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830A -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830A
KR20150078830A KR1020130168576A KR20130168576A KR20150078830A KR 20150078830 A KR20150078830 A KR 20150078830A KR 1020130168576 A KR1020130168576 A KR 1020130168576A KR 20130168576 A KR20130168576 A KR 20130168576A KR 20150078830 A KR20150078830 A KR 20150078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equipment
repairing
information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덕
Original Assignee
손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익 filed Critical 손현익
Priority to KR102013016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830A/en
Publication of KR2015007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8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ssel repair ele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 code and a smartphone to use a bar code and an image for managing high priced repair equipment and to manage the fluid information change and environment of a repair enterprise in real time and a method thereof. The vessel repair ele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repair equipment managing module to attach the bar code to the repair equipment, perform history management by using bar code information and an image which photographs the repair equipment, and check loss and damage of the repair equipment based on the same; a repair enterprise managing module to plan a repair schedule by managing recent information in real time, select one or more repair enterprises among enterprise information stored in an enterprise DB based on a planned repair schedule, and perform a repair equipment movement and an additional equipment request of a managing enterprise in the field in real time by providing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hrough a connected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repair schedule calculating module to assign equipment which is required by the selected repair enterprise to be fitted to the repair schedule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hrough the repair enterprise managing module, preferentially distributing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by assigning priority according to the required equipment and repair schedule, and taking the repair equipment out.

Description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a barcode and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리업체와 협약된 다수의 수리업체 중 적합한 수리업체를 선정하고 관리하면, 선정된 수리업체에 대여하는 관리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리장비에 바코드를 부착하여 장비의 이력관리 및 장비의 반입과정 상의 분식 및 변경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hip repair components and a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when a suitable repair company among a plurality of repair companies contracted with a maintenance company is selected and mana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factor utilizing a barcode and a smart phone and a method thereof for solving the problem of changing and changing the history of the equipment by attaching a barcode to the equipment.

최근 선박의 건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선박의 수명도 30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선박 산업 또한 신규 건조에서 선박 수리로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As shipbuilding technology has recently developed, ship life has increased to over 30 years, and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world is changing its paradigm from shipbuilding to shipbuilding.

현재 선박 수리 산업은 선박 건조 및 조선 산업의 대규모 관리 시스템과 달리 여러 개의 중소 수리 관리업체가 수리 장비를 보유하고 수리 하청업체를 모집하여 수리를 진행하는 구조가 전체 구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Unlike large-scale management systems in shipbuilding and shipbuilding industry, shipbuilding industry currently has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structure, with several small and medium-sized repair companies having repair equipment and recruiting repair subcontractors.

문제는 대부분의 중간 관리 업체가 선박 수리의 중요 요소인 장비 및 하청업체 관리를 과거 방식인 단순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곳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가의 수리장비의 손망실이 잦고 하청업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비용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리일정 지연 및 수리비용이 추가로 발생될 수 있어 서비스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many places where most intermediate management companies manage the equipment and subcontractor management,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ship repair, in a simple way. Therefore, expensive repair equipment is often lost and maintenance of subcontractors is not performed properly, resulting in cost loss. In addition, since systematic management is not performed, delays in repairing and delay in repairing and repairing costs may be additionally incurred, so that reliability of services may be lowered.

특히, 수리 장비는 대부분 고가이며 이동에 소모되는 비용이 높은 대형장비들도 많이 있다. 이러한 수리 장비들은 손망실이 발생할 경우 높은 비용 손실을 가져온다. In particular, repair equipment is mostly expensive and there are many large equipment that are expensive to transport. Such repair equipment can lead to high cost loss if hand breakage occurs.

또한 선박수리는 여러 수리 하청 업체들을 선정하여 진행되는데, 이 경우 많은 하청업체들을 선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현재 업체의 인력 상황 및 타 수리 작업의 진행 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수리장비와 수리업체의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리 일정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hip repairs are carried out by selecting a number of repair subcontractors. In this case, it takes a lot of time to select many subcontractors. In order to check the status of the current workforce and the progress of other repair work, do. Also, if repair equipment and maintenance companies are not manag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seriously affect the whole repair schedule.

