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997A -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997A
KR20150080997A KR1020140000525A KR20140000525A KR20150080997A KR 20150080997 A KR20150080997 A KR 20150080997A KR 1020140000525 A KR1020140000525 A KR 1020140000525A KR 20140000525 A KR20140000525 A KR 20140000525A KR 20150080997 A KR20150080997 A KR 2015008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inition
message
data
tactica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엔진
Priority to KR102014000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997A/ko
Publication of KR2015008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4Hyperli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2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data lin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데이터링크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처리할 데이터링크 메시지의 규격 및 처리 방법을 마크업 언어로 기술하여 소프트웨어의 수정없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링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링크 및 데이터통신에서 메시지를 마크업언어로 규정하는 방법과 처리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메시지 규격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 방식을 규정하는 마크업 언어는 8개의 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XML의 루트 엘리먼트로 표기되고, 세부 정의 항목은 루트 엘리먼트의 엘리먼트로 표시된다. 세부적으로 루트 엘리먼트는 6개의 필수 루트 엘리먼트와 2개의 지원 루트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필수 루트 엘리먼트는 전술자료 정의, 메시지구조 정의, 메시지필드 정의, 메시지송수신 정의, 전술객체필드 정의, 필드매핑 정의로 구성되며, 지원 루트 엘리먼트는 자료변환함수, 시스템제어 정의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파일을 읽어들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축하는 단계와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MULTIPLE TACTICAL DATALINK MESSAGE PROCESSING METHOD USING MARKUP LANGUAGE}
본 발명은 전술데이터링크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처리할 데이터링크 메시지의 규격 및 처리 방법을 마크업 언어로 기술하여 소프트웨어의 수정없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링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전장환경은 플랫폼 중심에서 네트워크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중심이란 다양한 센서체계 및 무기체계에서 획득하고 관리된 전술정보를 네트워크을 통해 공유하여 작전 수행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다양한 전장체계간의 전술정보 교환에는 음성통신을 사용하기도 하나 컴퓨터와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전술정보를 교환하는데 그 대표적인 수단이 전술데이터링크이다.
전술데이터링크는 작전에 필요한 전술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시스템과 통신망 그리고 전술자료의 송수신 및 처리 규칙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데이터링크는 이기종의 체계간의 자료공유라는 특성상 제반 구성 및 처리방법을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술데이터링크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전술데이터링크가 존재한다, 특히 미군 및 나토회원국간의 표준으로 정의된 데이터링크와 개별 국가별로 특화된 데이터링크가 있으며, 육/해/공군의 작전요구성능을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링크가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또한 전술데이터링크를 사용하는 참가 유닛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동시에 하나이상의 다중의 전술데이터링크를 운용한다.
전술데이터링크의 가장 큰 이점은 참가 유닛의 정보 획득 한계를 극복하여 타 유닛에서 수집한 광범위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작전능력을 확대하고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에 독립적으로 이기종간의 전술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를 통해 지휘부대 및 전투참가 부대는 실시간의 전장상황을 디지털화하여 공유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지휘 및 탐지, 타격할 수 있어 군의 작전능력을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전투자원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술데이터링크 처리장치의 개발에는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요구되고 있으며 개발후에도 전술데이터링크의 수정 및 업그레이드, 다른 데이터링크 추가 등의 수정 개발에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또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최소한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링크 및 제반 규칙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링크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실행코드에 고정화 되어 구현된 메시지 구조 및 처리 기능을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구조 및 자료처리, 송수신 규격을 처리할 수 있는 논리요소로 정의하여 이를 구조화하고 실행코드와 분리되는 컨텐츠로 생성하는데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의 변경없이 메시지 구조 및 처리 기능을 수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이릍 통해 소프트웨어의 변경없이 다양한 메시지와 다종의 데이터링크를 처리하는데 있다. 또한 메시지의 처리방법은 마크업언어로 표현하고 이를 수정가능한 형태의 파일로 저장하고 데이터링크 처리기의 실행시점에서 이 파일을 해석하여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데이터링크 메시지의 정의 및 처리 방법을 마크업 언어로 기술하여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방식을 전술자료 정의, 메시지구조 정의, 메시지필드 정의, 메시지송수신 정의, 전술객체필드 정의, 필드매핑 정의, 자료변환함수 정의, 시스템제어 정의로 구현하여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과정과, 데이터링크 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파일을 읽어들여 메시지 처리 방식 및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 방식을 규정하는 마크업 언어는 XML을 사용하며, 6개의 필수 논리구조와 2개의 지원 논리구조로 구성되고, 전술자료 정의, 메시지구조 정의, 메시지필드 정의, 메시지송수신 정의, 전술객체필드 정의, 필드매핑 정의가 필수 논리구조이며, 자료변환함수 정의, 시스템제어 정의가 지원 논리 구조이다.
