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087A -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087A
KR20150077087A KR1020130165955A KR20130165955A KR20150077087A KR 20150077087 A KR20150077087 A KR 20150077087A KR 1020130165955 A KR1020130165955 A KR 1020130165955A KR 20130165955 A KR20130165955 A KR 20130165955A KR 20150077087 A KR20150077087 A KR 2015007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on document
contents
docum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9688B1 (en
Inventor
황상웅
민찬홍
정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68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mmon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s; a serv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a user input unit which receives a command of a user;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n imag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first contents to the server, controls the first contents to be stored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tent module, displays the first contents and second contents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to be able to be selected, and, when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displayed for each content module are selected, controls the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to be generated based on the content module of the selected first contents and the selected second contents.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can automatically generate a document in a display format proper for cooperative learning and enables a user to apply the common document to a class by simply editing the common document.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공동문서를 자동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mmon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s.

사용자단말기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널리 보급되면서 사용자단말기를 활용한 분야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사용자단말기를 활용하여 스마트 교육을 시작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서 이어 가고 있다. 이미 많은 교육 콘텐츠가 디지털화 되고 있고 대학에서는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와는 별도로 협력 학습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학생들이 함께 학습을 진행할 때 학습효과가 더 높으며, 공동의 결과물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학생간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성을 길러 줄 수 있다.As the form of the user terminal is diversified and widely spread, many fields utilizing the user terminal are increas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are continuing efforts to start smart education by utilizing various user terminals. Many educational contents are already being digitized, and universities are constantly making efforts to teach using user terminals. Efforts are also being made to utilize collaborative learning separately from user terminals. The learning effect is higher when students work together, and the students' sociality can be improved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student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ommon results.

하나의 문서를 여러 사람이 각자의 다바이스에서 각각 작성할 경우, 공동으로 작성하고 있는 내용이 각 디바이스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야 한다. When a document is created by several people on their respective devices, the content that is being co-authored must be able to be displayed simultaneously on each device.

공동문서를 작성할 때에는 각 사람이 입력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시간에 따라 문서작성에 대한 권한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동문서를 개인이 작성하는 일반문서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게 되면, 문서를 작성, 구성, 편집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갈 수 있고, 문서작성 외에도 예상하지 못한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When creating a collaborative document, situations arise where the authority to create a document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at which each person's input is displayed. In such a situation, writing a collaborative document in the same format as a general document written by an individual can lead to more time and effort in creating, organizing, and editing the document, and in addition to document creation, It is possible.

그룹 단위의 협력공간 내에서 그룹원들이 작성한 내용을 일련의 콘텐츠로 모듈화하여 쉽고 빠르게 공동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easily and quickly create a joint document by modularizing the contents created by the group members in a collaborative space of a group unit into a series of cont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와 서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력학습을 할 수 있는 팀 단위의 작업공간을 생성하고, 공동공간 내에서 구성원들이 각자가 작성한 내용을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단위로 콘텐츠를 수집하는데, 이 때 컨텐츠모듈 별 콘텐츠는 생성한 상황에 대한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협력학습에 적합한 표시형식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문서를 생성하고, 간단한 편집을 통해 공동 문서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및 그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 problem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reate a work space for each team capable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case,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include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the generated situation, and when a display format suitable for collaborative learning is selected, a docum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imple editing A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which can utilize a common document in a class through the Internet.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ed image; The first content is transmitted to a server and is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of at least one content module set in advance,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content module is displayed for each content module, And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on the basis of the content module of the select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when the displayed first content and the displayed second content are selected Lt; / RTI >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for configuring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and may be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그리고,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reation order, hierarchical relationship, size, and creator information of the conten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작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transmitted from another user terminal and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trol the common document to be crea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are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여기서, 상기 표시형식은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format may include a team note, a group mind map, a discussion document, and a flash game.