따라서 최적화된 수리 일정을 수립할 수 있는 장비와 업체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establish an optimized repair schedule and a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the company.

등록특허공보 제10-0359707호 : 바코드판독기를 이용한 장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atent Registration No. 10-0359707: Equipment management system using barcode reader and method thereof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787호 : 선박의 수리·조선 용품 정보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82787: Repairs system and relay method of ship repairing, shipbuilding goods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가의 수리장비 관리를 위해서 바코드 및 이미지를 활용하고 수리 업체의 유동적인 정보 변경과 환경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bar codes and images to manage expensive repair equipment, to utilize bar codes and smart phones A ship repair fact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 수리의 중요 요소인 수리장비와 업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수리 일정을 산출하기 위한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ship repair element utilizing a barcode and a smart phone for systematically managing repair equipment and a company,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ship repai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수리장비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바코드 정보 및 수리 장비를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력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리장비의 손망실을 체크하는 수리장비 관리모듈과, 최근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 DB에 저장된 업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리업체를 선정하고,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여 관리 업체의 수리장비 이동 및 추가 장비 요청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수리업체 관리모듈과,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선정된 수리업체가 요청한 장비를 수리 일정에 맞게 배정하고, 요청장비와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일정 산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the barcode being attached to a repair device, the barcode information, A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for checking the hand washing room of the repairing equipment on the basis of the repairing equipment, and a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latest information in real time to plan a repairing schedule, A repairing company management module for selecting a repairing company and providing a planned repair schedule through an interlocked smartphone application so that the repairing company moves the repairing equipment and requests for additional equipment on the spot in real time; Based on the repair schedule, the selected repair shop will allocate the requested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 By assigning priorities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equipment and repair schedule and repair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allocation schedule can consists, including the repair schedule module that calculates out the repair equipment.

바람직하게 상기 업체 DB에 저장된 업체 정보는 업체 ID, 업체명과, 수리 분야를 나타내는 분류 코드(code), 업체 연락처와,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업체가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usin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iness DB includes a business ID, a business name, a classification code indicating a field of repair, a business contact, a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business, .

바람직하게 상기 업체 정보는 수리업체용 클라이언트 앱으로 변동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endor inform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when a client application for a repair company changes.

바람직하게 상기 수리장비 관리모듈은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바코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바코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바코드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바코드 정보에 따른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바코드 정보 분석부와,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이미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미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리장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이미지 정보 분석부와, 상기 바코드 정보 분석부에서 검출된 수리장비와 이미지 정보 분석부에서 검출된 수리장비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장비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barcode interface unit for disconnecting the barcode reader from the barcode reader for reading the barcod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barcode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terface unit, A bar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detecting a repai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terpreted barcode information, an image interface unit for disconnecting from an imag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mage, An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comparing the received repair equipment images with the previously stored repair equipment images and comparing the repair equipment detected by the bar 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with the repair equipment detected by the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Of the identified repair equipment. And a device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and managing the history of import and export.

바람직하게 상기 수리장비 관리모듈은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원격에서 읽어 들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리더기를 구축하여 원격에서도 수리장비의 이력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is capable of managing the history of the repairing equipment remotely by constructing a reader using a smart phone so that barcod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can be remotely read.

바람직하게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은 다수의 수리업체들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및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리업체를 관리하는 수리업체 처리부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와, 상기 발주정보 처리부에서 검출된 수리업체들에 수주된 수리정보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전송하는 발주정보 전송부와, 상기 발주정보 전송부에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수리업체들로부터 수락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정된 수리업체에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는 수주정보 처리부와,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확인하고 실효적으로 인증하는 계약정보 처리부와,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된 후, 상기 장비 관리부를 통해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을 확인하여 선박수리에 따른 결체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pairing company management module registers a plurality of repairing companies as members, a repairing company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repairing companies, and determining whether repair work currently held by the company is in progress or not, We will plan the repair schedule based on the ship repair information that we have received from the repair company managed by the repair company handling department. We will use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o determine the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repair company, A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planned repair schedule received from the repair companies detected by the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number of repair shops detected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A contract information processor that receives confirmation messages and provides scheduled repair schedules to the selected repair companie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he contract conditions including repair equipment and planned repair schedules requested from the selected repair companies, A settle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repair equipment confirmed by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has been carried in or ou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pair of the ordered ship, And the like.

