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127A -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0127A KR20150080127A KR1020130167299A KR20130167299A KR20150080127A KR 20150080127 A KR20150080127 A KR 20150080127A KR 1020130167299 A KR1020130167299 A KR 1020130167299A KR 20130167299 A KR20130167299 A KR 20130167299A KR 20150080127 A KR20150080127 A KR 201500801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dangerous
- risk
- informatio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지역과 시설물을 자동으로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낮추어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화재 발생시 조기 진압과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evacuating a fire.
일반적으로, 화재는 건물축 및 물적 자산을 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온다. 특히, 빌딩과 같이 대형 건축물인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더더욱 물적 및 인적 피해를 가져올 수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 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자, 최근에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In general, fires not only burn building shafts and physical assets, but also cause many casual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a larg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a fire could cause more physical and personal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automatically detect a fire in a building, a fire detection system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운영자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화재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운영자는 화재 경보를 확인후 해당하는 건축물로 화재 진압 인원을 투입하여 화재 진압을 실시하였다.The fire detection system detects a fire occurrence by us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issues a fire alarm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confirms the fire alarm and inputs the fire suppression personnel into the corresponding building And fire suppression was carried out.
그러나, 빌딩과 같이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거대한 건축물인 경우에는 모든 공간안에 화재 감지 센서를 일일이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재를 감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대부분 화재가 발생한 이후 사람들의 목격에 의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a building with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it was not easy to detect a fire because the fire detection sensor could not be installed in every space. Most of the fire was detected by people's sight after the fire occurred.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다. 대표적인 종래의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2012년 04월 27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142849호에서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more and more cases have been introduced to introduce fire prevention systems. As a typical conventional fire prevention system, Korean Patent No. 1142849, registered on Apr. 27, 2012, discloses a fir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for wooden buildings.
상기 등록 특허는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상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 정도를 사전에 탐지하였다.The above-mentioned patent updates the fire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wooden building by quantifying the change of the sensing information, judges whether or not the fire risk is based on the social risk of the wooden building evaluated using the fire occurrence probability, .
그러나, 등록 특허는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와 사회적 위험성에 근거하여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데, 사회적 위험성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개시되 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현이 어려워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기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gistered patent judges the fire risk based on the change of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ocial risk. Since it is not clearly explained what the social risk i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fire in advance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험 정도를 예측하고 이를 건축물 공간안에 존재하는 화재 위험 지역과 시설물을 사전에 점검하는 하인리히 법칙에 근거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degree of risk of fire by using fire frequency and fire risk index and based on the Heinrich Law And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3차원 BIM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는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llecting three-dimensional BIM data of a building and using it to inform a fire occurrence point and a evacuation rout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속성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위험 시설물 등록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 요소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하는 위험 요소 점검부;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prevention system for prematurely checking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suppressing fire prematurely. The fire prevention system includes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three- An attribute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attribute data for a facility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A risk facility registration unit for extracting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dangerous area information from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A risk factor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fire statistical data, calculates the fire frequency according to the fire factor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and generates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And a risk factor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generated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 요소 점검부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risk factor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al risk signal received from the risk facility associated with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은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위험 고지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 danger no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hazardous facility amo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afte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 고지 알림부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notifies a dangerous area of a dangerous area in a dangerous area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BIM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M database for generating and storing BIM data that combines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property data, and hazardous area information with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a fire monitoring unit that uses the BIM data to provide a fire exit point to a fire exit point and a portable terminal of people residing in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기 위한 예방 방법으로서, (a)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위험 시설물 등록부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c) 위험 요소 생성부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험 요소 점검부가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요소 점검부에서 점검하는 단계; 포함하는 화재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ventive method for checking a dangerous facility and an area installed in a building in advance, including: (a)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and a shape structure Extracting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from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b) extracting, from the risk facility register,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extrac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c) The risk factor generator is provided with the fire statistical data, and the fire factor according to the fire factor is calculated by the risk factor generating section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and the fire risk information is multiplied by the calculated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Generating by a generating unit; And (d) checking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in the risk factor checking unit based on the generated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A fire prevention method is provid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Here, in the step (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angerous facilities by judging whether an electrical abnormality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ies linked to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fire risk information .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화재 예방 방법은 (e)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 notifying the dangerous facility about the dangerous facility among the dangerous facilities information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afte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ies information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e)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 알림부가 위험 고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Also, in the step (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risk element occurs after checki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facilities,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dangerous facility of the dangerous facilities .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화재 예방 방법은 (f) BIM DB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BIM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및In addition, the fire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 the BIM DB generates the BIM data combining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the property data, and the hazardous area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stores the BIM data in the BIM database step; And
(g) 화재 감시부가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에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g) using the BIM data to provide a fire escape route to a fire st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of people residing in the building, using the fire monitoring unit; As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사전에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checked in advance based on the fire risk information multiplied by the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so that the risk of fire can be reduced and the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시설물 및 지역을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해당 위험 시설물 과 지역에 대하여 위험 고지를 전달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감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are inspected, and when dangerous elements occur, danger notices are transmitted to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and monitored periodically, thereby further reducing fire risk and preventing fire .