또한, 각 논리 구조는 XML에서 각 규칙 정의를 루트로 하는 엘리먼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구조는 루트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1 { 상세정의 엘리먼트}, 정의대상 엘리먼트2 { 상세정의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N { 상세정의 엘리먼트} } 3단계로 구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 방식의 논리 정의에 있어서, 전술자료 정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에서 사용할 자료 타입을 정의하고, 메시지구조 정의는 개별 메시지의 개략 구조 및 속성 정보를 정의하고, 메시지필드 정의는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규정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속성정보를 정의하고, 메시지송수신 정의는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규정된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규칙을 정의하고, 전술객체필드 정의는 메시지가 포함하고 있는 전술객체의 필드 정보를 정의하고, 필드매핑 정의는 메시지별 필드와 전술객체별 필드의 자료 매핑을 정의하고, 자료변환함수 정의는 메시지와 전술객체간의 필드매핑시 사용할 함수를 정의하고, 시스템제어 정의는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변수형태의 정보를 정의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파일을 읽어들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는 마크업언어 파일을 로드하기전 마크업언어 구조에 대한 스키마와 표적정보를 저장할 내부 메모리 DB와 개별 정보를 변환할 수 있는 기초함수 라이브러리를 초기화하고, 마크업언어 파일을 읽어 스키마 규칙에 따라 사용할 전술자료타입을 정의하고 메시지의 구조 및 세부 필드를 구조화된 형태로 개별 메시지 별로 구현한 후 필드매핑, 송수신 규칙, 자료변환 함수 할당정보를 추가하고, 호스트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구현하고, 처리 규칙 따라 메시지 생성/해석/전송/저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크업언어를 사용하여 메시지 구조 및 처리 방식을 규정함으로써 데이터링크 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실행코드에서 고정된 메시지 처리 기능을 분리하여 다양한 포맷의 메시지와 내부자료를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특정한 메시지 포맷과 프로토콜을 내재화할 필요가 없어 향후 수정 및 확장이 용이해지며 마크업 언어로 표현된 메시지 및 처리방법을 규정하여 이에 따른 메시지 처리가 가능해짐으로 인해 데이터링크 처리장치가 다종의 전술데이터링크를 처리할 수 있고 신규 메시지의 추가, 기존 메시지의 수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전술지휘체계 및 무기체계에서의 전술데이터링크 처리장치 개발/수정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전술데이터링크 구현에 필요한 일반적인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요소인 데이터링크 처리를 위한 마크업 언어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데이터링크 처리 장치에서 마크업 언어의 정의 규칙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술데이터링크란 두개 이상의 참가유닛(부대, 함정, 항공기, 차량 등)간의 디지털 전술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체계를 의미한다.
도 1은 전술데이터링크를 수행하는 참가유닛의 통상적인 장비 구성 및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구성도이다.
