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901A -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901A
KR20150078901A KR1020130168740A KR20130168740A KR20150078901A KR 20150078901 A KR20150078901 A KR 20150078901A KR 1020130168740 A KR1020130168740 A KR 1020130168740A KR 20130168740 A KR20130168740 A KR 20130168740A KR 20150078901 A KR20150078901 A KR 2015007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ns cell
substrate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343B1 (ko
Inventor
우종훈
채기성
최수석
김성일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3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Non- Glasses 3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액정을 사용하는 액정 렌즈를 구비하여 입체 효과를 발생시키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3D Display Device)는 좌안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에 시차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 효과를 느끼게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편광판과 편광 안경을 사용하는 FPR(Film-type Patterned Retarder), 좌안과 우안의 시야를 교대로 차단하여 입체 효과를 느끼게 하는 SG(Shutter Glasses)와 같이 안경에 의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나 액정 렌즈(Liquid Crystal Lens) 등을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이들 중 액정 렌즈를 사용하는 무안경 방식의 전환형(Switchable Type)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2셀 편광 렌즈나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를 사용하는데, 이들 각각에 대한 구조는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2셀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2셀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셀 편광 렌즈는 편광판(21)과, 편광 제어셀(2) 및 렌즈셀(1)을 구비하는 것으로, 편광 제어셀(2)은 제 1 및 제 2 전극(15, 16)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판(11, 1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으로 구성되고, 렌즈셀(1)은 제 3 및 제 4 기판(13, 14) 및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셀(25)로 구성된다.
이때, 액정층(LC)은 복굴절 제어형 액정(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ECB)인 것이다.
편광 제어셀(2)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기판(11, 12)은 절연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전극(15, 16)은 전도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다.
액정층(LC)은 제 1 및 제 2 기판(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15, 16)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선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1a에서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편광 제어셀(2)을 통과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편광 제어셀(2)에 입사되고,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하는 편광 제어셀(2)에 의해 선 편광(λ/2) 특성을 나타내며 렌즈셀(1)로 입사된다.
렌즈셀(1)은 제 3 및 제 4 기판(13, 14) 및 렌즈셀(25)로 구성된 것으로, 렌즈셀(25)의 경우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렌티큘러(Lenticular) 형태의 오목판(26)과, 오목판(26) 사이에 복굴절률을 갖는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 이하 RM)가 충진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때, 초기 배향 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층(LC)을 통과하여 선 편광(λ/2)을 나타내는 빛의 편광 방향은 오목판(26) 사이에 충진된 RM의 광축과 90˚를 이루게 된다.
RM의 광축과 90˚를 이루는 경우, RM을 통과한 빛은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의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2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직진성을 갖게 된다.
즉,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빛의 편광축이 RM의 광축 중 단축과 동일한 경우, RM 내에서 오목판(26)과 동일한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어 출력된 빛이 직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15, 16)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가 형성될 경우, 편광 제어셀(2)을 통과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편광 제어셀(2)에 입사되고, 전계에 의해 재배열된 액정층(LC)에 의해 편광 방향의 변경 없이 렌즈셀(1)로 입사된다.
이때, 렌즈셀(1)로 입사되는 빛은 RM의 장축에 의해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의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2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켜 오목판(26)을 통과한 빛이 일 지점에서 모이게 되는 굴절 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재배열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RM의 장축에 의해 오목판(2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다른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어 출력된 빛은 굴절되므로, 이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셀 편광 렌즈를 사용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제어셀(2)과 렌즈셀(1)을 구비하여 평면 영상 구동과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액정층(LC)과 RM을 형성하고, 편광 방향에 의한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COC/COP(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및 중합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PI(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등방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된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액정층(LC) 및 RM의 배열을 위해 최소 2개의 배향막을 요구하기 때문에 공정의 수율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또한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편광층(2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휘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한편,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상기 2셀 편광 렌즈에 비해 제조 비용이 낮고 공정의 수율은 높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아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33, 34)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기판(31, 32)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 및 렌티큘러 형태의 오목판(36)을 구비하는 렌즈셀(1)로 형성된다.
이때, 렌티큘러 형태의 오목판(36)은 no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액정층(LC)은 전압을 인가받지 않는 노멀 상태에서 ne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광원 장치, 또는 패널에서 출력된 빛은 편광판(21)을 통과하면서 선 편광(0, λ)을 나타내며 렌즈셀(1)로 입사된다.
렌즈셀(1)은 제 1 및 제 2 전극(33, 34)에 전압이 인가되어 생성된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가 재배열된 상태로, 선 편광(0, λ)을 나타내는 빛은 액정층(LC)에 입사되어 재배열된 액정 분자에 의해 no의 굴절률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선 편광(0, λ)을 나타내는 빛은 오목판(36)과 동일한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따라 오목판(36)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성을 갖게 된다.
