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505A -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505A
KR20150077505A KR1020130165021A KR20130165021A KR20150077505A KR 20150077505 A KR20150077505 A KR 20150077505A KR 1020130165021 A KR1020130165021 A KR 1020130165021A KR 20130165021 A KR20130165021 A KR 20130165021A KR 20150077505 A KR20150077505 A KR 2015007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skey
oak
chips
chip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5053B1 (en
Inventor
김동욱
김관태
이강영
성기우
박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블루
주식회사 골든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블루, 주식회사 골든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블루
Priority to KR102013016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0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7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12G3/07Flavouring with wood extracts, e.g. generated by contact with wood; Wood pretreat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whisky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whisky using an oak chip for the aged smell and the improved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whisky comprises the steps of: a first step for preparing an oak chip and whisky containing alcohol; a second step for sterilizing the oak chip in boiling water; a third step for drying the sterilized oak chip; and a fourth step for aging as adding the oak chip in whisky.

Description

위스키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본 발명은 위스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성취 및 품질향상을 위한 오크칩을 이용한 위스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ey using an oak chip for aging and quality improvement.

일반적으로, 위스키의 향과 맛은 소비자가 위스키를 선호하는 이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위스키의 독특한 향과 맛은 위스키의 품질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위스키의 향과 맛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크게 나누어서 원료와 제조공정, 오크통을 사용한 저장과 숙성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general, the flavor and flavor of whiskey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consumers prefer whiskey. The distinctive flavor and taste of whiske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whiske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lavor and taste of this whiskey are roughly divided into ingredients, manufacturing process, storage and aging using oak.

위스키는 맥아, 보리, 밀 등 곡류를 원료로 해 발효시켜 증류한 증류주다. 기본적인 제조 방법은 원료를 당화시켜 효모를 섞어서 발효한 후 증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두 차례의 증류 과정을 마친 증류주는 무색투명하며 약 70%의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진다. 이렇게 얻은 증류주는 오크통에서 최소 3년에서 길게는 50년 이상 숙성시킨다.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이 기간 동안 위스키의 미숙한 향은 사라지는 대신 꽃 향, 벌꿀 향, 바닐라 향, 과일 향 등이 가미되며 강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갖게 된다. 위스키 제조 과정에 있어서 오크통에서의 숙성 과정은 위스키의 결정적인 풍미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시기다. 오크통의 종류, 크기, 숙성 기간에 따라 위스키의 향과 맛, 색이 결정되기 때문이다.Whiskey is a distillate that has been fermented with cereals such as malt, barley, and wheat.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is to saccharify the raw material, ferment it by mixing the yeast, and then subject to the distillation process. After two distillations, distilled liquor is colorless and transparent and has a high alcohol content of about 70%. The spirits thus obtained are aged for at least three years in oak barrels for at least 50 years. During this period of aging in oak barrels, whiskey's inexperienced incense disappears, but it is accompanied by floral, honey, vanilla, and fruit flavors and has a strong, soft flavor. In the whiskey manufacturing process, the process of aging in oak is the most important time to create a decisive flavor of whiskey. The flavor, taste and color of whiskey are determined by the type, size and aging period of the oak barrel.

특히, 위스키의 숙성과정 중 위스키 성분의 물리 화학적 변화, 공기에 의한 산화, 오크 성분의 용출, 위스키 성분과 오크와의 반응, 성분 간의 반응 등 상당히 복잡한 변화가 일어난다. 오크에 포함되어 있는 총폴리페놀(Total Polyphenol) 성분을 더해주어 입안에서의 느낌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Particularly, during the aging process of whiskey, there are considerably complicated changes such as physicochemical change of whiskey ingredient, oxidation by air, elution of oak ingredient, reaction of whiskey ingredient with orc, reaction between ingredient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orc is added to soften the feeling in the mouth.

한편,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위스키 품질 특성 및 품질 수준 조사를 통하여, 숙성 연도가 짧은 저년산 위스키의 품질수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질이 12년급 이상의 위스키와 비교할 때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저년산 위스키일수록 거칠고 미숙한 맛과 풍미가 나타나며, 총폴리페놀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숙성 연도가 짧아 오크통을 통한 숙성과정이 충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이다.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quality level of low - year - old whiskey with a short ripening year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level of whiskeys currently on the market has revealed various problems compared with whiskeys having a quality of 12 years or more. Especially, low - aged whiskey showed rough and inexperienced taste and flavor and low content in total polyphenols. This is a problem caused by the fact that the ripening period is short and the aging process through oak barrel is not enough.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위스키 원주에 오크칩과 레드 와인을 활용하여 셰리 우드(Sherry Wood)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와 비슷한 조건 구축과, 위스키 풍미 향상을 목표로 전처리 및 고속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eparing a condition similar to a chemical change occurring in Sherry Wood by utilizing oak chips and red wine in a whiskey circumference, And a process for aging the whiskey.

