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079A -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079A
KR20150077079A KR1020130165938A KR20130165938A KR20150077079A KR 20150077079 A KR20150077079 A KR 20150077079A KR 1020130165938 A KR1020130165938 A KR 1020130165938A KR 20130165938 A KR20130165938 A KR 20130165938A KR 20150077079 A KR20150077079 A KR 20150077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ser
server
open marke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정
Original Assignee
(주)앱소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앱소디 filed Critical (주)앱소디
Priority to KR102013016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7079A/ko
Publication of KR2015007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효과의 광고를 할 수 있어, 매출을 증대시키게 되며, 음식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질좋은 음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위치 또는 서버에 등록된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open market system by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효과의 광고를 할 수 있어, 매출을 증대시키게 되며, 음식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질좋은 음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마켓은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몰과는 다르게 판매자-구매자 간의 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로 중간 유통을 줄여 단가를 낮추고, 동일 상품 역시 다수의 판매자가 입점할 수 있도록 하여 경쟁을 통한 가격저하가 장점이 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이다.
이와 동시에 판매자 역시 쇼핑몰의 공간에 입주하여 거래를 하는 형태, 즉 판매자도 쇼핑몰의 입장에서는 반쯤 고객과 같은 형태가 된다.
그래서, 오픈마켓은 기존의 쇼핑몰과는 다르게 판매자-구매자 간의 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있는 형태로 중간 유통을 줄여 단가를 낮추고, 동일 상품 역시 다수의 판매자가 입점할 수 있도록 하여 경쟁을 통한 가격저하가 장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켓 서비스의 제공자들은 각각 다양한 아이템을 등록하여 매매할 수 있는 사업을 벌일 수 있는 공간을 온라인 상에 제공하여 사업을 벌이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을 예로 들면, 개인이나 사업자가 소유하거나 판매를 원하는 상품을 오픈마켓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이미지와 가격 등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고, 이에 대한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가 소정의 대금처리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제반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각종 온라인 시스템의 발전과 생활여건의 향상 및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로 인해 인터넷 쇼핑몰과 오픈 마켓을 통한 온라인 상거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상거래 중에서 오픈 마켓을 통한 온라인 상거래는 오프라인 상거래에 비해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판매를 원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구매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어, 오픈 마켓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활성에 맞추어 다양한 서비스와 대금 결제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오픈마켓의 일 예를 살펴 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81917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오픈마켓을 관리하고, 오픈마켓으로의 회원가입시 일반회원과 딜러회원을 구분하여 관리하고, 딜러회원에 대해 관리자 승인처리를 수행하며, 상품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오픈마켓 관리서버(10)와; 상기 오픈마켓 관리서버(10)에서 관리하는 상기 오픈마켓에 접속하여 판매자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오픈마켓에 직접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며, 판매에 대한 일정정도의 수수료를 오픈마켓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판매자 단말(20)과; 딜러형소비자가 상기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고, 딜러형소비자가 상기 오픈마켓의 운영자가 되도록 처리하는 딜러형소비자 단말(30)과; 일반회원이 상기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처리하는 일반소비자 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오픈마켓, 판매자(생산자), 일반소비자, 딜러형소비자로 오픈마켓을 구성하여 소비자중심의 쇼핑몰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819177호에 기재된 기술은 오픈마켓, 판매자, 일반 소비자, 딜러형소비자로 오픈마켓을 구성하여 유통마진을 줄여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소비자중심의 쇼핑몰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취급하는 제품은 전자제품이나 의류와 같은 유통기간이 비교적 긴 일반적인 상품에 한정되어,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유통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정보와 사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사업자와 사용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점을 알려주어, 직접 찾아가거나 배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업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하게 되는데, 사업자가 광고에 대한 비용으로 사업자가 판매하는 음식에 대하여 본 시스템에 가입한 가입자들에게 일정금액 할인하도록 하여, 사업자는 무료로 광고할 수 있어 매출을 증대시키며, 사용자는 해당 음식을 싸게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유료 사용자와 무료 사용자로 구분하고, 유료 사용자는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음식을 항상 할인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료 사용자는 활동도에 따라 지급되는 쿠폰을 사용하여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음식을 할인받도록 하는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위치 또는 서버에 등록된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사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식을 지하철노선도 형태의 노선맵으로 출력하되, 상기 노선맵은 음식의 분류는 지하철노선에서의 노선으로 표현하고, 음식의 이름은 각 노선을 형성하는 역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업자가 음식에 대하여 특별 이벤트를 할 경우, 상기 노선맵의 역에 이벤트 표시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사업자의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광고는 단말기에 출력되는 배너 광고 또는 단말기의 화면에 한줄의 문장으로 출력되는 한줄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업자는 무료로 광고를 하되, 음식의 가격을 할인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회비를 납부하는 유료 사용자와 회비를 납부하지 않는 무료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료 사용자은 무료로 광고하는 사업자의 음식점에서 항상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료 사용자은 각 음식점 또는 음식을 평가하거나, 음식점 또는 음식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활동을 