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18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182A
KR20150081182A KR1020140000896A KR20140000896A KR20150081182A KR 20150081182 A KR20150081182 A KR 20150081182A KR 1020140000896 A KR1020140000896 A KR 1020140000896A KR 20140000896 A KR20140000896 A KR 20140000896A KR 20150081182 A KR20150081182 A KR 2015008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mage
backlight
ligh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703B1 (ko
Inventor
세르게이 세스닥
김대식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03B1/ko
Priority to US14/330,164 priority patent/US9411093B2/en
Priority to CN201410461345.7A priority patent/CN104767989B/zh
Publication of KR2015008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09F7/10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and slideably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directional light or back-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2005/0075Headers for show stands, shelves, racks or c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과형 영상 패널부 및, 영상 패널부의 양 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서 영상 패널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투과형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다시점 영상을 시청 영역 별로 상이하게 분산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 DISPLAY APPARATUS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란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감당할 수 없는 다양한 응용분야가 개척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노력 하에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점의 쇼윈도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가 지나가면 광고 문구를 쇼윈도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가정 내에서 베란다 창문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경우, 사용자는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이즈가 큰 베란다 창문을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투명 3D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전면 및 후면에서 시청가능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또한, 시청자 위치의 자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헤드 트랙킹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러한 두 가지 문제는 디지털 신호 디스플레이로서의 한계를 제공한다. 패럴렉스 배리어가 시청자의 자율성을 제공하는 멀티뷰 3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패럴렉스 배리어의 광 투과성은 매우 낮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낮은 투과도를 갖게 된다. 렌티큘러 렌즈가 패럴렉스 배리어 대신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렌티큘러 렌즈가 이용되는 경우 이미지 패널의 광 투과도 만큼 높일 수 있지만 렌티큘러 렌즈의 굴절값은 투과하여 보일만큼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뒤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명확한 이미지를 볼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후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과형 영상 패널부 및, 상기 영상 패널부의 양 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서 상기 영상 패널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투과형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상기 다시점 영상을 시청 영역 별로 상이하게 분산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상기 영상 패널부를 향해 광을 방출하도록 일 면 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복수의 광 방출 포인트 또는 광 방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투명 OLED 광 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광을 외부로 연결하는 에지형 광 가이드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인광 물질로 구성된 포인트 또는 라인을 갖는 블루-바이올렛 조명으로 구성된 에지형 광 가이드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패널부는, LCD 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CD 패널은 FSC(field sequential color) LCD 이미지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패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 중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PDLC 패널부는, 투명 상태 및 확산 상태 간에 스위칭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고, 디지털 신호 체계, 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에 이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LFD(Large Format Display),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양 방향으로 광이 투과됨에 따라 화면의 정면으로 영상을 출력하면서도, 화면의 후면으로도 영상을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 1 사용자(10)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사용자(20),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패널로는 LCD 패널이 이용되고, 두 개의 백라이트 패널이 LCD 패널의 전면 및 후면 상에 배치되어 양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LCD 패널 및 백라이트 패널은 제1 및 제2 사용자(10, 20)에게 3D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렌더링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3D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3D 영상은 스테레오 영상이 될 수 있다. 스테레오 영상이란 하나의 피사체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두 개의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레오 영상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입력부(110)는 방송국 채널과 같은 소스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입력부(110)는 튜너부, 복조부, 등화부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입력부(110)는 DVD,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각종 기록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 매체 재생 유닛으로부터 재생된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스테레오 영상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입력부(110)는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입력부(110)는 웹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3D 영상은 2D-3D 변환 기법에 따라 2D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거나, 3시점 이상의 다시점 영상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렌더링부(120)는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3D 영상(또는 멀티 뷰 영상), 또는 2D 영상을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더링부(120)는 입력된 3D 영상 또는 2D 영상 및, 영상과 별개로 입력된 뎁스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하거나, 입력된 3D 영상 및 해당 3D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뎁스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일 예로, 렌더링부(120)는 3D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를 기준 뷰(또는 센터 뷰)로 선택하여 다시점 영상의 기초가 되는 최좌측 뷰 및 최우측 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렌더링부(120)는 기준 뷰로 선택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에 대응되는 보정된 뎁스 정보를 기초로 최좌측 뷰 및 최우측 뷰를 생성하고, 센터 뷰와 최좌측 뷰 사이에서 복수개의 보간 뷰를 생성하고, 센터 뷰와 최우측 뷰 사이에서 복수 개의 보간 뷰를 생성함으로써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외 기법에 의해 생성되는 보외 뷰(Extrapolation View)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D 영상 및 뎁스 정보를 기초로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하는 경우 2D 영상을 센터 뷰로 선택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렌더링부(120)에서 렌더링된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패널부(131) 및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를 포함한다.
