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215A -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15A
KR20150080215A KR1020130168225A KR20130168225A KR20150080215A KR 20150080215 A KR20150080215 A KR 20150080215A KR 1020130168225 A KR1020130168225 A KR 1020130168225A KR 20130168225 A KR20130168225 A KR 20130168225A KR 20150080215 A KR20150080215 A KR 2015008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evaluation
type
construction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174B1 (ko
Inventor
한승헌
이강욱
장우식
이중기
유기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1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기업 역량 평가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및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진출 유형 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ADVANCEMENT STRATEGY FOR SUPER LONG SPAN BRIDGE PROJECTS}
본 발명은 건설 사업성 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의 사업성 평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장대 교량은 대체로 주경간장 길이 1000 m 이상의 사장교와 현수교를 의미한다.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시장은 2000년 이후 매력적인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및 해외에서 초장대 교량 건설 시장은 50 조원 규모로 팽창하였고, 교량 건설 분야의 프로젝트 관리와 리스크 관리 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초장대 교량 건설 시장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초장대 교량의 설계와 시공 상의 리스크 요인들의 분석과 개선 방안에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초장대 교량의 엔지니어링-조달-건설(EPC) 단계에서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
반면에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에 어떤 형태로 사업에 진출할 것인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프로젝트의 규모와 재무적 난점, 시공의 불확실성 때문에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는 민관협동 파트너쉽(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방식으로 추진된다.
그러나, 업체의 입장에서 프로젝트 진출 유형은 예를 들어 10 가지 정도의 선택 가능한 옵션이 있고 진출 유형에 따라 예상 성과가 달라지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진출 유형을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업체의 입장에서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에 진출할 유형을 도출하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진출 유형들 중에서 내부적 역량과 외부적 환경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객관적 지표에 기초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기업 역량 평가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및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진출 유형 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 및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는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스크 요인들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외부적 리스크군과,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는,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 및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는,
상기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 및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는,
각 부문 별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출 유형 판정부는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에 할당하고,
내부적 지표와 외부적 지표의 값들에 따른 평면 상의 좌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은,
기업 역량 평가부,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및 진출 유형 판정부를 포함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을 이용한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으로서,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진출 유형 판정부가,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스크 요인들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외부적 리스크군과,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 부문 별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는,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에 할당하고, 내부적 지표와 외부적 지표의 값들에 따른 평면 상의 좌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진출 유형들 중에서 내부적 역량과 발주국 상황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진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최대한 객관적 지표에 기초하여 진출 유형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설계 관점 기업 역량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시공 부문 기업 역량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리스크 중 외부적 리스크 요인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리스크 중 내부적 리스크 요인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발주국 매력도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기업 역량 평가,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 및 발주국 매력도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제안되는 최종 진출 유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10)은 기업 역량 평가부(20),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 및 진출 유형 판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업 역량 평가부(20)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한다.
설계 부문은 계획설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와 함께, 개념설계와 시공 단계에서의 설계 변경을 모두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기술적 역량은 설계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의미하고, 관리적 역량은 설계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업무 활동에 대하여 방침을 결정하고 조직하고 운영하며 계획, 통제 및 조정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시공 부문의 기술적 역량은 시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의미하고, 관리적 역량은 시공계획을 포함하여 계획에 따라 공사를 진행하고 통제 및 조정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업 역량 평가부(20)는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21)와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21)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설계 부문 기업 역량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계 부문의 기술적 역량 평가 항목들은 교량 계획 및 개념 설계 역량, 고주탑 설계 역량, 대형 해상기초 설계 역량, 케이블 최적화 설계 역량, 보강형 최적화 설계 역량, 도로 및 포장 설계 역량, 내풍/내진 설계 역량, 국제 설계 기준 활용 역량, 도로-철도교 혼합방식 설계 역량, 경제성 분석 역량, 친환경 경관계획 기술 역량, 문서화 역량, 업무 신속성 역량을 포함한다.
이어서, 설계 부문의 관리적 역량 평가 항목들은 입찰정보 취득 역량, 금융조달 역량, 현금흐름 관리 역량, 해외사업 경험인력 보유 수준, 설계 관리 역량, 리스크관리 역량, 조직관리 역량, 계약관리 역량, 클레임 및 협상 역량을 포함한다.
한편, 설계 부문 역량 평가 시에, 리스크 요인 평가와 유사하게, 평가 항목들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량 계획 및 개념설계 역량은 가중치가 가장 높은 "매우 중요함"으로 부여되는 반면에, 도로-철도교 혼합방식 설계 역량은 가중치가 "보통"으로 부여된다.