또한, 본 발명은 비록 화재가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되더라도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알 수 있고, 이를 운영자와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휴대 단말기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물적 및 인적 피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Also, even if a fire occurs inside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 fire occurrence point and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BIM data and inform residents residing in the building and the operator of the fir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reducing physical and personnel damage It is effectiv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위험 요소 점검부(150)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와 관련한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 중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제공과 관련한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A is a diagram exemplifying a configuration of a
FIG. 1B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urther configuration of a
FIG. 3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fire prevention method (S100) related to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route provision in the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위험 요소 점검부(150)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취약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 위험 요소 생성부(140), 위험 요소 점검부(150), 위험 고지 알림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는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공간 정보, 예컨대, 각 사무실, 복도, 계단 및 화장실과 같이 물리적인 공간구조와 상기 물리적인 공간 구조안에 존재하는 형상, 예컨대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뿐만 아니라 형체가 없는 임의의 공간과 같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3차원 캐드 도면으로부터 추출하게 된다.First,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a building, for example,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such as an office, a hallway, a staircase and a toilet, a shape existing in the physical spatial structure, Dimensional building data including a shape structure such as a gas space, a radiator, an electric facility, a kitchen facility, and an evacuation facility as well as an arbitrary space without a shape are extracted from a previously prepared three-dimensional CAD drawing.
이와 같이,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는 해당하는 건축물 안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구조 및 그속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형상 구조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s use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physical structure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and a free-standing shape structure existing therei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한다.Next, the attribute data extracting unit 120 extracts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of the facility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unit 110. [
이때,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는 물리적인 공간구조를 갖는 협의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서, 예컨대 사무실마다 설치된 유형의 시설물 및/또는 무형의 특정 공간 정보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is narrow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having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for example, a type of facility installed in each office and / or intangible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는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유형의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과 같은 위험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고, 또 무형의 특정 공간 예컨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된 특정 공간과 같은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한다.Next, the dangerous facility registr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hazardous facility information such as gas type, heater, electric facility, kitchen facility and evacuation facility of the type from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And extracts and registers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such as the specific space in which the facility is installed.
한편, 이상에서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위험 시설물 정보 및 위험 지역 정보는 이후의 도 2에서 설명될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다.Meanwhile,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the property data,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bove are stored in the BIM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생성부(140)는 해마다 소방 방재청이 화재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먼저 산출하게 된다.Next, the risk factor generato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re statistical data annually 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the Republic of Korea, so that the fire frequency of each fire factor is first calculated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이와 같이 산출되면,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가 높은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생성부(140)는 이미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If this calculation is made, it will be possible to know dangerous facilities and dangerous areas with high fire frequency by fire factor. Then, the risk factor gener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ies the already calculated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to generate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차례로 점검하게 된다.Next, the risk
여기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점검은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어느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Here, the inspection of the dangerous facilities determines which fire hazar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electrical abnormality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linked to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이러한 점검을 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와 같은 위험 시설물에 구비된 감지 센서 및/또는 감지 장치(101)로부터 화재 상황을 감지한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제공받는 제1 화재 상황 감지부(151) 및 상기 제1 화재 상황 감지부(151)의 이상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제1 위험 시설물 점검부(152)를 포함한다.In order to make such a check, the risk
반면, 상기 위험 지역의 점검은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 또는/및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통해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spection of the dangerous area, it is possible to know the fire hazard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 or the electric abnormality signal sensed by using the image camera and / or the sensor installed in the dangerous area.