대가로 지급받은 쿠폰을 사용하여 무료로 광고하는 사업자의 음식점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와 사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사업자와 사용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는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점을 알려주어, 직접 찾아가거나 배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업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하게 되는데, 사업자가 광고에 대한 비용으로 사업자가 판매하는 음식에 대하여 본 시스템에 가입한 가입자들에게 일정금액 할인하도록 하여, 사업자는 무료로 광고할 수 있어 매출을 증대시키며, 사용자는 해당 음식을 싸게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유료 사용자와 무료 사용자로 구분하고, 유료 사용자는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음식을 항상 할인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료 사용자는 활동도에 따라 지급되는 쿠폰을 사용하여 오픈마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음식을 할인받도록 하는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에 대한 정보를 지하철노선도형태의 맵으로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눈에 음식을 찾을 수 있고, 사업자가 특정 이벤트를 진행할 때, 맵 상에서 즉시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 대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1은 종래의 오픈마켓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오픈마켓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음식정보를 보여주는 맵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서 이벤트가 있는 음식을 보여주는 맵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음식정보를 보여주는 맵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서 이벤트가 있는 음식을 보여주는 맵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말기(2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단말기(200)는 컴퓨터나 테블릿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와 음식을 소비하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게 되며, 사업자는 운영하는 음식점 및 음식의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며, 사용자는 서버(100)로부터 음식점 및 음식의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0)와 사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업자 데이터베이스(120)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맵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업자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통하여 전송한 메뉴, 가격,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서버(100)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통하여 전송한 거주위치와 인적사항을 저장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음식점이나 음식을 검색할 때,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사용자의 거주위치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GPS나, 통신망을 통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을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전송받아 단말기(200)를 통하여 출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음식점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30)는 음식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노선도 형태의 노선맵(300)으로 형성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노선맵(300)은 음식의 분류를 지하철 노선도를 형성하는 노선(310)으로 표현하고, 음식의 이름을 지하철 노선도의 역(320)으로 표현하게 된다.
예를 들면 1번 노선은 한식으로, 2번 노선은 간식/디저트, 3번 노선은 편의점/패스트푸드 등과 같이 형성하게 되고, 각각의 노선에는 해당 음식 분류에 해당되는 음식들이 각각의 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음식의 정보를 검색할 때,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상기 노선맵(300)이 출력되어, 한눈에 음식을 찾을 수 있어, 다양한 분류를 따라 일일이 찾아가지 않아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업자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추천하고 싶은 음식점이나 음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면, 서버(100)의 맵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여, 노선맵(310)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사업자가 특별한 날이나, 매출을 올리기 위하여 음식의 가격을 할인하거나 특정 음식을 시키면 서브 음식을 서비스로 준다거나 하는 이벤트를 할 경우, 사업자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사업자 데이터베이스(120)의 정보를 갱신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선맵(310)의 해당 사업자가 이벤트를 실시하는 음식에 해당되는 역(320)에 이벤트 표시부(330)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음식을 검색할 경우, 전체 음식이 한눈에 들어오는 노선맵(310)을 통하여 검색하게 되므로, 어느 음식에 이벤트를 하는지 별도로 검색을 하지 않더라도 즉시 알 수 있게 되어, 음식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버(1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0), 사업자 데이터베이스(120), 맵 데이터베이스(130)와 광고 데이터베이스(1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서버(100)에 등록된 사업자가 홍보를 원하는 음식 또는 음식점의 광고가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광고는 사용자가 음식 또는 음식점을 검색할 때, 단말기(200)로 출력되도록 하는 배너 광고, 또는 단말기(200)의 화면에 한줄의 문장으로 출력되는 한줄 광고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음식 또는 음식점을 찾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배너 광고 또는 한줄 광고를 출력하도록 하는데, 단말기(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광고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와 근접한 지역 사업자의 광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물론, 광고가 지역 사업자가 아닌, 전역 사업자일 경우에는 전체 지역으로 광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광고를 원하는 사업자는 광고의 비용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고, 별도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무료로 광고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업자가 무료로 광고를 할 경우, 광고비용 대신에 사업자는 운영하는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음식의 가격을 할인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회비를 납부하지 않고 사용하는 무료 사용자와 회비를 납부하고 사용하는 유료 사용자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유료 사용자는 사업자가 무료로 광고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음식점에서는 항상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료 사용자는 단순히 음식점이나 음식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만 있고, 유료 사용자가 제공받는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을 수는 없다.
