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340A -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340A
KR20150080340A KR1020130169394A KR20130169394A KR20150080340A KR 20150080340 A KR20150080340 A KR 20150080340A KR 1020130169394 A KR1020130169394 A KR 1020130169394A KR 20130169394 A KR20130169394 A KR 20130169394A KR 20150080340 A KR20150080340 A KR 2015008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esin
toner
weight
dispersion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1244B1 (en
Inventor
김나형
김동원
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244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07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shell material
    • G03G9/09314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57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92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ton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disclosed toner comprises: a core unit including a first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_1; a first shell unit including a secon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_2 and surrounding the core unit; and a second shell unit including a thir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_3 and surrounding the first shell unit wherein the Mw_1, the Mw_2 and the Mw_3 satisfy a formula (Mw_2 < Mw_1 < Mw_3).

Description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 특성, 강도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한 3중 구조의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A ton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having a triple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both fixing property, strength and durability,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토너는 결착수지로 작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착색제 및 왁스 등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토너에 대전성을 부여하고 이를 유지시키는 대전제어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부와의 이형 작용을 위한 왁스 등의 이형제, 토너에 유동성 및 현상성을 부여하거나 드럼 클리닝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첨제가 토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의 제조방법으로는 분쇄법 등의 물리적인 방법과, 현탁중합법, 유화응집법, 화학 밀링법 및 분산중합법 등의 화학적인 방법이 있다.Generally, the toner is prepared by adding a coloring agent, wax, or the like to a thermoplastic resin serving as a binder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harge control agent which imparts chargeability to the toner and keeps it, a release agent such as a wax for releasing the toner from the fixing por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toner for improving fluidity and developability, Can be added to the toner.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oner include a physical method such as a pulverization method and a chemical method such as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 emulsion aggregation method, a chemical milling method, and a dispersion polymerization method.

이 중 유화응집법(미국등록특허 제5,916,725호, 제6,268,103호 등 참조)은 유화 중합 반응을 통해 미세 에멀젼 수지 입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별도의 분산액에서 착색제 등과 함께 응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분쇄법에 있어서의 고비용, 넓은 입도 분포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응집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토너 입자를 구형으로 만들 수 있는 잇점이 있다.Among them, the emulsion aggregation method (see U.S. Patent No. 5,916,725, No. 6,268,103, etc.)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fine emulsion resin particle composition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and a step of coagulating the composition with a colorant etc. in a separate dispersion do.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olve problems such as a high cost and a wid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pulverization method, and can make the toner particles spherical by controlling the coagulation condition.

그러나, 종래의 유화응집법에 의해 제조된 토너 입자는 우수한 정착 특성, 강도 및 내구성을 동시에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oner particles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emulsion agglomeration method have a problem that they can not have excellent fixing property, strength and durability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정착 특성, 강도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한 3중 구조의 토너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iple structure toner which is excellent in both fixing property, strength and durability.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the toner.

본 발명의 일 측면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w1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1 결착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A core portion comprising a first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1 & gt ;;

Mw2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2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제1 쉘부; 및A secon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2 & gt ;; a first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And

Mw3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3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포함하고,A thir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3 & gt ;, and a second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상기 코어부, 상기 제1 쉘부 및 상기 제2 쉘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부분은 착색제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Wherein at least one por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re portion, the first shell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lorant and wax,

상기 Mw1, 상기 Mw2 및 상기 Mw3는 식(Mw2 < Mw1 < Mw3)을 만족하는 토너를 제공한다.Mw 1 , Mw 2 and Mw 3 satisfy the formula (Mw 2 <Mw 1 <Mw 3 ).

상기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은 42,000~55,000이고, 상기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은 24,000~45,000이고,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55,000~79,000일 수 있다.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Mw 1) is 42,000 ~ 55,000, and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binder resin (Mw 2) is 24,000 ~ 45,000,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said third binder resin (Mw 3 ) May be between 55,000 and 79,000.

상기 토너는 상기 제1 결착수지 70~90중량부, 상기 제2 결착수지 5~25중량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1~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ner may include 7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nd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third binder resi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반응기에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및 응집제를 투입한 다음, 반응기 내용물을 1차 승온시켜 토너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S10);(S10) of adding a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a coagulant to a reactor, and then firstly raising the contents of the reactor to form a toner core portion;

상기 토너 코어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토너 코어부를 둘러싸는 제1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S20) forming a first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toner core portion by further adding a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to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toner core portion;

상기 제1 쉘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3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제 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30); 및(S30) forming a second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by further adding a third binder resin dispersion to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first shell portion; And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를 거친 반응기 내용물을 2차 승온시켜 합일된 토너 입자를 얻는 단계(S40)를 포함하고,And a step (S40) of obtaining the combined toner particles by secondarily raising the contents of the reactor through the second shell part forming step,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20)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반응기에 착색제 분산액 및 왁스 분산액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액을 더 투입하며, At least one of the colorant dispersion and the wax dispersion is further added to the reactor in at least one of steps (S10) and (S20)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식(Mw2 < Mw1 < Mw3)을 만족하는 토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1 ) of the first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 ) of the second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a first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3 (Mw 3)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oner satisfying the expression (Mw 2 <Mw 1 <Mw 3).

상기 토너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S10)에서,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대신에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및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함께 투입하고, 이 경우, 상기 Mw1는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2 결착수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3 결착수지의 투입량 비율에 따라 상기 Mw2와 상기 Mw3를 가중평균하여 얻어진 값일 수 있다.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ner is, in the step (S10), In the place of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in the reactor with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and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in this case, the Mw 1 is And Mw 2 and Mw 3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mounts of the third binder resin and the third binder resin in the second binder resin and the third binder resin in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상기 1차 승온은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에 투입된 제1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2~20℃ 낮은 온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The primary temperature increase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2 to 20 ° C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binder resin injected into the core portion forming step.