이러한 점검을 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102) 및/또는 감지 센서(101)로부터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제공받는 제2 화재 상황 감지부(153) 및 상기 제2 화재 상황 감지부(153)의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지역을 감지하는 제2 위험 지역 점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such a check, the risk
여기서, 앞서 설명한 두가지 형태의 점검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 신호를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의 영상 카메라 및/또는 감지 센서로 보내어 정상인지(예 : 설정된 점검신호와 값이 다른 경우)를 확인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기설정된 이상 신호값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two types of check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check signal is sent to a video camera and / or a sensor in a hazardous area and / or a hazardous area to check whether it is normal (eg, when the set check signal is different from the value) Lt; / RTI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고지 알림부(160)는 위험 시설물 정보(실제는 위험 시설물을 지칭함)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린다. 이때, 위험 요소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릴 수 있다.Next, the risk notification notify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actually referring to the dangerous facility) and notifies the dangerous facility about the dangerous facility amo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At this time, if the risk factor is not generated,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160 can notify the safety notification.
이와 같이, 안전 고지를 받게 되면, 추가적인 대응에 성실히 이행한 경우이므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의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위험 지수를 높여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safety notification is received, the danger index of the fire risk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set to be lower because it is faithfully implemented in the additional response. Otherwise, Lt; / RTI >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고지 알림부(160)는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린다. 이때, 위험 요소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 고지를 알림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danger notice notify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dangerous area of the dangerous area when the dangerous element occurs. At this time, if the risk factor does not occur, it is a matter of notifying the safety notic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안전 고지를 받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위험 지수를 높여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If the safety notification is received, the risk index may be set to be lowered as described above. Otherwise, the risk notification may be informed again, and the risk index may be increased to be set in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160.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 위험 요소 생성부(140), 위험 요소 점검부(150) 및 위험 고지 알림부(16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각 구성에서는 해당하는 고유기능 기능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The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구성의 예Example of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path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와 관련한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urther configuration of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고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BIM 데이터베이스(180) 및 화재 감시부(19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BIM 데이터베이스(180)는 앞서 설명한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 의해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하여 BIM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the
아울러,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통계 데이터, 예컨대 물리정보, 형상정보, 속성정보 및 유지관리정보 등과 같은 화재방호에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더 생성하여 저장함은 물론이다.The statistical data necessary for fire protection such as statistical data such as physical information, shape information, property information, mainten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property data, (180).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부(190)는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지점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대피 경로를 제공한다. Meanwhile, the
이러한 화재 감시부(190)는 건축물의 물리적인 공간 구조 및/또는 형상 구조 공간안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300), 예컨대 온도 감지 센서, 가스 누출 센서, 휘도 감지 센서 및 안개 감지 센서를 포함한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이상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BIM 데이터 및/또는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추출한 후 이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
따라서, 화재 감시부(190)를 운영하는 운영자 및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즉시 알 수 있어 화재 진압과 대피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to S160 fo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dvance and extinguishing the fire prematurely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공간 정보, 예컨대, 각 사무실, 복도, 계단 및 화장실과 같이 물리적인 공간구조와 상기 물리적인 공간 구조안에 존재하는 형상, 예컨대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뿐만 아니라 형체가 없는 임의의 공간과 같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3차원 캐드 도면으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추출 과정은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에서 행한다.First, in step S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a building, for example, a physical space structure such as an office, a hallway, a staircase and a toilet, and a shape existing in the physical space structure,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cluding the shape structure such as the electric facility, the kitchen facility and the evacuation facility as well as the arbitrary space without the shape are extracted from the previously prepared three-dimensional CAD drawings. This extrac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110.