그리고, 상기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re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jointly create the common document,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application of the storage unit,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edit at least one of a size, a shape, a color, and a font of at least one of a layout, a connection relationship, and a sequence of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공동문서를 위한 컨텐츠를 수집 또는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 또는 작성된 제1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or creating content for a common document; Transmitting the collected or generated first contents to a server and controlling the first contents to be stored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tent module; Displaying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by the content module so as to be selectabl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module; And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modul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

여기서,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content module to be stored may include generating the content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for configuring the common document to b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그리고,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reation order, hierarchical relationship, size, and creator information of the content.

여기서,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작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o be stored for each of the content modules may include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transmitted from another user terminal and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so that the common document is created.

그리고, 상기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is selected, the control to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mmon document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Step < / RTI >

여기서, 상기 표시형식은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format may include a team note, a group mind map, a discussion document, and a flash game.

그리고, 상기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위한 상기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re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jointly create the common document to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or the common document.

여기서, 상기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diting at least one of a size, a shape, a color, and a font of at least one of a layout, a connection relationship, and a sequence of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서버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하고, 공동문서를 구성할 상기 컨텐츠모듈 별 상기 컨텐츠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자동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including content;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s from a user terminal,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s for each content module, and when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stitute a common document is completed,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common document based on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서버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공동문서를 구성할 상기 컨텐츠모듈 별 상기 컨텐츠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자동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control method including: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stitute a common document;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common document based on the content module of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의하면, 협력학습에 적합한 표시형식으로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간단한 편집을 통해 공동문서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cum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a display format suitable for cooperative learning, and a cooperative document can be utilized for teaching by simple edi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 서버로 협력수업이 이뤄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각 사용자들이 작성하는 컨텐츠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공동문서작성실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각 사용자가 공동문서작성실로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2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작성한 문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각 사용자가 웹에서 검색한 자료를 스크랩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4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문서를 작성할 경우, 채팅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문서를 작성할 경우, 메모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6은 협력학습을 통하여 공동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형식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7은 공동문서를 위한 표시형식 중 팀노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8은 공동문서를 위한 표시형식 중 모둠 마인드맵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9는 공동문서의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0은 공동문서의 컨텐츠의 크기를 변경하는 예시도이고,
도 21은 완료된 공동문서를 프리젠테이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2는 공동문서작성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공동문서작성실에서 공동문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예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llaborative teaching with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module created by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each user can enter and work in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documents collected or created by each user,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each user scraps data retrieved from the web,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hatting when each user collects data or creates a document.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each user collects data or creates a document,
FIG.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election of a display format for generating a common documen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1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eam note among the display formats for a common document,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ll the mind maps of the display format for the common document,
1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modification of the layout of the common document,
2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contents of the common document,
FIG.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presentation of a completed common document,
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ig. 2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common document in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Fig. 22;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Par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 서버(2)로 협력수업이 이뤄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환경을 나타내었다. 기본적으로 서버(2)에 모든 자료가 등록되며 각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1-1 내지 1-4)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한다. 공용 컴퓨터(3)는 서버(2) 상에 저장되는 해당 문서에 주기적으로 갱신하거나, 새로 갱신된 내용들이 있을 때 새로운 내용을 받아 가장 최신의 문서 상태를 보여 준다. 본 발명은 문서를 구성하는 콘텐츠와 콘텐츠들이 조합되어 보여지는 레이아웃을 따로 관리하여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한 문서에 대한 다른 작업을 진행하면서도 모든 내용이 한 곳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협력학습의 상황을 고려하여 함께 학습을 진행하는 하나의 그룹은 한 공간에서 각자의 사용자단말기(1)와 하나의 공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각자의 사용자단말기(1)로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면서 현재 문서의 상황을 바로 확인하고 함께 보아야 할 문서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용 컴퓨터를 활용한다. 각각 사용자 즉, 그룹 구성원들은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웹에서 자료를 검색해 저장할 수도 있고, 채팅을 하면서 의견을 제시하거나, 공동 문서 내의 한 영역을 선택하여 드로잉이나 텍스트로 작성할 수 있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llaborative teaching i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 and the serv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asically, all the data is registered in the server 2, and each user creates a document using the personal computer or the tablet 1-1-4. The public computer 3 periodically updates the corresponding document stored on the server 2 or receives new contents when there are newly updated contents to show the latest document stat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layou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nts in combination so that all the contents can be managed in one place while the different users work on one document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one group that is studying together is allowed to conduct learning using one user computer (1) and one common computer in one space. A public computer is utilized to simultaneously check the status of the current document and to view a document to be viewed together while the user terminal 1 is working simultaneously. Each user, that is, group members, can search and store materials on the web to create documents, present opinions while chatting, or select an area within a collaborative document and write it as a drawing or tex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는 통신부(110), 사용자입력부(140),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user input unit 14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00.