또한, 본 발명은 12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짧은 시간 동안 제조할 수 있으며, 고년산 제품을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hiskey which can produce a product exhibiting sensory characteristics equivalent to that of imported whiskey of 12 years or more for a short period of time, .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고품질의 위스키 개발 및 규격화 연구를 위해 다양한 첨가 방법으로 오크칩을 위스키에 가한 다음 처리 방법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오크칩 비율 구명, 적정 전처리 시간 및 온도의 최적조건화 등 위스키 전처리 조건 연구를 통하여 표준화된 제조법을 확립하고 품질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정립하여 오크칩 전처리 방법 개발을 통한 고품질 위스키를 개발하여 주질 향상과 소득 증대하기 위한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ak chips to whiskey by various adding methods for improved high quality whiske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udies, and then examines changes in oak chip ratio, optimal preprocessi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whiskey for improving quality and income by developing high quality whiskey through development of oak chip preprocessing method by establishing standardized manufacturing method and establishing technology for improving quality through studying whiskey pretreatment condition,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알코올을 함유하는 위스키와, 오크칩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오크칩을 끓는 물에서 살균하는 제2 단계; 살균된 오크칩을 건조하는 제3 단계; 및 위스키에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whis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n oak chip and an alcohol-containing whiskey; A second step of sterilizing the oak chips in boiling water; A third step of drying the sterilized oak chip; And a fourth step of adding oak chips to the whiskeys and aging them.

또한, 본 발명의 제2 단계에서는, 오크칩을 100℃의 끓는 물에 5분 내지 20분간 침지시켜 살균하며, 제3 단계에서는, 살균된 오크칩을 60℃의 건조 오븐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ak chips are immersed in boiling water of 100 DEG C for 5 to 20 minutes to sterilize them. In the third step, the sterilized oak chips are dried in a drying oven at 60 DEG C for 2 to 4 hours Followed by drying.

또한,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는, 위스키 100 중량부에, 오크칩 0.4 내지 0.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ourt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0.4 to 0.6 parts by weight of oak chips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whiskey.

또한,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는,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하는 시간을 22시간 내지 26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urt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which oak chips are added and aged is set to 22 hours to 26 hours.

또한,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는, 오크칩이 수용된 인큐베이터 상에 위스키를 교반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 fourt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key is agitated and aged on an incubator containing the oak chips.

또한, 본 발명의 제4 단계에서는, 오크칩이 수용된 칼럼(Column) 상에 위스키를 순환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ourt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skey is circulated and matured on a column containing oak chips.

또한, 본 발명의 제3 단계에서는, 건조된 오크칩에 레드와인을 흡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hir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ed oak ch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d wine is absorbed and treated.

또한, 본 발명의 위스키 100 중량부에 대해 레드와인 0.2 내지 0.3 중량부를 오크칩에 흡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0.2 to 0.3 parts by weight of red wine is absorbed and treat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iskey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 단계 또는 제3 단계에서는, 오크칩을 토스팅(Toast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or thir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ak chips are subjected to a toasting treatment.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위스키 원주에 오크칩과 레드 와인을 활용하여 셰리 우드(Sherry Wood)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와 비슷한 조건 구축과, 위스키 풍미 향상을 목표로 전처리 및 고속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his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oak chips and red wine in the whiskey circumference, a condition similar to the chemical change occurring in the Sherry Wood and a pretreatment And a process of high-speed ripening.

또한, 본 발명의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12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짧은 시간 동안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고년산 제품을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whiske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product having a sensory characteristic equivalent to that of imported whiskey of 12 years or more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to replace a high-season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개선된 고품질의 위스키 개발 및 규격화 연구를 위해 다양한 첨가 방법으로 오크칩을 위스키에 가한 다음 처리 방법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오크칩 비율 구명, 적정 전처리 시간 및 온도의 최적조건화 등 위스키 전처리 조건 연구를 통하여 표준화된 제조법을 확립하고 품질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정립하여 오크칩 전처리 방법 개발을 통한 고품질 위스키를 개발하여 주질 향상과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hiskey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whiske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research of high quality whiskey by adding various kinds of oak chips to the whiskey and then comparing the changes of the oak chip ratio, And whiskey pretreatment conditions such as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ing, establishing standardized manufacturing methods and establishing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quality, and developing high quality whiskey through development of oak chip pretreatment method to improve quality and increase income .

또한, 본 발명의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오크칩 처리를 통하여 위스키의 맛과 향이 강해지며 이에 따라 고속 숙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hiskey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the flavor and aroma of whiskey through oak chip processing, and thus has an effect of high-speed ri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크칩의 살균 및 살균 공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크칩의 첨가량을 달리한 위스키 시료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크칩 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가지 오크칩 처리 방법에 따른 위스키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가지 오크칩 처리 방법에 따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드와인 처리에 따른 위스키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드와인 처리에 따른 위스키의 알코올 구성 분석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스팅 처리된 오크칩과 일반 오크칩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크칩의 토스팅 처리에 따른 위스키의 색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process of an oak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a whiskey sample with different amounts of oak ch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oak chi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colors of whiskey according to two oak chip processing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comparing total polyphenols of whiskey according to two oak chip processing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colors of whiskey according to the red wine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comparing alcohol composition analysis of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toasting-treated oak chip and a general oak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colors of whiskey according to an orch chip toas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먼저, 제1 단계(S110)에서는 알코올을 함유하는 위스키와, 오크칩을 마련한다.First, in the first step S110, an alcohol-containing whiskey and an oak chip are provided.

