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114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114A
KR20150081114A KR1020140000768A KR20140000768A KR20150081114A KR 20150081114 A KR20150081114 A KR 20150081114A KR 1020140000768 A KR1020140000768 A KR 1020140000768A KR 20140000768 A KR20140000768 A KR 20140000768A KR 20150081114 A KR20150081114 A KR 2015008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uction
main body
motor
su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길식
장시호
전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114A/en
Publication of KR2015008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1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Disclosed is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which can increase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a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may comprise: a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low path arranged inside the body to connect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suction motor arranged on the flow path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generator installed on the flow path to generate electric energy capable of being transmitted to an electricity supply unit by using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suction motor.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enhancing energy efficiency.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air containing dirt on a surface to be cleaned, separates and collects dirt from the air,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Such a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canister typ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nozz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pipe, and an up-right type in which the suction nozzle and the main body are provided in one.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진공청소기에 별도의 전원에 연결하거나, 본체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한다.Generally, to supply power to a vacuum cleaner, connect the vacuum cleaner to a separate power source, or install a battery inside the vacuum cleaner.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전력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낭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진공청소기에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is often wasted although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Even if a device for producing additional electric power is provided by us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체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us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본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전력공급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installing an additional power source utilizing an internal space of a main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자체적인 전력공급원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ower source itself.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low path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nd a flow path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such that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power generator installed on the flow path to generate electric energy that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uction moto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by the suction motor.

상기 전기공급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및 알림장치(Alarm)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ity suppl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n alarm.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저장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 및 상기 흡입모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를 상기 먼지통이 수용되는 먼지통안착공간 및 상기 흡입모터가 수용되는 흡입모터안착공간으로 구획하는 프레임(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nd the suction motor provided on the flow path to stor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frame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a dust receptacle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dust container and a suction motor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suction motor.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먼지통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발전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모터로 전달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the frame may have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passes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motor.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먼지통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blade rotating by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blade to rotate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to electric energ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모터안착공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배기필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suction motor seat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flow path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배기필터유닛은 케이스 및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배기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배기필터와 함께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unit may include a case and an exhaust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and the power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together with the exhaust filter.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blade rotating by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blade to rotate kine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into electric energy.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기공급부로 전달하도록 전선(WIRE)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WIRE)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transmit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or to the electric supply unit.

상기 발전기는 AC모터(Alternating Current Motor), DC모터(Direct Current Motor) 및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or may include an AC motor (Alternating Current Motor), a DC motor (Direct Current Motor), and a BLDC mot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흡입모터, 상기 흡입모터가 수용되는 흡입모터안착공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배기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배기필터유닛 내부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low path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nd a flow path provided in the main flow path such that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uction motor; an exhaust filter unit provided in the suction motor seating space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facing the discharge port; and an electric energy And a power generation device provided inside the exhaust filter unit to generate the exhaust gas.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발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하여 진공청소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a power generation device inside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it is possible to produce electric energy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electricity supply part by using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발전장치를 프레임 또는 배기필터유닛에 설치함으로써 본체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the power generation device in the frame or the exhaust filter unit,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can be improved.

발전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진공청소기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진공청소기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front end", "rear end", "upper", "lower", "upper" and "lower end" Is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본체(10) 및 본체(10)에 결합되는 손잡이(13)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vacuum cleaner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and a handle 13 coupled to the main body 10.

본체(10)는 진공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의 선단에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후단에는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의 위치 및 형상은 진공청소기(1)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1. A suction port 1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discharge port 1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1.

본체(10)에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편의성 내지 운반용이성을 위해 손잡이(13)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3 for ease of use or ease of transport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The handle 13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it.

본체(10)의 하단에는 손잡이(13)를 파지한 사용자의 끌거나 미는 힘에 의해 진공청소기(1)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6)가 마련될 수 있다.A wheel 1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vacuum cleaner 1 can smoothly move by a dragging or pushing force of a user holding the handle 13. [

본체(10) 내부에는 물통(17)이 마련될 수 있다. 물통(17)에 채워진 물은 펌프(18)에 의해 가압되어 연수생성유닛(70)과 히터(90)를 통과하여 가열되어 스팀으로 상 변화한다. 스팀은 스팀배출구(19)로 배출되어 피 청소면의 오염물질을 청소한다.A water container 17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bottle 17 is pressurized by the pump 18, passes through the soft water generating unit 70 and the heater 90, is heated, and is phase-changed into steam.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steam outlet (19) to clean th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진공청소기(1)는 유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20.