통신부(11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signal based on an external input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1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external input through a wired connection by connecting various external input cables or can receive a wirelessly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통신부(11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ors (not shown) to which the respective cabl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for example, a HDMI, a USB, a component standard,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or the like, or receives communication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통신부(11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사용자단말기(1)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영상처리장치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communication or a tuner (not shown)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design method of the user terminal 1, (Not show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receiving a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lso transmit the information / data / signal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not be limited to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nd can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UI from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for publicly know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R, UWB (Ultra Wideband), ZigBee, etc. and may be a known communication port for wired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command for operating a display,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etc., in addition to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UI.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단말기(1)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또는 입력 패널(panel)이나, 사용자단말기(1)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터치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40 may transmit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input. The user input unit 140 may be realized by a menu key or an input panel installed outside the user terminal 1 or a remote controller sepa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 . Alternatively, the user input unit 140 may be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130, and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select the input menu 13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Not shown) to the control unit 100 by touching the predetermined command.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은 터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40 may receive the user's motion and voice. The user's motion may include a touch input. The user input unit 140 may directly receive the user's motion and voice, o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otion and voice from an external device.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소스영상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여 소스 영상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미도시) 및 디코딩된 소스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de-multiplexing for distribu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each characteristic signal, decoding corresponding to the image format of the image signal, De-interlacing for converting an interlaced video signal into a progressive mode, noise reduction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etail enhancement, frame refresh rate (frame refresh rate) (not shown) for decoding a source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format of an encoded source image, and a frame buffer (not shown) for storing a decoded source image on a frame basis can do.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사용자단말기(1)에 내장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20 may be a system-on-a-chip (SOC) that integrates various functions, or an individual configuration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of the processes, And can be embodied in the user terminal 1.

영상처리부(120)는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사용자단말기(1)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processes on a source image including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a receiving unit (not shown) and a video signal supplied from a video source (not show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utputs the processed imag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 so that the processed source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 The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electron 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ght thereto, And a panel drive substrate (not shown).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nner in which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n image, but includes a method of an LCD, a PDP, and an OL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n LCD panel, a PDP panel, an OLED pane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및 색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00)가 색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컬러 패치와 색보정 상태 창 등을 포함한 색보정 과정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n image and a color correction process.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panel driver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by processing an input image signal.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input sour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rough an image processing process such as decoding, deinterlacing, scaling, and the like. When the controller 100 performs color correction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olor correction process including a color patch and a color correction status window.

제어부(100)는 제1컨텐츠를 서버(2)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고,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공동문서작성실에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포함하는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the first content to the server 2, controls the first content to be stored for each of at least one content module set in advance, displays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 And when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module are selected, a common document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s generated in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based on the selected content modul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an be control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는 도2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저장부(150), 촬상부(160), UI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 2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50, an imaging unit 160, and a UI generation unit 170.

