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18A - Latch Assembly - Google Patents

Latch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18A
KR20150081718A KR1020140001477A KR20140001477A KR20150081718A KR 20150081718 A KR20150081718 A KR 20150081718A KR 1020140001477 A KR1020140001477 A KR 1020140001477A KR 20140001477 A KR20140001477 A KR 20140001477A KR 20150081718 A KR20150081718 A KR 2015008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ead
door
latch
cover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3624B1 (en
Inventor
송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0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624B1/en
Publication of KR2015008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 head is rota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operate a latch assembly. The latch assembly comprises: the latch head; a first operating rod coupled to one lower side of the latch head to enable the latch head to be rotated; a second operating rod provided parallel to the first operating rod and where a hanging unit hung by a door-lock bundle is formed in an end of one side;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be rotated to one lower side of the head facing the first operating rod and the other sid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rod.

Description

래치 조립체{Latch Assembly}[0001] Latch Assembly [0002]

본 발명은 래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개방 시 일차적으로 래치 헤드가 회전하며, 래치 헤드와 문틀의 충돌을 최소화한 후, 래치 헤드가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어 작은 힘만으로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이 가능한 래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 assembly, in which a latch head is first rotated when a door is opened, a latch head is inserted into a cylinder, Lt; RTI ID = 0.0 > latch assembly. ≪ / RTI >

일반적으로 래치 조립체가 사용되는 도어록 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도어 손잡이가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고, 도어 손잡이의 조작 시킴에 따라 도어록 유닛을 작동하고, 이에 의해 래치 조립체의 래치 헤드가 도어 내부로 삽입되며 도어가 개방된다.Generally, in a door lock apparatus in which a latch assembly is used, door knobs held by a user by hand in the room or outsid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and the door lock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knob,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door and the door is opened.

종래의 래치 조립체는 래치 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야만 도어가 개방되기 때문에, 도어 손잡이를 완전하게 조작한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래치 헤드가 문틀과 충돌하여 래치 헤드 및 문틀의 삽입홈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래치 헤드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latch assembly, since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latch head is inserted into the door, if the door is not opened with the door handle fully operated, the latch head collides with the door frame, Abrasion may occur, or breakage of the latch head may occur.

또한, 도어 손잡이를 완벽히 조작하지 않으면 도어 헤드가 문틀에 걸려 도어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환자, 장애인 또는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oor handle is not fully operated, the door may not be opened due to the door frame being caught by the door frame, so that a user who holds a product in a child, a patient, a disabled person or both hands may not easily open the door.

KR0352220 20KR0352220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개방 시 일차적으로 래치 헤드가 회전하며, 래치 헤드와 문틀의 충돌을 최소화한 후, 래치 헤드가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어 작은 힘만으로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이 가능한 래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or a door, which, when the door is opened, rotates the latch head, minimizes collision between the latch head and the door frame, 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래치 조립체는 래치 헤드가 적어도 일방으로 회전하며 구동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latch assembly is driven by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latch heads.

이때, 상기 래치 조립체는, 래치 헤드, 상기 래치 헤드의 하부 일측에 상기 래치 헤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작동간, 상기 제1작동간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일측 종단에 도어록 뭉치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2작동간 및 상기 제1작동간과 대향되는 상기 헤드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제2작동간의 타측 종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atch assembly includes a latch head, a first operation in which the latch head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latch head, and a latch part tha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a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ration between the lower one side of the head opposed to the first operation gap and the second operation.

또한, 상기 제2작동간 및 상기 연결부는 대기상태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cute angle in a standby state.

또한, 상기 제1작동간 및 상기 제2작동간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작동간의 중심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간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작동간을 함께 구동시키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operation, and fix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to drive the first operation gap together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operations.

또한, 상기 래치 헤드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작동간 및 상기 제2작동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atch head can be seated and to surround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 헤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ylinder may include a main body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a sp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atch head is seated, And a second cover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에는 탄성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an elastic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Further, the elastic unit may be a coil spring.

또한,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는 상기 탄성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may be provided with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elastic unit.