유로(20)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연결하도록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path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connect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는 유로(20)를 따라 이동하여 토출구(1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유로(20)의 입구인 흡입구(11)는 피 청소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10) 전면부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 moves along the flow path 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 The inlet 11, which is an inlet of the flow path 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easily suck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진공청소기(1)는 먼지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dust bin 30.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은 먼지통(30)을 통과한다. 먼지통(30)에는 먼지통필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물질은 먼지통필터(31)에 의해 공기로부터 제거되고, 먼지통(30)에 저장된다. 먼지통(30)에는 먼지통(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먼지통커버(32)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지통커버(32)를 개방하여 먼지통(30)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sucked in with the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1 passes through the dust container 30. A dirt receptacle filter 31 may be provided in the dust receptacle 30.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air by the dust box filter 31 and stored in the dust box 30. [ The dust container cover 32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3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ust container 30. The user can open the dust container cover 32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30. [

진공청소기(1)는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로(20) 상에 설치되는 흡입모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40 installed on the flow path 20 so that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 [

흡입모터(40)는 외부전원(미도시)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흡입모터(40)가 작동하면 흡입구(11)에서 토출구(12) 방향으로 공기의 기압차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강력한 공기의 유동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피 청소면에 있는 이물질이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The suction motor 40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When the suction motor 40 is operated, a pressure difference of air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from the suction port 11 to the discharge port 12, and accordingly, a strong air flow is generated.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by the flow of air.

진공청소기(1)는 프레임(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rame 50.

프레임(50)은 먼지통(30) 및 흡입모터(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로(20)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50)은 본체(10) 내부를 먼지통(30)이 수용되는 먼지통안착공간(14) 및 흡입모터(40)가 수용되는 흡입모터안착공간(15)으로 구획할 수 있다.The frame 50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30 and the suction motor 40. [ The frame 50 can be divided into a dust receptacle seating space 14 in which the dust receptacle 30 is received and a suction motor seating space 15 in which the suction motor 40 is accommodated.

진공청소기(1)는 배기필터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ilter unit 80.

배기필터유닛(80)은 흡입모터안착공간(15)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unit 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ction motor seat space 15. [

또한, 배기필터유닛(80)은 프레임(50) 및 토출구(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로(20)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unit 80 may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50 and the discharge port 12. [

배기필터유닛(80)은 케이스(82) 및 배기필터(81)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unit 80 may include a case 82 and an exhaust filter 81.

케이스(82)는 배기필터유닛(80)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case 82 forms the appearance of the exhaust filter unit 80.

배기필터(81)는 흡입모터(40)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케이스(8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81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82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40.

먼지통필터(31)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20)를 따라 흡입모터(40)를 거쳐 배기필터유닛(80)으로 전달된다. 배기필터유닛(80)을 통과함으로써, 먼지통필터(31)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이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배기필터유닛(80)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dust box filter 31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filter unit 80 through the suction motor 40 along the flow path 20. By passing through the exhaust filter unit 80, foreign matter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the dust box filter 31 is removed from the air.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exhaust filter unit (8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of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발전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power generation device 60.

발전장치(60)는 흡입모터(40)에 의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유로(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20 to generate electric energy that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ctric supply unit by us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by the suction motor 40. [

흡입모터(40)는 피 청소면에 있는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2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먼지통필터(31) 등과 같은 저항체와 충돌하여 감속된다. 그러나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토출될 때까지도 상당한 운동에너지를 보유한다. 발전장치(60)는 이와 같은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발전장치(60)는 이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킨다. 즉, 발전장치(60)가 없는 경우에는 유로(20)를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이물질이 배기필터유닛(80)을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발전장치(60)는 유동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 중 일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므로, 발전장치(60)를 통과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배기필터유닛(8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줄여 배기필터유닛(80)을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로(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므로 토출구(12)가 아닌 유로(20) 내부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출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The suction motor 40 generates a strong suction force to suck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 collides with a resistor such as the dust receptacle filter 31 and decelerates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flow path 20. [ However, the air retains considerable kinetic energy until it is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can generate additional electric power by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air. Further,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reduces the discharge of foreign matter. That is, in the absence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since the velocity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flow path 20 is fast, the foreign matter passes through the exhaust filter unit 80 as it i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converts some of the kinetic energy of the flowing air into electric energy, thereby reducing the kinetic energy of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filter unit 80 and to reduc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filter unit 8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lso, since the kinetic energy of the air moving along the flow path 20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air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ap in the flow path 20, not the discharge port 12. [

발전장치(60)는 프레임(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ame 50. [

프레임(50)에는 먼지통(30)을 통과한 공기가 발전장치(60)를 거쳐 흡입모터(40)로 전달되도록 연통홀(51)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51 may be formed in the frame 50 such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ntainer 30 is transferred to the suction motor 40 through the power generator 60. [

연통홀(51)은 유로(20)에 설치되고, 연통홀(51)을 제외한 프레임(50)의 다른 부분은 차폐함으로써 유로(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실 내지 손실을 방지한다.The communication hole 51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20 and shields other portions of the frame 50 excluding the communication hole 51 to prevent loss or loss of air moving along the flow path 20.