저장부(150)는 사용자단말기(1)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writeable nonvolatile memory (ROM) in which data must remain in the user terminal 1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nd may reflect changes of the user. That is, the storage unit 150 may be a flash memory, an EPROM, or an EEPROM.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cre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촬상부(160)는 사용자가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촬상을 하여 얻은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에 표시되는 화면자료를 캡쳐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 imaging unit 160 may be implemented by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when the user can utilize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data. In addition,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 may be captu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UI생성부(170)는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UI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UI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를 통해 특정 서브UI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UI에 대응하여 응용프로그램이 동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브UI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또는 이벤트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The UI generation unit 170 may generate a UI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The generated UI includes a plurality of sub U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con, a text, and the like.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ub UI through the user terminal 1,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 UI. That is, each of the sub-UIs can be generated in units of a plurality of functions or events capable of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1. [

UI생성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UI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적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100)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UI생성부(170)가 별도의 칩셋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UI generating unit 170 means a software function or a hardware function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a 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the UI generator 17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hipset, or may not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microprocessor.

제어부(100)는 컨텐츠와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정보는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t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configuring content and a common document, and may be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Her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reation order of contents, hierarchical relationship, size, and creator information.

제어부(100)는 다른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전송되어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공동문서가 작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transmitted from the different user terminal 1 and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to generate a common document.

제어부(100)는 컨텐츠 및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이 선택되면,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형식은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If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Here, the display format may include a team note, a group mind map, a discussion document, and a flash game.

제어부(100)는 저장부(15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동문서를 간편하게 편집하여 협력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ontrol unit 1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of the storage unit 150 to control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to be jointly created by a plurality of users. The control unit 100 may edit at least one of size, shape, color, and font for at least one of the layou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order in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Here, it would be desirable to easily edit the joint document using the application and utilize it for collaborative teach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4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동문서를 위한 제1컨텐츠를 수집 또는 작성한다(S11).The first content for the common document is collected or created (S11).

수집 또는 작성된 제1컨텐츠를 서버(2)의 공동문서작성실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12).The first content that is collected or created is transmitted to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server 2 and is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predetermined content module (S12).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한다(S13).And displays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for each content module (S13).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S14).The first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module and the user's selection of the second content are received (S14).

수신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S15).And controls to generate a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modul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1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5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동문서를 위한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한다(S21).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jointly create the common document is executed to generate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or the common document (S21).

제1컨텐츠와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수집 또는 작성한다(S22).(Step S22). The first content and at least one of the order,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 size, and the creator information of the content for composing the common document are included or created.

수집 또는 작성된 제1컨텐츠를 서버(2)의 공동문서작성실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23).The first content that is collected or created is transmitted to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server 2 and is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predetermined at least one content module (S23).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한다(S24).And displays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for each content module (S24).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와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의 선택이 수신된다(S25).A selection of a first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module and a display format of the second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are received (S25).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공동문서의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에 대응하여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한다(S26).(Step S26) such that a common docum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team notes, the collective mind map, the discussion document, and the flash game of the common document.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한다(S27).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is edited in at least one of size, shape, color, and font for at least one of layout, connection relationship, and order (S2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는 저장부(110)와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구성인 저장부(110)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00. The storage unit 110 may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storage unit 110 shown in FIG.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하고, 공동문서를 구성할 컨텐츠모듈 별 컨텐츠의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공동문서를 자동생성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1,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and when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stitute the common document is selected, A common documen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content modu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7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의해 공동문서를 위한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한다(S41).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or a common document is created (S41).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컨텐츠 및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수신한다(S42).And receive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contents and contents from the user terminal 1 (S42).

수신된 컨텐츠 및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한다(S43).The received content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r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S43).

작성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4).The information about the created content is received and stored (S44).

공동문서를 구성할 컨텐츠 및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5).And information on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to be configured in the common document (S45).

수신된 컨텐츠의 컨텐츠모듈 및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기초하여 공동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46).The common docum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module and the common document of the received content (S46).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편집된 공동문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7).The common document edited from the user terminal 1 is received and stored (S47).