바람직하게 상기 수리일정 산출모듈은 수조된 선박 수리정보를 입력받는 수리정보 입력부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와, 수리업체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락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수리업체 중 현재 수주된 수리에 매칭되는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수리업체 선정부와, 상기 수리업체 선정부에서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하는 수리장비 배정부와, 상기 수리장비 배정부에서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장비 반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includes a repai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repair information of the tank vessel, and a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repair company, which is managed by the repair company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repair service information An or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repairing companies match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repair worker who is currently performing repair work, A repairing company selecting a repairing company matching the repair that is currently received among the repairing companies received by the repairing company and a repairing company selecting the repairing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ing company selected by the repairing company, A repairing equipment distributing unit for allocating the requested repairing equipment to the repairing company based on the repairing equipment, Prioritizing according to the repair device in the assigned state to the repair schedule, priority allo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pair sche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repair equipment out setting out the repair equipment assigned to the service qua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의 특징은 (A) 수주된 선박수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장비의 요청되면,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단계와, (D)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되면, 해당 수리업체로부터 배출된 수리장비를 수거한 후, 반입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기반으로 바코드 정보 분석 및 이미지 매칭 분석을 통해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E) 상기 동일성 여부 확인결과,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수리업체에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 오류 및 이에 따른 수리장비 반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a ship repair factor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the method comprising: (A) And selecting at least one repairing company to be matched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repair personnel possessed by the repairing company, whether there is another repairing work in progress, or the repairing part area using the planned repair schedule, and (B) assigning the repair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 company to the repair company based on the history of importing and exporting of the repair equipment previously stored, (C) Priority is given to the repair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pair schedule, and the repair equipment assigned to the repair company is al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pair schedule. (D) Upon completion of the repair of the ordered ship, the repair equipment discharged from the repair company is collected, and the imported repair equipment is analyzed based on the stored equipment history and business history, (E) if the identity of the imported repair equipment i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the identity, a request is made for an error in the identity of the repair equipment brought into the repair company and the import of the repair equipment accordingly And a step of performing the steps of: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리업체를 추출할 때, 요소관리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현재 수리업체의 정보 변동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step (A), when the repairing company is extracted, the repairing company is selected by checking in real time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repairing company has changed with the smartphone through the element management client app.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반출되는 수리장비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더 정보 및 수리방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검출하고, 반출되는 수리업체별로 분류하여 수리장비에 따른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barcode information and the image pickup image information of the repair and repair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to be carried out;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tilizing the barcode and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thereof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고가의 수리장비 이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분실 및 손실, 고의적 교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수리장비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First, expensive repair equipment history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solve problems such as loss, loss, deliberate replacement, and the like, thereby lowering costs caused by problems with repair equipment.