발전장치(60)는 날개(61) 및 발전기(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include a wing 61 and a generator 62.

날개(61)는 먼지통(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한다.The wings (61) rotate by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30).

발전기(62)는 날개(6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날개(61)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generator 62 can be connected to the wing 61 and rotated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ing 61 into electrical energy.

발전기(62)는 AC모터(Alternating Current Motor), DC모터(Direct Current Motor) 및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or 62 may include an AC motor (Alternating Current Motor), a DC motor (Direct Current Motor), and a BLDC mot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발전장치(60)에 의해 생산 가능한 전력은 300mW 이상 500mW이하(8~10V,40~50mA)일 수 있으나, 생산 가능한 전력은 진공청소기(1)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상기 값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ower that can be produced by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be 300 mW or more and 500 mW or less (8 to 10 V, 40 to 50 mA), but the power that can be produced may vary depending on the vacuum cleaner 1, .

전기공급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알림장치(Alarm) 및 연수생성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공급부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발전장치(60)에서 생산 가능한 전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electricity suppl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notification device (alarm), and a soft water generating unit 70.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may be varied depending on electric power producible by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

발전장치(60)에서 생산된 전력은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수생성유닛(70)을 포함하는 전기공급부로 전달된다.Th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6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ing section including the water softening generating unit 70 by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진공청소기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genera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of FIG.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in the drawings refer to Figs. Further,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described in Figs. 1 to 3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장치(60)는 배기필터유닛(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장치(60)는 배기필터(81)와 함께 케이스(82)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60 can be disposed inside the exhaust filter unit 80. Fig. Specifically, 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82 together with the exhaust filter 81. [

발전장치(60)는 날개(61) 및 발전기(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may include a wing 61 and a generator 62.

날개(61)는 흡입모터(40)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고, 발전기(62)는 날개(6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날개(61)에 연결되어 회전한다.The wing 61 is rotated by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40 and the generator 62 is connected to the wing 61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ing 61 into electric energy .

흡입모터(40)와 마주하는 케이스(82)의 일면(82a)은 흡입모터(40)를 통과한 공기가 발전장치(60)에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One side 82a of the case 82 facing the suction motor 40 may be in an opened state so that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40 can be transmitted to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60. [

배기필터(81)는 복수의 개구부(84)가 형성되는 그릴(83)에 의해 케이스(82)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배기필터(81)는 토출구(12)와 마주하는 케이스(82)의 다른 일면(82b)과 그릴(8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exhaust filter 81 can be fixed inside the case 82 by a grill 83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84 are formed. That is, the exhaust filter 8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surface 82b of the case 82 facing the discharge port 12 and the grill 83. [

발전장치(60)는 발전기(62)가 그릴(83)과 마주하도록 케이스(8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발전기(62)에 연결되는 날개(61)는 개구된 상태로 존재하는 케이스(82)의 일면(82a)을 향한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82 so that the generator 62 faces the grill 83. [ At this time, the blade 61 connected to the generator 62 faces the one surface 82a of the case 82 which is in an opened state.

발전장치(60)는 배기필터(81)를 관통하도록 케이스(8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60 can be housed inside the case 82 so as to pass through the exhaust filter 81. [

토출구(12)와 마주하는 케이스(82)의 다른 일 면(82b)에는 개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필터유닛(80)으로 유입된 공기는 개구홀을 통해 토출구(12)로 배출된다.An opening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82b of the case 82 facing the discharge port 12.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filter unit 8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 through the opening hole.

케이스(82)의 외측면(82c)에는 발전장치(6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공급부로 전달하도록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85)가 마련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82c of the case 82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erminal 85 to which an electric wire (not shown) is connected to transmit the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or 60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진공청소기 10 : 본체
11 : 흡입구 12 : 토출구
13 : 손잡이 14 : 먼지통안착공간
15 : 흡입모터안착공간 16 : 바퀴
17 : 물통 18 : 펌프
19 : 스팀배출구 20 : 유로
30 : 먼지통 31 : 먼지통필터
32 : 먼지통커버 40 : 흡입모터
50 : 프레임 51 : 연통홀
60 : 발전장치 61 : 날개
62 : 발전기 70 : 연수생성유닛
80 : 배기필터유닛 81 : 배기필터
82 : 케이스 82a,82b : 일면
82c : 외측면 83 : 그릴
84 : 개구부 85 : 단자
90 : 히터
1: Vacuum cleaner 10: Body
11: inlet 12: outlet
13: Handle 14: Dustbin seat space
15: Suction motor seating space 16: Wheel
17: Water bottle 18: Pump
19: steam outlet 20:
30: Dustbin 31: Dustbin filter
32: Dust cover 40: Suction motor
50: frame 51: communication hole
60: power generator 61: wing
62: generator 70: soft water generating unit
80: exhaust filter unit 81: exhaust filter
82: case 82a, 82b:
82c: Outer side 83: Grille
84: opening 85: terminal
90: Heater