편집된 공동문서를 공용 디스플레이장치(3)로 전송하여 공동문서를 표시한다(S48).The edited common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ommon display device 3 to display the common document (S48).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와 서버(2)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and the server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서버(2)에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한다(S51). 이 경우, 팀을 이루려는 팀원 중 한 명 즉, 리더만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user creates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the server 2 using the user terminal 1 (S51). In this case, it would be desirable for one of the team members, that is, the leader, to create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팀원들은 생성된 공동문서작성실에 접속한 후, 웹(S52-1), 채팅(S52-2), 문서작성(S52-3)을 통하여 컨텐츠를 수집 또는 작성하여 서버(2)의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S52).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수집 또는 작성되는 컨텐츠는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된다.After accessing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the team members collect or create contents through the web (S52-1), chat (S52-2), and document creation (S52-3) and store them in the library of the server (S52). Here, the content collected or created by the user is created including cont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is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가 선택 가능하도록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되면, 사용자 즉, 리더는 팀원들이 수집 또는 작성한 컨텐츠의 컨텐츠모듈 별로 선택하고, 공동문서의 표시형식(팀노트(S53-1), 모둠 마인드맵(S53-2), 토론문서(S53-3))을 선택하여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한다(S53). 이에 선택된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선택된 컨텐츠가 배치된다.If the first content stored and the second contents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are displayed for each content module, the user, that is, the reader selects the content module of the content collected or created by the team members, -1), all the mind map (S53-2), and the discussion document (S53-3)) to generate a common document (S53). The selected content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splay format.

생성된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따라 팀노트는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있으며, 모둠 마인드맵은 연결관계를 조정할 수 있고, 슬라이드 문서는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S54). 팀원들의 의견에 따라 리더가 리더의 사용자단말기(1)를 통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면서 채팅 등을 하면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the team notes can adjust the layout, all the mind maps can adjus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slide documents can be adjusted in order (S54).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team members, the reader can perform edit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1 of the reader, and can perform editing while chatting or the like while using each user terminal 1. [

편집이 완료된 공동문서를 공용 디스플레이장치(3)로 전송하여 함께 보면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55).The joint document that has been edi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public display device 3 so that the joint document can be viewed while being viewed together (S55).

도 9는 본 발명의 각 사용자들이 작성하는 컨텐츠모듈의 구성도이다. 각각의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영상 자료를 포함하는 컨텐츠 조각이다. 이때 컨텐츠를 작성한 시간 순서, 키워드 계층 관계, 컨텐츠 크기, 작성자 이름 등의 상황에 대한 정보가 구성정보(메타데이터)로 함께 저장되어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등의 공동 문서 포맷으로 문서를 생성할 때 재구성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module created by each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reated by each user is a piece of content that contains text, images, sounds, and video material. 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such as the time sequence in which the content is created, the keyword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 content size, and the name of the creator is stored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etadata) to generate a document in a common document format such as a team note,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to reconstruct.

도 10은 본 발명의 공동문서작성실의 예시도이다. 표시된 공동문서작성실의 이름들이 다르게 표시되어 있으며, 팀원들이 접속하여 화면에서 각 팀 영역을 선택하여 각 팀의 작업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10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joint document creation rooms displayed are displayed differently, and the team members can access each team area on the screen by accessing the work space of each team.

도 11은 각 사용자가 공동문서작성실로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팀원인 사용자가 공동문서작성실로 들어가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1)에서 문서작업을 하는 공간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each user can enter and work in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An example in which a user who is a member of the team enters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and displays a space for performing a document operation in the user terminal 1 of the user.

도 12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작성한 문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documents collected or created by each user.

본 발명을 통해 작성되는 모든 문서는 서버(2)의 라이브러리에서 관리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새로운 문서를 작성하기 시작할 때는 서버(2)의 공동문서작성실에 새로운 문서 등록을 요청해야 한다. 도 12는 문서 등록을 요청하여 생성된 문서들을 모아서 볼 수 있는 화면이며, 이 화면에서 원하는 문서를 선택하여 수정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All the documents crea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managed in the library of the server 2. Therefore, when the user starts to create a new document, he or she must request registration of a new document in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server 2. [ FIG. 12 is a screen for collecting and viewing the documents generated by requesting document registration. In this screen, a desired document can be selected and a modification can be started or a new document can be created.

