 1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1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상기 주사 주기가 제 2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2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LCD 패널의 동작 환경에 따라 함께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의 오브젝트 검출(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조건이 적응적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오브젝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널이 적용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널에 입력되는 입력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자기 유도 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조건에 따라 자기 유도 패널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유도 패널에 인가되는 노이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와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라 지칭될 수도 있으며, 단순히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하는 패널, AMOLED(Active Matrix OLED) 패널, 또는 저온 결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하드 타입 패널일 수도 있고, 플렉서블 패널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기판일 수도 있으며,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기판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기술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용 센싱 패널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입력 오브젝트 감지용 센싱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와 함께 적용되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감지용 센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널이 적용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패널(20)은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널(20)은 데이터 출력 모듈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LC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널(20)은 데이터 입력 모듈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LCD 패널과 중첩되는 배치 영역에 포함되거나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오브젝트(사람의 손가락 또는 데이터 입력용 전자 펜(1))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널(20)은 데이터 입력 모듈(사용자 입력 모듈)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도 3의 1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패널은 오브젝트의 직접 접촉에 따른 입력을 검출하거나, 오브젝트가 복합 패널(20)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 감지 거리 이내에 진입하였을 때부터 입력을 검출하거나, 상술한 두 가지 경우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패널은, 예를 들어,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및 자기 유도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직접 접촉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수용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또는 전자 펜의 간접 접촉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수용하는 자기 유도 패널이 LCD 패널과 함께 구현되는 복합 패널(20)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복합 패널(20)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패널(20)이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센싱 패널(터치 패널(23) 또는 자기 유도 패널(22))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센싱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센싱 패널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복합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널(20)은 자기 유도 패널(22), 디스플레이 패널(21) 및 터치 패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복합 패널 (20)은 자기 유도 패널(22), 디스플레이 패널(21) 및 터치 패널(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합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21) 및 자기 유도 패널(22)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재질의 터치 패널(23)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윈도우(106)의 한면에 증착되는 방식으로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터치 패널(23)은 LCD 패널(21)의 상면에 실장될 수도 있으며, 개별적으로 실장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패널(22)은 미도시되었으나, 예를 들어, 복수개의 X축 코일 어레이와 Y축 코일 어레이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센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센서 PCB의 하부에 배치되는 쉴드 플레이트 및 전자 장치(100)의 회로(105)(예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패널(22)은, 예컨대, 차광성 코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 별도의 터치 패널(23)및 LCD 패널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터치 패널(23), LCD 패널(21) 및 자기 유도 패널(22)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력용 오브젝트로써 사용되는 전자 펜(1)이 전자 장치(100)의 윈도우(106)와 일정 거리(d)(예; 2cm) 이내로 접근하게 되는 경우, 자기 유도 패널(22)은 전자 펜(1)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터치 패널(23)과 별도로 전자 펜(1)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예: 아이콘 선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널(20)의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자기 유도 패널(22)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은 cmd(commend) 모드로 동작할 경우, LCD 패널(21)의 상태(예: 온도, 습도, 밝기, 형태 또는 전압 등)의 변화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된 주사 주기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또는 노이즈)에 기반하여, 자기 유도 패널(22)이 인식하는 오브젝트(예: 사용자 입력)의 입력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널에 입력되는 입력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전자 펜(1)으로 복합 패널(20)의 도시된 입력 위치 P를 지시하고 있을 경우, 정확한 입력 포인트는 P1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유도 패널(22)은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경된 주사 주기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예: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전자 펜(1)의 위치를 도시된 P2의 입력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발생되는 신호(예: 노이즈)의 영향으로 인해 자기 유도 패널(22)은 전자 펜(1)의 입력 동작이 없는 상황에서도 전자 펜(1)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사 주기에 따라 자기 유도 패널(22)의 검출 위치를 보정(calibration)하도록, 예컨대,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를 이용하여 자기 유도 패널(22)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를 바람직한 구간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14), 디스플레이 모듈(115), 센서 모듈(116), 카메라 모듈(117), 인터페이스 모듈(118), 오디오 모듈(119), 통신 모듈(120), 저장 모듈(121)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을 뿐, 그 외의 다른 기능을 위한 추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구성이 적어도 두 개의 구성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114)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114)은 터치 패널(23), 자기 유도 패널(22) 또는 키(1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23)은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또는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23)은 복합 패널(20)의 상면을 직접 터치하는 입력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터치 패널(예: 정전 용량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및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은 직접 접촉에 의한 터치뿐만 아니라 접촉 전 일정 감지거리 이내에 오브젝트가 진입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입력(예: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패널(22)은 복수의 코일 어레이에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해 형성된 자계에 자성체와 코일체를 같는 오브젝트, 즉 전자 펜(1)의 진입을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패널(22) 역시 직접 터치 또는 간접 터치(예: 호버링 입력)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자기 유도 패널(22)은 복합 패널(20)에 진입하는 오브젝트의 검출 위치를 제어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도 5의 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220)는 자기 유도 패널(22)과 전기적으로는 연결되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개념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104)는 전자 장치(20)의 외부 적소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104)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적소에 배치되는 웨이크 업/슬립 키 버튼, 볼륨 업/다운 버튼, 홈 버튼 또는 모드 변경을 위한 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5)은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예를 들어,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고,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소망하는 형상 및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TFT-LC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은 프로세서에 의해 공급받은 주사 제어 신호를 일정 주사 주기로 주사선에 공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5)(또는, 프로세서) 은 프로세서로부터 계조 데이터 신호,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입력받고, 샘플링하며, 주사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예: LDI(LCD Driver IC))(도 5의 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LDI(210)는 LCD 패널(21)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LDI(210)는 LCD 패널(21)과 전기적으로는 연결되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개념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6)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홀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냄새 센서, 지문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17)은 정지 화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17)은 구현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로, 전면 렌즈 또는 후면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모듈(118)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모듈(118)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젝터 및 D-sub(D-Sbminiat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모듈은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19)은 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9)은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0)은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0)은 이동 통신부, 무선 인터넷부, 근거리 통신부 및 위치 정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0)를 네트워크(예로,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과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로,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모듈(121)은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122)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모듈은 LCD 패널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자기 유도 패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된 일정 범위의 주사 주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122)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 메모리(123)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모듈(121)은 전자 장치(100)의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커널, 미들웨어,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널은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인터페이스와 각 하드웨어 업체가 제공하는 개별 드라이버 모듈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통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또는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구현 예에 따라,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구현 예에 따라, 런타임 라이브러리(Runtime Library) 또는 기타 라이브러리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이다. 