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500A -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 Google Patents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500A
KR20150078500A KR1020130167905A KR20130167905A KR20150078500A KR 20150078500 A KR20150078500 A KR 20150078500A KR 1020130167905 A KR1020130167905 A KR 1020130167905A KR 20130167905 A KR20130167905 A KR 20130167905A KR 20150078500 A KR20150078500 A KR 2015007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voice
command
execu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102013016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500A/ko
Publication of KR2015007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10)의 제어부(12)가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 스마트 TV,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스마트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정을 통한 명령어 의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스마트단말의 어플을 실행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Method for executing smart device application using voice data, and smart device with executing smart device application function using voice data}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스마트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정을 통한 명령어 의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스마트단말의 어플을 실행시키도록 하기 위한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마트단말의 어플에 대한 실행은 다수의 어플 아이콘에 대한 터치스크린 상의 다수의 페이지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행한 뒤, 선택된 페이지에 구현된 다수의 어플 아이콘에 대한 선택을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은 스마트단말 상에 메인 페이지가 다수개로 설정되거나 어플 아이콘이 작게 형성된 경우, 2 중의 단계에 의해 매우 불편하게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의 발신자 자동 음성 알림 프로그램(Auto Voice Caller Id Program for Smartphone)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02233호)
2. 스마트폰의 이미지 화면을 통한 양방향 통신시스템과 그 방법(Two ways comun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image screen of the smart phone)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6475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TV,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스마트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정을 통한 명령어 의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스마트단말의 어플을 실행시키도록 하기 위한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은, 스마트단말(10)의 제어부(12)가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는,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영상 입출력부(11)로 입력된 타이핑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의 어플 이름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이 상기 제 3 단계에서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은, 영상 입출력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및 음성 입출력부(14)를 포함하는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에 있어서, 제어부(12)는,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며,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하는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영상 입출력부(11)로 입력된 타이핑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의 어플 이름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에 의해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은, 스마트폰, 스마트 TV,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스마트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정을 통한 명령어 의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스마트단말의 어플을 실행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의 영상 입출력부(11)로 구현되는 음성 매칭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의 영상 입출력부(11)로 구현되는 음성 매칭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은 영상 입출력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및 음성 입출력부(14)를 포함한다.
영상 입출력부(1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부와 출력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음성 입출력부(14)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 및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구비한다.
스마트단말(10)의 제어부(12)는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한다.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카메라 어플에 대한 예를 들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명령어로 "카메라"로 타이핑된 텍스트를 영상 입출력부(11)로부터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카메라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인 카메라와 어플인 카메라 어플은 서로 매칭이 되어 저장부(13) 상에 저장되며, 도 2b의 전화, 그리고 도 2c의 카톡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어플에 대항 명령어를 입력받아 저장부(13)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카톡 어플에 대해서는 “카톡 또는 카카오톡”으로 명령어를 입력받고, 카카오톡 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카카오톡 어플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다.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한다.
다음으로,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에 의해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전화”에 대한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전화 어플을 실행하게 되면 전화 어플에 의해 전화 자판이 영상 입출력부(11)로 구현된다. 이후,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1번”이라는 음성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저장부(13) 상에 1번에 저장된 단축번호로 전화가 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1번”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 단축번호 1번에 저장된 번호로 전화가 걸리라는 어플 모듈이 미리 저장된 상태여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로 예를 들면 “카메라“ 하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에 의해 음성 입출력부(14)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 분석에 따라 카메라 어플을 실행시킨 뒤, 카메라 어플이 실행된 뒤,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찍어”라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 받은 경우 사진 촬영을 수행한다. 역시 이 경우도 “찍어” 라는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 카메라 촬영이 실행되도록 하는 어플 모듈은 미리 저장부(13)에 저장된 상태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단말(10)의 제어부(12)가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한다(S1).
단계(S1) 이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한다(S2).
도 2a를 참조하면, 카메라 어플에 대한 예를 들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명령어로 "카메라"로 타이핑된 텍스트를 영상 입출력부(11)로부터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카메라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인 카메라와 어플인 카메라 어플은 서로 매칭이 되어 저장부(13) 상에 저장되며, 도 2b의 전화, 그리고 도 2c의 카톡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어플에 대항 명령어를 입력받아 저장부(13)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카톡 어플에 대해서는 “카톡 또는 카카오톡”으로 명령어를 입력받고, 카카오톡 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카카오톡 어플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다.
단계(S2) 이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한다(S3).
단계(S3) 이후,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단계(S3)에서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한다(S4).
예를 들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전화”에 대한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전화 어플을 실행하게 되면 전화 어플에 의해 전화 자판이 영상 입출력부(11)로 구현된다. 이후,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1번”이라는 음성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저장부(13) 상에 1번에 저장된 단축번호로 전화가 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1번”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 단축번호 1번에 저장된 번호로 전화가 걸리라는 어플 모듈이 미리 저장된 상태여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로 예를 들면 “카메라“ 하면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에 의해 음성 입출력부(14)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 분석에 따라 카메라 어플을 실행시킨 뒤, 카메라 어플이 실행된 뒤,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찍어”라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사진 촬영을 수행한다. 역시 이 경우도 “찍어” 라는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 카메라 촬영이 실행되도록 하는 어플 모듈은 미리 저장부(13)에 저장된 상태여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11: 영상 입출력부
12: 제어부
12a: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
12b: 음성 인식 어플 모듈
13: 저장부
14: 음성 입출력부