도 13은 각 사용자가 웹에서 검색한 자료를 스크랩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4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문서를 작성할 경우, 채팅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각 사용자들이 자료를 수집하거나 문서를 작성할 경우, 메모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each user scraps data retrieved from the Web. FIG. 14 is an example of chatting when each user collects data or creates a document. FIG.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note is taken when collecting or creating a document.

도 16은 협력학습을 통하여 공동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표시형식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컨텐츠모듈 별 컨텐츠를 선택한 이후, 공동문서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UI일 수 있다.1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election of a display format for generating a common documen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may be a UI provided to the user to select a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in order to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after selecting the content module for each content module.

도 17은 공동문서를 위한 표시형식 중 팀노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8은 공동문서를 위한 표시형식 중 모둠 마인드맵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를 테면, 사용자가 팀노트를 선택했을 경우, 콘텐츠모듈의 구성정보 중 문서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을 배치하여 문서를 생성하고, 모둠 마인드맵의 경우, 계층 정보에 따라 각 단위 모듈 콘텐츠를 연결하여 문서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내었다.Fig.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am note among display formats for a common document, and Fig.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roup mind map among display formats for a common document.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team note, the layou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document size amo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module to generate a document. In the case of all mind maps, the unit module contents are link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information, Respectively.

도 19는 공동문서의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가상의 격자 형태의 안내선의 형태로 미리 나누어져 있으며 각 칸의 크기를 안내선에 맞추어 늘이거나 줄여서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Fig. 1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modification of the layout of the common document. Fig. It is pre-divided in the form of a virtual grid-like guide line, and the layout can be changed by extending or reducing the size of each cell to the guide line.

도 20은 공동문서의 컨텐츠의 크기를 변경하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칸에는 각 사용자가 만든 컨텐츠들은 한 칸에 하나씩 들어갈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칸의 크기에 맞추어 컨텐츠의 크기도 자동으로 변경되어 들어가고, 칸 늘림으로 선택하여 수동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2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contents of the common docu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ent created by each user in each cell can be entered in one cell. The user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size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space, and can manually change the size by selecting the space.

도 21은 완료된 공동문서를 프리젠테이션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각 사용자들의 의해 작성이 완료된 컨텐츠는 공용 디스플레이장치(3)를 통하여 프리젠테이션이 이뤄질 수 있다.Figure 2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presenting a completed collaborative document. The content created by each user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common display device 3. [

도 22는 공동문서작성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인 학생들이 공동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할 수 있으며, 공동문서작성실을 작성된 문서 및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관리할 수 있다.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You can help your students create collaborative documents, and you can create and manage collaborative document rooms so that you can evaluate the documents and processes you have created.

도 23은 도 22의 공동문서작성실에서 공동문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예시도이다.Fig. 2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reating a common document in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Fig. 22;

도시된 10은 사용자들이 팀구성을 통해 구성원간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과정이다(10). 팀구성에 따른 팀원들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11).10 is a process in which users create a joint document creation room between members through a team configuration (10). It is shown that team members according to team composition are connected (11).

도시된 20은 사용자들이 공동문서작성실에서 자료를 수집 또는 작성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문서가 수집 또는 작성된다(22).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며 자료를 작성할 수 있다(23). 한 사용자가 수집한 자료를 공유하면, 다른 사용자들은 이에 대해서 댓글을 기록하여 자료를 수집 또는 작성할 수 있다(24). 웹검색을 통하여 문서가 수집 또는 작성될 수 있다(25). 이렇게 각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가 도시되고 있다(21).20 is a process in which users collect or create data in a joint document room. For example, a document may be collected or created (22).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rite materials (23). Once a user has shared the collected data, other users can record or comment on it to collect or create the data (24). Documents can be collected or created through Web search (25). The content created by each user is shown in (21).