상기 2차 승온은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에 첨가된 제3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40℃ 높은 온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The secondary heat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10-40 ° C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to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S10)에 첨가되는 상기 제1 결착수지의 함량, 상기 제1 쉘부 형성단계(S20)에 첨가되는 상기 제2 결착수지의 함량, 및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S30)에 첨가되는 상기 제3 결착수지의 함량은 각각 70~90중량부, 5~25중량부 및 1~6중량부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first binder resin added to the core forming step (S10), the conten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dded to the first shell forming step (S20), and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S30) The content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may be 70 to 90 parts by weight, 5 to 25 parts by weight and 1 to 6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착 특성, 강도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한 토너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toner excellent in fixing property, strength and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온도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온도에 따른 손실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주파수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주파수에 따른 손실탄성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응력 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응력 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torage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loss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torage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FIG. 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loss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6 is a stress-strain curve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Fig.
7 is a stress-strain curve of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는 Mw1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1 결착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 Mw2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2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제1 쉘부, 및 Mw3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3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토너」는 문맥에 따라 1개의 토너 입자를 지칭할 수도 있고, 토너 입자들의 집합(즉, 토너 분말)을 지칭할 수도 있다.The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ortion including a first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1 , and a secon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2 , wherein the first shell portion And a thir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3 , and a second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As used herein, the term &quot; toner &quot; may refer to one toner particl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may refer to a collection of toner particles (i.e., toner powder).

상기 코어부, 상기 제1 쉘부 및 상기 제2 쉘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부분은 착색제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At least one por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re portion, the first shell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lorant and wax.

상기 Mw1, 상기 Mw2 및 상기 Mw3는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Mw 1 , Mw 2 and Mw 3 ma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Mw2 < Mw1 < Mw3. Mw 2 < Mw 1 < Mw 3 .

상기 토너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상기 코어부에서 상기 Mw1이 상기 Mw2 보다는 크고 상기 Mw3 보다는 작기 때문에, 상기 토너는 적정 수준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The toner may have an appropriate level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ecause the Mw 1 in the core portion occupying the largest amount of the toner is larger than the Mw 2 and smaller than the Mw 3 .

상기 제1 쉘부에서 상기 Mw2가 작기 때문에, 상기 토너는 우수한 정착 특성 (즉, 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Mw 2 in the first shell portion is small, the toner may have excellent fixing properties (i.e., thermal characteristics).

상기 제2 쉘부에서 상기 Mw3가 크기 때문에, 상기 토너는 우수한 열적 강도,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환경하에 토너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상기 토너가 녹아 서로 융착되는 현상인, 케이킹 현상을 방지하여 토너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Mw 3 in the second shell portion is large, the toner may have excellent thermal strength,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Thus,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toner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caking,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toner melts and fuses to each other even if the toner is stored for a long time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기 제2 쉘부는 상기 토너의 정착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hell part may have a thin film form to prevent the fixing property of the toner from deteriorating.

상기 Mw1, 상기 Mw2 및 상기 Mw3가 식(Mw2 < Mw1 < Mw3)을 만족함으로써, 토너 전체의 유리전이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토너의 열적 강도,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는 토너의 정착 특성 및 강도를 모두 개선할 수 있다.By satisfying the above expressions Mw 1 , Mw 2 and Mw 3 (Mw 2 <Mw 1 <Mw 3 ), the thermal stability,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oner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while maintain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entire toner at an appropriate level . As a result, both the fixing property and the strength of the toner in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an be improved.

상기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은 42,000~55,000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은 24,000~45,000일 수 있고,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55,000~79,000일 수 있다.The first binder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1 ) of 42,000 to 55,000, the second binder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 ) of 24,000 to 45,000, The molecular weight (Mw 3 ) may be from 55,000 to 79,000.

상기 토너는 상기 제1 결착수지 70~90중량부, 상기 제2 결착수지 5~25중량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1~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착수지, 상기 제2 결착수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총 함량은 100중량부이다. 상기 각 결착수지의 함량비가 상기 각 범위이내이면, 토너의 정착 특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토너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toner may include 7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nd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third binder resin. Here, the total content of the first binder resin, the second binder resin and the third binder resin is 100 parts by weight. When the content ratio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binder resins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toner can be improved while the fixing property of the toner is kept high.

이하, 전술한 토너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ton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10)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토너(10)는 코어부(11), 이 코어부(11)를 둘러싼 제1 쉘부(12) 및 이 제1 쉘부(12)를 둘러싼 제2 쉘부(13)를 포함한다.1, the toner 10 includes a core portion 11, a first shell portion 12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11, and a second shell portion 13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12 .

코어부(11)에는 상기 제1 결착수지(미도시)가 분포되고, 제1 쉘부(12)에는 상기 제2 결착수지(미도시)가 분포되며, 제2 쉘부(13)에는 상기 제3 결착수지(미도시)가 분포된다. The second binder resin (not shown) is distributed to the first shell part 12 and the third binder resin (not shown) is distributed to the second shell part 13, Resin (not shown) is distributed.

코어부(11), 제1 쉘부(12) 및 제2 쉘부(1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부분에는 착색제(미도시) 및 왁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분포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a colorant (not shown) and wax (not shown) may be further distributed to at least one por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re portion 11, the first shell portion 12 and the second shell portion 13. [

제2 쉘부(13)의 표면에는 외첨제(미도시)가 더 분포될 수 있다. An external additiv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hell portion 13.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토너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토너의 제조방법은 반응기에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및 응집제를 투입한 다음, 반응기 내용물을 1차 승온시켜 토너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토너 코어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토너 코어부를 둘러싸는 제1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쉘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3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제 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를 거친 반응기 내용물을 2차 승온시켜 합일된 토너 입자를 얻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는 1개의 반응기에서 모두 진행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4개의 단계 중 1개 이상의 단계 및 2개 이상의 단계가 2개 이상의 반응기에 나누어 진행될 수도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10) forming a toner core portion by first raising the contents of a reactor after charging a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a coagulant into a reactor, (S20) of forming a first shell part surrounding the toner core part by further adding a dispersion liquid to the first shell part, and further adding a third binder resin dispersion to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first shell part to form a second shell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art (S30) of forming the second shell portion, and a step (S40) of obtaining the coalesced toner particles by secondarily raising the reactor contents through the second shell portion forming step. Each of the above steps may be performed in one reac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e or more of the four steps and two or more steps may be performed in two or more reactors.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20)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반응기에 착색제 분산액 및 왁스 분산액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액을 더 투입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lorant dispersion and the wax dispersion may be added to the reactor in at least one of the steps (S10) and (S20).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하기 식을 만족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1 ) of the first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 ) of the second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3 ) of the third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second binder resin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Mw2 < Mw1 < Mw3.Mw 2 < Mw 1 < Mw 3 .

