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409A -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409A
KR20150081409A KR1020140191925A KR20140191925A KR20150081409A KR 20150081409 A KR20150081409 A KR 20150081409A KR 1020140191925 A KR1020140191925 A KR 1020140191925A KR 20140191925 A KR20140191925 A KR 20140191925A KR 20150081409 A KR20150081409 A KR 2015008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ctor
users
interference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132B1 (ko
Inventor
이용환
박찬식
변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8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중 사용자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기존의 ZFBF(Zeroforcing Beamforming)과 같은 다중 신호 전송 기법은 매우 큰 연산 복잡도를 필요로 하여 실장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다중사용자 빔간의 간섭을 순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ZFBF보다 성능 열화는 크지 않으면서 대규모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중 신호 전송 기법의 실장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A method for multi-user signal transmission in massive antenn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대규모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실장 복잡도가 낮은 다중 신호 전송 기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 비디오 트래픽 사용의 빈도가 높아지는 등의 무선 통신 수요 확대로 인해 무선 데이터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기존의 전송 방식으로 처리가 쉽지 않은 빅데이터(big data)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 용량 확보를 위해서 셀 밀도, 주파수 대역 그리고 주파수 효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최근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대규모 안테나(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MIMO라 칭함) 시스템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이 M-MIMO 기술은 적은 에너지로 높은 주파수 효율을 내는 특징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인 녹색 통신(green communications) 기술 중 하나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M-MIMO 시스템은 많은 안테나의 사용으로 높은 자유도(degree of freedoms)를 갖게 되었고,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서비스하고 높은 성능 이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공간 다중화 기술들을 M-MIMO 시스템에 직접 적용하여 실장 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대표적 기존 공간 다중화 기술로 최대 비율 전송기법(Maximal ratio transmission: 이하 MRT로 칭함)과 강제 영점 빔포밍 기법(Zero-forcing Beamforming; 이하 ZFBF로 칭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MRT기법은 송신단에서 추정한 채널 벡터를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빔 형성 벡터로 발생하는 기법으로, 실장 복잡도는 낮으나 전송 빔들 사이에 간섭이 존재하게 된다. ZFBF 기법은 추정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사용자 간의 간섭을 제거한 빔 형성 벡터를 발생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기법이다. 생성된 빔 간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 추정한 채널 행렬을 의사 역변환(pseudo-inverse) 한 후 정규화하여 빔 형성 벡터로 사용하게 되는데, M-MIMO 시스템은 사용자 채널 행렬이 매우 크게 되므로 ZFBF 빔 형성 벡터 발생에 매우 큰 연산 복잡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능은 ZFBF와 비슷하나, 연산 복잡도를 감소시킨 다중 사용자 빔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용 방법으로 생성된 빔 형성 벡터로부터 간섭을 순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요구되는 성능을 줄어든 실장 복잡도로 또는 요구되는 복잡도로 더 나은 전송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M-MIMO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기존의 공간 다중화 기술로는 M-MIMO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상용하는 기존의 공간 다중화 기술인 ZFBF 기법은, 추정한 채널 행렬을 의사역변환(pseudo-inverse)하고 정규화 과정을 통해 다중 사용자 간의 간섭을 제거한 빔 형성 벡터를 생성한다. 하지만, 많은 안테나를 갖는 M-MIMO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채널 행렬을 매우 크게 하여, 매우 큰 연산 복잡도를 필요로 하므로 실제적으로 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기 빔 형성 벡터를 기초로, 초기 빔 형성 벡터로부터 유발되는 간섭을 제거하고 싶은 큰 간섭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생성한 간섭 제거 벡터를 순차적으로 더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성능에 좀 더 낮은 연산 복잡도로 혹은 원하는 복잡도에 좀 더 나은 성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규모의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Figure pat00001