참가유닛에서 전술데이터링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술자료 처리(전시)장치(111, 121), 데이터링크 처리장치(112, 122), 통신장치(113, 123)가 필요하며, 각 장치는 보다 세분화되거나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링크 처리장치(112, 122)는 장치제어, 데이터링크 운영, 전술자료 처리, 연동 및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운영된다. 데이터링크 처리장치(112, 122)는 통신기가 수신한 특정된 데이터링크 메시지를 전달받아 해석/처리하고, 전송할 전술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통신기(113, 123)로 전달하여 외부의 데이터링크 참가 유닛으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링크로 수신한 원격의 전술정보를 전술자료 처리장치로 전달하고 로컬 전술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링크로 전송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메시지 형태로 전술정보 및 제어정보를 내부 네트워크(혹은 연동)으로 교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데이터링크 기능 수행 및 내부 체계 장비와의 자료교환을 위해 정보를 메시지화하여 교환한다. 여기서 메시지라 함은 다수의 자료로 구조화된 정보 집합의 포맷을 말하며 종래의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사용하는 모든 메시지를 하드코딩하여 개발하여 메시지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려면 해당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링크 및 데이터통신에서 메시지를 마크업언어로 규정하는 방법과 처리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메시지 규격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마크업언어라 함은 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로서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부호화하는 규칙의 집합을 정의한다. HTML, XML 등의 언어가 대표적인 마크업언어이다.
도 2는 마크업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링크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링크 처리장치(220)의 소프트웨어(222)와 자료(221) 구성도이다.
마크업언어로 정의된 메시지 처리 규격은 파일 형태(221)로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관리되며, 소프트웨어(222)는 규격파일을 읽어들여 처리할 메시지를 구조화하고 처리기능을 런타임에서 구축하게 된다.
전술데이터링크의 메시지 처리 규격을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는 XML을 사용한다.
도 3은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방식을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의 논리요소인 엘리먼트 구성도 및 그 예시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 방식을 규정하는 마크업 언어(301)를 간략히 DXML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DXML은 8개의 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XML의 루트 엘리먼트로 표기되고, 세부 정의 항목은 루트 엘리먼트의 엘리먼트로 표시된다. 세부적으로 루트 엘리먼트는 6개의 필수 루트 엘리먼트(310)와 2개의 지원 루트 엘리먼트(320)로 구성된다. 필수 루트 엘리먼트(310)는 전술자료(311), 메시지구조(312), 메시지필드(313), 메시지송수신(314), 전술객체필드(315), 필드매핑(316)으로 구성되며, 지원 루트 엘리먼트(320)는 자료변환함수(321), 시스템제어(322) 정의로 구성된다.
DXML의 구조는 루트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1 { 상세정의 엘리먼트}, 정의대상 엘리먼트2 { 상세정의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N { 상세정의 엘리먼트} } 3단계로 구성된다. 즉, 루트 엘리먼트가 정의대상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정의대상 엘리먼트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다수의 엘리먼트로 구성되어 그 이름, 속성,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되며, 정의대상 엘리먼트는 상세정의 엘리먼트 집합을 포함하는 단순 구별자 엘리먼트로 작동한다.
DXML의 작성은 자료의 관리 및 배포, 편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파일에는 하나의 정의(루트 엘리먼트)만 기록한다. 또한 동일한 정의(루트 엘리먼트)라도 관리 및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파일로 분리할 수 있다.
전술자료 정의(311)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에서 사용할 자료 타입(Data Type)을 정의한다. 전술자료 정의에서 규정된 자료 타입은 다른 정의의 기본 요소가 되며, 전술자료 정의에서 규정되지 않은 자료 타입은 다른 정의에서 절대 사용할 수 없다. 전술자료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이름, 자료타입, 최소값, 최대값으로 구성된다. 식별자 엘리먼트는 양수로서 정의된 전술자료의 구분자로서 유니크하게 적용된다. 이름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자료타입을 선언할때 가독성을 위해 문자로 표시한다. 자료타입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프로그램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본 자료타입을 지정하며 DXML을 읽고 처리하는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하는 언어의 기본 자료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최소값 및 최대값은 지정한 자료타입의 최소/최대값을 지정한다.
메시지구조 정의(312)는 개별 메시지의 개략 구조 및 속성 정보를 정의한다.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규정된 메시지만 이후의 정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메시지구조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이름, 필드수, 크기, 처리순서, 부모메시지, 범주, 그룹, 대표값으로 구성된다. 식별자 엘리먼트는 메시지 구별을 위한 양수로서 유니크하게 적용된다. 이름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메시지를 선언할때 가독성을 위해 문자로 표시한다. 필드수 엘리먼트는 양수로서 메시지의 필드 수를 지정하며, 유니온 형태의 구성요소에 따라 필드수가 달라지는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로 선언되어야 한다. 크기 엘리먼트는 양수로서 메시지의 비트 사이즈를 표기한다. 처리순서 엘리먼트는 양수로서 정의되는 전체 메시지에서 전송 순서를 지정한다.