나아가, 설계 부문의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과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가중 평균 또는 가중 합산되어 설계 부문 역량 지표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부문 역량 지표 중에서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의 비중이 60%,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의 비중이 40%가 되도록 각각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22)는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시공 부문 기업 역량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시공 부문의 기술적 역량 평가 항목들은 주탑기초 시공능력, 주탑 시공능력, 경간 시공능력, 케이블 시공능력, 앵커리지 시공능력, IT 기술 활용 역량, 도로-철도교 혼합방식 시공능력, 문서화 역량, 업무 신속성 역량을 포함한다.
이어서, 시공 부문의 관리적 역량 평가 항목들은 입찰정보 취득 역량, 금융조달 역량, 계약관리 역량, 현금흐름 관리 역량, 해외사업 경험인력 보유 수준, 리스크관리 역량, 조직관리 역량, 기동성(mobilization) 역량, PM(project management)/CM(construction management) 역량, 클레임 및 협상 역량, 현장관리 역량을 포함한다.
한편, 시공 부문 역량 평가 시에도, 평가 항목들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탑기초 시공역량은 가중치가 가장 높은 "매우 중요함"으로 부여되는 반면에, 도로-철도교 혼합방식 시공 역량은 가중치가 "보통"으로 부여된다.
나아가, 시공 부문의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과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가중 평균 또는 가중 합산되어 시공 부문 역량 지표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부문 역량 지표 중에서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의 비중이 60%,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의 비중이 40%가 되도록 각각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기업 역량 평가는 일종의 자가 진단이기 때문에, 그 평가 항목들은 절대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고 얼마든지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기업 역량 평가부(20)는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21)에서 산출된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22)에서 산출된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부문 역량 지표에 0.7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시공 부문 역량 지표에 0.3의 가중치를 부여한 다음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는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한다.
전체 리스크 요인들은 예를 들어 크게 외부적 리스크군과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적 리스크군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적 리스크군은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는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1)와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1)는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의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2)는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의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는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1)에서 산출된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32)에서 산출된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7 개 리스크들로 구성된 외부적 리스크군과 4 개 리스크로 구성된 내부적 리스크군에 상응하는 11개 부문의 63개 리스크 요인들을 예시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리스크 중 외부적 리스크군의 리스크 요인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4에서, 예를 들어 외부적 리스크군의 발주국 리스크에 있어서, 정치, 경제, 사회 전쟁 등 불안한 정국 수준, 부정부패 및 비리 수준, 법과 규칙의 잦은 변경 수준, 전반적인 건설제도 미흡 수준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발주국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발주자 리스크에 있어서, 발주자의 사업관리 능력, 발주자 제공 설계 및 설계도서 수준, 발주자 예산의 안정성, 행정처리 및 인허가 관련 지연, 계약 이외의 부당한 요구조건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발주자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물리적 리스크에 있어서, 지리적 접근성, 교통, 수도, 전기 등의 활용성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물리적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사회환경 리스크에 있어서, 문화, 관습, 관례의 이질성, 민원 수준, 생활 및 근무 환경, 해당 사업의 사회적 공감대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사회환경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재무적 리스크에 있어서, 인건비 단가의 변동성, 재료비 단가의 변동성,장비비 단가의 변동성, 원화 가치의 변동성, 현지화 가치의 변동성, 금리의 변동성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재무적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리소스 리스크에 있어서, 인력 수준 및 조달 여건, 자재 수준 및 조달 요건, 장비 수준 및 조달 여건, 협력업체 수준 및 수급 여건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리소스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계약 리스크에 있어서, 입찰 준비 기간 수준, 총 공사 기간 수준, 현지 인력 사용 의무화 수준, 과실송금 규제 수준, 세금 및 관세 조항의 적정성, 물가 인상 조항의 적정성, 보증 조항의 적정성, 지급조건 조항의 적정성, 설계오류 조항의 적적성, 지체보상금 조항의 적정성, 지급환률 조항의 적정성, 클레임 및 중재 조항의 적정성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계약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리스크 중 내부적 리스크군의 리스크 요인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5에서, 예를 들어 내부적 리스크군의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에 있어서, 프로젝트 책임자의 리더쉽, 본사의 현장조직 지원 수준, 조직원 간 상호신뢰 수준, 조직원 간 의사소통 수준, 현장 노사관리 능력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에 있어서, 현금흐름 관리 능력, 공기관리 능력, 품질관리 능력, 리소스 관리 능력, 현지인력 교육 능력, 클레임 및 협상 능력, 계약관리 능력, IT 기반의 시공 및 유지관리 능력, 협력업체관리 능력, HSE 관리 능력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현지화 수준 리스크에 있어서, 입찰정보 취득 수준, 프로젝트 책임자의 현지 사업 경험 수준, 프로젝트 엔지니어의 현지사업 경험 수준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현지화 수준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에 있어서, 설계 및 설계 관리 능력, 공사비 견적 능력, 기동성 능력, 신기술 수행 능력, 일반기술 수행 능력의 평가 항목들에 관하여, 각각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기초하여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값이 결정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는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한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는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41),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42) 및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의 평가 항목들을 예시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발주국 매력도 평가 항목들 및 그 평가 결과를 예시한 표이다.