둘째, 하청업체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인력의 충원, 현재 진행 중인 다른 수리 정보 등의 업체에서 진행 중인 변동 정보를 통해 최적화된 수리 일정을 수립할 수 있다. Second, it can easily identify subcontractors' information, and can optimize repair schedules based on ongoing information from the vendors such as recruitment of personnel and other ongoing repair inform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의 수리장비 관리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1의 수리업체 관리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1의 수리일정 산출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ip repair ele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pair equipment management module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airmanagement module of FIG. 1 in detail;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of FIG. 1 in detai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ship repair fact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수리장비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바코드 정보 및 수리 장비를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력관리를 수행하고, 장비 DB(140)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수리장비의 손망실을 체크하는 수리장비 관리모듈(110)과, 최근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최적의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 DB(150)에 저장된 업체정보 중 현재 수주된 수리에 맞는 최적의 업체를 선정하고,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여 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관리 업체의 장비 이동 및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추가 장비 요청 등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공정에 소요되는 일정지역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리업체 관리모듈(120)과,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120)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선정된 수리업체가 요청한 장비를 수리 일정에 맞게 배정하고, 요청장비와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일정 산출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hip repair ele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ttaches a barcode to a repairing equipment, performs history management using barcode information and an image of the repairing equipment, A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110 for checking the handwriting room of the repairing equipment based on the barcod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DB 110.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110 manages the latest information in real time to plan an optimal repair schedule, (150), and provides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hrough the linked smartphone application, so that the management company's equipment movement and unexpected situation occurring during the repair process or addition Equipment requests and so on in real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certain area The repairing company management module 120 and the repairing company management module 120 allocate the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ing company selected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and determine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requested equipment and the repair schedule And a repair schedule calculating module 130 for distributing the repair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a repair schedule and taking out the repair equipment.

이때, 장비 DB(140)에 저장된 수리 장비들은 모두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선박 수리를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 해양수에 장비가 빈번하게 노출되므로 RFID 태그(tag) 등의 고가의 인식장치는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리 장비들의 촬영 이미지가 바코드와 함께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데, 이는 업체에 의해 고의적인 바코드 훼손에 따른 장비 변동을 막기 위해 반입 과정에서 이미지 대조 모듈을 추가하여 정상적인 수리장비인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all the repairing equipments stored in the equipment DB 140 are attached with barcodes. Since the equipment is frequently exposed to the marine water such as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while repairing the ship, an expensive recognition device such as an RFID tag This is because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Also, the images of the repair devices are stored and managed together with the barcode, which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repair device is a normal repair device by adding an image control module during the import process to prevent the device from being changed due to intentional barcode damage by the vendor.

그리고 업체 DB(150)에 저장된 업체 정보는 다음 표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수리 하청 업체를 구분하기 위한 업체 ID와, 업체 이름인 업체명과, 수리 분야를 나타내는 분류 코드(code)와, 업체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와,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과,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여부 등의 업체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업체 DB(150)에 저장된 업체 정보는 수리일정 산출모듈(123)로 최적의 수리업체를 배정되어 저장되며, 또한 수리 업체들은 수리업체용 클라이언트 앱으로 변동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참고로 여러 분야 수리가 가능한 수리업체는 분류 코드에 따라 정보를 추가하여 따로 관리한다. 즉, 동일 업체이더라도 수리 분야에 따라 별도로 등록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the busin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iness DB 150 includes a business ID for identifying a repair subcontractor, a business name as a business name, a classification code indicating a repair field, Phone number,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business, and whether the current work is in progress to determine whether other repair work is currently in progress. At this time, the busin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iness DB 150 is allocated and stored in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123. In addition, the repair shops can update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 For reference, repair companies that can repair various fields add informa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odes and manage them separately. That is, even the same company will be registe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field of repair.

따라서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120)은 업체 DB(150)에서 저장하고 있는 업체의 최근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수리 스케줄을 계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리 작업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 또한 가져올 수 있다.
Therefore, the repairing company management module 120 can manage the latest information of the company stored in the company DB 150 in real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plan the optimum repair schedule,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pairing work And can also bring about cost savings.

도 2 는 도 1의 수리장비 관리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air equipment management module of FIG. 1. FIG.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리장비 관리모듈(110)은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미도시)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바코드 인터페이스부(111)와, 상기 바코드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 DB(140)에 저장된 바코드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바코드 정보에 따른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바코드 정보 분석부(112)와,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미도시)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이미지 인터페이스부(113)와, 상기 이미지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수리장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 DB(140)에 저장된 수리장비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이미지 정보 분석부(114)와, 상기 바코드 정보 분석부(112)에서 검출된 수리장비와 이미지 정보 분석부(114)에서 검출된 수리장비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장비 관리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pair equipment management module 110 shown in FIG. 2 includes a barcode interface unit 111 for performing a disconnection with a barcode reader (not shown) for reading a barcode, A bar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12 for receiving the barcode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barcode information using the barcode analysis information stored in the equipment DB 140 and detecting the repai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terpreted barcode information, An image interface unit 113 for performing connection disconnection with an image detection unit (not shown), comparison image data of the repair equipment stored in the equipment DB 140 by receiving shot image information of the repair equipment from the image interface unit 113 An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14 for detecting matched repairing equipments, a repairing equipment and an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14 which are detected by the bar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112, And a device management unit 115 for checking whether the repairing equipment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checking and managing the carrying-in / outing history of the checked repairing equipments.