상기 단계(S10)에서,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대신에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및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소정 비율로 함께 투입하고, 이 경우, 상기 Mw1는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2 결착수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3 결착수지의 투입량 비율에 따라 상기 Mw2와 상기 Mw3를 가중평균하여 얻어진 값일 수 있다.In the step (S10),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re put into the reactor together with a predetermined ratio in place of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and in this case, Mw 1 is the second binder Mw 2 and Mw 3 may be a value obtained by weighted averaging of the Mw 2 and the Mw 3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ratio of the second binder resin in the resin dispersion and the third binder resin in the third binder resin dispersion.

상기 반응기는 교반기, 가열수단(예를 들어, 히터), 가압수단 및/또는 감압수단(예를 들어, 진공배관 및 진공펌프)을 구비할 수 있다. The reactor may comprise a stirrer, a heating means (e.g. a heater), a pressurizing means and / or a depressurizing means (e. G., A vacuum line and a vacuum pump).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결착수지 분산액, 상기 착색제 분산액 및 상기 왁스 분산액은 각각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071호에 개시된 라텍스 분산액, 착색제 분산액 및 왁스 분산액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071호는 인용에 의하여 전문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In one embodiment, the binder resin dispersion, the colorant dispersion, and the wax dispersion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latex dispersion, colorant dispersion, and wax dispersion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807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8071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결착수지 분산액, 상기 착색제 분산액 및 상기 왁스 분산액은 각각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5148호에 개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산액, 착색제 분산액 및 왁스 분산액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5148호는 인용에 의하여 전문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binder resin dispersion, the colorant dispersion, and the wax dispersion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polyester resin dispersion, colorant dispersion, and wax dispers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5148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5148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상기 제1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54~60?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54~58?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56~65?일 수 있다. 상기 각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각 범위이내이면, 상기 각 결착수지 입자를 이용하여 형성한 토너는 정착 특성이 우수하다. The first binder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4 to 60 ° C, the second binder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4 to 58 ° C, and the third binder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6 to 65 ° C. Lt; / RTI &gt;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binder resins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toner formed using the binder resin particles is excellent in fixing property.

상기 착색제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착색제는 상업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안료인 블랙 안료, 시안 안료, 마젠타 안료, 옐로우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colorant to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lorant dispersion may be black pigments, cyan pigments, magenta pigments, yellow pigments, and mixtures thereof, which are pigments commonly used commercially.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20)에 첨가되는 착색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결착수지의 총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3~20중량부일 수 있다.The total amount of the colorant added to the step (S10) and the step (S20) may be 3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inder resins.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왁스는 공지의 왁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등의 천연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합성 왁스; 몬탄 왁스 등의 석유계 왁스; 알코올계 왁스; 및 에스테르계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The wax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wax dispersion may be a known wax. Natural waxes such as carnauba wax and rice wax; Synthetic waxes such as polypropylene wax and polyethylene wax; Petroleum waxes such as montan wax; Alcohol wax; And an ester-based wax. The wax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상기 왁스는 파라핀계 왁스 및 폴리에스테르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계 왁스는 C20~C36의 직쇄형 포화 탄화수소를 주체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30~5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40~80℃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araffin wax and a polyester wax. The paraffin wax mainly contains C 20 to C 36 linear saturated hydrocarbons, a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 to 500 and a melting point of 40 to 80 ° C.

상기 왁스는 상기 파라핀계 왁스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왁스의 혼합 왁스, 예를 들어, HNP-9 또는 HNP-11왁스일 수 있다. The wax may be a mixed wax of the paraffin wax and the polyester wax, for example, HNP-9 or HNP-11 wax.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20)에 첨가되는 왁스의 총 함량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결착수지의 총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일 수 있다. The total amount of the wax added to the step (S10) and the step (S20) may be 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inder resins.

상기 응집제는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S10)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쉘부 형성단계(S20) 및/또는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S30)에도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응집제로는 NaCl, KCl, 또는 PSI(Poly Silicato Iron)와 같은 Fe-폴리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agulant may be added not only to the core forming step (S10) but also to the first shell forming step (S20) and / or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S30). As such coagulant, Fe-polysilicate such as NaCl, KCl, or PSI (Poly Silicato Iron) may be used.

상기 단계(S10), 상기 단계(S20) 및 상기 단계(S30)에 첨가되는 응집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제1 결착수지, 상기 제2 결착수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총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40중량부일 수 있다.The total amount of the flocculant added to the step (S10), the step (S20) and the step (S30) is preferably at most about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binder resin, the second binder resin and the third binder resin 5 to 40 parts by weight.

상기 1차 승온은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에 투입된 제1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1) 보다 2~20℃ 낮은 온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승온시의 온도가 상기 범위(Tg1 - 2~20℃)이내이면, 입자별로 고른 응집이 일어난다.The primary temperature increase may be 2 to 20 ° C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1 ) of the first binder resin injected into the core portion forming step. The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temperature increase the range (Tg 1 - 2 ~ 20 ℃ ) is within, causing a flocculation picked by each particle.

상기 단계(S10)(즉, 1차 승온에 의한 응집 공정)는 토너의 입경이 5.0~6.0㎛가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The step (S10) (that is, the coagulation step by the first temperature increase) may proceed until the particle size of the toner becomes 5.0 to 6.0 mu m.

상기 2차 승온은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에 첨가된 제3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3) 보다 10~40℃ 높은 온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승온시의 온도가 상기 범위(Tg3 + 10~40℃)이내이면, 왁스 성분들끼리 뭉쳐 왁스 덩어리를 형성한 후 상기 왁스 덩어리가 토너 표면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ary heat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10 to 40 ° C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3 )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to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If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 second heating is within the above range (Tg 3 + 10 to 40 ° 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x masses from sticking together to form a wax mass, and then protruding the wax mass to the toner surface.

상기 단계(S40)(즉, 2차 승온에 의한 합일 공정)는 토너의 입경이 6.6~7.2㎛가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입경 및 형상이 거의 균일한 토너 입자를 얻을 수 있다.The step (S40) (i.e., the step of coalescing by the second heating) may proceed until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becomes 6.6 to 7.2 mu m, whereby toner particles having substantially uniform particle size and shape can be obtained.