영상 패널부(131)는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투과형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영상 패널부(131)는 복수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서브 픽셀은 R(Red), G(Green), B(Blue)로 구성될 수 있다. 즉, R, G, B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픽셀이 복수의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패널부(131)는 투명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LCD 형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고, 한 쌍의 편광판, 광학 필름,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투명 LCD 장치에서는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등에 의해 투과도가 떨어지고, 백라이트 유닛 대신 주변 광을 이용하게 되므로 광 효율이 떨어지지만, 대면적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OLED형이란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를 이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유기 발광층이 투명하기 때문에, 양쪽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OLED는 유기 발광층 양쪽에서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여 이들이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되면서 빛을 내게 된다. 투명 OLED 장치는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영상 패널부(131)는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패널부(110)는 서로 다른 시점의 복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픽셀 값에 따라 영상 패널부(131)의 픽셀들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에서 발생한 광이 영상 패널부(131)의 각 픽셀로 입사되면, 영상 패널부(131)는 영상 신호에 따라 각 픽셀로 입사된 광에 대한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패널부(131)는 액정층 및 그 액정층의 양 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두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장이 생성되어 두 전극 사이의 액정 층의 분자를 움직여서 광의 투과율이 조정된다.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영상 패널부(131)의 양 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서 영상 패널부(131)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투과형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영상 패널부(131)에 디스플레이된 다시점 영상을 시청 영역 별로 상이하게 분산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균일하게 분산된 수직 또는 경사진 광 스트라이프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영상 패널부(131)의 픽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위치되는 얇은 발광 라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형태의 광 소스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를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높은 광 투과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10)의 좌안 및 우안으로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스테레오스코픽 3D 이미지(31)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편에 위치된 실제 오브젝트, 예를 들어 또 다른 사용자(20)를 볼 수 있게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20)은 스테레오스코픽 3D 이미지(3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편에 위치된 실제 오브젝트, 예를 들어 또 다른 사용자(10)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패널부(131) 및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 중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패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DLC는 액정과 그 액정을 잡아주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마이크로 단위의 액정을 전기를 이용해 빛 투과와 산란을 형성함으로써 광을 조절할 수 있다. PDLC는 빛의 투과와 산란을 전기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기초로, PDLC 패널부(미도시)는 투명 상태 및 확산 상태 간에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3D 모드 및 2D 모드 간 스위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PDLC 패널부(미도시)가 투명 상태인 경우, 3D 모드를 동작하고, 확산 상태인 경우 2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백라이트 패널부(132)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하며, 제2 백라이트 패널부(133)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패널부(132)는 유기 인광체층(411), 공통 전극(412) 및 그리드 전극(41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패널부(132)는 대응되는 전극 구조를 갖는 투명 OLED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기 인광체층(411)은 공통 전극(412) 및 그리드 전극(4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412)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체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전극(413)은 불투명 또는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공통 전극(412) 및 그리드 전극(413)은 도 4에 생략 도시된 투명 글래스 기판 상에 증착될 수 있다.