이때, 상기 수리장비 관리모듈(110)은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원격에서 읽어 들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리더기를 구축하여 원격에서도 수리장비의 원활한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110 is configured to enable a smooth history management of the repairing equipment by installing a reader using a smartphone so that the barcod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can be remotely read .

도 3 은 도 1의 수리업체 관리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pairmanagement module of FIG.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리업체 관리모듈(120)은 다수의 수리업체들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및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리업체를 관리하는 수리업체 처리부(121)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121)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등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122)와, 상기 발주정보 처리부(122)에서 검출된 수리업체들에 수주된 수리정보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전송하는 발주정보 전송부(123)와, 상기 발주정보 전송부(123)에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수리업체들로부터 수락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정된 수리업체에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는 수주정보 처리부(124)와,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확인하고 실효적으로 인증하는 계약정보 처리부(125)와,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된 후, 상기 장비 관리부(115)를 통해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을 확인하여 선박수리에 따른 결제가 결제수단을 통해 결체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정보 처리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pairmanagement module 120 shown in FIG. 3 registers a plurality of repairmanufacturers as members, manages the repairman who is in charge of the company, A repair schedule is prepared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of the repair company, which is managed by the repair company processing unit 121 and the repair company managed by the repair company processing unit 121, An or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2 for detecting matching repairing companies by comparing manpower, whether other repairing work is currently in progress, repair parts area, etc., and matching repair shops detected by the or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2, A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3 for transmitt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planned repair schedule, An order receip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4 receiving an acceptance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subscribers and providing a planned repair schedule to the selected repair company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phone, A contrac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5 for confirming the contract conditions and verifying the contract conditions to be verified, and after the repair of the ordered ship is completed, confirming the import and export of the repair equipment confirmed through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15, And a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6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ettlement processing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payment means.

도 4 는 도 1의 수리일정 산출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of FIG. 1 in detail.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리일정 산출모듈(120)은 수조된 선박 수리정보를 입력받는 수리정보 입력부(131)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121)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등을 기반으로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122)와, 상기 발주정보 전송부(123)에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락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수리업체 중 현재 수주된 수리에 맞는 최적의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수리업체 선정부(132)와, 상기 수리업체 선정부(132)에서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장비 DB(140)에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하는 수리장비 배정부(133)와, 상기 수리장비 배정부(133)에서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장비 반출 설정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120 shown in FIG. 4 includes a repair information input unit 131 for receiving the repair information of the watercraft, and a repair repair information input unit 131 for repairing the repair service, An or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2 for detecting repairing companies matched based on a repair manpower held by a company based on a planned repair schedule based on a repair schedule based on the repair schedule, A repair company selection unit 132 for selecting an optimum repair company that is currently in the repair order received from the repair company on which an acceptance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3, The repairing unit requested by the repairing unit selected by the selecting unit 132 is returned to the repairing compan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repairing equipment stored in the equipment DB 140 The repair equipment distributing unit 133 and the repair equipment allocating unit 133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and the repair equipment allocat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And a repair equipment takeout setting unit 134 that takes out the equipm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the barcode and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4 denote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a ship repair factor using a barcod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수주된 선박수리 정보가 입력되면(S10), 입력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등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를 선정한다(S20). 이때, 상기 수리업체를 추출할 때, 요소관리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현재 수리업체의 정보 변동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received ship repair information is input (S10), a repair schedule is scheduled based on the inputted ship repair information, and repair manpower, Whether the repair work is currently in progress, whether the repair work is in progress, the repair part area, and the like, and selects a matching repair company (S20). At this time, when extracting the repair company,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repair company by checking in real time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of the repair company has changed with the smartphone through the element management client application.