이와 같이,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는 해당하는 건축물 안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구조 및 그속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형상 구조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s use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physical structure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and a free-standing shape structure existing therein.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에서 추출하게 된다. In step S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 data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on the facility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110. [
이때,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는 물리적인 공간구조를 갖는 협의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서, 예컨대 사무실마다 설치된 유형의 시설물 및/또는 무형의 특정 공간 정보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is narrow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having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for example, a type of facility installed in each office and / or intangible specific spatial information.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앞서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의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과 같은 위험 시설물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서 추출하고, 또 무형의 특정 공간 예컨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된 특정 공간과 같은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서 추출한 후 등록하게 된다.Then, in step S120, the risk facility registration unit 130 extracts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facilities such as gas type, heater, electric facility, kitchen facility, and evacuation facility of the type using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In addition, the dangerous area registration unit 130 extracts dangerous area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intangible space, for example, a specific space in which the dangerous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registers the information.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해마다 소방 방재청이 화재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서 산출하게 된다.In the step S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e statistics data are disclosed annually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risk factor data is provided to the risk factor data generating unit 140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
이와 같이 산출되면,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가 높은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이미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서 생성하게 된다.If this calculation is made, it will be possible to know dangerous facilities and dangerous areas with high fire frequency by fire factor. In step S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factor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risk factor generation unit 140 by multiplying the fire frequency calculated and the risk index.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S130 단계에 의해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차례로 위험 요소 점검부(150)에서 점검하게 된다.Thereafter, in step S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ous
여기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점검은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오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특정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상기 위험 지역의 점검은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 또는/및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특정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Herein, the inspection of the dangerous facilities means a process of judging whether or not an electrical abnormality signal from the dangerous facilities linked to the dangerous facilities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specific fire risk information, Mean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mage information and / or electrical anomaly signals correspond to specific fire risk information using a camera or / and a detection sensor.
이때, 전기적인 이상 신호 및/또는 영상 정보는 위험 시설물 및/또는 위험 지역에 구비된 감지 센서 및/또는 영상 카메라를 통해 제공된다.At this time, the electric abnormality signal and / or the image information are provid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and / or the image camera provided in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 or the dangerous area.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서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점검 대상인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린다. 그러나, 위험 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리게 된다(S160).In step S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notification unit 160 notifies the risk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hazardous facility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facilities to be inspected after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is inspected in step S140. However, if there is no risk factor,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160 notifies the safety notification (S1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서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점검 대상인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린다. 그러나, 위험 요소가 없은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리게 된다(S160).In step S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160 notifies the danger notifying unit of the dangerous area corresponding to the dangerous area to be inspected when the dangerous area occurs, after checking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in step S140. However, if there is no risk factor, the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160 notifies the safety notification (S160).
안전 고지(S160)가 이루어지면, 추가적인 대응에 성실히 이행한 경우이므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의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위험 지수를 높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If the safety notice (S160) is fulfilled, it can be set to lower the risk index of the fire risk information because it is faithfully implemented in the additional response. Otherwise, it can be set to increase the risk index by informing the risk notice agai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사전에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checked in advance based on the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multiplied by the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ire occurrence and preventing the fire in advance.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방법의 예Examples of fire outbreaks and evacuation route methods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 중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제공과 관련한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fire prevention method (S100) related to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route provision in the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위험 지역에서 발생된 화재를 발령하고, 대피 경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S170 단계 및 S180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fire preven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70 and S180 for issuing a fire generated in a hazardous area and a dangerous area installed in a building, . ≪ / RTI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7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S110 단계 및 S120 단계에 의해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하여 BIM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in step S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M data is generated in th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S170 단계에서는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통계 