그리드 전극(413)이 불투명한 경우, 백라이트 패널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고, 이는 도 2에서 영상 패널부(131)가 위치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413)을 갖는 백라이트 패널부(132)은 광 방출 라인(또는 광 방출 포인트)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리드의 피치는 광 라인에 대해 요구되는 피치와 동일하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투과하여 보는 경우, 불투명한 그리드 전극(413)은 디스플레이의 평균적인 광 투과도를 감소시킨다. 하지만, 멀티뷰 디스플레이에서 전극은 그들 사이의 갭보다 훨씬 얇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광 감소율은 크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9 시점 뷰를 갖는 멀티뷰 3D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그리드 전극(413)은 광의 11% 정도 만큼 만 막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투과도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백라이트 패널부(132) 즉, OLED 패널은 평면 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투과하여 볼 수 있는 오브젝트는 왜곡 없이 명확히 보여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게 배열된 홈을 갖는 사이드 조명을 갖는 투명 광 가이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판(511)은 LED 어레이(512)에 의해 조명된다. 여기서, 광 선은 도 5b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가이드 내부를 이동한다. 광 가이드는 광선을 밖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홈(513)을 포함한다.
한편, 홈의 단면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514) 뿐 아니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 형태(515),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 형태 (516)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홈 대신에 도 5e, 5f,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골(rib)(517 내지 519)이 광을 외부로 연결하는 요소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홈 또는 골의 피치는 발광 라인의 기설정된 피치와 동일해야 한다. 백라이트 패널부(132, 133)는 동일한 디자인 및 발광 라인 피치를 가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 및/또는 피치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패널부(131) 즉, LCD 패널은 투명 디스플레이로서 이용되도록 구현된 종래의 LCD 패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LCD 패널의 전후면에 배치되는 편광자(polarizer)는 높은 투과율 및 광이 나는 표면을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CD 패널은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을 채용하는 LC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필드 시퀀셜 컬러(FIELD SEQUENTIAL COLOR ; 이하 'FSC'라 함) 구동방식은 컬러를 표시함에 있어,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컬러 시퀀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LED 어레이(512)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RGBW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LED 어레이(512)가 R, G, B의 LED로 구현되는 경우,R, G, B의 LED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사람의 눈에 의한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혼합된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패널 상의 일 프레임 표시시간을 적, 녹, 청의 3개의 시간으로 나누고, 시간상의 간격을 두면서 순차적으로 각각의 백라이트를 비추게 된다. 이러한 FSC 구동 방식에 따르면, 액정패널에 RGB에 대한 데이터 입력이 한 수직 동기 주기 내에서 같은 비율(R:G:B=1:1:1)로 한번씩 순차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대응되는 백라이트의 광원 또한 같은 방법으로 동기되어 R 광원, G 광원, B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이때, 각 광원은 LED 램프 또는 형광램프이고, 각각의 R, G, B 광원은 순차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백라이트부(132, 133) 즉, 투명 백라이트는, 블루(Blue)-바이올렛(Violet) LED 어레이(512)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루(Blue)-바이올렛(Violet) LED 어레이(512)에 의해 조명되는 에지를 갖는 평면 표면 상에 균등하게 증착된, 화이트 인광체 라인을 갖는 광학적 투명 재료로 만들어진 광 가이드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에서 발광 라인은 광 가이드 내에서 이동하는 블루-바이올렛 광에 의해 출사되는 발광 인광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및 수평 해상도 간의 해상도 감소를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발광 라인은 기설정된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선명한 3D 영상을 제공하면서 높은 투명도를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31: 영상 패널부 132: 제1 백라이트부
133: 제2 백라이트부

Claims (9)

  1.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과형 영상 패널부; 및
    상기 영상 패널부의 양 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서 상기 영상 패널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투과형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상기 다시점 영상을 시청 영역 별로 상이하게 분산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상기 영상 패널부를 향해 광을 방출하도록 일 면 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복수의 광 방출 포인트 또는 광 방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투명 OLED 광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광을 외부로 연결하는 에지형 광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는,
    인광 물질로 구성된 포인트 또는 라인을 갖는 블루(Blue)-바이올렛(Violet) 조명으로 구성된 에지형 광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패널부는,
    LCD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CD 패널은 FSC(field sequential color) LCD 이미지 패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패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백라이트 패널부 중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PDLC(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PDLC 패널부는, 투명 상태 및 확산 상태 간에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00896A 2014-01-03 2014-01-0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96A KR102155703B1 (ko) 2014-01-03 2014-01-03 디스플레이 장치
US14/330,164 US9411093B2 (en) 2014-01-03 2014-07-14 Display apparatus
CN201410461345.7A CN104767989B (zh) 2014-01-03 2014-09-11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96A KR102155703B1 (ko) 2014-01-03 2014-01-0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182A true KR20150081182A (ko) 2015-07-13