다만, 상기 무료 사용자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지 않은 음식이나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 음식점 또는 음식을 평가하거나, 음식점 또는 음식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활동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활동도에 따라 무료 사용자에게 쿠폰을 지급하게 되며, 무료 사용자는 해당 쿠폰을 사용하여 무료로 광고를 하는 사업자의 음식점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효과의 광고를 할 수 있어, 매출을 증대시키게 되며, 음식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질좋은 음식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서버 110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20 : 사업자 데이터베이스 130 : 맵 데이터베이스
140 : 광고 데이터베이스 200 : 단말기
300 : 노선맵 310 : 노선
320 : 역 330 : 이벤트 표시부

Claims (10)

  1.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위치 또는 서버에 등록된 위치를 기반으로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사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와,
    음식 및 음식점의 정보를 제공하는 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식을 지하철노선도 형태의 노선맵으로 출력하되,
    상기 노선맵은 음식의 분류는 지하철노선에서의 노선으로 표현하고,
    음식의 이름은 각 노선을 형성하는 역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가 음식에 대하여 특별 이벤트를 할 경우,
    상기 노선맵의 역에 이벤트 표시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업자의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광고는 단말기에 출력되는 배너 광고 또는 단말기의 화면에 한줄의 문장으로 출력되는 한줄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는 무료로 광고를 하되, 음식의 가격을 할인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회비를 납부하는 유료 사용자와 회비를 납부하지 않는 무료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사용자은 무료로 광고하는 사업자의 음식점에서 항상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사용자은 각 음식점 또는 음식을 평가하거나, 음식점 또는 음식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활동을 대가로 지급받은 쿠폰을 사용하여 무료로 광고하는 사업자의 음식점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KR1020130165938A 2013-12-27 2013-12-27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KR20150077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38A KR20150077079A (ko) 2013-12-27 2013-12-27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38A KR20150077079A (ko) 2013-12-27 2013-12-27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79A true KR20150077079A (ko) 2015-07-07

Family

ID=5378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938A KR20150077079A (ko) 2013-12-27 2013-12-27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7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821B2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US7020623B1 (en) Method of inducing a purchaser to visit a retail outlet at a remote location and of inducing a retail outlet to act as such a remote location
US20100324972A1 (en) Real-time, demand-based dynamic pric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15611A1 (en) My coupon genie
KR101807965B1 (ko) 오픈 마켓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결제 후 랜덤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00228628A1 (en) Integrated Real-Time Ancillary Revenue Optimization System
US20080046921A1 (en) Advertisement Management Device, Advertisement Distribution Devic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And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US8548849B1 (en) Customer generated promotions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Ratchford The impact of digital innovations on marketing and consumers
JP67811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149096A (ja) 一体型マーケットプレイスで商品の統合決済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73534A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JP2004234520A (ja) 広告管理方法
KR20180011531A (ko) 전통시장의 할인 이벤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1592A (ko) 홍보기능을 구비한 제품의 유통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0402B1 (ko)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서버
US20210097574A1 (en) Delivering advertisements to mobile applications
JP7095021B2 (ja) 提示装置、提示方法および提示プログラム
JP6756809B2 (ja) 提示装置、提示方法および提示プログラム
KR20180119451A (ko) 위치기반 오픈마켓 시스템
Kim et al. The service imperative in the retailing industry
KR20070105217A (ko) 쇼핑 인맥 형성을 통한 판매자 중심 인터넷 쇼핑몰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91272A (ko) 상품공유가 가능한 독립형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방법및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