데이터, 예컨대 물리정보, 형상정보, 속성정보 및 유지관리정보 등과 같은 화재방호에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더 생성하여 저장함은 물론이다.Further, in step S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the property data, and the hazardous facility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re combined to generate statistical data such as physical information, shape information, property information, The statistical data necessary for the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80 단계에서는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지점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제공하게 된다. In step S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S180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물리적인 공간 구조 및/또는 형상 구조 공간안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300), 예컨대 온도 감지 센서, 가스 누출 센서, 휘도 감지 센서 및 안개 감지 센서를 포함한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이상 신호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제공받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BIM 데이터 및/또는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추출한 후 이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step S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detection sensor 300 installed in a physical space structure and / or a shape structure spac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a fire detection sensor 300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 gas leakage sensor, When the
따라서, 화재 감시부(190)를 운영하는 운영자 및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즉시 알 수 있어 화재 진압과 대피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또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화재감시부(19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예방 시스템 앱을 다운 받은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단말기의 라이트 기능이 작동되도록하여 대피시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lso, in case of a fire, th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화재 예방 시스템
101 : 감지 센서
102 : 영상 카메라
110 : 3차원 데이터 추출부
120 : 속성 데이터 추출부
130 : 위험 시설물 등록부
140 ; 위험 요소 생성부
150 : 위험 요소 점검부
160 : 위험 고지 알림부
170 : 제어부
180 : BIM 데이터베이스
190 : 화재 감시부
200 : 휴대 단말기100: Fire prevention system 101: Detection sensor
102: image camera 110: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unit
120: Attribute data extracting unit 130:
140; Hazardous element generating section 150: Hazardous element checking section
160: danger notices notification unit 170: control unit
180: BIM database 190: Fire monitoring section
200: portable terminal
Claims (10)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속성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위험 시설물 등록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 요소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하는 위험 요소 점검부;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As a fire prevention system to check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installed in the buildings in advance and suppress the fire prematurely,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cluding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and a shape structure existing in a building;
An attribute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attribute data for a facility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A risk facility registration unit for extracting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dangerous area information from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A risk factor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fire statistical data, calculates the fire frequency according to the fire factor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and generates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And
And a risk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ies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generated fire hazard information.
상기 위험 요소 점검부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sk element inspection unit checks the dangerous facility by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al abnormality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linked to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fire risk element information.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위험 고지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A risk notification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 danger no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hazardous facility amo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afte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fir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상기 위험 고지 알림부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isk notification notifying unit checks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dangerous area of the dangerous area of the dangerous area when a dangerous element occurs.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BIM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A BIM database for generating and storing BIM data combining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property data, and hazardous area information with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a fire monitoring unit for using the BIM data to provide a fire exit point to a fire exit point and a portable terminal of people residing in the building.
(a)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에 의해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c) 위험 요소 생성부(140)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험 요소 점검부(150)가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요소 점검부에서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방법.As a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a fire prevention system to check dangerous facilities and areas installed on buildings in advance and to suppress fire early,
(a) extracting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including a physical spatial structure and a shape structure existing in a building by the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110 in a three-dimensional data extraction unit;
(b) extracting, from the risk facility registering unit,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property data extrac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c) The risk factor generating unit 140 receives the fire statistics data, calculates the fire frequency according to the fire factor using the fire statistical data, calculates the fire frequenc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ire frequency and the risk index, Generating information in the risk element generating unit; And
(d) checking the risk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in the risk factor checking unit based on the generated fire risk factor information; ≪ / RTI >
상기 (d)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d) comprises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y by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al abnormality signal received from the dangerous facility linked to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fire risk information.
(e)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 알림부(160)가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에서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e) if a dangerous element occurs after checking the dangerous facility information, notifying the danger notifying unit 160 of the dangerous facility among the dangerous facilities information in the danger notification notify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상기 (e) 단계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e) checks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dangerous area of the dangerous area when the dangerous element occurs.