Claims (1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low path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suction motor provided on the flow path so that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nd a power generator installed on the flow path to generate electric energy that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us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by the suction mo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및 알림장치(Alar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n alar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저장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 및 상기 흡입모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를 상기 먼지통이 수용되는 먼지통안착공간 및 상기 흡입모터가 수용되는 흡입모터안착공간으로 구획하는 프레임(FRAM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ntainer provided on the flow path to store foreign mat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nd a frame (FRAME) provided on the flow path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and the suction motor, the frame being divided into a dust container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received and a suction motor seating space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Wherein the vacuum cleaner comprises a vacuum clean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먼지통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발전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모터로 전달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Wherein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frame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passes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mot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먼지통에서 토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generation device includes:
A blade rotating by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And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wing and rotated to convert kinetic energy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wing into electric energ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안착공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배기필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suction motor seat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flow path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and the discharge po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유닛은,
케이스; 및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배기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배기필터와 함께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xhaust filter unit includes:
case; And
And an exhaust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Wherein the power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case together with the exhaust filt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generation device includes:
A blade rotating by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And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wing and rotated to convert kinetic energy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wing into electric energ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발전장치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기공급부로 전달하도록 전선(WIRE)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WIRE)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transmit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or to the electric supply unit.
제 5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AC모터(Alternating Current Motor), DC모터(Direct Current Motor) 및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Wherein the generator includes an AC motor (Alternating Current Motor), a DC motor (Direct Current Motor), and a BLDC mot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상에 마련되는 흡입모터;
상기 흡입모터가 수용되는 흡입모터안착공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배기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모터를 통과한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공급부에 전달 가능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배기필터유닛 내부에 마련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low path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suction motor provided on the flow path so that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An exhaust filter unit provided in the suction motor seating space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on the flow path so as to face the discharge port; And
And a power gener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exhaust filter uni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ity supplying unit us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KR1020140000768A 2014-01-03 2014-01-03 Vacuum cleaner KR201500811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768A KR20150081114A (en) 2014-01-03 2014-01-03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768A KR20150081114A (en) 2014-01-03 2014-01-03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114A true KR20150081114A (en) 2015-07-13

Family

ID=5379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768A KR20150081114A (en) 2014-01-03 2014-01-03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11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219A (en) * 2015-07-22 2017-02-01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Charging type cleaning apparatus
WO2017171500A1 (en) *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219A (en) * 2015-07-22 2017-02-01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Charging type cleaning apparatus
WO2017171500A1 (en) *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US10646806B2 (en) 2016-03-31 2020-05-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423B1 (en) A Stick Type Vacuum Cleaner
EP3209175B1 (en) Handheld vacuum cleaner
CN101822505B (en) Cleaning appliance
CN106572773A (en) Vacuum cleaner
MX2007006723A (en) Vacuum cleaner with spiral air guide.
US20140208536A1 (en) Dual-use steam-vacuum cleaner in parallel structure
KR20100116834A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090131098A (en) Unit for sensing amount of air flowing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9154305B (en)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EP2946887A1 (en) Particle separation assembly for power tool
JP5954981B2 (en) Dust collector
KR102195707B1 (en) Cleaner
WO2019105246A1 (en) Dust throwing-away assembly, dust cup and vacuum cleaner
KR20180025663A (en) Cleaner
WO2009078050A4 (en) Vacuum cleaner brush with self-powered uvc lamp
KR20150081114A (en) Vacuum cleaner
MX2009000510A (en) Vacuum cleaner with spiral air guide.
JP5921890B2 (en) Range food
CN102687999A (en) Handheld dust collector
CN202859027U (en) Handheld dust collector
KR20090057160A (en) Vacuum cleanning structure of robot cleaner
CN207306611U (en) A kind of dust catcher switching cylinder of blowing
CN203487493U (en) Blowing-suction machine
JP2011015878A (en) Vacuum cleaner
CN209032113U (en) Hand held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