즉, 재배열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액정 분자의 광축 중 단축에 의해 오목판(3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동일한 굴절률 no를 나타내게 되어 굴절 현상 없이 직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33, 3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 전계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렌즈셀(1)을 통과하는 빛은 초기 배향상태를 유지하는 액정 분자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렌즈셀(1)에 입사되는 빛은 편광판(21)에 의해 선편광(0, λ)특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액정 분자의 광축 중 장축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굴절률 ne를 나타내어 굴절률 no를 나타내는 오목판(36) 통과시 굴절 현상을 발생시켜 오목판(36)을 통과한 빛이 일 지점에서 모이게 되는 굴절 현상을 발생시킨다.
즉, 초기 배향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액정 분자의 광축 중 장축에 의해 오목판(36)이 나타내는 굴절률 no와 다른 굴절률 ne를 나타내게 되어 출력된 빛은 굴절 현상을 일으키며, 이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를 사용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즈셀(1)을 구비하여 평면 영상 구동과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2셀 액티브 편광 렌즈에 비해 높은 수율 및 낮은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나, 편광 방향에 의한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COC/COP(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및 중합체),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PI(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등방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된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액정층(LC)의 배열을 위해 최소 1개의 배향막을 요구하기 때문에 공정의 수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또한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편광층(2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휘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2셀 편광 렌즈와 상기 1셀 액티브 편광 렌즈는 입체 구동 또는 평면 구동을 위해 RM, 또는 액정층이 나타내는 굴절률을 오목판(36)과 동일하게 맞춰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 및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기본적으로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입체 영상 구동과 평면 영상 구동의 스위칭을 위해 반드시 편광판을 포함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휘도 감소 및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입체화 수단에 의한 휘도 저하 및 이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와 편광층 삽입 공정 및 배향 공정으로 인해 공정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것을 해소하며, 액정 충진으로 인한 액정의 소모량 증가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렌즈셀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입체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 없이도 굴절률 변경을 통한 입체 영상 구동 및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삽입에 의한 휘도 저하 및 휘도 저하 보상을 위한 전류의 보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렌즈셀과 액정, 또는 렌즈셀과 평탄화층과 액정의 광학적 등방성에 의해 배향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배향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a는 2셀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2셀 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1셀 액티브 편광 렌즈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과, 렌즈셀(120)과, 액정층(LC)으로 형성되는 입체화 수단(102)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발광층을 포함하여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이나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형태가 변형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Panel)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전극(113)이 형성된 제 1 기판(111)과, 제 2 전극(114)이 형성된 제 2 기판(112)과, 제 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 1 전극(113)의 일면에 형성되는 렌즈셀(120)과, 렌즈셀(12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셀로 구성된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의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오목셀과 렌즈셀(120)은 굴절률이 1.5~2.1인 자외선 폴리머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굴절률이 동일하며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다른 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
렌즈셀(120)과 같이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은 광학적으로 등방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이 도포된 것으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의 대표적인 예로는 Blue Phase나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이 있다.
OILC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복굴절을 나타내는 커 효과(Kerr Effect)를 발현하고, 이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이 굴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셀(120)과 액정층(LC)은 각각 67%, 33%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은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이 형성된 것으로, 종래에는 등방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은 스스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층(LC) 및 렌즈셀(120)을 포함하기 때문에 등방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아도 굴절률을 변경하여 입체 영상 구동, 또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4a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액정층(LC)은 등방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경우, 1.5~2.1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으로 형성된 액정층(LC)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굴절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렌즈셀(120)과 액정층(LC)을 통과하는 빛은 직진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입체화 수단(102)에 입사된 빛은 편광 특성에 한정되지 않아 선 편광 및 원 편광을 나타낼 수도 있고, 편광 특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102)은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4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할 경우 액정층(LC)이 나타내던 광학적 등방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5~2.1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렌즈셀(120)을 통과하는 빛은 광학적 등방성을 잃은 액정층(LC)을 통과하면서 렌즈셀(120)의 굴절 각에 따라 굴절 현상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빛 A는 진행 경로와 렌즈셀(120)의 중앙면이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굴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직진성을 잃지 않고 진행할 수 있으나, 빛 B는 진행 경로와 렌즈셀(120)의 측면이 수직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굴절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의 편광 렌즈와 유사한 빛의 경로를 나타내며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빛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휘도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량 또한 감소하게 되어 발열 및 수명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굴절시켜 입체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액정층(LC)의 모양과 같이 자외선 폴리머 레진이 형성되고, 렌즈부(120)의 공간에 액정층(LC)이 위치할 경우 동일한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층 전체의 등방성을 변경하여 빛을 굴절시키거나 직진시켜 렌즈셀(120)의 중앙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지점에서 