상기 각 단계에 사용되는 상기 각 결착수지들은 동종의 결착수지일 수 있다.Each of the binder resins used in the above steps may be the same kind of binder resin.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S10)에 첨가되는 상기 제1 결착수지의 함량, 상기 제1 쉘부 형성단계(S20)에 첨가되는 상기 제2 결착수지의 함량, 및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S30)에 첨가되는 상기 제3 결착수지의 함량은 각각 70~90중량부, 5~25중량부 및 1~6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결착수지의 함량비가 상기 각 범위이내이면, 정착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토너의 강도 및 내구성도 우수한 토너를 얻을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first binder resin added to the core forming step (S10), the conten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dded to the first shell forming step (S20), and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S30) The content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may be 70 to 90 parts by weight, 5 to 25 parts by weight and 1 to 6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binder resin used in each of the above steps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 toner excellent in fixing property and excellent in toner strength and durability can be obtained.

상기 토너의 제조방법은 상기 합일 공정에서 얻은 토너 입자를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반응기 내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제거한 다음, 토너 입자를 물로 세척한다. 상기 세척에는 전도도가 10uS/cm 이하인 순수한 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은 토너를 세척한 여과액의 전도도가 50uS/cm 이하가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순수한 물을 이용한 토너의 세척은 배치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순수한 물을 이용한 토너의 세척은 토너의 대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순물 및 응집에 관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응집제 등 토너 성분 이외의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ner may further include washing and drying the toner particles obtained in the combining step with water. First,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toner particles are cooled to room temperature, filtered, the filtrate is removed, and the toner particles are washed with water. Pure water having a conductivity of 10 uS / cm or less may be used for the washing, and the washing may be continued until the conductivity of the filtered filtrate becomes 50 uS / cm or less. Cleaning of the toner with pure water may proceed batchwise or continuously. Cleaning of the toner using pure water can be performed to remove unnecessary components other than toner components such as impurities that may affect the chargeability of the toner and unnecessary coagulants that do not participate in aggregation.

상기 세척 단계 후 얻어진 토너를 유동층 건조기, 플래시 젯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하여 얻어진 토너에 원하는 외첨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외첨제는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거나 대전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외첨제로는 대입경 실리카(입경≥40nm), 소입경 실리카(7nm≤입경≤30nm), 폴리머 비즈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toner obtained after the washing step can be dried by using a fluid bed dryer, a flash jet dryer or the like. Further, a desired external additive can be added to the toner obtained by drying. The external additive is for improving the fluidity of the toner or controlling the charging property. Examples of the external additive include large diameter silica (particle diameter:? 40 nm), small particle size silica (7 nm? Particle diameter? 30 nm), polymer beads, Mixtures may be used.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1:  1-1: 결착수지Binder resin 분산액(A)의 제조 Preparation of Dispersion (A)

교반기, 온도계 및 콘덴서가 설치된 부피가 30 리터인 반응기를 오일조내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반응기 내에 증류수 및 계면활성제(Dowfax 2A1)를 각각 6,600g 및 32g씩 투입하여 반응기 온도를 70℃까지 증가시키고 1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시켰다. 이후, 모노머, 즉 스티렌 8,380g, 부틸 아크릴레이트 3,220g,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70g 및 1,10-데칸디올 디아크릴레이트 226g과, 증류수 5,075g, 계면활성제(Dowfax 2A1) 226g, 마크로모노머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530g, 사슬이동제로서 1-도데칸티올 188g의 유화혼합물을 디스크 타입 임펠러로 45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기에 1시간 동안 천천히 투입하였다. 이후, 약 8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다음 상온(25℃)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반응을 완료하였다. 결과로서, 결착수지를 얻었다.A reactor having a volume of 30 liter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was installed in an oil bath. 6,600 g and 32 g of distilled water and a surfactant (Dowfax 2A1) were charged into the thus-installed reactor, respectively,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increased to 70 ° C and stirred at a stirring speed of 100 rpm. Thereafter, the monomer, that is, 8,380 g of styrene, 3,220 g of butyl acrylate, 370 g of 2-carboxyethyl acrylate, 226 g of 1,10-decanediol diacrylate, 5,075 g of distilled water, 226 g of a surfactant (Dowfax 2A1) 530 g of polyethylene glycol ethyl ether methacrylate and 188 g of 1-dodecanethiol as a chain transfer agent were stirred with a disk type impeller at 450 rpm for 30 minutes, and then slowly added to the reactor for 1 hour. Thereafter, the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for about 8 hours and then slow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25 ° C) to complete the reaction. As a result, a binder resin was obtained.

반응 완료 후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측정한 결과, 상기 온도는 57℃이었다. 또한, 폴리스티렌(Polystyrene) 기준 시료를 사용하여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상기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45,000이었다.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binder resin obtained above was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was 57 ° C.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nder resin was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using a polystyrene standard sample,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45,000.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2:  1-2: 결착수지Binder resin 분산액(B)의 제조 Preparation of Dispersion (B)

스티렌 9,700g, 부틸 아크릴레이트 1,916g,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70g 및 1,10-데칸디올 디아크릴레이트 226g과, 증류수 5,075g, 계면활성제(Dowfax 2A1) 226g, 마크로모노머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530g, 사슬이동제로서 1-도데칸티올 188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착수지 분산액(B)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각각 65℃ 및 70,000이었다. 9,700 g of styrene, 1,916 g of butyl acrylate, 370 g of 2-carboxyethyl acrylate and 226 g of 1,10-decanediol diacrylate, 5,075 g of distilled water, 226 g of a surfactant (Dowfax 2A1), 20 g of polyethylene glycol ethyl ether A binder resin dispersion (B)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1 except that 530 g of acrylate and 188 g of 1-dodecanethiol were used as a chain transfer agen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nder resin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in Production Example 1-1 were 65 ° C and 70,000, respectively.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착색제 분산액의 제조 2: Preparation of colorant dispersion

교반기, 온도계 및 콘덴서가 설치된 부피 5리터인 반응기에 시안 안료(ECB303, 일본의 대일정화주식회사 제품) 540g, 계면활성제(Dowfax 2A1) 27g 및 증류수 2,450g을 넣은 후, 10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시키면서 예비분산을 수행하였다. 10시간 동안의 예비분산을 수행한 후, 비즈밀(독일 Netzsch사, Zeta RS)을 사용하여 4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결과로서, 착색제 분산액을 얻었다.540 g of cyan pigment (ECB303, manufactured by Dainippon Ink & Chemicals, Inc.), 27 g of a surfactant (Dowfax 2A1) and 2,450 g of distilled water were placed in a reactor having a volume of 5 liter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Respectively. After performing the preliminary dispersion for 10 hours, it was dispersed for 4 hours using a bead mill (Zeta RS, Netzsch, Germany). As a result, a colorant dispersion was obtained.