Claims (6)

  1. 스마트단말(10)의 제어부(12)가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이 영상 입출력부(11)로 입력된 타이핑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의 어플 이름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이 상기 제 3 단계에서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4. 영상 입출력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및 음성 입출력부(14)를 포함하는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10)에 있어서, 제어부(12)는,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단말(10)에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을 설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그리고 각 명령어에 매칭되는 어플 아이콘을 영상 입출력부(11)를 통해 입력받은 뒤,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며, 하나의 명령어를 음성 입출력부(14)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한 뒤 분석된 음성과 매칭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어플 이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어플 이름에 해당하는 어플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구동하는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은,
    영상 입출력부(11)로 입력된 타이핑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그 옆에 "어플 등록칸"에 "어플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영상 출력부(11)로부터 수신되면, 명령어와 어플 아이콘의 어플 이름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3)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음성 인식 어플 모듈(12b)은,
    음성 실행 및 구동 어플 모듈(12a)에 의해 구동된 어플의 동작을 STT(Speech To Text) 기반으로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어 해석을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KR1020130167905A 2013-12-30 2013-12-30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KR20150078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05A KR20150078500A (ko) 2013-12-30 2013-12-30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905A KR20150078500A (ko) 2013-12-30 2013-12-30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500A true KR20150078500A (ko) 2015-07-08

Family

ID=5379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905A KR20150078500A (ko) 2013-12-30 2013-12-30 음성을 이용한 스마트단말 어플 실행 방법,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어플 실행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5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450A (zh) * 2017-02-15 2018-08-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操作指令处理方法及装置
WO2018194267A1 (ko) * 2017-04-17 2018-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450A (zh) * 2017-02-15 2018-08-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操作指令处理方法及装置
CN108428450B (zh) * 2017-02-15 2021-10-22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操作指令处理方法及装置
WO2018194267A1 (ko) * 2017-04-17 2018-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570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response to voice input,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CN108829235B (zh) 语音数据处理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EP382133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hort cut of quick command
RU264146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терминала
US20230039067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3528243A1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366740B (zh) 语音命令识别方法及装置
US20170046124A1 (en) Responding to Human Spoken Audio Based on User Input
EP360531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speech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7889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877642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emo function
US20140195248A1 (en) Interactive serv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9145A (ko) 음성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JP7017598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のデータ処理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US11170764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CN109144458B (zh) 用于执行与语音输入相对应的操作的电子设备
US20200075008A1 (en) Vo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EP3610479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CN106373566A (zh) 数据传输控制方法及装置
KR20190068133A (ko)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음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3144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graphic indication
CN110945455A (zh) 处理用户话语以用于控制外部电子装置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42063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bpage sound control
US201500461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54731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vo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