예컨대, 런타임 라이브러리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미들웨어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I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예를 들면,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는 홈 화면을 실행하는 홈 어플리케이션, 다이얼러(Dialer) 어플리케이션, SMS(Short Message Server)/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어플리케이션, 카카오톡 또는 쳇온 등과 같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Browser)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알람(Alarm) 어플리케이션, 컨택츠(Contacts (or address book)) 어플리케이션, 음성 다이얼(Voice dial) 어플리케이션, 이메일(email)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앨범 어플리케이션 및 시계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외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계조 데이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21)의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대응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주사 주기 범위내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확인된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내부 동작 클럭을 조절하거나, 자기 유도 패널이 위치 보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112)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processor)(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 및 CP(113)가 프로세서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AP(112) 및 CP(1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 및 상기 CP(1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112)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1)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CP(113)는 상기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CP(113)는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CP(1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 또는 CP(1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P(112) 또는 상기 CP(1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자기 유도 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제어하기 위한 LDI(210)는 제어부(211)와 메모리(GRAM)(212) 및 레지스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휘도 또는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계조 데이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LCD 패널(21)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1)로부터 인가받은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비디오 모드를 검출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예컨대, 프로세서(111)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21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 지정된 데이터(specified data)를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완전히 읽을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예: TE(Tearing Effect))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에 기반하여 주사 주기를 산출하여 프로세서(1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레지스터(213)를 제어하여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12)는 GRAM(Graph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12)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11)로부터 로우(raw)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지스터(213)는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아 LCD 패널(21)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다르면, 레지스터(213)는 미도시된 A/D(Analog/Digital) 변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샘플링하는 클럭의 위상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220)는 자기 유도 패널(22)에서 감지한 입력에 따른 입력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입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111)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220)는 위치 보상 데이터(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220)는 위치 보상 데이터(221)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마다, 정확한 입력 좌표 검출을 위한 위치 보상(calibr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LCD 패널(21)은 동작 중에 주사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LCD 패널(21)이 cmd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태(예: 온도, 습도, 밝기, 형태 또는 전압 등) 에 따라 주사 주기가 변경될 수 있으며, 주사 주기가 변경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신호(예: 노이즈)는 자기 유도 패널(22)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기 유도 패널(22)은 입력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로부터 제공받은 로우 이미지 데이터를 LDI(210)의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저장 속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태 변경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주사 주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주사 주기를 원래의 주사 주기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LCD 패널(21)의 내부 동작 클럭을 조작하거나, 변경된 주사 주기에 대응하도록 자기 유도 패널(22)의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예: LCD) 패널의 동작 조건에 따라 자기 유도 패널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6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를 통해)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 지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읽었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예: TE(Tearing Effect 신호)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6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605 동작으로 진행하여 변경된 주사 주기에 대응하여 자기 유도 패널의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를 제어하여 위치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6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605 동작에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 6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변경된 주사 주기에 대응하여 센싱 패널의 위치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수평 동기 신호(또는, 수직 동기 신호)를 계산하는 701 동작을 수행하고, 수평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7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부로부터 제공 받은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에 따른 타이밍을 제공 받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70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705 동작에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707 동작으로 진행하여 변경된 주사 주기에 대응하여 자기 유도 패널의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를 제어하여 위치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는7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705 동작에서 제공받은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7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유도 패널에 인가되는 신호(예: 노이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와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9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를 통해)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 지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읽었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예: TE(Tearing Effect 신호)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9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905 동작으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구동부 의 레지스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킴으로써 소망 주사 주기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후, 9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자기 유도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당 주사 주기가 f1 구간에서 최소한의 노이즈가 인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태(예: 외부의 온도 변화 또는 LDI 메모리에 로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속도)에 따라 주사 주기가 f2 또는 f3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기 유도 패널에 인가되는 노이즈가 증가되며, 이로 인하여 입력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807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레지스터를 조작하여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킴으로써 주사 주기를 f2 또는 f3에서 f1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자기 유도 패널에 유기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수평 동기 신호(또는, 수직 동기 신호)를 계산하는 1001 동작을 수행하고, 수평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10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부로부터 제공 받은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에 따른 타이밍을 제공 받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주사 주기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1005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005 동작에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1007 동작으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레지스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시킴으로써 소망 주사 주기로 변경시킬 수 있다.