이어,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장비의 요청되면,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장비 DB(140)에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한다(S30). When the repairing equipment is requested from the selected repairing company, the repairing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ing company is assigned to the repairing company based on the importing and exporting history of the repairing equipment stored in the equipment DB 140 S30).

그리고 상기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한다(S40). 이때, 상기 반출되는 수리장비는 수리장비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더 정보 및 수리방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검출하고, 반출되는 수리업체별로 분류하여 수리장비에 따른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저장한다(S50).In step S40, the assigned repair equipment is given priority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and the repair equipment allocated to the repair company is taken out in step S40. At this time, the repairing equipment detects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and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the repairing and repairing, and stores the equipment history and the business history according to the repairing equipment by the repairing company to be carried out (S50) .

이후,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되면(S60), 해당 수리업체로부터 배출된 수리장비를 수거한 후(S70), 반입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기반으로 바코드 정보 분석 및 이미지 매칭 분석을 통해 동일성 여부를 확인한다(S80).Thereafter, when the repair of the ordered ship is finished (S60), the repairing equipment discharged from the repairing company is collected (S70), and the imported repairing equipment is analyzed with barcode information and image matching The same is checked through analysis (S80).

상기 동일성 여부 확인결과(S90),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종료하고,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수리업체에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 오류 및 이에 따른 수리장비 반입을 요청함으로써(S100), 고가의 수리장비 이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분실 및 손실, 고의적 교체 등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If the identities of the repairing equipments are confirmed and the identities of the repairing equipments are not confirmed, the same error of the repairing equipments imported into the repairing companies and the bringing-in of the repairing equipments accordingly By requesting (S100), expensive repair equipment history is systematically managed to solve problems such as loss, loss, deliberate replacement, and the lik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수리장비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바코드 정보 및 수리 장비를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력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리장비의 손망실을 체크하는 수리장비 관리모듈과,
최근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 DB에 저장된 업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리업체를 선정하고, 연동된 스마트폰 앱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여 관리 업체의 수리장비 이동 및 추가 장비 요청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수리업체 관리모듈과,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을 통해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선정된 수리업체가 요청한 장비를 수리 일정에 맞게 배정하고, 요청장비와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일정 산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A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for attaching a barcode to a repairing equipment, performing a history management using the barcode information and an image of the repairing equipment, and checking the handwriting room of the repairing equipment based on the history,
It plans to manage the latest information in real time to plan the repair schedule, selects at least one repair company from the busin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lier database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provides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hrough the linked smartphone application, A repairmanagement module for carrying out repairing equipment movement and additional equipment requests in real time on site,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he repair shop management module allocates the requested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prioritizes the requested equipment and the repair schedule, distributes the repair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pair schedule, And a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that extracts the repair module from the bar code and the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DB에 저장된 업체 정보는 업체 ID, 업체명과, 수리 분야를 나타내는 분류 코드(code), 업체 연락처와,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업체가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in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iness DB includes a business ID, a business name, a classification code indicating a field of repair, a business contact, a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business,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business is currently in progres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hip Repair Elements Using Bar Code and Smart Ph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정보는 수리업체용 클라이언트 앱으로 변동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siness inform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when a client application for a repair company is change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hip repair component using a barcode and a smart 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장비 관리모듈은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바코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바코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바코드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바코드 정보에 따른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바코드 정보 분석부와,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와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이미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미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리장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장비를 검출하는 이미지 정보 분석부와,
상기 바코드 정보 분석부에서 검출된 수리장비와 이미지 정보 분석부에서 검출된 수리장비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장비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pair equipment management module
A barcode interface unit for disconnecting the barcode reader from the barcode reader for reading the barcode,
A bar 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receiving bar code information attached to repairing equipment from the bar code interface unit, interpreting the bar code information using pre-stored bar code analysis information, and detecting repair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terpreted bar code information,
An imag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image; an image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 disconnection;
An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receiving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of a repairing equipment from the image interface unit and comparing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with a previously stored repairing equipment image to detect matched repairing equipment,
And a device management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repairing equipment detected by the bar cod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nd the repairing equipment detected by the imag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re identical to each other to check whether the repairing equipment is identical or not,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ship repair element utilizing the bar code and the smart pho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장비 관리모듈은 수리장비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원격에서 읽어 들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리더기를 구축하여 원격에서도 수리장비의 이력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pairing equipment management module is a barcode and a smart phone which are capable of managing the history of the repairing equipment remotely by constructing a reader using a smart phone so that the barcode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can be remotely re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hip repair elements util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업체 관리모듈은
다수의 수리업체들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및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리업체를 관리하는 수리업체 처리부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와,