다음으로, 제2 단계(S120)에서는 오크칩을 끓는 물에서 살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단계(S120)에서는, 오크칩을 100℃의 끓는 물에 5분 내지 20분간 침지시켜 살균한다.Next, in the second step (S120), the oak chips are sterilized in boiling water. Specifically, in a second step (S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ak chips are sterilized by immersing them in boiling water at 100 DEG C for 5 minutes to 20 minutes.

다음으로, 제3 단계(S130)에서는 살균된 오크칩을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S130)에서는, 살균된 오크칩을 60℃의 건조 오븐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Next, in the third step (S130), the sterilized oak chip is dried. Specifically, in the third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y the sterilized oak chip in a drying oven at 60 DEG C for 2 to 4 hours.

다음으로, 제4 단계(S140)에서는 위스키에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4 단계(S140)에서는, 위스키 100 중량부에, 오크칩 0.4 내지 0.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하는 시간을 22시간 내지 26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해서는 이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Next, in the fourth step (S140), oak chips are added to the whiskey and aged. More specifically, in a fourth step S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 0.4 to 0.6 parts by weight of oak chips to 100 parts by weight of whiskey, To 26 hour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concrete example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제4 단계(S140)에서는, 오크칩이 수용된 인큐베이터 상에 위스키를 교반 숙성하거나, 오크칩이 수용된 칼럼(Column) 상에 위스키를 순환 숙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in a fourth step (S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gitate the whiskey on the incubator containing the oak chips or to circulate and whisk the whiskey on the column containing the oak chips.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단계(S130)에서는, 건조된 오크칩에 레드와인을 더 흡수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위스키 100 중량부에 대해 레드와인 0.2 내지 0.3 중량부를 오크칩에 흡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third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ed oak chips can further absorb red win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0.2 to 0.3 part by weight of red wine is absorbed to oak chip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hiske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계(S110) 또는 제3 단계(S130)에서는, 오크칩을 토스팅(Toasting)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S110) or the third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eat the oak chip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위스키의 제조방법에 의해, 위스키 원주에 오크칩과 레드 와인을 활용하여 셰리 우드(Sherry Wood)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와 비슷한 조건 구축과, 위스키 풍미 향상을 목표로 전처리 및 고속 숙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hiskey of the present invention, oak chips and red wine are us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whiskey to form conditions similar to chem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sherry wood, and to improve the whiskey flav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 can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은 12년산 이상의 수입 위스키와 동등한 수준의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짧은 시간 동안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고년산 제품을 대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product exhibiting sensory characteristics equivalent to those of imported whiskey of 12 years or more in a short time, .

이후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스키의 제조방법을 따라, 개선된 고품질의 위스키 개발 및 규격화 연구를 위해 다양한 첨가 방법으로 오크칩을 위스키에 가한 다음 처리 방법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오크칩 비율 구명, 적정 전처리 시간 및 온도의 최적조건화 등 위스키 전처리 조건 연구를 통하여 표준화된 제조법을 확립하고 품질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정립하여 오크칩 전처리 방법 개발을 통한 고품질 위스키를 개발하여 주질 향상과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whis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ak chips are added to whiskey by various addi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d high-quality whiskey and standardization, Establishment of a standardized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the study of whiskey pretreatment conditions such as oak chip ratio, optimum preprocessing time and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ing, and establishing a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and developed high quality whiskey through the development of oak chip pretreatment method. You will be able to increase your income.

<실험재료><Materials>

본 실험예에서 위스키 시료로는 스코틀랜드 벤리악(Scotland Benriach)의 미숙성(Non-age) 위스키를 사용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위스키의 일반 특성은 표 1과 같다.Non-age whiskey from Scotland Benriach was used as a whiskey sample in this experiment. Table 1 sh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hiskey used as a sampl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2를 참조하면, 오크칩은 새박에서 구입한 숙성용 프렌치 오크칩(French Oak Chip) 사용하였다. 이 오크칩은 100℃ 끓는 물에서 10분간 살균 후 60℃ 건조 오븐(dry oven)에서 3시간 건조 후 사용하였다.Referring to FIG. 2, the oak chip was a French Oak Chip purchased from Dumpling Company. The oak chips were sterilized in boiling water at 100 ° C for 10 minutes and then dried in a dry oven at 60 ° C for 3 hours.

<실험예의 개요><Outline of Experimental Example>

위스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크칩의 적절한 첨가 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40% 내지 60% v/v 알코올 함유 위스키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0.1%, 0.3%, 0.5%, 0.8%, 1%, 3%, 5%, 10%, 15%(w/w)의 오크칩을 가하고 6~168시간 인큐베이터(Incubator) 투입 후 25℃, 65rpm으로 교반 또는 칼럼(Column)을 통한 순환 과정을 거치며 숙성 시간을 주었으며, 대조구는 오크칩을 첨가하지 않은 위스키를 동시에 숙성시켜 사용하였다.0.3%, 0.5%, 0.8%, 1%, and 3%,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whiskey containing 40% to 60% v / v alcohol to investigate the proper addition of oak chips, , 5%, 10%, and 15% (w / w) of oak chips were added, incubated for 6 to 168 hours in an incubator, and then agitated at 25 ° C and 65 rpm or through a column, , Whiskey without oak chips was used at the same time.