명의 다중 사용자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002
명의 사용자 집합을
Figure pat00003
라 칭함), 상기 선택한
Figure pat00004
명의 사용자 채널 정보에 따라 상용의 다중빔 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005
를 이용하여 상기
Figure pat00006
명의 다중 사용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07
신호가 간섭을 주는 다른 사용자들
Figure pat00008
중에서 간섭을 제거할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09
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결정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10
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간섭 제거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011
명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12
신호가 간섭을 주는 다른 사용자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중에서 간섭을 제거할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15
을 결정하는 과정은, 요구되는 전송 성능과 허용되는 실장 복잡도를 고려하여 제거해야 할 간섭의 수
Figure pat00016
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17
의 신호가 다른 사용자
Figure pat00018
에게 유발하는 간섭크기를
Figure pat00019
이라고 할 때, 상기 간섭량
Figure pat00020
이 큰 사용자 순서로 (즉,
Figure pat00021
) 정렬하여
Figure pat00022
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23
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Figure pat00024
에 속한 사용자
Figure pat00025
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026
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27
와 사용자
Figure pat00028
의 채널을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029
에 속한 모든 사용자의 채널과 직교하는 벡터로 상기
Figure pat00030
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031
을 결정하는 과정,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32
사이의 채널 벡터가
Figure pat00033
이라 할 때, 상기 생성된
Figure pat00034
의 가중치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37
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된 사용자들의 간섭 제거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하여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사용자
Figure pat00040
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041
를 초기 빔 생성벡터
Figure pat00042
에 더하여 사용자
Figure pat00043
의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로 결정하고, 이를 정규화하여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으로 최종 생성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모든 다중 사용자의 빔 형성 벡터에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048
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49
의 신호를
Figure pat00050
라 할 때, 상기 생성된 빔 형성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들의 신호를
Figure pat00051
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기존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제안된 빔 생성 기법들의 경우, 단말로부터 빔 생성을 위해 받는 사용자들의 채널 정보를 최소화하여 빔 생성에 필요한 추가 정보는 기지국에서 유추하도록 함으로써 복잡도를 낮추는 방식들이 많았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M-MIMO 시스템은 매우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어 기존의 ZFBF 기법을 사용하는데 매우 큰 연산 복잡도를 요구하게 된다. 이 문제를 완화하여 실장 가능한 복잡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잡도가 적은 MRT같은 상용의 다중 빔 형성 기법으로 생성된 사용자 신호에서, 실장 가능한 복잡도 또는 요구되는 전송 성능 등을 고려하여 간섭 제거 개수를 결정하고, 이 개수 만큼 큰 간섭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ZFBF보다 실장 복잡도를 크게 줄이면서도 성능 열화가 크지 않는 있는 대규모 안테나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중 신호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간섭 제거 수를 가변 할 수 있으므로 실장 복잡도를 고려하여 전송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지국과 단말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빔 생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빔 생성을 위해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RT 기법 기초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낮은 복잡도의 빔 생성 기법에서 기지국(101)과 사용자(106)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pat00052
개의 전송 안테나(102)를 사용하는 기지국(101)이 서비스하는 사용자의 집합
Figure pat00053
속한
Figure pat00054
명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Figure pat00055
를 포함한
Figure pat00056
명의 사용자 집합을
Figure pat00057