상기 발주정보 처리부에서 검출된 수리업체들에 수주된 수리정보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전송하는 발주정보 전송부와,
상기 발주정보 전송부에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수리업체들로부터 수락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정된 수리업체에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제공하는 수주정보 처리부와,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 및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확인하고 실효적으로 인증하는 계약정보 처리부와,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된 후, 상기 장비 관리부를 통해 확인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을 확인하여 선박수리에 따른 결체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pair shop management module
A repair company processing unit for registering a plurality of repair companies as members, a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company, and a repair worker for judging whether another repair work is currently in progress by the company,
A repair schedule is planned based on the ship repair information received from among the repair companies managed by the repair company handling unit, and the repair manpower held by the repair company using the planned repair schedule,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f repair parts is included in the repair parts,
A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planned repair schedule received from the repair shops detected by the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 order information processor for receiving an acceptance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repair companies detected on the basis of the repai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and providing a planned repair schedule to the selected repairer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phone,
A contrac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the contract conditions including the repair equipment requested by the selected repair company and the planned repair schedule,
And a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repair equipment confirmed by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is carried in or ou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pair of the ordered ship,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hip repair factor using barcode and smart 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일정 산출모듈은
수조된 선박 수리정보를 입력받는 수리정보 입력부와,
상기 수리업체 처리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업체를 중 수주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기반으로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수리업체들을 검출하는 발주정보 처리부와,
수리업체로 전송된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락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수리업체 중 현재 수주된 수리에 매칭되는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수리업체 선정부와,
상기 수리업체 선정부에서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하는 수리장비 배정부와,
상기 수리장비 배정부에서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수리장비 반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pair schedule calculation module
A repai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vessel repair information,
Based on the repair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pair service provider, which is managed by the repair service processing department, the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company based on the planned repair schedule, whether there is another repair work currently performed by the company, An or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repairing companies matched based on one,
A repair company selection unit that selects repair companies matching the currently received repair among the repair companies that received an acceptance confirmation message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sent to the repair company,
A repair equipment distributing unit for allocating the repair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ing company selected by the repairing company to the repairing company based on the history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repairing equipment stored in advance,
And a repair equipment export setting unit for prioritizing the repair equipment assigned by the repair equipment allocation unit according to a repair schedule and distributing the repair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a repair schedule and taking out the repair equipment assigned to the repair compan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hip Repair Elements Using Bar Code and Smart Phone.
(A) 수주된 선박수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선박 수리정보를 기반으로 수리 스케줄을 계획하고, 계획된 수리 스케줄을 이용하여 수리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리인력, 현재 업체가 진행 중인 타 수리 작업의 여부, 수리파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선정된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장비의 요청되면, 수리업체로부터 요청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수리장비의 반입 및 반출 이력을 기반으로 요청된 수리장비를 수리업체로 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배정된 수리장비를 수리일정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리일정에 따라 우선 배분하여 해당 수리업체로 배정된 수리장비를 반출하는 단계와,
(D) 수주된 선박수리가 종료되면, 해당 수리업체로부터 배출된 수리장비를 수거한 후, 반입된 수리장비를 미리 저장된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기반으로 바코드 정보 분석 및 이미지 매칭 분석을 통해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E) 상기 동일성 여부 확인결과,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수리업체에 반입된 수리장비의 동일성 오류 및 이에 따른 수리장비 반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
(A) When the ordered ship repair information is input, plan the repair schedule based on the entered ship repair information, and use the planned repair schedule to determine the repair worker possessed by the repairer, Whether or not at least one repair part is included in the repair part,
(B) assigning the repairing equipment requested by the repairing company to the repairing company based on the history of importing and exporting of the repairing equipment previously stored, when the repairing equipment is requested from the selected repairing company,
(C) assigning the assigned repairing equipment to a priority according to a repair schedule and distributing the repairing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a repair schedule and taking out the repairing equipment assigned to the repairing company;
(D) Upon completion of the repair of an ordered ship, the repair equipment discharged from the repair company is collected, and then the imported repair equipment is analyzed for barcode information and image matching based on previously stored equipment history and business history , ≪ / RTI >
(E) requesting the repairing equipment to bring in the same error of the repairing equipment brought in to the repairing company and bringing the repairing equipment into the repairing equipment if the identity of the repairing equipment i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above- An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ship repair factor using smartpho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리업체를 추출할 때, 요소관리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현재 수리업체의 정보 변동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수리업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extracting the repairing company, the repairing company selects a repairing company by checking, in real time, whether a change in the information of the repairing company has occurred with the smartphone through the element management client applic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ship repair factor utiliz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반출되는 수리장비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더 정보 및 수리방비의 촬영이미지 정보를 검출하고, 반출되는 수리업체별로 분류하여 수리장비에 따른 장비이력 및 업체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C)
The barcode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 image information of the repairing and repairing unit attached to the repairing equipment to be carried out are detected and classified into the repairing companies to be carried out to store the equipment history and the business history according to the repairing equipment.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Ship Repair Elements Using.
KR1020130168576A 2013-12-31 2013-12-31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KR201500788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76A KR20150078830A (en) 2013-12-31 2013-12-31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76A KR20150078830A (en) 2013-12-31 2013-12-31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830A true KR20150078830A (en) 2015-07-08