<위스키의 분석방법><Analysis method of whiskey>

위스키의 알코올 함량은 밀도계(Density Meter, DMA 4500M, Anton Paar, Karntner Strabe, Aust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도는 당도계(Refract meter, MASTER-T, ATAG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H는 pH 미터(pH meter, Orion 420A+, Thermo Electron,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오크칩 처리에 따른 pH변화를 측정하였다. 색상(Color)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Optizen 2120UV plus, Mecasys,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430㎚에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였다.The alcohol content of whiskey was measured using a density meter (DMA 4500M, Anton Paar, Karntner Strabe, Austia). The sugar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refractometer (MASTER-T, ATAGO, Tokyo, Japan). pH was measured by oak chip treatment using a pH meter (Orion 420A +, Thermo Electron, Milford, Mass., USA). Color was measured by absorbance at 430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Optizen 2120UV plus, Mecasys, Daejeon, Korea).

위스키 시료의 총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은 HPLC(Series 200, Perkin Elmer,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정량 하였다.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iskey samples was quantified using HPLC (Series 200, Perkin Elmer, Waltham, Mass., USA).

위스키 시료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메탄올(Methanol), 1-프로판올(1-Propanol), 부탄올(Butanol), 이소아밀알코올(Isoamyl alcohol), 푸르푸랄(Furfural)의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Gas Chromatograph, GC-2010, SHIMADZU, Kyoto, Japan)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The content of acetyldehyde, ethyl acetate, methanol, 1-propanol, butanol, isoamyl alcohol and furfural in whiskey samples Was qua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 (GC-2010, SHIMADZU, Kyoto, Japan).

위스키의 관능검사는 10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에 관한 설명과 관능검사의 평가 기준을 숙지시킨 후 특징 평가, 향미 평가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항목이 적힌 설문지를 이용하여 5점 척도법으로 실행하였다. 이때, 관능평점은 5, 매우 좋음(very good), 4, 좋음(good), 3, 표준수준(fair), 2, 나쁨(bad), 1, 매우 나쁨(very bad)으로 정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한 독립 T-테스트(T-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whiskey was carried out by the 5-point scale method using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en items, the description of the study,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sensory scores were evaluated as 5, very good, 4, good, 3, fair, 2, bad, 1, and very bad. All data were verified as independent T-test (SPSS)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실험예 1_오크칩의 적정 첨가량 구명><Experimental Example 1 - Determination of proper amount of oak chips>

오크칩의 첨가량에 따른 위스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40% 위스키에 오크칩을 0.1%, 0.3%, 0.5%, 0.8%, 1%, 3%, 5%, 10%, 15% 첨가하여 이를 25℃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시료를 여과하여 36.7%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오크칩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To compare the change of whiskey according to the addition amount of oak chips, 0.1%, 0.3%, 0.5%, 0.8%, 1%, 3%, 5%, 10% and 15% of oak chips were added to 40%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kept at &lt; RTI ID = 0.0 &gt; 0 C &lt; / RTI &gt; and the sample was filtered to dilute to 36.7%, the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oak chip were analyzed as follows.

오크칩 첨가에 따른 위스키의 일반적인 특징은 도 3 및 표 2와 같이이 나타난다.Typical features of whiskey upon addition of oak chips are shown in FIG. 3 and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알코올의 경우 숙성 및 여과 과정을 거치며 약간 감소하였지만 오크칩의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rix의 경우는 오크칩의 첨가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pH의 경우에는 15% 오크칩을 처리한 위스키가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표 2에서는 오크칩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오크칩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오크칩 추출효율은 오크칩의 추출성분으로 인하여 위스키에 부가된 색을 측정할 수 있는 430nm 파장에서 흡광도(absorbance) 측정, EBC 단위로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Alcohol was slightly decreased by aging and filtration proce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ak chips. Brix increased as the amount of oak chips increased. In the case of pH, whiskey treated with 15% oak chips was slightly low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able 2 shows that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oak chips increases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oak chips increases. At this time, the oak chip extraction efficiency was measured indirectly by absorbance measurement at EBC of 430 nm wavelength which can measure the color added to the whiskey due to the extraction component of oak chi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도를 나타내는 430 nm에서의 홉광도의 값이 점차 높아지며, 색상이 첨가량에 따라 값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색도 값을 가진다는 연구와도 일치한다.As the addition amount is increased, the value of hop intensity at 430 nm which shows brownness gradually increases, and the value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the amount of hue add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study that the higher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he higher the chromaticity value.

현재 시중 유통중인 9종의 12년급 위스키 제품의 평균 색상이 15.6± 5EBC로 색상이 26EBC이상을 나타내는 5% 이상의 첨가량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It is understood that the average color of the whiskey product of 12 kinds of 12 kinds of currently marketed products in the market is 15.6 ± 5EBC and the addition amount of 5% or more in which the color is 26EBC or more is not preferable.

본 실험예 1에서 시료로 쓰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표 3과 같다. 이때 성분 단위는 ppm이다. The content of the total polyphenol compounds in the whiskey used as a sample in Experimental Example 1 is shown in Table 3. Wherein the component unit is ppm.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오크칩을 첨가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총폴리페놀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며, 오크칩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폴리페놀 함량 역시 증가함을 볼 수 있다.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s increased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s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oak chips.