라 한다. 기지국이 다중 사용자 선택기(scheduler)(103)를 통해 선택한 상기 다중 사용자를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58
로부터 간섭을 제거 받을 사용자
Figure pat00059
명을 간섭 제거 개수 결정기(104)를 통해 결정한다. 해당 간섭 제거 개수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60
명에게 간섭 제거 벡터(105)를 생성한다. 신호 생성기(106)는
Figure pat00061
명의 사용자에게 다중 전송할 심볼 신호를 형성하고, 빔 형성기(107)를 통해 전송할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62
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63
여기서
Figure pat00064
는 기지국부터 사용자
Figure pat00065
로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Figure pat00066
는 기지국부터 사용자
Figure pat00067
사이의
Figure pat00068
채널 벡터를,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는 각각 기지국이 전송하는
Figure pat00071
빔 형성 벡터와 송신 신호를, 그리고
Figure pat00072
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Figure pat00073
인 가산성 백색 가우시안 잡음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이하 AWGN라 지칭함)을, 윗첨자
Figure pat00074
는 켤레 전치 연산(Conjugate-transpose operation)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다중 빔 생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201단계는 기지국은 집합
Figure pat00075
에 속한 사용자들로부터 받은 채널 및 운용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동시에 서비스할
Figure pat00076
명의 사용자를 선택한다. 202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들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MRT 같은 상용의 다중 신호 전송 기법을 사용한 빔 형성 벡터를 생성하고, 203단계에서는 제거해야 할 간섭 신호의 수
Figure pat00077
을 결정한다. 상기 제거해야 할 간섭 신호의 수는 얼마나 많은 간섭을 제거할지를 나태나는 수로, 요구되는 성능과 허용 가능한 복잡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204단계는 제거할 간섭 신호의 수만큼의 간섭 제거 사용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078
에 사용되는 빔 형성 벡터가
Figure pat00079
인 경우, 사용자
Figure pat00080
가 다른 사용자
Figure pat00081
에게 미치는 간섭량
Figure pat00082
은 하기 <수학식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83
이 경우, 사용자
Figure pat00084
가 동시에 서비스되는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총 간섭량은 하기 <수학식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85
사용자
Figure pat00086
가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일 예로, <수학식 2>로 계산된 사용자
Figure pat00087
가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 크기 순으로 간섭을 제거 할 수 있다. 이 경우, 간섭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고, 이들 사용자 지수를
Figure pat00088
라 하면,
Figure pat00089
인 경우,
Figure pat00090
이다. 사용자
Figure pat00091
가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이 큰 사용자 순으로 정렬한
Figure pat00092
명의 사용자 집합을
Figure pat00093
이라고 하면,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94
사용자
Figure pat00095
를 기반으로 간섭 제거 벡터를 연산하기 위해, 사용자
Figure pat00096
를 포함하여 정렬한 집합을
Figure pat00097
이라 하면 하기 <수학식5>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98
205단계는 사용자
Figure pat00099
로부터 상기 결정된 집합
Figure pat00100
에 속하는 사용자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 하기 위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101
의 사용자
Figure pat00102
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는 사용자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를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105
내 사용자의 빔형성 방향과 모두 직교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MRT 빔형성을 고려했을 경우, 집합
Figure pat00106
내 사용자의 채널과 모두 직교하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간섭 제거 벡터가 초기 빔 형성 벡터와 더해지면 사용자
Figure pat00107
의 신호는 집합
Figure pat00108
에 속한 사용자 신호와 직교하게 된다. 206단계에서는 초기 발생한 빔 형성 벡터에 상기 간섭 제거 벡터를 더하고 크기를 정규화를 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빔 형성 벡터를 생성한다. 특이한 예로,
Figure pat00109
인 경우에는 상용의 ZFBF 성능과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3과 도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낮은 복잡도 빔 생성 기술을 위해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과 그 예이다. 301단계에서는 사용자
Figure pat00110
의 초기 빔 형성 벡터를 설정하는 단계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지 않는다면 최종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111
는 초기 설정한
Figure pat00112
와 같게 된다. 초기 설정 빔 형성 벡터는 하기 <수학식6>으로 나타낸다.