도시된 30은 서버(2)에서 사용자들이 작성한 컨텐츠를 컨텐츠모듈 별로 정리하여 저장하는 과정이다(30). 서버(2)의 공동문서작성실에 사용자의 컨텐츠(32, 33, 34, 35)는 시간, 계층, 크기, 작성자 별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하였다(31).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process of organizing contents created by users in the server 2 according to content modules and storing them. The contents 32, 33, 34, and 35 of the user are stored in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of the server 2 by time, hierarchy, size, and creator (31).

도시된 40은 컨텐츠의 선택과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을 선택하여 공동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이다(40). 선택된 표시형식(팀노트(42), 그룹 마인드맵(43), 슬라이드(44))에 대응하여 선택된 컨텐츠가 배치, 연결,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41). 여기서,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고 컨텐츠의 선택이 이뤄진다.40 is a process of selecting a content and a display format of a common document to generate a common document (40). (41) that the selec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splay format (team note 42, group mind map 43, slide 44) are arranged in the arrangement, connection, and order. Here,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are displayed for each content module so that the content can be selected.

도시된 50은 공동문서 자동 생성 후 문서의 표시형식 별 간단한 편집을 나타내는 과정이다(50). 예를 들면, 팀노트는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있다(52). 마인드맵은 연결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53). 슬라이드는 페이지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54). 이렇게 조정하는 화면을 도시하였다(51).In the figure, 50 is a simple edit of the document after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For example, a team note may adjust the layout (52). The mind map can coordinate connection relationships (53). Slides can adjust page order (54). The screen for this adjustment is shown (51).

도시된 60은 공용 디스플레이장치(3)와 사용자단말기(1)를 통해 프리젠테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이다(60). 공용 디스플레이장치(3)와 사용자단말기(1)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었다(61, 62, 63). The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process of displaying a presentation through the public display device 3 and the user terminal 1 (60). (61, 62, 63) displayed on the common display device 3 and the user terminal 1 are shown.

상기한 사용자단말기(1)와 서버(2)로 인하여, 공동문서 작업 시에 구성원인 사용자들이 각각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 작성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단위 콘텐츠로 모듈화하여, 공동문서를 자동 생성하고,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각 구성원인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를 모듈화하면, 공동 문서 작성 외에도, 모둠 마인드맵, 토론 문서, 플래시 게임 등 협력학습에 특화한 공동 문서 형식을 추가 및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서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Due to the user terminal 1 and the server 2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 creation space so that users who are members at the time of collaborative document creation can individually create documents, modularize them into unit contents, , And can be easily edited. In this way, by modularizing the documents created by each member, it is possible to add and extend common document formats specializ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such as joint mind maps, discussion documents, and flash games, in addition to joint document creation. I can go to class.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r spirit of this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but rather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사용자단말기 2: 서버
3 : 공용 디스플레이장치 100 : 사용자단말기 제어부
110 : 사용자단말기 통신부 120 : 사용자단말기 영상처리부
130 : 사용자단말기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단말기 사용자입력부 150 : 사용자단말기 저장부
160 : 사용자단말기 촬상부 170 : 사용자단말기 UI생성부
200 : 서버 제어부 210 : 서버 저장부
1: User terminal 2: Server
3: Common display device 100: User terminal control unit
110: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user terminal image processing unit
130: User terminal display unit
140: user terminal user input unit 150: user terminal storage unit
160: User terminal image pickup unit 170: User terminal UI generation unit
200: server control unit 210: server storage unit