메시지필드 정의(313)는 메시지구조 정의(312)에서 규정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속성정보를 정의한다. 비록 여러 메시지의 필드로 사용되는 동일한 필드라도 메시지별로 유니크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메시지필드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이름, 순번, 자료타입, 오프셋, 크기, 메시지 식별자, 송신규칙, 수신규칙, 필드타입 으로 구성된다. 식별자 엘리먼트는 양수로서 필드 구분을 위해 유니크하게 적용되며, 이름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필드의 이름을 표시하고, 순번 엘리먼트는 메시지내에서의 해당 필드의 순차를 지정한다. 자료타입 엘리먼트는 전술자료 정의에서 규정한 자료타입이며, 오프셋과 크기 엘리먼트는 메시지의 비트 배열상의 해당 필드의 시작 위치와 차지하는 비트 크기를 지정한다. 메시지 식별자 엘리먼트는 해당 필드가 속해 있는 메시지의 식별자를 지정한다. 송신규칙과 수신규칙 엘리먼트는 메시지 송신 및 수신시 해당 필드 값의 처리유형(계산치, 고정치, 0)을 지정한다. 필드타입 엘리먼트는 해당 필드가 메시지에서의 역할(Primary, Secondary, Key)을 지정하며, Primary는 원시자료에서 메시지를 구분하는 주 구분자를 의미하고, Secondary는 세부 구분자로서 다수의 필드에서 지정될 수 있으며, Key 메시지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 객체의 구분자를 의미한다.
메시지송수신 정의(314)는 메시지구조 정의(312)에서 규정된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규칙을 정의한다. 메시지별로 하나의 송수신 정의만이 허용된다. 메시지송수신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 식별자, 주기전송간격, 연속전송횟수, 전송메시지수, 이벤트핸들러 로 구성된다. 메시지 식별자 엘리먼트는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기술된 메시지 중 송수신 규칙을 정의할 메시지의 식별자를 지정한다. 주기전송간격 엘리먼트는 주기적으로 주어지는 전송시기에서 전송간격이며 예로 2로 지정될 경우 2번의 1 주기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의미이다. 연속전송횟수 엘리먼트는 연속으로 전송하고 중지할 횟수를 지정하며 전송메시지수 엘리먼트는 한번 전송시 전송해야할 해당 메시지의 수량을 지정한다. 이벤트 핸들러 엘리먼트는 해당 메시지가 송수신에 관여하는 이벤트를 지정하며 이벤트 종류 및 내용는 DXML을 처리할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의 메시지 송수신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정의된다.
전술객체필드 정의(315)는 메시지가 포함하고 있는 전술객체의 필드 정보를 정의한다. 전술객체 정보는 표적, 교전, 무장, 통제 등의 전술데이터링크에서 처리되는 객체화되고 구별되는 전술정보의 형태를 말한다. 전술객체 정보는 데이터링크 메시지와 체계에서 규정되어 처리되는 전술정보의 중간 가공물의 형태로서 수신 메시지에서 전술객체정보로 해석되고, 전술객체에서 송신 메시지로 생성된다. 즉 전술자료 처리장치와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임시 자료 저장소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객체는 다수의 필드로 구성되며 메시지의 필드와 매핑되는 대상으로 정의된 메시지의 필드 수량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비례한다. 전술객체는 다수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파일별로 별도 관리되는 그룹으로 간주된다.
전술객체필드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이름, 자료타입, 크기, 처리속성으로 구성된다. 식별자 엘리먼트는 전술객체 필드의 구별을 위한 양수로서 유니크하게 적용된다. 이름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필드를 선언할때 가독성을 위해 문자로 표시한다. 자료타입 엘리먼트는 필드의 자료타입으로 전술자료 정의에서 규정한 자료타입만 사용한다. 크기 엘리먼트는 필드의 비트수를 지정한다. 처리속성 엘리먼트는 해당 필드를 DXML을 처리할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에 처리 형태의 구분자로서 종류 및 내용은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의 설계/기능에 따라 정의된다.