도 6에서,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41)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시장 성장세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각각 단기 시장 전망, 예를 들어 향후 5년 간의 교통 시장 연평균 성장률과, 장기 시장 전망, 예를 들어 향후 10년 간의 교통 시장 연평균 성장률 및 과거 교통 시장 변동성, 예를 들어 최근 10년 간의 시장 변동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장 규모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교통 시장 규모, 본국 기업 매출 비중을 포함할 수 있다.
경쟁 강도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주요 국가의 주요 업체들 중 대상 국가에 진출한 업체 수와 본국 업체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은 예를 들어 GI(Global Insight), 해외 건설 협회, ENG(Engineering News Record)와 같은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발표되는 객관적 자료를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41)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42)는 제도 성숙도 부문, 사업 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제도 성숙도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각각 세계 통치 지수(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 WGI) 상의 상위 백분율, 국민 여론 반영도, 정치적 안정성, 행정부 사무처리 능력, 법/규제의 완성도, 국민의 준법 정신 및 행정부의 관료 부패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항목들은 객관적인 지표 산출을 위해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매년 발표하는 세계 통치 지표(WGI)를 참조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한편, 세계 통치 지표(WGI)는 각 국가마다 민권 및 언론자유도(voice and accountability), 정치적 안정성(political stability and absence of violence), 정부의 효율성(government effectiveness), 법 및 규제의 완성도(regulatory quality), 준법 수준(rule of law) 및 부패의 통제(control of corruption)의 항목에서 각각 -2.5(취약)에서 +2.5(우수)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는 정보로서, 세계은행의 홈페이지로부터 스프레드시트 파일로 획득할 수 있다.
사업 수행 용이도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사업환경지표(Doing Business Indicator, DBI)의 상위 백분율, 사업착수 순위, 건설 인허가 순위, 전기가용성 순위, 부동산등록 순위, 신용획득 순위, 투자자보호 순위, 세금지불 순위, 국가간 무역 순위, 계약 준수 순위 및 파산해결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항목들은 객관적인 매력도 평가 결과의 산출을 위해 세계은행(World Bank)과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에서 공동으로 세계 185 개국의 사업 용이성에 관하여 매년 발표하는 사업환경 지표(DBI)와 함께 제공되는 순위값들을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사업환경 지표(DBI)는 각국의 기업 활동 관련 법규정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하여 주재국의 현 기업 환경과 타국과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하며, 기업의 설립(starting a business), 건설 인허가(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전력 수급(getting electricity), 재산권 등록(registering property), 금융 접근성(getting credit), 투자자 보호(protecting investors), 세금 지불(paying taxes), 국제 무역(trade across borders), 계약 이행(enforcing contracts), 부채 해결(resolving insolvency)의 총 10 가지 항목에 대한 개별적 평가와 순위, 종합 순위를 제공한다. 이 평가 값들 또는 그 순위는 각 항목들의 평가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간 상대 비교는 가능하지만 절대적 수준의 판단이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은행은 가장 사업이 용이한(best performance) 국가와 특정 국가 사이의 점수 격차를 0부터 100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는 선두 국가 대비 격차값(DF)을 함께 제공한다.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은 예를 들어 건설업체들의 부도율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렇듯,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은 예를 들어 세계은행이나 국제금융공사와 같은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발표되는 객관적 자료를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42)는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43)는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전체 건설 사업의 평균 수익률, 교통 사업의 평균 수익률 및 100억 원 이상 교통 사업의 평균 수익률의 평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전체 건설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토목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의 평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의 평가 항목들은 전체 건설사업 중 적자공사 비율 및 토목 사업 중 적자공사 비율의 평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은 예를 들어 해외 건설 협회와 같은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발표되는 객관적 자료를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43)는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한편,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는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41),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42) 및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43)의 각각에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진출 유형 판정부(50)는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내부적 지표와 외부적 지표는 각각 독립적이라고 간주하고,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사업 주도형(Integrated Joint Venture)은 프로젝트 지분을 충분히 확보하여 소유권을 가지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경영하는 진출 유형으로서, 가장 큰 매출과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에 리스크가 가장 크고 손실도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기업역량이 높고 리스크 수준이 낮으면서 발주국 매력도가 높아야 사업 주도형이 적합하다.