Figure pat00113
302단계에서는 다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할 간섭 신호 수 만큼 간섭을 제거하는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
Figure pat00114
의 간섭 제거 집합
Figure pat00115
에 속한 사용자
Figure pat00116
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Figure pat00117
라 하자. 상기
Figure pat00118
는 사용자
Figure pat00119
의 채널과 사용자
Figure pat00120
의 채널을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121
내 사용자들의 채널과 직교하는 벡터로서, 일 예로 다중 사용자 3명인 경우, 사용자 1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구하는 과정을 도 4에보인다. MRT 기법으로 발생된 정규화 채널 벡터
Figure pat00122
를 초기 빔 형성 벡터로 사용하는 경우, 세 명의 다중 사용자 중 사용자 1의 사용자 2와 3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를 발생하는 과정을 보인다. 이 때, 사용자 1에 대해 간섭 제거 수
Figure pat00125
을 2로 결정하면 사용자 1을 포함한 간섭 제거 사용자 집합은
Figure pat00126
가 된다. 사용자 2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27
는 사용자 1의 사용자 2에 대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 1과 2의 채널벡터를 제외한 다른 채널벡터와는 직교하도록 만들어지고,
Figure pat00128
도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3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1과 3의 채널벡터를 제외한 다른 채널벡터와는 직교하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과정에 따라 생성된 간섭 제거 벡터는 하기 <수학식 7>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상기 예와 같이, 사용자
Figure pat00133
에 미치는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 벡터
Figure pat00134
는 벡터
Figure pat00135
와 동일하다고 설정하고, 즉
Figure pat00136
로 하고, 사용자
Figure pat00137
과 사용자
Figure pat00138
를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139
에 속한 다른 사용자의 채널들과 직교하도록 반복적으로 연산을 한다. 사용자
Figure pat00140
의 간섭 제거 벡터의 연산에 사용되는
Figure pat00141
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142
여기서, 벡터
Figure pat00143
는 초기 설정된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144
는 사용자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를 제외한 사용자 채널 벡터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Figure pat00147
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48
는 사용자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를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151
의 정렬된 사용자와 직교하는 간섭 제거 벡터를 하기 <수학식 9> 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Figure pat00152
303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간섭 제거 벡터의 가중치를 생성한다. 간섭 제거 벡터의 가중치
Figure pat00153
는 사용자
Figure pat00154
가 사용자
Figure pat00155
에 미치는 간섭량을 생성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10>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156
일례로 도 4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57
Figure pat00158
의 가중치는 하기 <수학식 11>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304단계에서는 생성한 간섭 제거 벡터의 수가 기지국에서 상기 결정된 간섭 제거 수
Figure pat00161
과 같아질 때까지 302단계와 303단계를 반복한다. 일 예로, 도 4인 경우, 간섭 제거 수
Figure pat00162
가 2로 설정되어, 사용자 1이 미치는 모든 간섭을 제거하는 벡터를 발생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1에 대해 사용자 2와 사용자3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을 모두 생성하게 된다. 만약, 간섭 제거 수
Figure pat00165
이 1로 설정되고, 간섭에 따라 정렬된 사용자 1의 집합
Figure pat00166
Figure pat00167
로 되어있다면, 사용자 1에 대해 간섭량이 큰 사용자 2에 대한 간섭만 제거 할 수 있다. 상위 단계에서 사용자 1이 가장 간섭을 받는 사용자의 간섭만 제거해도, 적은 연산량으로 간섭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305 단계에서는, 초기 설정한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168
와 이전 단계에서의 가중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169
를 더한 벡터
Figure pat00170
를 정규화를 함으로써 최종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171
를 하기 <수학식 12>으로 생성한다.
Figure pat00172
상기 제안된 간섭 제거 기법의 복잡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Figure pat00173
는 벡터를 정규화하는데 필요한 복잡도,
Figure pat00174
는 기하학적으로 직교하는 연산을 위해 필요한 복잡도,
Figure pat00175
는 간섭 제거 벡터의 가중치를 위해서 필요한 복잡도라고 정의하면 각각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176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빔 형성 벡터를 생성할 때, 초기 설정한 빔 생성 기법을 MRT라고하면
Figure pat00177
필요한 최종 연산 복잡도는 하기 <수학식 14>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178
만약 최종적으로 305단계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빔 형성 벡터가 주는 간섭을 모두 제거하는 벡터를 생성했다면, 선택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 빔 형성 벡터를 생성 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사용자 수가 채널 행렬의 Rank와 같거나 MRT 기법을 초기 빔 형성 벡터로 할 경우에는, 추정 채널 행렬의 의사 역행렬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상용의 ZFBF 기법과 같은 성능을 갖는다.