필드매핑 정의(316)는 앞서 정의된 메시지별 필드와 전술객체별 필드의 자료 매핑을 정의한다. 필드매핑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 식별자, 필드 식별자, 전술객체 식별자, 변환함수로 구성된다. 메시지 식별자 엘리먼트는 매핑에 해당하는 메시지의 식별자이며, 필드 식별자 엘리먼트는 해당 메시지의 매핑 대상 필드이다. 전술객체 식별자는 매핑에 해당하는 전술객체의 필드이다. 변환함수 식별자는 필드 매핑시 자료변환을 처리하는 함수명을 지정하며 미지정은 1:1 매핑(값의 대입)으로 간주하며, 함수는 DXML을 처리할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의 함수로서 자료변환함수 정의에서 지정된 함수만 사용한다.
자료변환함수 정의(321)는 필수 정의가 아닌 선택적으로 정의하여 DXML 규정 및 운영을 지원하는 정의 방식으로 메시지와 전술객체간의 필드매핑시 사용할 함수를 정의한다. 변환함수는 DXML을 처리할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함수만을 사용할 수 있다. 자료변환함수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함수명, 인수, 경로로 구성된다. 식별자 엘리먼트는 필드매핑에 사용할 변환함수의 식별자이며, 함수명 엘리먼트는 변환함수의 실제 호출명이고, 인수 엘리먼트는 함수에 입력되는 인수의 수량을 지정한다. 경로 엘리먼트는 함수가 별도의 라이브러리 파일에 존재하는 경우 그 경로를 지정하며 미지정시 함수는 DXML 처리 프로그램안에 내장된것으로 간주한다.
시스템제어 정의(322) 역시 필수 정의는 아니며 DXML 처리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변수형태의 정보를 정의한다. 시스템제어 정의에서 규정되는 종류 및 내용는 DXML을 처리하는 데이터링크 처리 프로그램의 설계/기능에 종속된다. 시스템제어 정의를 구성하는 상세정의 엘리먼트는 이름, 값으로 구성된다. 이름 엘리먼트는 문자열로서 DXML 처리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상수형의 구분 이름을 지정한다. 값 엘리먼트는 이름 엘리먼트에 대입되는 값으로 실수, 정수, 문자열 형태의 다양한 형식을 가질수 있다.
도 4는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파일을 읽어들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축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첫번째 단계(410)로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는 마크업언어 파일을 로드하기전 마크업언어 구조에 대한 스키마와 표적정보를 저장할 내부 메모리 DB(411), 개별 정보를 변환할 수 있는 기초함수 라이브러리를 초기화(412) 및 구축한다.
두번째(420)로 마크업언어 파일을 읽어(421) 스키마 규칙에 따라 사용할 전술자료타입을 정의하고 메시지의 구조 및 세부 필드를 구조화된 형태(구조체 혹은 클래스)로 개별 메시지 별로 구현(422)한 후 필드매핑(423), 송수신 규칙(424), 자료변환 함수 할당(425)을 개별 메시지 구조정보에 첨부한다.