본 발명의 래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a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래치 헤드가 회전하며 조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에 작은 힘만 가하더라도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since the latch head is rotated and operated,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even if the user applies only a small force to the door handle.

둘째,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래치 헤드와 문틀의 충돌을 최소화 함으로써 래치 헤드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래치 헤드 및 문틀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래치 및 문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ly, when the door is to be opened, the collision between the latch head and the door frame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burden on the latch hea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latch head and the door frame,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latch and door frame It is effective.

셋째, 기존의 도어에 설치된 래치 조립체와 호환이 가능하여 문 또는 손잡이 조립체를 전부 교환하지 않고, 래치 조립체만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ird, it is compatible with a latch assembly installed in an existing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latch assembly without replacing the door or the handle assembly.

넷째, 도어 손잡이에 작은 힘만 인가하더라도 래치 헤드가 회전하며 구동되기 때문에 어린 아이와 같이 도어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래치 헤드 및 도어의 충돌을 최소화하며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ourth, even if a smal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handle, the latch head is rotated and driven, so that even a user who has difficulty in operating the door like a child can minimize the impact of the latch head and the door and can open the doo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실린더를 제외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a cylinder;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ch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a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래치 조립체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latch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실린더를 제외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view of the latch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헤드(100), 제1작동간(200), 제2작동간(300), 연결부(400) 및 실린더(500)로 구성된다. 1 to 4, the latch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head 100, a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a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a connection portion 400, and a cylinder (not shown) 500).

래치 헤드(100)는 전체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래치 헤드(100)와 동일하게 일면은 도어의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면은 문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래치 헤드(10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따라 회전 중심축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작동간(200) 및 제2작동간(30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관통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The latch head 100 is generally formed in a curved shape in order to facilitate closing of the door in the same manner as the latch head 100 commonly used in the art, . However, the latch head 10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so that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can be rotated respectively so that an exter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enable the rotation center axis and rotation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inserted.

이때, 두 개의 관통공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하부 양측 종단부, 바람직하게는 만곡면과 수직면에 대응되는 하부 양측 종단부에 구비된다. 즉, 두 개의 관통공은 래치 헤드(100)가 도어의 개폐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two through hol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at the lower both side end portions, preferably the lower side en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That is, the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latch head 100 is rotatable along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또한, 래치 헤드(100)의 하부에는 제1작동간(200) 및 연결부(400)가 구동될 수 있는 공강을 제공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head 100 to provide the first working space 2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00 with a groove for providing the coils.

제1작동간(200)은 전체적으로 바(Bar)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종단이 래치 헤드(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힌지(700)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래치 헤드(100)는 제1작동간(200)과의 결합되는 힌지(70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제1작동간(200)은 래치 헤드(100)의 수직면과 대응되는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힌지(700)를 통해 결합된다. The first actuating part 200 is formed as a bar-shaped rod as a whole and is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thereof through a hinge 700 to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atch head 100. Since the latch head 100 rotates about the hinge 700 coupled with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head 100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latch head 100 Through a hinge (700).

이때, 제1작동간(200)의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의 관통공(210)이 구비되어 있다. At this time, a long hole-shaped through hole 210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제2작동간(300)은 제1작동간(200)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도어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일방으로 이동하며 래치 헤드(100) 및 제1작동간(200)을 구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작동간(300)은 전체적으로 제1작동간(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래치 헤드(100)와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도어록 뭉치에 걸리는 걸림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operation path 30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eration path 200 and move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nd transmits a force for driving the latch head 100 and the first operation path 200 Device.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as a whole and has a latching portion 320 which is engaged with the door lock bundle at the other end terminated to the latch head 100. [

제2작동간(300)은 제1작동간(200)과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고, 중심 일측에는 제1작동간(200)의 장홈 형상의 관통공(21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310)는 제2작동간(300)의 중심 일측이 절개되어 제1작동간(200)과 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제2작동간(30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nd a fixing protrusion 31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0 of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t the center of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 The fixing protrusions 31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operation gap 300 is cut and bent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operation gap 2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이러한 제2작동간(300)은 일단은 도어록 뭉치와 연결되어 있지만, 래치 헤드(100)와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In this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 bundle, bu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latch head 100.