분산 완료후, 멀티사이저 2000(Malvern사 제품)을 사용하여 시안 안료 입자의 입도를 측정한 결과, D50(v)가 170nm이었다. 여기서, D50(v)은 부피평균입경을 기준으로 50%에 해당되는 입경, 즉 입경을 측정하여 작은 입자부터 부피를 누적할 경우 총부피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After completion of the dispersion, the particle size of the cyan pigment particles was measured using Multisizer 2000 (manufactured by Malvern), and the D50 (v) was found to be 170 nm. Here, D50 (v) means a particle size corresponding to 50% based o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at is, a particle size corresponding to 50% of the total volume when accumulating the volume from the small particle by measuring the particle diameter.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왁스 분산액의 제조 3: Preparation of wax dispersion

교반기, 온도계 및 콘덴서가 설치된 부피 5 리터 반응기에 계면활성제 (Dowfax 2A1) 65g 및 증류수 1,935g을 투입한 후, 상기 혼합액을 95℃에서 약 2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왁스(일본 중경유지社, P-778) 1,000g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압력 토출형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일본 정밀기계)를 사용하여 30분간 분산시켰다. 결과로서, 왁스 분산액을 얻었다.65 g of a surfactant (Dowfax 2A1) and 1,935 g of distilled water were put into a 5-liter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condenser,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95 ° C for about 2 hours with stirring to obtain a wax (P- 778) were charged into the reactor. The mixed solution was dispersed for 30 minutes using a pressure discharge type homogenizer (Nihon Precision Machinery). As a result, a wax dispersion was obtained.

분산 완료 후, 멀티사이저 2000(Malvern사 제품)을 사용하여 분산된 왁스 입자의 입도를 측정한 결과, D50(v)이 200nm이었다.After completion of the dispersion, the particle size of the dispersed wax particles was measured using Multisizer 2000 (manufactured by Malvern), and the D50 (v) was found to be 200 nm.

실시예Example 1: 코어-제1 쉘-제2 쉘 구조의 토너 입자의 제조 1: Preparation of toner particles of core-first shell-second shell structure

(코어부 형성단계)(Core part forming step)

70 리터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A),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B),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착색제 분산액 및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을 투입한 다음, 25℃에서 약 15분간 1.21m/sec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응집제로서 PSI(Poly Silcato Iron)와 질산 수용액(농도=1.88wt%)의 혼합 용액(PSI/질산 수용액=1/2(중량비))을 첨가하고, 호모게나이저(IKA社, T-50)를 사용하여 25℃에서 10,000rpm의 교반속도로 30분간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시켰다. 이때, 상기 반응기 내용물의 pH는 1.6이었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3℃로 1차 승온시킨 다음, 140rpm으로 교반하여 토너 입자의 D50(v)이 5.3㎛가 될 때까지 응집을 계속하였다The binder resin dispersion (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1, the binder resin dispersion (B)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2, the colorant dispersion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2, and the preparation Example 3 ,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25 占 폚 for about 15 minutes at a stirring speed of 1.21 m / sec and mixed. A mixed solution (PSI / nitric acid aqueous solution = 1/2 (weight ratio)) of PSI (Poly Silcato Iron) and an aqueous nitric acid solution (concentration = 1.88 wt%) was added as a coagulant to the mixture and homogenized (IKA, 50) at 25 DEG C at a stirring rate of 10,000 rpm for 30 minutes. At this time, the pH of the contents of the reactor was 1.6.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elevated to 53 캜 for the first time,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140 rpm to continue aggregation until the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became 5.3 탆

(제1 셀부 형성단계)(First cell formation step)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 후,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A)을 30분에 걸쳐 투입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3℃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토너 입자의 D50(v)이 6.3㎛가 될 때까지 12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응집을 계속하였다.After the core portion forming step, the binder resin dispersion (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1 was added to the reactor over a period of 30 minutes. Thereafter, agitation was continued by stirring at a stirring speed of 120 rpm until the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became 6.3 탆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53 캜.

(제2 쉘부 형성단계)(Second shell portion forming step)

상기 제1 쉘부 형성단계 후,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B)을 20분에 걸쳐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의 온도를 53℃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토너 입자의 D50(v)이 6.8㎛가 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After the first shell part forming step, the binder resin dispersion (B)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2 was added to the reactor over a period of 20 minutes. Subsequently, stirring was continued until the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became 6.8 占 퐉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53 占 폚.

(후속단계)(Subsequent step)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 후, 상기 반응기에, 4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pH가 4가 될 때까지는 115rpm으로 교반시키고, pH가 7이 될 때까지는 100rpm으로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교반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기의 온도를 96℃로 2차 승온시켜 토너 입자가 합일되도록 하였다. 이후, FPIA-3000(sysmex사 제품, 일본 소재)을 이용하여 원형도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측정된 원형도가 0.980일 경우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냉각하고, 반응기 내용물의 pH를 9.0으로 조정하여 Nylon mesh (pore size: 16㎛)를 사용하여 토너 입자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된 토너 입자를 증류수로 4회 세척한 후, 1.88중량%의 질산 수용액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pH가 1.5인 혼합액으로 재세척하고, 이후 증류수로 4회 재세척하여 계면활성제 등을 모두 제거하였다. 이후, 세척이 완료된 토너 입자를 유동층 건조기에서 4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건조된 토너 입자를 얻었다. After the second shell part formation step, a 4 wt%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reactor,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115 rpm until the pH reached 4. When the pH was 7, the mixture was stirred at 100 rpm.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elevated to 96 캜 while maintaining the stirring speed, so that the toner particles were allowed to coalesce. Thereafter, when the circularity was measured using FPIA-3000 (manufactured by Sysmex, Japan), when the measured circularity was 0.980,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cooled to 40 ° C and the pH of the reactor contents was adjusted to 9.0 The separated toner particles were washed four times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mixed with an aqueous nitric acid solution of 1.88 wt%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toner having a pH of 1.5 ,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our times to remove all of the surfactant and the like. Thereafter, the washed toner particles were dried in a fluid bed drier at a temperature of 40 캜 for 5 hours to obtain dried toner particle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코어-쉘 구조의 토너 입자의 제조 1: Preparation of toner particles of core-shell structure