1001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복수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 펜 20: 복합 패널
21: 디스플레이 패널 22: 자기 유도 패널
23: 터치 패널 210: 디스플레이 구동부
220: 자기 유도 드라이버 IC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제 1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1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상기 주사 주기가 제 2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2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읽었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의 카운트 값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과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LDI로 제공되는 수평 또는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과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또는 자기 유도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복합 패널을 직접 터치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거나 접촉 없이 일정 감지 거리 이내에서 위치를 검출하거나 두 가지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방법.
  6.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주사 주기가 상기 임계 범위에 포함되도록 변경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읽었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의 카운트 값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과정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제공되는 수평 동기 또는 수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과정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또는 자기 유도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복합 패널을 직접 터치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거나 접촉 없이 일정 감지 거리 이내에서 위치를 검출하거나 두 가지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방법.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제 1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1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상기 주사 주기가 제 2 범위인 경우, 상기 센싱 패널을 제 2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독취하였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의 카운트 값에 기반하여 주사 주기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제공되는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주사 주기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또는 자기 유도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적어도 하나의 센싱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주사 주기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가 주기가 상기 임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내부 동작 클럭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독취하였을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의 카운트 값에 기반하여 주사 주기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로 제공되는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주사 주기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정전 용량식 패널, 저항막 방식 패널, (초)음파 방식 패널, 광(적외선) 센서 방식 패널 또는 자기 유도 방식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40001540A 2014-01-06 2014-01-06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81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40A KR20150081753A (ko) 2014-01-06 2014-01-06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14/012196 WO2015102260A1 (ko) 2014-01-06 2014-12-11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5/109,737 US20160328086A1 (en) 2014-01-06 2014-12-11 Method for operating complex pane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40A KR20150081753A (ko) 2014-01-06 2014-01-06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53A true KR20150081753A (ko) 2015-07-15

Family

ID=5349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40A KR20150081753A (ko) 2014-01-06 2014-01-06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28086A1 (ko)
KR (1) KR20150081753A (ko)
WO (1) WO20151022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21A1 (en) * 2016-07-27 2018-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input sensing panel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692B1 (ko) * 2004-10-20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927924B2 (en) * 2008-09-26 2018-03-27 Apple Inc. Differential sensing for a touch panel
KR20100083952A (ko) * 2009-01-15 2010-07-23 (주)터치사인 터치패널상에 접촉되는 다중포인트의 좌표값을 저장하기 위한 방법
JP4633855B1 (ja) * 2010-03-30 2011-02-2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入力位置出力方法
US9489072B2 (en) * 2010-04-15 2016-11-08 Atmel Corporation Noise reduction in capacitive touch sensors
US9626889B2 (en) * 2012-09-24 2017-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and program for driv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21A1 (en) * 2016-07-27 2018-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input sensing panels and method
KR20180012482A (ko) * 2016-07-27 2018-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패널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10545605B2 (en) 2016-07-27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input sensing panel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8086A1 (en) 2016-11-10
WO2015102260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141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iometric sensor
CN108282558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1113892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105588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1154508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1087821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iometric sensor
KR102264808B1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80983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essure sensor
KR102227440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31073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ouch
US20200160025A1 (en) Electronic Device
US11321438B2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electrode selected from electrodes of biometr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037135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ser interface
KR20200131644A (ko) 터치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0597A (ko) 터치 입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 조건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420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공 방법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US11073985B2 (en) Touch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150081753A (ko) 복합 패널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0431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96653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IC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KR20200112303A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