페놀성 화합물은 위스키의 저장 중에 오크나무 통으로부터 추출되는 화학적 성분으로 오크통을 만들 때 불에 그슬림으로써 생성되거나 일부는 위스키의 저장과정에서 에탄올에 분해되어(Ethanolysis) 만들어지는 성분이다.  Phenolic compounds are chemical components extracted from oak barrels during the storage of whiskeys, which are produced as slimy when making oak barrels, or partly produced by ethanolysis during the storage of whiskey.

따라서, 총폴리페놀이 증가하는 것은 오크칩 성분이 위스키에 추출되어 숙성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오크칩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폴리페놀 값이 점차 높아지며, 첨가량 대비 증가 폭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한다. Therefore, the increase of total polyphenol can be understood that the oak chip component is extracted into whiskey and gives an aging effect. That is, the total polyphenol value gradually increases as the amount of orc chip is increased, and the increase rate with respect to the addition amount gradually decreases as the addition amount increases.

현재 시중 유통중인 9종의 12년급 위스키 제품의 평균 총폴리페놀은 6~9 ppm 범위이며 10 ppm 이상을 나타내는 1% 이상의 첨가량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The averag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nine 12-year-old whiskey products currently on the market is in the range of 6 to 9 ppm, and the addition amount of 1% or more, which represents more than 10 ppm, is not desirable.

오크칩 첨가량에 따른 시료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메탄올(Methanol), 1-프로판올(1-Propanol), 부탄올(Butanol), 이소아밀알코올(Isoamyl alcohol), 푸르푸랄(Furfural)의 함량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이때 성분 단위는 ppm이다. The content of oak chips was determined by the addition of acetaldehyde, ethyl acetate, methanol, 1-propanol, butanol, isoamyl alcohol, furfural Furfural) is shown in Table 4 below. Wherein the component unit is ppm.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GC 분석을 통한 알코올 구성(Alcohols composition) 측정 결과, 전체 알코올 간의 유의적 변화는 없으나, 푸르푸랄의 경우 일정한 비율로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alcohol composition (Alcohols composition) measurement by GC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all alcohols, but it was confirmed that furfural increased at a certain rate.

관능 검사 결과, 0.5% 오크칩을 첨가한 위스키가 색상에서 다른 실험구들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 이상의 오크칩을 첨가한 위스키의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hiskey containing 0.5% orch chips showed higher score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in color, and the overal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whiskey containing 3% or more oak chips, overall acceptabil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오크칩을 0.1%, 0.3%, 0.5%, 0.8%, 1%, 3%, 5%, 10%, 15% 위스키에 첨가한 결과 1% 이상 처리한 위스키에서는 오크의 테이스트가 너무 강하게 느껴졌으며 0.3% 이하로 처리한 위스키에서는 컨트롤 위스키와 차이가 감지되지 않았다. 오크칩을 첨가한 위스키는 첨가하지 않은 위스키보다 색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이는 오크칩에서 우러나는 성분으로 기존의 위스키에 비해 색이 약간 짙게 보이기 때문이다.Specifically, in the whiskey treated with 1% or more of the oak chips added to 0.1%, 0.3%, 0.5%, 0.8%, 1%, 3%, 5%, 10% and 15% whiskey, It was felt that the whiskey processed below 0.3% did not detect any difference from the control whiskey. Whiskey with added oak chips has a higher score in color than whiskey that is not added, because it comes from oak chips and looks a bit darker than the old whiskey.

그러나, 3% 이상의 오크칩을 첨가한 위스키의 경우 진한 색상과 오크칩에서 우러난 쓴 맛 때문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0.5% 오크칩을 첨가한 위스키는 향과 맛에서 다른 실험구들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However, whiskey containing 3% or more oak chips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control in overall acceptability due to dark color and bitter taste from oak chips. Whiskey with 0.5% oak chips had higher scores on flavor and taste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an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이와 같이, 오크칩의 5%, 1% 이상의 첨가는 각각 오크칩 성분 추출효율의 지표인 색상과 총폴리페놀에서 현재 시중 유통중인 12년급 위스키의 범위를 벗어나며, 3% 이상의 첨가는 전반적 기호도가 낮아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0.3% 이하의 첨가량은 오크칩을 첨가하지 않은 컨트롤 위스키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0.5% 첨가구가 전반적 기호도와 오크 성분의 추출효율 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 of 5% or more of 1% or more of the oak chips is out of the range of the 12-year whiskey currently being distributed on the market, which is the index of the oak chip component extraction efficiency and total polyphenol, It was not appropriate.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ddition of 0.3% or l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whiskey without oak, and the addition of 0.5% was the best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and oak extraction efficiency.

<실험예 2_오크칩의 적정 처리 시간 구명>&Lt; Experimental Example 2 - Determination of proper treatment time of oak chips >

본 실험예 2에서는 오크칩 첨가 시간을 증가 혹은 감소시킬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위스키를 제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In Experimental Example 2, it was tri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hiskey can be manufactured more effectively when the oak chip addition time is increased or decreased.