Claims (18)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In a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ed image;
The first content is transmitted to a server and is controlled to be stored for each of at least one content module set in advance,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content module is displayed for each content module, And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content modul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when the displayed first content and the displayed second content are selected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for configuring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and controls the content to be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reation order,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 size, and creator information of the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작성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transmitted from another user terminal and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trol the creation of the common docu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when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is selec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식은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을 포함하는 사용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 format includes a team note, a group mind map, a discussion document, and a flash g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re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jointly create the common document,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application of the storage unit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사용자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edits at least one of a size, a shape, a color, and a font of at least one of a layout, a connection relationship, and a sequence of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동문서를 위한 컨텐츠를 수집 또는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 또는 작성된 제1컨텐츠를 서버에 전송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제1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제2컨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표시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의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Collecting or creating content for a collaborative document;
Transmitting the collected or generated first contents to a server and controlling the first contents to be stored for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tent module;
Displaying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stored for each content module by the content module so as to be selectabl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by the content module;
And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 common documen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modul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공동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작성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of claim 1,
And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created for each content module by including the content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for configuring the common docum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작성한 순서, 계층관계, 크기, 작성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reation order,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 size, and creator information of the cont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작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modules includes stor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stored in the plurality of contents modules, the plurality of contents being transmitted from another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common document to be created.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문서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구성정보 및 상기 공동문서의 표시형식에 대응하여 상기 공동문서가 자동생성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o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comprises:
And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display format of the common document when the display format of the content and the common document is selec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식은 팀노트, 모둠 마인드맵, 토론문서 및 플래시 게임을 포함하는 사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format includes a team note, a group mind map, a discussion document, and a flash g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문서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위한 상기 공동문서작성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reating a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jointly create the common document to generate the common document creation room for the common docu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공동문서를 레이아웃, 연결관계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크기, 모양, 색깔, 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Editing at least one of a size, a shape, a color, and a font of at least one of a layout, a connection relationship, and a sequence of the generated common document.
서버에 있어서,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하고, 공동문서를 구성할 상기 컨텐츠모듈 별 상기 컨텐츠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자동생성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In the serv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including contents;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s from a user terminal,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s for each content module, and when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stitute a common document is completed,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common document based on the common document.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모듈 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공동문서를 구성할 상기 컨텐츠모듈 별 상기 컨텐츠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문서를 자동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방법.
In a server control metho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content for each content module to constitute a common document;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common document based on the content module of the selected content.
KR1020130165955A 2013-12-27 2013-12-27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9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55A KR102249688B1 (en) 2013-12-27 2013-12-27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55A KR102249688B1 (en) 2013-12-27 2013-12-27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87A true KR20150077087A (en) 2015-07-07
KR102249688B1 KR102249688B1 (en) 2021-05-10

Family

ID=5378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955A KR102249688B1 (en) 2013-12-27 2013-12-27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68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908A (en) * 1998-12-18 2000-06-30 Nec Corp Joint docu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2002132752A (en) * 2000-10-25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ient terminal, distributed information source managing server and dynamic document generation system
JP2010097324A (en) * 2008-10-15 2010-04-30 Nec Corp Document joint editing system, document joint compil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10006394A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ystem of editor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59504B1 (en) * 2011-10-14 2012-06-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erminal device and document cooperation edi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908A (en) * 1998-12-18 2000-06-30 Nec Corp Joint docu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2002132752A (en) * 2000-10-25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ient terminal, distributed information source managing server and dynamic document generation system
JP2010097324A (en) * 2008-10-15 2010-04-30 Nec Corp Document joint editing system, document joint compil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10006394A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ystem of editor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59504B1 (en) * 2011-10-14 2012-06-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erminal device and document cooperation edi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688B1 (en)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7034B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CN110737840B (en) Voice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131646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510753B (en) Display device
US20120223960A1 (en) Image control method and image control system
CN1042210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resentation data and annotation
CN101272469A (en)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ed for teaching and meeting place
WO2021031623A1 (en) Display apparatus, file sharing method, and server
US20160092152A1 (en) Extended screen experience
CN107113467A (en)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11526402A (en) Method for searching video resources through voice of multi-screen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CN111405221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recording file list
CN112463269A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CN111491190A (en) Dual-system camera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CN112788422A (en) Display device
KR20150057452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54284B2 (en) Web server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1146484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brightness of display device
CN112788378B (en) Display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KR20150111612A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83925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method
CN113132769A (en) Display device and sound and picture synchronization method
KR102249688B1 (en) User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2016904A (en) Object teaching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113096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