현지 제휴형(Local Agent Alliance)은 발주국이 후진국이거나 개발도상국일수록 현지 기업과 제휴가 의무적인 경우가 많은데, 발주국에 대한 이해와 사업기초가 부족할 때에도 적절한 진출 형태이다. 따라서, 기업역량이 충분하더라도 발주국 매력도가 낮으면 발주국 내의 현지 기업에 의해 낮은 매력도에 의한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현지 제휴형이 적합하다.
기술 제휴형(Licensing)은 일정한 로열티를 대가로 기술을 상대 기업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력 관계를 맺는 진출 형태이다. 특정 부문에서 기업 역량이 뛰어나더라도 전반적인 기업역량이 부족하면서 발주국 매력도도 낮은 경우에 기술 제휴형이 적합하다.
지분 참여형(Joint Venture)은 2 개 이상의 기업이내 기관이 영구적 기반을 가진 특정 기업체를 설립하여 공동으로 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서로 지분을 가진 상대방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고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는 상호 이익적 투자방식이다. 내부적으로 기업 역량이 부족하고 프로젝트 리스크는 높지만 외부적으로 발주국 매력도가 높을 경우에 적합하다.
예시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에서 기업 역량 지표,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 및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하여 제안되는 최종 진출 유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예를 들어, 제1 사분면과 같이, 내부적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고, 외부적 지표도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면 스스로 프로젝트의 주관 업체가 되는 사업 주도형이 적합할 것이다.
반면에, 제2 사분면과 같이, 내부적 지표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발주국의 외부적 지표가 상대적으로 불안하다면 프로젝트에 참여한 현지 업체와 제휴하는 현지 제휴형이 적합할 것이다.
제3 사분면의 경우에는, 내부적 지표도 낮고 외부적 지표도 낮은 경우로서, 기술만 제공하는 기술 제휴형이 적합할 수 있다.
제4 사분면의 경우에는, 내부적 지표는 낮지만 외부적 지표가 높은 경우로서, 지분 참여 기관들끼리 리스크를 분담하고 장점을 공유할 수 있는 지분 참여형이 적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기업 역량 평가부(20),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 및 진출 유형 판정부(50)를 포함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10)을 이용한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은, 단계(S81)에서, 기업 역량 평가부(20)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기업 역량 평가부(20)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설계 부문의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과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가중 평균 또는 가중 합산되어 설계 부문 역량 지표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기업 역량 평가부(20)가,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시공 부문의 기술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과 관리적 역량의 부분 산출 값도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가중 평균 또는 가중 합산되어 시공 부문 역량 지표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기업 역량 평가부(20)는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82)에서,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한다.
전체 리스크 요인들은 예를 들어 크게 외부적 리스크군과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적 리스크군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적 리스크군은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의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가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의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30)는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83)에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가,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또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가,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또한,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가,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예를 들어 매우 부정적, 부정적, 보통, 긍정적 및 매우 긍정적 중 하나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한다.
한편,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40)는 각 부문 별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84)에서, 진출 유형 판정부(50)가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진출 유형 판정부(50)가,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진출 유형들 중에서 내부적 역량과 발주국 상황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진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20 기업 역량 평가부
21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
22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
30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31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
32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
40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41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
42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
43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
50 진출 유형 판정부

Claims (16)

  1.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기업 역량 평가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및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진출 유형 판정부를 포함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설계 부문 역량 평가부; 및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시공 부문 역량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는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요인들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외부적 리스크군과,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는,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외부적 리스크군 평가부; 및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내부적 리스크군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는,
    상기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시장 진출 기회 평가부;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사업 수행 환경 평가부; 및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기대 수익 성과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는,
    각 부문 별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출 유형 판정부는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에 할당하고,
    내부적 지표와 외부적 지표의 값들에 따른 평면 상의 좌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8.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으로 동작시키도록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독출될 수 있는 기록 매체.