(f) BIM DB(180)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BIM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및
(g) 화재 감시부(190)가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에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f) generating BIM data by integrating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data, property data, and hazardous area information with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and storing the BIM data in the BIM database; And
(g) using the BIM data to provide a fire escape route to a fir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of people residing in the building using the fire monitoring unit 190;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en) | 2013-12-30 | 2013-12-30 |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en) | 2013-12-30 | 2013-12-30 |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0127A true KR20150080127A (en) | 2015-07-09 |
KR101551715B1 KR101551715B1 (en) | 2015-09-10 |
Family
ID=5379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en) | 2013-12-30 | 2013-12-30 |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1715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7788B1 (en) | 2015-08-04 | 2016-06-07 |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 Method of monitoring fire or air quality using IoT/Cloud/Analytics/Mobile in real time |
KR101700322B1 (en) * | 2016-04-15 | 2017-02-13 |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 Fire auto sensing and suppressing for construction |
KR101972957B1 (en) * | 2018-11-21 | 2019-08-28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System of analyzing fire dangerousness and monitoring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using unmanned vehicle |
KR20190139229A (en) * | 2017-03-20 | 2019-12-17 | 오와이 할튼 그룹 엘티디. | Fire safety device method and system |
KR20200072972A (en) * | 2018-12-13 | 2020-06-23 | (주) 파이디언 | Firefight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CN111667657A (en) * | 2020-05-21 | 2020-09-15 | 广州鑫泓设备设计有限公司 | Electromechanical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CN112614295A (en) * | 2020-12-14 | 2021-04-06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Fir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sensing terminal |
KR20210051376A (en)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
KR20210054389A (en) * | 2019-11-05 | 2021-05-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BIM-based Risk Assessment of Structural Occurrence Disaster for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
WO2023068749A1 (en) * | 2021-10-18 | 2023-04-27 | 주식회사 로제타텍 | Fire prevention system, and evaluation tool calculation method u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509B1 (en) * | 2019-01-11 | 2019-10-10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Safet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ld building using fire risk assessment resul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653B1 (en) | 2012-04-05 | 2013-09-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ext awareness system based bim using thermal image camera |
-
2013
- 2013-12-30 KR KR1020130167299A patent/KR10155171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7788B1 (en) | 2015-08-04 | 2016-06-07 |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 Method of monitoring fire or air quality using IoT/Cloud/Analytics/Mobile in real time |
KR101700322B1 (en) * | 2016-04-15 | 2017-02-13 |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 Fire auto sensing and suppressing for construction |
KR20190139229A (en) * | 2017-03-20 | 2019-12-17 | 오와이 할튼 그룹 엘티디. | Fire safety device method and system |
US11291870B2 (en) | 2017-03-20 | 2022-04-05 | Oy Halton Group Ltd. | Fire safety devices methods and systems |
KR101972957B1 (en) * | 2018-11-21 | 2019-08-28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System of analyzing fire dangerousness and monitoring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using unmanned vehicle |
KR20200072972A (en) * | 2018-12-13 | 2020-06-23 | (주) 파이디언 | Firefight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KR20210051376A (en)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
KR20210054389A (en) * | 2019-11-05 | 2021-05-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BIM-based Risk Assessment of Structural Occurrence Disaster for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
CN111667657A (en) * | 2020-05-21 | 2020-09-15 | 广州鑫泓设备设计有限公司 | Electromechanical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CN112614295A (en) * | 2020-12-14 | 2021-04-06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Fir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sensing terminal |
WO2023068749A1 (en) * | 2021-10-18 | 2023-04-27 | 주식회사 로제타텍 | Fire prevention system, and evaluation tool calculation method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1715B1 (en) | 2015-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171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 |
KR102126281B1 (en) |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 |
CN206058455U (en) | A kind of Fire Images Recognition System for possessing three kinds of grade smog identifications | |
CN102870144B (en) | Aspirating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 |
KR102101698B1 (en) |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 |
CN107438766B (en) | Image-based monitoring system | |
KR102322427B1 (en) |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 |
KR101219176B1 (en) |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 |
KR102501053B1 (en) | Complex fire detector and fir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CN110689698A (en) | Community fire early warning and escape system and prompting method thereof | |
KR101439860B1 (en) |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in realtime | |
KR101444395B1 (en) |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intelligent control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 |
CN111476970A (en) | Fir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EP2905760A2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agged headcount accounting | |
US20140293049A1 (en) | Fire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 |
KR20200041849A (en) |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 |
KR101817940B1 (en) | Abnormality monitering system using dual image camera and method thereof | |
CN111178828A (en) |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fire safety early warning | |
KR101551716B1 (en) |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 |
KR20140124462A (en) | A Fire Evacuees'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 |
KR20190123057A (en) | Detecting system for dangerous situation based image | |
CN114360194B (en) | Multi-point monitoring visual array type fire alarm system | |
KR102103786B1 (en) | Smart Fire Evacuation Leader | |
JP2003196770A (en) | Escape guiding method in power plant, factory or the like at accident occurrence | |
KR20150061289A (en) | Fire pathway prediction system based US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