빛이 모이도록 하는 것으로, 렌즈셀(120)의 측면에 대응하는 한 지점에서 빛이 모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전극(도 3의 113)이 렌즈셀(도 3의 120)와 제 1 기판(도 3의 111)의 사이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 수단(도 3의 102)을 구비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렌즈셀(220)의 상부에 제 1 전극(213)이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 수단(202)을 구비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제 1 기판(211)과, 제 1 기판(211)의 상부에 형성된 렌즈셀(220)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제 1 전극(213)의 상부에 형성된 평탄화층(225)과, 평탄화층(225)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층(LC)과, 액정층(LC)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기판(211)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을 포함하는 입체화 수단(202)을 구비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발광층을 포함하여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이나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형태가 변형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전극(213)이 형성된 제 1 기판(211)과,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과, 제 2 기판(212)과 마주보는 제 1 전극(211)의 일면에 형성되는 렌즈셀(220)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225)과, 평탄화층(225)과 제 2 전극(214)이 형성된 제 2 기판(2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LC)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의 전압 인가 유무에 따라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 1 기판(211)은 렌즈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제 2 기판(212)은 제 2 전극(214)이 증착된 것으로, 종래에는 등방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기판(211, 212)은 스스로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액정층(LC)과 렌즈셀(220) 및 평탄화층(225)을 포함하기 때문에 등방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렌즈셀(220)는 굴절률이 1.5~2.1인 자외선 폴리머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굴절률이 동일하고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투명한 절연성 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
평탄화층(225)은 렌즈셀(22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전극(213)의 전압을 인가받아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는 평탄화층(225)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평탄화층(225)은 굴절률이 렌즈셀(2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LC)은 제 1 기판(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225)과 제 2 기판(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층(도 3의 LC)과 달리 일정한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컬럼 스페이서(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액정층(LC)이 균일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액정층(LC)을 구성하는 액정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OILC로, OILC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복굴절을 나타내는 커 효과를 발현하고, 이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포함하지 않아도 굴절률을 변경하여 입체 영상 구동, 또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6a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액정층(LC)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출력된 빛은 입체화 수단(202)으로 입사되어 렌즈셀(220)를 통과한 후 평탄화층(225)에 입사되는데, 렌즈셀(220)와 평탄화층(225)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률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통과하는 빛은 굴절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한 상태로 액정층(LC)에 입사된다.
액정층(LC)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는 상태이므로 입사된 빛을 굴절시키지 않기 때문에 액정층(LC)에 입사된 빛은 직진성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입체화 수단(202)에 입사한 빛은 편광 특성에 한정되지 않아 입체화 수단(202)에 입사되는 모든 빛에 대해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화 수단(202)은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는 액정층(LC)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6b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213, 214)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할 경우 액정층(LC)이 나타내던 광학적 등방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렌즈셀(220)상에 형성된 제 1 전극(213)과 액정층(LC)의 이격 거리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렌즈셀(22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전계 A-A'는 전계 형성을 방지하는 평탄화층(225)이 렌즈셀(220)에 의해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는 정상적인 전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계 A-A'와 가까운 위치의 액정 분자들은 광학적 등방성을 잃게 되어 빛을 굴절시키게 된다.
반면, 렌즈셀(2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계 B-B'는 전계 형성을 방지하는 평탄화층(225)이 렌즈셀(220)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전계 A-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평탄화층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전극(213)과 제 2 전극(214) 사이에는 매우 약한 전계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계 B-B'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액정 분자들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게 되어 빛을 직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전계 A-A'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액정 분자는 광학적 등방성을 잃게되고, 전계 B-B'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광학적 등방성을 이루게 되어 종래의 편광렌즈와 유사한 빛의 경로를 나타내며 입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빛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휘도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전력 소모량 또한 감소하게 되어 발열 및 수명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화 수단(202)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아래 도 7을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에 의한 전압 인가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된 복합 유전체가 형성된 기판은 각각의 제 1 전극(311)과 제 2 전극(312)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과,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높이인 d1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1 유전체(ε1)와,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높이인 d2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2 유전체(ε2)를 포함하며, 제 1 기판(3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302)의 일면에는 제 2 전극(312)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전극(311, 312) 각각이 전원 공급 장치(V)와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제 1 유전체(ε1)에 인가되는 제 1 전압은 V1으로, 제 2 유전체(ε2)에 인가되는 제 2 전압은 V2로 정의한다.
전원 공급 장치(V)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 Vop는 제 1 전극(311)과 제 2 전극(312) 각각에 V1과 V2로 분할되어 인가되는데, V1과 V2는 제 1 및 제 2 유전체(ε1, ε2)의 두께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들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는 서로 비례 관계인 것으로,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는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와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진다.