  9. 기업 역량 평가부,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 및 진출 유형 판정부를 포함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을 이용한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은,
    상기 기업 역량 평가부가,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과,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평가부가, 건설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들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발주국 매력도 평가부가, 발주국에 대한 시장 진출 기회, 사업 수행 환경 및 기대 수익 성과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에 기초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진출 유형 판정부가, 기업 역량 지표 및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에 기초한 내부적 지표와 발주국 매력도 지표에 기초한 외부적 지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계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계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시공 부문에서 해당 업체의 선두 기업에 대비한 상대적인 기술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 및 관리적 역량의 평가 항목들을 가중 합산하여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설계 부문 역량 지표와 시공 부문 역량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기업 역량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요인들은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외부적 리스크군과,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크 요인을 포함하는 내부적 리스크군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발주국 리스크, 발주자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사회환경 리스크, 재무적 리스크, 리소스 리스크 및 계약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조직관리 능력 리스크, 공사관리 능력 리스크, 현지화 수준 리스크 및 공사기술 능력 리스크 중 적어도 두 평가 항목들의 가중치, 영향도 및 발생 확률에 따라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적 리스크군 지표와 내부적 리스크군 지표를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시장 성장세 부문, 시장 규모 부문 및 경쟁 강도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제도 성숙도, 사업수행 용이도 및 건설시장 리스크 수준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과거 사업의 평균 수익률, 과거 사업의 수익률 변동성 및 과거 적자공사 비율 부문에서, 각 부문의 평가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정량화된 평가 수치들이 속하는 소정의 평가 구간에 따라, 등간척도로 각 부문 별로 매력도 평가 결과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 부문 별로 산출된 매력도 평가 결과들에 대해 평균, 가중 평균, 합산 또는 가중 합산하여 발주국 매력도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는,
    내부적 지표를 가로축으로 하고 외부적 지표를 세로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평면의 사분면들의 각각을 제1 사분면부터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에 할당하고, 내부적 지표와 외부적 지표의 값들에 따른 평면 상의 좌표에 따라, 사업 주도형, 현지 제휴형, 기술 제휴형 또는 지분 참여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출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
  16. 컴퓨터에서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독출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68225A 2013-12-31 2013-12-31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225A KR101567174B1 (ko) 2013-12-31 2013-12-31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225A KR101567174B1 (ko) 2013-12-31 2013-12-31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15A true KR20150080215A (ko) 2015-07-09
KR101567174B1 KR101567174B1 (ko) 2015-11-10

Family

ID=5379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225A KR101567174B1 (ko) 2013-12-31 2013-12-31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79B1 (ko) * 2016-05-27 2017-02-1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102802B1 (ko) * 2019-08-26 2020-04-22 최종철 공사-용역사업에 관한 온라인 공개입찰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2132514A (zh) * 2020-09-24 2020-12-2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物资采购的评估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79B1 (ko) * 2016-05-27 2017-02-1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102802B1 (ko) * 2019-08-26 2020-04-22 최종철 공사-용역사업에 관한 온라인 공개입찰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2132514A (zh) * 2020-09-24 2020-12-2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物资采购的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174B1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ldecott et al. Stranded assets: a climate risk challenge
Hadad et al. Social impact measurement in social entrepreneurial organizations
Kádárová et al. Balanced scorecard as an issue taught in the field of industrial engineering
Chatterjee et al. Determinants of inter-state variations in FDI inflows in India
Siniak et al. A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economic and smart sustainable value added (SSVA) in industries performance evaluations
Teor et al. The Influence of ESG-concept on the Reputation of High-technology Enterprises
Hellmich et al. Carbon Finance: A Risk Management View
Sisaye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actices in complex organizations: Implications and potentials for integration into the accounting curriculum
Opawole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scope of private party’s obligations in concession-based PPP projects in Nigeria
KR101567174B1 (ko)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Melese The economic evaluation of alternatives
Jung et al. Three-phased risk-management benchmark for internationaliz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Amelia et al. Designing business incubator model for start-up digital
Lowdon et al. The impact of market de-regulation upon the management of potable water infrastructure: a UK perspective
Yadegari et al. Iden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effective factors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industry cluster of rail industries us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
Lee et al. Cost overruns in housing projects
Sabauri et al. Sustainability reporting issues
Ivanov Influence of the instruments which reflecting regional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regions
Fekete et al. Aligning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Operations with the Paris Agreement’s Mitigation Objectives
Rao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tools–a case study
van der Velden et al. Really investing for the long-term: a case study
SĂNIUȚĂ The impact of a country’s reputation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 nation
Yoon Policy Feasibility Analysis Model
Lee et al.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Korean construction firms
Roaldsøy et al. What is the fair value of Kongsberg Gruppen ASA as per May 30th 202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