위스키 중량에 대하여 ‘실험예 1. 오크칩 적정 첨가량 구명 결과’에 따른 0.5%(w/w)의 오크칩을 부가하고, 25℃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6시간, 12시간, 24시간, 72시간, 96시간, 120시간, 144시간, 168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였다. 분취한 시료를 알코올의 함량이 36.7%(v/v)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희석된 시료에 포함된 오크칩으로부터 추출된 성분의 함량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오크칩 첨리 시간에 따른 위스키의 일반적인 특징은 표 5와 같다. 0.5% (w / w) of oak chip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Orc Chip Appropriate Amount Test Results were added to the whiskey weight, and incubation was carried out for 6 hours, 12 hours, 24 hours, 72 hours , 96 hours, 120 hours, 144 hours, and 168 hours. The aliquots were diluted so that the alcohol content was 36.7% (v / v), an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oak chips contained in the diluted samples was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 Table 5 sh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hiskey according to oak chip snapping time.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Brix의 경우는 오크칩의 처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pH의 경우에는 오크칩 처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색상의 경우 처리 시간에 따라 증가하나, 120시간 경화 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오크칩 처리 120시간 경화 후, 오크칩 성분 추출효율 없다.Brix increased as the processing time of oak chips increased. In the case of pH, it tends to decrease with increasing oak chip treatment time. The color was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tim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120 hours of curing. That is, after the oak chip treatment for 120 hours, the oak chip component extraction efficiency is low.

오크칩 처리 시간에 따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표 6과 같다. 이때 성분 단위는 ppm이다.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compounds in whiskey according to oak chip treatment time is shown in Table 6. Wherein the component unit is ppm.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오크칩 처리 72시간 까지 총폴리페놀(Total Polyphenol)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며, 72시간 이후 증가하지 않았다. 특히 24 시간 이후 증가 폭이 미미하다. 즉, 오크칩 처리 24시간 경과 후, 오크칩 성분 추출효율 미미하므로, 생산 공정 효율을 고려하여 24시간이 가장 적합하다. Total polyphenol increased overall up to 72 hours after oak treatment and did not increase after 72 hours. Especially after 24 hours. That is, after 24 hours of orc chip treatment,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ak chip component is insignificant. Therefore, 24 hours is most suitable considering the production process efficiency.

오크칩 처리 시간에 따른 시료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메탄올(Methanol), 1-프로판올(1-Propanol), 부탄올(Butanol), 이소아밀알코올(Isoamyl alcohol), 푸르푸랄(Furfural의 함량은 표 7과 같다. 이때 성분 단위는 ppm이다. The amount of oak chips treated with acetaldehyde, ethyl acetate, methanol, 1-propanol, butanol, isoamyl alcohol, furfural (Furfural content is shown in Table 7, in which the component unit is ppm.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GC 분석을 통한 알코올 구성 측정 결과, 전체 알코올 간의 유의적 변화가 없다.As a result of alcohol composition measurement by GC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all alcohols.

또한, 0.5% 오크칩을 위스키에 6시간에서 168시간까지 처리하여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6시간, 12시간 처리구가 24시간 처리구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았다. 24시간 이상 처리구는 시료간의 관능상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f 0.5% orch chips treated with whiskey for 6 hours to 168 hours, overall acceptability of 6 hours and 12 hours was lower than that of 24 hou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ory properties among the samples for 24 hours.

이와 같이, 본 실험예 2에서는 색상의 경우 오크칩 처리 시간에 따라 증가하나, 120시간 경화 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폴리페놀은 24시간 이후 증가폭이 미미하거나 없었으며, 관능상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생산 공정 효율을 고려하여 24시간 처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As described above, the color of Example 2 increased with the oak chip treatment tim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120 hours of curing. Total polyphenols showed little or no increase after 24 hours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properties. Therefore, 24 hour treatment wa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process.

<실험예 3_오크칩 적정 처리 장치 및 방법 구명>EXPERIMENTAL EXAMPLE 3 &gt;

본 실험예 2에서는 오크칩을 위스키에 첨가하여 추출할 때, 인큐베이터를 이용한 교반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와, 칼럼을 이용한 순환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In Experimental Example 2,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content of the extracted component was changed when the oak chip was added to the whiskey and extracted using a method of stirring using an incubator and a method of circulating using a column .

오크칩의 첨가량에 따른 위스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크칩을 위스키 중량에 대하여 5%로 첨가하여 이를 25℃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숙성시키거나(실험군 1), 도 4와 같이 위스키 중량에 대한 5%의 오크칩을 칼럼에 투입 24시간 동안 순환하면서 숙성시켜(실험군 2) 시료를 여과하여 36.7%가 되도록 희석시킨 다음, 오크칩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 of whiskey according to the addition amount of oak chips, 5% oak chips were added to the weight of the whiskey, and they were aged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kept at 25 ° C (Experiment group 1) 5% of oak chips were added to the column for aging while circulating for 24 hours (Experiment group 2). The samples were filtered to dilute to 36.7%, and the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oak chips were analyzed as follow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Brix의 경우는 오크칩의 칼럼 처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pH의 경우에는 칼럼 처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색상을 통한 오크칩 추출효율은 간접적으로 측정한 결과 6시간까지 유의적 차이 없으나, 24시간 경화 후, 칼럼 처리구의 색상이 2.77EBC 더 높았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Brix increases as the column processing time of the oak chip increases.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column treatment time. In addition, the oak chip extraction efficiency through col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 to 6 hours after indirect measurement, but after 24 hours curing, color of column was 2.77EBC higher.