(코어부 형성단계)(Core part forming step)

70 리터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A),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B),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착색제 분산액 및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을 투입한 다음, 25℃에서 약 15분간 1.21m/sec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응집제로서 PSI(Poly Silcato Iron)와 질산 수용액(농도=1.88wt%)의 혼합 용액(PSI/질산 수용액=1/2(중량비))을 첨가하고, 호모게나이저(IKA社, T-50)를 사용하여 25℃에서 10,000rpm의 교반속도로 30분간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시켰다. 이때, 상기 반응기 내용물의 pH는 1.6이었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3℃로 1차 승온시킨 다음, 140rpm으로 교반하여 토너 입자의 D50(v)이 5.3㎛가 될 때까지 응집을 계속하였다The binder resin dispersion (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1, the binder resin dispersion (B)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2, the colorant dispersion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2, and the preparation Example 3 ,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25 占 폚 for about 15 minutes at a stirring speed of 1.21 m / sec and mixed. A mixed solution (PSI / nitric acid aqueous solution = 1/2 (weight ratio)) of PSI (Poly Silcato Iron) and an aqueous nitric acid solution (concentration = 1.88 wt%) was added as a coagulant to the mixture and homogenized (IKA, 50) at 25 DEG C at a stirring rate of 10,000 rpm for 30 minutes. At this time, the pH of the contents of the reactor was 1.6.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elevated to 53 캜 for the first time,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140 rpm to continue aggregation until the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became 5.3 탆

(셀부 형성단계)(Cell formation step)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 후,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A) 및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결착수지 분산액(B)을 30분에 걸쳐 투입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3℃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토너 입자의 D50(v)이 6.8㎛가 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After the core portion forming step, the binder resin dispersion (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1 and the binder resin dispersion (B)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2 were added to the reactor over 30 minutes. Thereafter, stirring was continued until the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became 6.8 탆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53 캜.

(후속단계)(Subsequent step)

상기 쉘부 형성단계 후, 상기 반응기에, 4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pH가 4가 될 때까지는 115rpm으로 교반시키고, pH가 7이 될 때까지는 100rpm으로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교반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기의 온도를 96℃로 2차 승온시켜 토너 입자가 합일되도록 하였다. 이후, FPIA-3000(sysmex사 제품, 일본 소재)을 이용하여 원형도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측정된 원형도가 0.980일 경우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냉각하고, 반응기 내용물의 pH를 9.0으로 조정하여 Nylon mesh (pore size: 16㎛)를 사용하여 토너 입자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된 토너 입자를 증류수로 4회 세척한 후, 1.88중량%의 질산 수용액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pH가 1.5인 혼합액으로 재세척하고, 이후 증류수로 4회 재세척하여 계면활성제 등을 모두 제거하였다. 이후, 세척이 완료된 토너 입자를 유동층 건조기에서 4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건조된 토너 입자를 얻었다.After the shell part formation step, a 4 wt%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was added to the reactor,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115 rpm until the pH reached 4. The mixture was stirred at 100 rpm until the pH reached 7.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elevated to 96 캜 while maintaining the stirring speed, so that the toner particles were allowed to coalesce. Thereafter, when the circularity was measured using FPIA-3000 (manufactured by Sysmex, Japan), when the measured circularity was 0.980,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cooled to 40 ° C and the pH of the reactor contents was adjusted to 9.0 The separated toner particles were washed four times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mixed with an aqueous nitric acid solution of 1.88 wt% in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toner having a pH of 1.5 ,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our times to remove all of the surfactant and the like. Thereafter, the washed toner particles were dried in a fluid bed drier at a temperature of 40 캜 for 5 hours to obtain dried toner particles.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성분들의 함량, 및 최종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최종 결착수지는 결착수지(A), 결착수지(B) 또는 이들의 혼합물(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최종 결착수지가 상기 결착수지(A)와 상기 결착수지(B)의 혼합물인 경우, 상기 결착수지 분산액(A) 및 상기 결착수지 분산액(B)의 혼합액을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결착수지 분산액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 결착수지 분산액을 건조시켜 건조된 혼합 결착수지를 얻은 다음, 상기 건조된 혼합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최종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로 기록하였다. 상기 최종 결착수지가 상기 결착수지(A) 및 상기 결착수지(B)의 혼합물인 경우, 상기 최종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결착수지(A)와 상기 결착수지(B)의 혼합 비율에 따라 결착수지(A)의 중량평균분자량(45,000)과 결착수지(B)의 중량평균분자량(70,000)을 가중평균하여 얻었다.The contents of the components us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binder resin are shown in Table 1 below. Here, the final binder resin may be a binder resin (A), a binder resin (B), or a mixture thereof (mixed at the ratios us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hen the final binder resin is a mixture of the binder resin (A) and the binder resin (B), a mixture of the binder resin dispersion (A) and the binder resin dispersion (B) is used in each of the above- To prepare a mixed binder resin dispersion, drying the mixed binder resin dispersion to obtain a dried mixed binder resin, and measur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dried mixed binder resin to measu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nal binder resin Transition temperature. When the final binder resin is a mixture of the binder resin (A) and the binder resin (B),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binder resin depends on the mixing ratio of the binder resin (A) and the binder resin (B)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45,000) of the binder resin (A)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70,000) of the binder resin (B) were weighted averages.