연결부(400)는 래치 헤드(100)의 하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작동간(200)이 연결된 래치 헤드(100)의 하부 일측과 대향되는 래치 헤드(100)의 하부 일측과 제2작동간(300)의 타측 종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연결부(400)는 래치 헤드(100) 및 제2작동부의 종단에서 각각 힌지(700)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latch head 100 and preferably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latch head 100 facing the lower one side of the latch head 100 to which the first operation part 200 is connected, (Not show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400 is rotatably provided through the hinge 700 at the end of the latch head 100 and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연결부(400)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인 대기 상태에서는 제2작동간(300)과 적어도 90도 이하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래치 조립체의 사용양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400 is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of at leas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in a standby state befo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preferably has an acute angle. This is to prevent the user from operating arbitrarily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to open the do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usage of the latch assembly described later.

실린더(500)는 제1작동간(200) 및 제2작동간(300)을 감싸고, 각각의 장치들이 구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실린더(500)는 본체(510), 제1커버(520) 및 제2커버(530)로 구성된다.The cylinder 500 is a device that encloses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nd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each of the devices can be driven. The cylinder 500 includes a main body 510, a first cover 520, and a second cover 530.

본체(510)는 제1작동간(200) 및 제2작동간(300)을 감싸도록 중공인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51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체(510)의 상면에는 래치 헤드(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린더 캡(5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 캡(54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510 has a hollow tube shap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nd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The main body 510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510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cap 540 for preventing the latch head 100 from being separated. Such a cylinder cap 540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커버(520)는 본체(510)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래치 헤드(100)와 대응되는 일측 종단에 구비되어 래치 헤드(100)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1커버(520)는 연결부(4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즉, 연결부(400)가 제1커버(520) 및 래치 헤드(100)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제1커버(520)는 래치 헤드(100)의 구동에 따라 본체(5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커버(520)의 외경 또는 면적이 본체(510)의 내경 또는 내부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The first cover 5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510, preferably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latch head 100, to support the latch head 100. At this time, the first cover 52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400.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4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ver 520 and the latch head 100. The first cover 520 may have an outer diameter or an area greater than an inner diameter or an inner area of the main body 510 so that the first cover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510, And is relatively small.

제1커버(520)의 내측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탄성유닛(6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유닛(6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21)가 구비된다. 고정부재(521)는 제1커버(5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형상 부재이다.A fixing member 521 for fixing the elastic unit 6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520 so that the elastic unit 600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fixed. The fixing member 521 is a protrusion-shaped member protruding inward of the first cover 520.

또한, 제1커버(520)의 중심 일측에는 제1작동간(200) 및 제2작동간(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520 so that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and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can be penetrated.

제2커버(530)는 전체적으로 전술한 제1커버(5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커버(520)와 대칭이 되도록 본체(510)의 타측 종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제2커버(530)는 제1커버(520)와는 달리 본체(510) 내부로 삽입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510)와 대응되는 직경 또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본체(510)의 타측 종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The second cover 5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ver 520 as a whole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51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over 520. Since the second cover 530 does not need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510, the second cover 530 has a diameter o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510 and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510 Respectively.

탄성유닛(600)은 실린더(5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래치 헤드(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탄성유닛(600)은 래치 헤드(10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elastic unit 60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5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head 100. The elastic unit 60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elasticity to the latch head 100,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il spring.

탄성유닛(600)은 실린더(500), 바람직하게는 본체(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커버(520) 및 제2커버(530)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521, 531)에 의해 고정되어, 제1커버(520)를 일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래치 헤드(100)가 최초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lastic unit 600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s 521 and 531 inserted into the cylinder 500 and preferably the main body 510 and formed respectively in the first cover 520 and the second cover 530 The first cover 52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latch head 100 can be maintained in the initial standby state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래치 조립체의 사용양태Use of latch assembly

전술한 구성을 갖는 래치 조립체(10)의 사용양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use of the latch assembly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1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래치와 마찬가지로 폐쇄된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The latch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closed door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like a latch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래치 헤드(100)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실린더(5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탄성유닛(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520)를 도어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400)는 제2작동간(300)과 예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The latch head 100 remai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500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elastic unit 600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cover 520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The connec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t an acute angle.