KR102155703B1 KR102155703B1 (ko) 2020-09-14

Family

ID=5349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896A KR102155703B1 (ko) 2014-01-03 2014-01-0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1093B2 (ko)
KR (1) KR102155703B1 (ko)
CN (1) CN1047679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658A1 (en) * 2020-01-22 2021-07-29 Leia Inc. Multiview backlight,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with curved reflective multibeam ele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8056B2 (en) * 2018-02-26 2020-06-09 Google Llc Augmented reality light field head-mounted displays
CN108962027A (zh) * 2018-07-08 2018-12-07 王子韩 一种基于透明柔性显示的双屏户外广告装置
CA3125202A1 (en) 2019-01-25 2020-07-30 Leia Inc. Multi-directional backlight, multi-user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CN110673367B (zh) * 2019-09-05 2021-04-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透明显示器及增强实物显示效果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709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7525706A (ja) * 2004-02-09 2007-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フルカラーoledバックライトを有する半透過型ディスプレイ
JP2012105230A (ja) * 2010-11-15 2012-05-3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161B2 (ja) 1997-10-31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446548B2 (en) * 2006-05-19 2013-05-21 Nlt Technologies, Ltd.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and transparent/scattering state switching element
KR20100036462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8189129B2 (en) * 2008-11-07 2012-05-29 Dimension Technologies, Inc. Backlighting system for a 2D/3D autostereoscopic multiview display
KR101652471B1 (ko) * 2009-06-16 201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9088791B2 (en) 2009-11-17 2015-07-21 Eidgeno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rich Transparent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1937143A (zh) * 2010-07-13 2011-01-05 海尔集团公司 双面触摸液晶显示装置
US20120105428A1 (en) 2010-10-28 2012-05-03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configuration modes
KR101811590B1 (ko) 2011-03-13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8530B1 (ko) * 2011-05-25 2017-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JP5732348B2 (ja) 2011-08-12 2015-06-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877053B1 (ko) 2011-10-04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TW201326908A (zh) * 2011-12-19 2013-07-01 Ind Tech Res Inst 裸眼式立體顯示器
TWI467539B (zh) * 2012-07-20 2015-01-01 Au Optronics Corp 影像顯示的控制方法以及顯示系統
JP6098064B2 (ja) * 2012-08-08 2017-03-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202711607U (zh) * 2012-08-25 2013-01-30 王瑞烺 多功能双面显示装置
CN103197465A (zh) * 2013-03-29 2013-07-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706A (ja) * 2004-02-09 2007-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フルカラーoledバックライトを有する半透過型ディスプレイ
KR20070066709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12105230A (ja) * 2010-11-15 2012-05-3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658A1 (en) * 2020-01-22 2021-07-29 Leia Inc. Multiview backlight,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with curved reflective multibeam elements
WO2021151009A1 (en) * 2020-01-22 2021-07-29 Leia Inc. Reflective microprism scattering element-based backlight,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providing light exclusion z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7989B (zh) 2018-11-13
US20150192827A1 (en) 2015-07-09
US9411093B2 (en) 2016-08-09
CN104767989A (zh) 2015-07-08
KR102155703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470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274556B2 (en) Backlight unit and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backlight unit
US7903183B2 (en) Display including backlight operable in 2D and 3D modes
TWI414846B (zh)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CN102279469B (zh) 视差系统、面板、装置、显示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50138457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21557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9386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2905147A1 (en) Transparent autostereoscopic display
MX2013010174A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de imagenes de multiples puntos de vision.
KR2010013500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7163709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US20150349031A1 (en) 3-D Displaying Panel Having Depth-Of-Field Effect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499041B2 (en) Display device
US887298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mages
US20050041162A1 (en) Display apparatus switchable between a two-dimensional display and a three-dimensoinal display
KR102134595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10025020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80020210A1 (en) Transparent led display device
US20140160378A1 (en) Display apparatus
KR10213974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178376B2 (en) Hybrid transparent auto stereoscopic display
CN109358432B (zh) 液晶显示装置
KR10175954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7438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