Claims (4)

  1. 대규모의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Figure pat00179
    명의 다중 사용자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180
    명의 사용자 집합을
    Figure pat00181
    라 칭함), 상기 선택한
    Figure pat00182
    명의 사용자 채널 정보에 따라 상용의 다중빔 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183
    를 이용하여 상기
    Figure pat00184
    명의 다중 사용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185
    신호가 간섭을 주는 다른 사용자들
    Figure pat00186
    중에서 간섭을 제거할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87
    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결정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88
    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간섭 제거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189
    명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190
    신호가 간섭을 주는 다른 사용자들
    Figure pat00191
    중에서 간섭을 제거할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92
    을 결정하는 과정은,
    요구되는 전송 성능과 허용되는 실장 복잡도를 고려하여 제거해야 할 간섭의 수
    Figure pat00193
    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194
    의 신호가 다른 사용자
    Figure pat00195
    에게 유발하는 간섭크기를
    Figure pat00196
    이라고 할 때, 상기 간섭량
    Figure pat00197
    이 큰 사용자 순서로 (즉,
    Figure pat00198
    ) 정렬하여
    Figure pat00199
    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200
    에 속한 사용자들에 대한 간섭 제거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Figure pat00201
    에 속한 사용자
    Figure pat00202
    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203
    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204
    와 사용자
    Figure pat00205
    의 채널을 제외한 집합
    Figure pat00206
    에 속한 모든 사용자의 채널과 직교하는 벡터로 상기
    Figure pat00207
    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208
    을 결정하는 과정,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209
    사이의 채널 벡터가
    Figure pat00210
    이라 할 때, 상기 생성된
    Figure pat00211
    의 가중치
    Figure pat00212
    Figure pat00213
    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214
    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들의 간섭 제거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하여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사용자
    Figure pat00217
    의 간섭 제거 벡터
    Figure pat00218
    를 초기 빔 생성벡터
    Figure pat00219
    에 더하여 사용자
    Figure pat00220
    의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221
    Figure pat00222
    로 결정하고, 이를 정규화하여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223
    Figure pat00224
    으로 최종 생성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모든 다중 사용자의 빔 형성 벡터에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빔 형성 벡터
    Figure pat00225
    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Figure pat00226
    의 신호를
    Figure pat00227
    라 할 때, 상기 생성된 빔 형성 벡터를 이용
    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들의 신호를
    Figure pat00228
    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 신호 전송 방법.
KR1020140191925A 2014-01-03 2014-12-29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KR101679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799 2014-01-03
KR1020140000799 2014-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409A true KR20150081409A (ko) 2015-07-14
KR101679132B1 KR101679132B1 (ko) 2016-11-24

Family

ID=5379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925A KR101679132B1 (ko) 2014-01-03 2014-12-29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5092A1 (en) * 2018-02-09 2019-08-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beamforming transceiv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14B1 (ko) 2018-08-23 2020-04-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빔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빔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8844B2 (en) 2008-12-31 2011-11-29 Intel Corporation Arrangements for beam refinement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5092A1 (en) * 2018-02-09 2019-08-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beamforming trans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132B1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935B1 (ko) 대규모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0821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ub-space selection
US1086858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imy et al.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in a downlink multiuser beamforming system
KR101507088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빔 성형 및 공간분할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EP3035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mon signal in hybrid beamforming
US8724653B2 (e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d eNodeB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Patil et al. Hybrid compression and message-sharing strategy for the downlink cloud radio-access network
KR102306100B1 (ko) Mu­mimo 간섭 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간섭정렬 송수신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EP2396904A2 (en) Uplink precoding method in 2 -tx system
WO2015112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arly termination in iterative null-space direc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for mimo
US1103857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patial pre-processing of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30703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JP2008236066A (ja) 空間多重伝送用送信方法および装置
KR101679132B1 (ko)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신호 전송 방법
KR20170019932A (ko) 유전체 렌즈 안테나를 이용하는 자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223168B (zh) 基于阵列天线和mimo联合传输波束成形方法
CN106452536B (zh) 用于多输入多输出通信的长期反馈的方法和装置
CN102195697B (zh) 多输入多输出波束赋形系统及其数据发送方法
KR20160080847A (ko) 다중 사용자 동시 전송을 위한 다중 편파 전송 시스템 및 방법
Mussbah et al. Computationally efficient limited feedback for codebook-based FD-MIMO precoding
Tang et al. Downlink path-based precoding in FDD massive MIMO systems without CSI feedback
KR101323378B1 (ko) 다중 셀 다중입출력 다운링크 네트워크에서의 수신자 선택을 위해 전송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및 다중 셀 다중입출력 다운링크 네트워크에서의 수신자 선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316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787666B (zh) 一种频域调度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