결착수지 분산액
(A)(g)
Binder resin dispersion
(A) (g)
결착수지 분산액
(B)(g)
Binder resin dispersion
(B) (g)
최종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캜) of the final binder resin 최종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binder resin 착색제 분산액
(g)
Colorant dispersion
(g)
왁스 분산액(g)Wax dispersion (g) 응집제
(g)
Coagulant
(g)
실시예 1Example 1 코어부 형성단계Step of forming core part 7,6907,690 690690 5858 47,05847,058 670670 860860 3,8203,820 제1 쉘부 형성단계The first shell part forming step 2,9102,910 00 5757 45,00045,000 670670 860860 00 제2 쉘부 형성단계The second shell part forming step 00 270270 6565 70,00070,000 00 00 0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코어부 형성단계Step of forming core part 7,6907,690 690690 5858 47,05847,058 1,3401,340 1,7201,720 3,8203,820 쉘부 형성단계Shell part formation step 2,9102,910 270270 5858 47,12247,122 00 00 00

토너입자의 The toner particles 부피평균입경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 D50D50 (v)) 측정(v)) measurement

벡크만사(Beckman Coulter Inc.)의 멀티사이저(Multisizer™ 3 Coulter Counter®를 사용하여 토너입자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측정하였다. 상기 멀티사이저에서 애퍼처(aperture)는 100㎛을 이용하고, 전해액인 ISOTON-II(Beckman Coulter사) 50~100ml에 계면활성제(Dowfax 2A1)를 적정량 첨가하고, 여기에 측정 시료 10~15mg을 첨가한 후 초음파 분산기에 5분간 분산 처리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Beckman everything between the multi (Beckman Coulter Inc.) low (Multisizer ™ 3 Coulter Counter ® was determined us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v)) of the toner particles. Ke in that between the multi-aperture (aperture) 100 (Dowfax 2A1) was added in an appropriate amount to 50-100 ml of ISOTON-II (Beckman Coulter Co.), which was an electrolytic solution, 10 to 15 mg of a test sample was added thereto and dispersed in an ultrasonic disperser for 5 minutes to prepare a sample .

토너 입자의 원형도 측정Measurement of circularity of toner particles

FPIA-3000(Sysmex사 제품, 일본 소재)을 이용하여 토너 입자의 원형도(circularity)를 측정하였다. FPIA-3000을 이용한 원형도 측정에 있어서 측정 시료의 제조는 증류수 50~100ml에 계면활성제(Dowfax 2A1)를 적정량 첨가하고, 여기에 토너 입자 10~20mg을 첨가한 후 초음파 분산기에서 1분간 분산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졌다. The circularity of the toner particles was measured using FPIA-3000 (manufactured by Sysmex, Japan). In the roundness measurement using FPIA-3000, a measurement sample was prepared by adding a proper amount of a surfactant (Dowfax 2A1) to 50 to 100 ml of distilled water, adding 10 to 20 mg of toner particles thereto, and dispersing the dispersion in an ultrasonic disperser for 1 minute .

원형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FPIA-3000에서 자동으로 구해진다.The circularity is automatically obtained from FPIA-3000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원형도(circularity) = 2×(면적×π)1/2/페리미터Circularity = 2 占 (area 占 π) 1/2 / perimeter

상기 식에서 면적(area)은 투영된 토너의 면적을 의미하고, 페리미터(perimeter)는 투영된 토너의 둘레 길이를 의미한다. 이 값은 0~1 값을 가질 수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구형을 의미하게 된다.In the above equation, the area means the area of the projected toner, and the perimeter mean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projected toner. This value can have a value from 0 to 1, and the closer to 1, the more spherical.

평가예Evaluation example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의 정착 특성 및 기계적 강도를 아래와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7에 각각 나타내었다.The fixing characteristics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evaluat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 to 7, respectively.

(정착 특성 평가)(Evaluation of fixing property)

레오미터(TA Instrument, ARES-G2)를 이용하여 상기 각 토너의 온도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변화 및 손실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여기서, 측정 시료로는 토너 분말을 사용하였다.The change in the storage modulus and the change in the loss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each toner were measured using a rheometer (TA Instrument, ARES-G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Here, toner powder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온도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변화 및 손실탄성률의 변화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정착 특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2 and 3,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showed almost the same change in storage modulus and loss modulus as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has almost the same level of fixing properties as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

(기계적 강도 평가)(Mechanical strength evaluation)

동력학 측정장치(Hysitron, nanoDMA®)를 이용하여 상기 각 토너의 주파수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변화 및 손실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여기서, 측정시료로서 1개의 토너 입자를 사용하였다. Dynamic measurement apparatus by using the (Hysitron, nanoDMA ®) measuring a change in variation,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of storage elastic modulus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each of the toner, respectively, are shown the results in Figs. Here, one toner particle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 비해 주파수에 따른 저장탄성률의 증가폭이 크며, 동일 주파수에서는 크거나 같은 저장탄성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4,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has a larger increase in storage modulus than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equal to or greater at the same frequency.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 비해 약 80Hz까지는 동일 주파수에서 크거나 같은 손실탄성률을 갖지만, 약 80Hz 이상에서는 동일 주파수에서 작은 손실탄성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5,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has a loss elastic modulus that is greater or equal to about 80 Hz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but has a loss elastic modulus at the same frequency at about 80 Hz or more appear.

또한, 동력학 측정장치(Hysitron, nanoDMA®)를 이용하여 상기 각 토너의 응력 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각각 나타내었다. 여기서, 토너 입자 1개당 1개의 응력 변형 곡선을 얻었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서 선택된 2개의 토너 입자 각각의 응력 변형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서 선택된 3개의 토너 입자 각각의 응력 변형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곡선의 기울기는 영률(Young's modulus)을 의미한다.In addition, using a dynamic measuring device (Hysitron, nanoDMA ®) to measure the stress-strain curve (stress-strain curve) of each toner, it was respectively shown in Figs. 6 and 7 the results. Here, one strain curve was obtained per one toner particle. 6 is a view showing a stress deformation curve of each of the two toner particles selected in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Fig. 7 is a view showing a stress deformation curve of each of the three toner particles selected in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to be. 6 and 7, the slope of the curve means Young's modulu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 비해 영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6 and 7,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has a higher Young's modulus than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도 4 내지 도 7의 결과를 종합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토너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토너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4 to 7, it can be seen that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 is superior in mechanical strength to the tone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sugges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토너 11: 코어부
12: 제1 쉘부 13: 제2 쉘부
10: Toner 11: Core part
12: first shell part 13: second shell part