Family

ID=5379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576A KR20150078830A (en) 2013-12-31 2013-12-31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83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80A (en) 2015-07-27 2017-0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ing for Ship Repair
KR20190088355A (en) * 2018-01-18 2019-07-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nshore and offshore vessels and work management system
KR20200092687A (en) * 2019-01-25 2020-08-04 (주)원엔지니어링 Management system of work and safety in docky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80A (en) 2015-07-27 2017-0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ing for Ship Repair
KR20190088355A (en) * 2018-01-18 2019-07-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nshore and offshore vessels and work management system
KR20200092687A (en) * 2019-01-25 2020-08-04 (주)원엔지니어링 Management system of work and safety in docky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598B2 (en) Dynamic total asset management system (TAMS) and method for managing building facility services
JP5800903B2 (en) Optical asset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US7434730B2 (en) part availability business process
US1100403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product return requests
US201603429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terface
KR1014223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ing defect of construction site
KR101562534B1 (en) Method for mobile inspection of MRO material using QR code an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Sharpe et al. Cyber-Physical Systems in the re-use, refurbishment and recycling of used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810535B2 (en) Loss preven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s
JP6893726B2 (en) Global maintenance service support system
US20140215472A1 (en) Task management
CN108830470B (en) Accou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50078830A (en)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KR102255695B1 (en) Expandabl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CN107203860B (en) Inventor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764291A1 (en) Method of examining the product inspection
US20220283578A1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for Maintaining a Production Facility
JP5557863B2 (en) Plant equipmen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KR20190138497A (en)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in service center
US201500735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nd adaptive collection and use of data and metadata to improve efficiency and reduce leakage and theft
KR102047277B1 (en) Thing as a service based asset procurement management apparatus
US20210012296A1 (en) Network Extended Support System
Jose et al. Real time asset tracking in field services using barcode system: a case study
KR20060073729A (en) Checking system of railway us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method
Ala-Risku Installed base information management with industrial service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