이와 같이, 제1커버(520)가 탄성유닛(600)으로 인해 탄성지지되고, 연결부(400)와 제2작동간(300)이 예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 손잡이를 작동하지 않고 도어를 밀더라도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다. 제2작동간(300)과 연결부(400)가 예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래치 헤드(10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예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400)의 종단이 래치 헤드(100)를 외측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래치 헤드(100)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다. Since the first cover 52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elastic unit 6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00 and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re at an acute angle, the door is rotated without operating the door handle The door is not opened.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head 100 is rotated because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400 are at an acute angle, the end of the acute- The latch head 100 is not rotated. As a result, the door is not open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에 외력을 인가하면 도어록 뭉치가 작동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뭉치와 연결된 제2작동간(300)이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작동간(300)의 작동상태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a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door handle, the door lock bundle is operated and the second operation door 300 connected to the door lock bundle moves to the inside of the door, as shown in FIG. 5A.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에 외력을 인가하면 도어록 뭉치가 작동되며, 제2작동간(300)이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제2작동간(300)이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작동간(300)과 연결부(400)는 둔각을 이루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에 보다 강한 외력을 인가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동간(300)의 고정돌기(310)가 제1작동간(200)의 장홈 형상의 관통공(210)을 따라 이동한다. First,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door handle, the door lock bundle is operated and the second operation door 300 moves to the inside of the door. As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moves to the inside of the door,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400 are formed to have an obtuse angle. 5A, when the user applies a stronger external force to the door handle, the fixing protrusion 310 of the second operation gap 3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0 of the first operation gap 200 ).

이때, 제2작동간(300)의 이동거리가 연결부(400)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연결부(400)는 제2작동간(300)과 함께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연결부(400)와 연결된 방향으로 래치 헤드(1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래치 헤드(100)의 회전은 제1작동간(200)과 연결된 연결부(400)위를 기준으로 연결부(400)와 연결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400, the connection portion 400 moves to the inside of the door together with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So that the latch head 100 rotates in a direc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00.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latch head 100 is rotated in a direc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400 with reference to a connection portion 400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에 지속적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간(200)이 제2작동간(300)과 함께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2작동간(300)의 고정돌기(310)가 제1작동간(200)의 관통홈의 종단까지 이동한 후에는 고정돌기(310)를 통해 사용자의 외력이 제1작동간(200)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제1작동간(200)이 제2작동간(300)과 함께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Next, when the user continuously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door handle,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moves inward of the door together with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as shown in FIG. 5B. That is, after the fixing protrusion 310 of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300 is moved to the end of the through groove of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310 to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200 The first operation space 20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oor together with the second operation space 300. [

이와 같이, 제1작동간(200)과 제2작동간(300)이 모두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 헤드(100) 역시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실린더(500)의 내부로 삽입된다. The latch head 100 is also moved to the inside of the door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500 as both the first operation passage 200 and the second operation passage 300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door.

만약,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래치 헤드(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외력만을 가하며 도어를 밀게 되더라도, 래치 헤드(100)는 회전을 하고, 도어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문틀에 래치 헤드(100)가 눌리며 래치 헤드(100)가 실린더(5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래치 헤드(100)가 회전된 상태로 문틀과 접촉하기 때문에 래치 헤드(100)에 가해지는 충격은 감소되고,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Even if the user pushes the door of the door with only the external force to which the latch head 100 is rotatable, the latch head 100 rotates and the door is open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door, The latch head 100 is pushed and the latch head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cylinder 500. [ At this time, since the latch head 100 is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in a rotated st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latch head 100 is reduc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즉, 작은 외력만을 도어 손잡이에 인가하더라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아이 등과 같이, 도어 손잡이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That is, even if only a smal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handle,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so that even a user having difficulty in operating the door handle, such as a child, can open the door easi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래치 조립체
100 : 래치 헤드
200 : 제1작동간
210 : 장홈 형상의 관통공
300 : 제2작동간
310 : 고정돌기
320 : 걸림부
400 : 연결부
500 : 실린더
510 : 본체
520 : 제1커버
521 : 고정부재
530 : 제2커버
531 : 고정부재
540 : 실린더 캡
600 : 탄성유닛
700 : 힌지
10: latch assembly
100: latch head
200: 1st operation interval
210: through-hole in the shape of a long groove
300: between the second operation
310: Fixing projection
320:
400: Connection
500: Cylinder
510:
520: first cover
521: Fixing member
530: second cover
531: Fixing member
540: Cylinder cap
600: elastic unit
700: Hinge