반면,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유전체 ε1와 제 2 유전체 ε2는 서로 반비례 관계인 것으로,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는 제 1 유전체 ε1과 제 2 유전체 ε2에 반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진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이 감소할 경우 제 1 높이 d1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1 전압 V1의 전압값은 감소하고, 제 2 높이 d2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2 전압 V2의 전압값은 제 1 전압 V1이 감소한 만큼 전압값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수학식 1에서, 제 1 높이 d1이 감소할 경우 제 1 높이 d1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1 전압 V1의 전압값은 증가하고, 제 2 높이 d2에 비례하여 인가량이 달라지는 제 2 전압 V2의 전압값은 제 1 전압 V1이 증가한 만큼 전압값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V)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Vop는 일정한 것으로, 제 1 높이 d1과 제 2 높이 d2에 상관없이 제 1 전압 V1과 제 2 전압 V2의 합은 항상 전압 Vop의 전압값과 동일하다.
여기서,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유전체(도 7의 ε1)에 대응하는 액정층(LC)과 제 2 유전체(도 7의 ε2)에 대응하는 평탄화층(225) 또한 제 1 높이 d1와 제 2 높이 d2에 따라 전압 인가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렌즈셀(220)의 굴곡에 따라 달라지는 제 2 높이 d2가 전계 A-A'와 같이 0에 가까워질 경우, 액정층(LC)에 인가되는 전압 인가량을 증가시켜 액정층(LC)의 액정 분자가 광학적 등방성을 상실하도록 하며, 제 2 높이 d2가 전계 B-B'와 같이 최대로 증가하는 경우, 액정층(LC)에 인가되는 전압 인가량을 감소시켜 액정층(LC)의 액정 분자가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액정층(LC)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입체화 수단(202)은 평면 영상 구동, 또는 입체 영상 구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입체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편광판 없이도 굴절률 변경을 통한 입체 영상 구동 및 평면 영상 구동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삽입에 의한 휘도 저하 및 휘도 저하 보상을 위한 전류의 보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렌즈셀과 액정, 또는 렌즈셀과 평탄화층과 액정의 광학적 등방성에 의해 배향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배향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1 : 디스플레이 장치 102 : 입체화 수단
111 : 제 1 기판 112 : 제 2 기판
113 : 제 1 전극 114 : 제 2 전극
120 : 렌즈셀 LC : 액정층
225 : 평탄화층

Claims (14)

  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 또는 오목층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액정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셀과;
    상기 렌즈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렌즈셀 사이에 도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은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셀은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내며, 굴절률이 1.5 내지 1.61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렌즈셀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Blue Phase, 또는 PDLC(Polymer Drispersed Liquid Crystal)를 포함하는 OILC(Optically Isotropic Liquid Cryst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68740A 2013-12-31 2013-12-31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ko) 2013-12-31 2013-12-31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ko) 2013-12-31 2013-12-31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01A true KR20150078901A (ko) 2015-07-08
KR102156343B1 KR102156343B1 (ko) 2020-09-15

Family

ID=5379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40A KR102156343B1 (ko) 2013-12-31 2013-12-31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4086A (zh) * 2020-10-15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备方法
US11582440B2 (en) 2015-08-3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753A (ja) * 2003-02-05 2006-07-06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切り替え可能なレンズ
KR20070001533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렌티큘라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80001172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렌티큘라 렌즈와 그 액정 배향방법
KR2008010471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753A (ja) * 2003-02-05 2006-07-06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切り替え可能なレンズ
KR20070001533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렌티큘라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80001172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렌티큘라 렌즈와 그 액정 배향방법
KR2008010471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2440B2 (en) 2015-08-3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CN112234086A (zh) * 2020-10-15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343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199B1 (ko)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5142356B2 (ja) 立体画像変換パネル
US8773600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device
EP2140304B1 (en) Beam-shaping device
KR101263697B1 (ko) 렌티큘러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US8582043B2 (en) 2D/3D switchable LC lens unit for use in a display device
US10036894B2 (en) Image display and liquid crystal lens therefor
CN102707539B (zh) 一种2d-3d可切换立体显示装置及液晶透镜
US20130088529A1 (en) Display unit
US20140104521A1 (en) Display
JP2010224191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TWI797115B (zh) 多視域顯示裝置與方法
KR20070082955A (ko) 입체영상 변환패널 및 이를 갖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40023844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GB2488978A (en) Switching lenses for multi-view displays
Liang et al. 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based on polymer-stabilized blue-phase liquid crystal lens
US20160091646A1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US1024795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9810914B2 (en) Liquid crystal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278993B (zh) 液晶透镜及其驱动方法、立体显示装置
KR20150078901A (ko)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Liu et al. 30.2: Autostereoscopic 2‐D/3‐D Display Using a Liquid Crystal Lens
JP2016173516A (ja) 液晶レン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3869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54195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