이를 통해, 24시간 동일 시간 처리 시(12시간 이상), 칼럼 처리가 오크칩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의 함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oak chips by the column treatment is higher when the same time is processed for 24 hours (12 hours or more).

또한, 칼럼 처리에 따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을 측정한 결과, 6시간 까지 유의적 차이 없으나, 12시간 경화 후, 칼럼 처리구가 5.6ppm으로 교반 처리구 24시간 경과 후의 총폴리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iskey after the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 to 6 hours. However, after 12 hours' curing, the column was treated with 5.6 ppm of total polyphenol after 24 hours of stirring.

이를 통해, 24시간 동일 시간 처리 시, 칼럼 처리가 오크칩으로부터 성분의 추출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component from the oak chip is higher in the column processing at the same time for 24 hours.

<실험예 4_오크칩 레드와인 처리 후 첨가>&Lt; Experimental Example 4 > Addition after oak chip red wine treatment &gt;

오크칩 첨가 전 레드와인 처리 시 성분의 추출 효율이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스키 중량에 대하여 0.5%(w/w)의 오크칩에 오크칩의 함수율을 고려한 위스키 중량 대비 0.25%(w/w)의 레드 와인을 가하여 충분히 흡수 시킨 뒤 위스키에 부가하고, 25℃로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red wines before oak chips. 0.25% (w / w) red wine relative to the whiskey weight consid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oak chips is added to the oak chips of 0.5% (w / w) based on the weight of the whiskey and added to the whiskey. After aging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도 7을 참조하면, 오크칩에 레드와인을 처리 후, 오크칩 단순처리보다 색상값의 증가를 보였다. 이때 단위는 EBC이다. 관능 검사시에도 적색도의 증가가 육안으로 확인될 만큼 레드와인 처리를 통해 충분한 색상 증가의 효과를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fter the red wine was treated with oak chips, the color value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simple treatment with oak chips. In this case, the unit is EBC. Even in the sensory test, the effect of sufficient color increase can be seen through red wine processing so that the increase of redness is visually confirmed.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레드와인 처리에 의해 레드와인에 포함된 이소아밀알코올(Isoamyl alcohol) 성분이 위스키에 첨가됨에 따라, 위스키의 이소아밀알코올 구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8,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stituent amount of isoamyl alcohol of whiskey by adding the isoamyl alcohol component contained in red wine to the whiskey by the red wine treatment.

<실험예 5_오크칩 토스팅 처리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EXPERIMENTAL EXAMPLE 5 Comparison of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oak chip toasting treatment [

종래에 위스키를 제조할 때 오크통의 내부를 불로 그을려서 부분적으로 탄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적정 수준으로 토스팅(Toasting)된 오크통이 위스키에 맛과 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위스키에 포함된 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흡착하기 때문이다.Conventionally, it is known that when making whiskeys, the interior of the oak barrel is partially burnt by carbonizing it, which is to say that the toasted oak barrel effectively delivers the flavor and aroma to the whiskey, And more easily adsorbs contained impurities.

이에 본 실험예 5에서 부분적으로 토스팅된 오크칩을 사용할 경우, 토스팅되지 않은 오크칩을 사용할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오크성분이 추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Thus, in Experimental Example 5, it was tri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oak components were more effectively extracted when the toque-untreated oak chip was used, when partially orchestrated oak chips were used.

도 9를 참조하면, 달콤한 바닐라 향을 보강해주는 중간 토스팅(Medium Toasting)으로 오크칩을 20분간 토스팅하여 오크칩 중량의 5%(w/w) 수분 증발 및 탄화시켰다. 이때 토스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크칩의 무게가 감소하는 정도를 이용하였다. 오크칩을 토스팅시키면서 중량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이의 토스팅 정도를 산출하였다.Referring to FIG. 9, the oak chips were toasted for 20 minutes with medium toasting to reinforce the sweet vanilla flavor to evaporate and carbonize 5% (w / w) of the oak chip weight.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toasting,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weight of the oak chip was used. The toasting degree of the oak chips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weight while toasting the oak chips.

색상을 통한 오크칩 추출효율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결과, 도 10을 참조하면 실험예 3의 오크칩 적정 처리 장치 및 방법 구명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칼럼 처리구의 색상이 약 2~3EBC 이상 더 높았다. 오크칩을 토스팅하여 실험 한 결과, 토스팅 처리구가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EBC 이상 높게 나타났다.As a result of indirect measurement of the oak chip extraction efficiency through color, as shown in FIG. 10, the color of the column was higher by about 2 to 3 EBC or more, as shown i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ak chips in Experimental Example 3. As a result of toasting test with orch chips, the toasting treatment was more than 1EBC higher than that without treatment.

이와 같이, 토스팅 처리 후 오크칩이 탄화됨으로써, 위스키의 색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us, the oak chip is carbonized after the toasting process, whereby the color of the whiskey can be increased.

또한, 오크칩 토스팅에 따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 성분을 다음의 표 8과 같이 나타내었다. 이때의 단위는 ppm이다.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iskey according to the oak chip toasting is shown in Table 8 below. In this case, the unit is ppm.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표 8을 참조하면, 오크칩 토스팅에 따른 위스키의 총폴리페놀 측정한 결과, 토스팅 처리구가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총폴리페놀이 6.3ppm으로 약 0.6ppm 증가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8,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whiskey according to oak chip toasting shows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by 6.3 ppm to 6.3 ppm,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toasting treatment.