Claims (10)

래치 헤드가 적어도 일방으로 회전하며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래치 조립체.Wherein the latch head is configured to be rotated and driven at least in on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래치 헤드;
상기 래치 헤드의 하부 일측에 상기 래치 헤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작동간;
상기 제1작동간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일측 종단에 도어록 뭉치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2작동간; 및
상기 제1작동간과 대향되는 상기 헤드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제2작동간의 타측 종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assembly includes:
Latch head;
A first operation interval in which the latch head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one side of the latch head;
A second operation interval which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in which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one end of the door lock bundle; And
A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ration;
≪ / RTI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간 및 상기 연결부는 대기상태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래치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actuation interv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acute in the standby st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간 및 상기 제2작동간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는 래치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간의 중심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간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작동간을 함께 구동시키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래치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A through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a center side of the first operation,
And a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drive the first operation section togeth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peratio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헤드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작동간 및 상기 제2작동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ylinder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atch head can be seated and to wrap the first actu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actuation interv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작동간 및 제2작동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 헤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커버;
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ylinder
A main body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operation interval and the second operation interval;
A first cov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atch head is seated and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cover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 / RTI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에는 탄성유닛이 더 구비되는 래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resilient uni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코일 스프링인 래치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unit is a coil spr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는 상기 탄성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래치 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provided with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elastic unit.
KR1020140001477A 2014-01-06 2014-01-06 Latch Assembly KR101563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77A KR101563624B1 (en) 2014-01-06 2014-01-06 Latch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77A KR101563624B1 (en) 2014-01-06 2014-01-06 Latch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18A true KR20150081718A (en) 2015-07-15
KR101563624B1 KR101563624B1 (en) 2015-10-27

Family

ID=5379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477A KR101563624B1 (en) 2014-01-06 2014-01-06 Latch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6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16A1 (en) * 2015-09-02 2017-03-09 최문선 Door lock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34B1 (en) * 2004-02-25 2004-07-23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Door lock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16A1 (en) * 2015-09-02 2017-03-09 최문선 Door lock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624B1 (en) 201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659B1 (en) Safty doorlock using the door handle
KR101293221B1 (en) Door lock device
KR101176797B1 (en) Door lock device and door handle therof
KR101556909B1 (en) Mortise lock opening by push and pull of handle
JP2002339646A (en) Lock device for locking traveling device guided by rail
RU2728397C2 (en) Universal assembly handle
KR20140016751A (en) Mult-type llatch bolt
KR101563624B1 (en) Latch Assembly
KR102137007B1 (en) Safe spring hinge for sudden closing prevention
KR101307136B1 (en) a handle apparatus for a sliding door
KR20100113327A (en)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KR100999403B1 (en)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KR102112685B1 (en) A spring unit for closing door automatically and apparatus for having the same
KR200487213Y1 (en) Buffer to prevent door closure
KR101570829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by Push or Pull on the Handle, and Door using thereof
JP5994054B2 (en) Sliding door lock
KR20090080755A (en) Home-b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home-bar therewith
KR101012489B1 (en) handle used for sliding door
KR20180124346A (en) Grip typ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KR101929683B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101938636B1 (en) Door-handle assembly that can be pulled out of the door
KR101496286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by push or pull on the handle, Door Handle and Door Thereof
KR20110011448A (en) Apparatus for holding door
KR20090071506A (en) Handle with locking release function for sliding door
KR101399630B1 (en) Door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