세번째(430)로 호스트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구현하고(네트워크 및 통신장치 활성화) 송수신 등의 처리 규칙에 따라 메모리 DB내의 전술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통신장치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메모리 DB 저장 및 내부 처리 장치로 전송(431)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은 컴퓨터의 종류와 운영체제, 개발언어에 종속되지 않으며, 컴퓨터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기계장치 및 전산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을 세분화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분산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300 : 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마크업 언어 구성도
301 : 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마크업 언어
310 : 필수 루트 엘리먼트
320 : 지원 루트 엘리먼트
311 : 전술 자료 정의 루트 엘리먼트
312 : 메시지 구조 정의 루트 엘리먼트
313 : 메시지 필드 정의 루트 엘리먼트
314 : 메시지 송수신 정의 루트 엘리먼트
315 : 전술 객체 필드 정의 루트 엘리먼트
316 : 필드 매핑 정의 루트 엘리먼트
321 : 자료 변환 함수 정의 루트 엘리먼트
322 : 시스템 제어 정의 루트 엘리먼트

Claims (3)

  1.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처리방식을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의 구성에 있어서,
    논리요소인 루트 엘리먼트를 필수 루트 엘리먼트인 전술자료 정의, 메시지구조 정의, 메시지필드 정의, 메시지송수신 정의, 전술객체필드 정의, 필드매핑 정의와 지원 루트 엘리먼트인 자료변환함수 정의, 시스템제어 정의로 구성하는 방법; 및
    각 정의의 논리구조를 루트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1 { 상세정의 엘리먼트}, 정의대상 엘리먼트2 { 상세정의 엘리먼트} ... 정의대상 엘리먼트N { 상세정의 엘리먼트} } 3단계로 구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자료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에서 사용할 자료 타입(Data Type)을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메시지구조 정의 엘리먼트는 개별 메시지의 개략 구조 및 속성 정보를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메시지필드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규정된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속성정보를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메시지송수신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구조 정의에서 규정된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 규칙을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전술객체필드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가 포함하고 있는 전술객체의 필드 정보를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필드매핑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별 필드와 전술객체별 필드의 자료 매핑을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자료변환함수 정의 엘리먼트는 메시지와 전술객체간의 필드매핑시 사용할 함수를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제어 정의 엘리먼트는 데이터링크 마크업언어 처리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정의하고, 세부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각 세부 엘리먼트의 속성 및 역할, 사용 방법;
  3. 데이터링크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마크업언어로 기술된 파일을 읽어 들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축하는 단계; 및
    단계별 처리 내용과 방법;
KR1020140000525A 2014-01-03 2014-01-03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KR20150080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25A KR20150080997A (ko) 2014-01-03 2014-01-03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25A KR20150080997A (ko) 2014-01-03 2014-01-03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97A true KR20150080997A (ko) 2015-07-13

Family

ID=5379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525A KR20150080997A (ko) 2014-01-03 2014-01-03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9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481A (ko) * 2016-09-20 2018-03-28 국방과학연구소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다중 데이터 링크 처리기
KR102093923B1 (ko) 2019-07-23 2020-03-27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에서의 메시지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4664B1 (ko) * 2020-02-06 2021-07-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동적 연동 메시지 구성을 통한 범용 qar 시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1348B1 (ko) * 2021-12-20 2022-09-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표준 메시지 동적 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술데이터링크의 표준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전술 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481A (ko) * 2016-09-20 2018-03-28 국방과학연구소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다중 데이터 링크 처리기
KR102093923B1 (ko) 2019-07-23 2020-03-27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에서의 메시지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4664B1 (ko) * 2020-02-06 2021-07-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동적 연동 메시지 구성을 통한 범용 qar 시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1348B1 (ko) * 2021-12-20 2022-09-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표준 메시지 동적 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술데이터링크의 표준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전술 데이터 송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5442B (zh) 边缘计算平台
US11250344B2 (en) Machine learning based analytics platform
EP2943859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edge devices
CN109460223B (zh) 一种api网关管理系统及其方法
US9639444B2 (en) Architecture for end-to-end testing of long-running, multi-stage asynchronous data processing services
CN109768970A (zh) 一种基于可配置的通用协议生成方法
US10608953B2 (en) Platform with multiple execution engines
US11409760B2 (en) Data array of objects indexing
EP2933726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log data processing
KR20150080997A (ko)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메시지 처리 방법
US7499899B2 (en) Dynamic software integration architecture
CN106790347B (zh) 一种基于netty的大规模并发数据转发方法
CN102932431A (zh) 一种基于消息路由的状态监测数据接口配置方法
CN112231906A (zh) 一种基于icd的服务构建方法
CN110769002A (zh) 基于LabVIEW的报文解析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CN114331416A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016784A (zh) 低代码应用复用方法、应用解析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1012859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運用方法
KR102545045B1 (ko)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90205182A1 (en) Unified monitoring interface
CN102752238A (zh) 一种通用网关设备以及物联网系统
CN104734900A (zh) 一种通信协议测试的发送控制方法
CN109471746A (zh) 一种集群日志的收集方法与系统
KR100918840B1 (ko)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타겟 센서 노드를 시험하는장치 및 그 방법
CN115314553B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