이와 같이, 오크칩의 토스팅 처리는 색상의 증가와 총폴리페놀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toasting treatment of the oak chips can increase the color and increase the total polyphenol.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알코올을 함유하는 위스키와, 오크칩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오크칩을 끓는 물에서 살균하는 제2 단계;
살균된 상기 오크칩을 건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위스키에 상기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n oak chip and an alcohol-containing whiskey;
A second step of sterilizing the oak chips in boiling water;
A third step of drying the sterilized oak chip; And
Adding the oak chips to the whiskey and aging the oak chips;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오크칩을 100℃의 끓는 물에 5분 내지 20분간 침지시켜 살균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살균된 상기 오크칩을 60℃의 건조 오븐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step, the oak chips are immersed in boiling water at 100 ° C for 5 minutes to 20 minutes,
In the third step, the sterilized oak chips are dried in a drying oven at 60 ° C for 2 to 4 ho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위스키 100 중량부에, 상기 오크칩 0.4 내지 0.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urth step,
Wherein 0.4 to 0.6 parts by weight of the oak chips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iske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하는 시간을 22시간 내지 26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ourth step,
Wherein the time of aging by adding the oak chips is set to be from 22 hours to 26 hou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오크칩이 수용된 인큐베이터 상에 상기 위스키를 교반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fourth step,
And agitating the whiskey on an incubator containing the oak chip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오크칩이 수용된 칼럼(Column) 상에 상기 위스키를 순환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fourth step,
Wherein the whiskey is circulated and matured on a column containing the oak chi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는, 건조된 상기 오크칩에 레드와인을 흡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rd step is to absorb red wines to the dried oak chip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스키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레드와인 0.2 내지 0.3 중량부를 상기 오크칩에 흡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0.2 to 0.3 parts by weight of the red wine is absorbed to the oak chip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is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오크칩을 토스팅(Toast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스키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ak chips are subjected to a toasting process in the first step or the third step.
KR1020130165021A 2013-12-27 2013-12-27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KR101535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021A KR101535053B1 (en) 2013-12-27 2013-12-27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021A KR101535053B1 (en) 2013-12-27 2013-12-27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505A true KR20150077505A (en) 2015-07-08
KR101535053B1 KR101535053B1 (en) 2015-07-09

Family

ID=5379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021A KR101535053B1 (en) 2013-12-27 2013-12-27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0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24A (en) 2018-11-05 2020-05-13 (주)호모미미쿠스 Liquid phase drink making device and method using wood me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647B1 (en) * 2018-11-15 2020-08-26 국립공원 죽령옛고개 명품마을 영농조합 Powder vineg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273B2 (en) * 1992-05-08 1999-01-2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Whiskey flavor modification method
JP2002065239A (en) * 2000-09-01 2002-03-05 Kouji Saneishi Method for producing whisky using container other than oak cask
KR100882534B1 (en) * 2007-06-15 2009-0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민국제퍼먼텍 A Simple Process for Preparing Whisky or Bran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24A (en) 2018-11-05 2020-05-13 (주)호모미미쿠스 Liquid phase drink making device and method using wood me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053B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76549T3 (en) IMPROVE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LCOHOLIC BEVERAGES
Lukić et al. Phenolic and aroma composition of white wines produced by prolonged maceration and maturation in wooden barrels
Starowicz et al.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an overview of mead production and the physicochemical, toxic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ead with a special emphasis on flavor
Pizarro et al.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to evaluate the impact of oak chips and micro-oxygenation on the volatile profile of red wines
Chang et al. Changes in the aromatic composition of grape cv. Cheongsoo wine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ape ripening
Wang et al. Effect of different pre-fermentation treatments on polyphenols, color, and volatile compounds of three wine varieties
Trani et al. Phenols, volatiles and sensory properties of Primitivo wines from the" Gioia Del Colle" PDO Area
Pielech-Przybylska et al. New trends in spirit beverages production
Liguori et al. Influence of malt composition on the quality of a top fermented beer
Pérez-Coello et al. Volatile compounds and wine aging
KR10153505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Chen et al.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s,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of banana wine
WO2018147154A1 (en) Production method for distilled liquor containing sansho pepper component
Lyumugabe et al.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anana wine “Urwagwa” of Rwanda
Feng et al. Volatile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Tempranillo wines aged in Quercus alba oak barrels of different geographical origins in USA
Djameh et al. West African sorghum beer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ation by‐products
KR10168256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hisky
Gabur et al. Study of volatile compounds of romanian red wines aged with oak chips
Panakhov Prospects of using oak wood integrated processing products in winemaking, dealing with shortcomings on the base of implementing oak wood derivative products
Ruiz et al. Sweet wines produced by an innovative winemaking procedure: Colour, active odorants and sensory profile
Iwouno et al. Evaluation of dealcoholized beverage from pineapple wine and sorghum beer
Mazengia et al. Effect of Moringa stenopetala leaf extrac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lagered beer
Schwarz et al. Aromatic and sensorial characterization of “Moscato pyments”: an innovative beverage
Iwouno et al. Evaluation of the prevalence of congeners from distilled spirits of different sources
KR1026677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tilled liquor with enhanced flavor and distilled liquor produc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