Claims (8)

Mw1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1 결착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
Mw2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2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제1 쉘부; 및
Mw3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제3 결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 상기 제1 쉘부 및 상기 제2 쉘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부분은 착색제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Mw1, 상기 Mw2 및 상기 Mw3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토너:
Mw2 < Mw1 < Mw3.
A core portion comprising a first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1 & gt ;;
A secon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2 & gt ;; a first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And
A third bind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w &lt; 3 & gt ;, and a second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por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re portion, the first shell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lorant and wax,
Mw 1 , Mw 2 and Mw 3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Mw 2 &lt; Mw 1 &lt; Mw 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은 42,000~55,000이고, 상기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은 24,000~45,000이고, 상기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55,000~79,000인 토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Mw 1) is 42,000 ~ 55,000, and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binder resin (Mw 2) is 24,000 ~ 45,000,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said third binder resin (Mw 3 ) Is from 55,000 to 79,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상기 제1 결착수지 70~90중량부, 상기 제2 결착수지 5~25중량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1~6중량부를 포함하는 토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er comprises 7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5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nd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third binder resin.
반응기에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및 응집제를 투입한 다음, 반응기 내용물을 1차 승온시켜 토너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토너 코어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토너 코어부를 둘러싸는 제1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쉘부를 함유하는 반응기 내용물에 제3 결착수지 분산액을 더 첨가하여 상기 제 1 쉘부를 둘러싼 제2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를 거친 반응기 내용물을 2차 승온시켜 합일된 토너 입자를 얻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20)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반응기에 착색제 분산액 및 왁스 분산액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액을 더 투입하며,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1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1),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2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2),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에 포함된 제3 결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3)은 하기 식을 만족하는 토너의 제조방법:
Mw2 < Mw1 < Mw3.
(S10) of adding a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a coagulant to a reactor, and then firstly raising the contents of the reactor to form a toner core portion;
(S20) forming a first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toner core portion by further adding a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to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toner core portion;
(S30) forming a second shell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hell portion by further adding a third binder resin dispersion to the reactor contents containing the first shell portion; And
And a step (S40) of obtaining the combined toner particles by secondarily raising the contents of the reactor through the second shell part forming step,
At least one of the colorant dispersion and the wax dispersion is further added to the reactor in at least one of steps (S10) and (S2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1 ) of the first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2 ) of the second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3 ) of the third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toner particles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Mw 2 < Mw 1 < Mw 3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1 결착수지 분산액 대신에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및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을 함께 투입하고, 이 경우, 상기 Mw1는 상기 제2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2 결착수지 및 상기 제3 결착수지 분산액 중 제3 결착수지의 투입량 비율에 따라 상기 Mw2와 상기 Mw3를 가중평균하여 얻어진 값인 토너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S10), wherein the first binder resin dispersion in place of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and In the second with a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liquid in the reactor, and in this case, the Mw 1 is of the second binder resin dispersion Wherein the Mw 2 and the Mw 3 are values obtained by weighted averages of Mw 2 and Mw 3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amounts of the second binder resin and the third binder resin in the third binder resin disper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승온은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에 투입된 제1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2~20℃ 낮은 온도까지 진행되는 토너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imary temperature elevation progresses to a temperature 2 to 20 占 폚 low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binder resin injected into the core portion forming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승온은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에 첨가된 제3 결착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40℃ 높은 온도까지 진행되는 토너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ary increase in temperature progresses to a temperature 10 to 40 캜 high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to the second shell part forming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 형성단계(S10)에 첨가되는 상기 제1 결착수지의 함량, 상기 제1 쉘부 형성단계(S20)에 첨가되는 상기 제2 결착수지의 함량, 및 상기 제2 쉘부 형성단계(S30)에 첨가되는 상기 제3 결착수지의 함량은 각각 70~90중량부, 5~25중량부 및 1~6중량부인 토너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of the first binder resin added to the core forming step (S10), the content of the second binder resin added to the first shell forming step (S20), and the second shell forming step (S30) Wherein the content of the third binder resin added is 70 to 90 parts by weight, 5 to 25 parts by weight and 1 to 6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KR1020130169394A 2013-12-31 2013-12-31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171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94A KR102171244B1 (en) 2013-12-31 2013-12-31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94A KR102171244B1 (en) 2013-12-31 2013-12-31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340A true KR20150080340A (en) 2015-07-09
KR102171244B1 KR102171244B1 (en) 2020-10-29

Family

ID=537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94A KR102171244B1 (en) 2013-12-31 2013-12-31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24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27B1 (en) * 2006-01-05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toner and toner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20090022034A (en) * 2007-08-29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toner and toner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20130016669A (en) * 2011-08-08 2013-02-1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30037075A (en) * 2011-10-05 2013-04-15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30056673A (en) * 2011-11-22 2013-05-3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27B1 (en) * 2006-01-05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toner and toner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20090022034A (en) * 2007-08-29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toner and toner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KR20130016669A (en) * 2011-08-08 2013-02-1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30037075A (en) * 2011-10-05 2013-04-15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30056673A (en) * 2011-11-22 2013-05-3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244B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3390B (en) To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2563210A1 (en) Emulsion aggregation toner incorporating aluminized silica as a coagulating agent
KR20100079830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KR20110068636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KR20090031016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CN104185818B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KR20150080340A (en)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5586424B2 (en) Toner process using antifoaming agent as coalescing aid for continuous emulsion aggregation or batch emulsion aggregation
JP6337839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71245B1 (en)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130152B1 (en)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849751B1 (en)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10091371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KR20110091373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KR101847877B1 (en) Method for preparing eco-friendly toner and eco-friendly toner prepared by the method
KR20150078915A (en) Method of preparing toner
JP5818609B2 (en) toner
JP2591775B2 (en) Positively chargeable color toner
KR20110091370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KR20100115148A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KR20150079277A (en) Method of controlling physical property of toner
KR101847879B1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and toner
KR101834898B1 (en) Method for preparing toner
US20110269067A1 (en) Method of preparing toner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KR102183892B1 (en)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having excellent positively charging properti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