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785A -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785A
KR20150075785A KR1020130164097A KR20130164097A KR20150075785A KR 20150075785 A KR20150075785 A KR 20150075785A KR 1020130164097 A KR1020130164097 A KR 1020130164097A KR 20130164097 A KR20130164097 A KR 20130164097A KR 20150075785 A KR20150075785 A KR 2015007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martphone
slider
vehicle
low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7153B1 (en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Abstract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center-facia panel inside a vehicle and is mounted on a docking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terminal. 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comprises: a support selectively fixed and mounted on the docking part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pin at one end to correspon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lower cradl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 be able to rotate, having a charging connector formed at one end part to correspond to a charging terminal formed on the lower part of a smartphone,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by insert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into the charging connector; an upper cradle arranged above the lower cradle to fix the upper part of the smartphone; a movement unit installed inside the lower cradle and selectively sliding the upper cradle from the lower cradle to correspond to the smartphone having various sizes; and a separation unit arranged between the docking part and the support to separate the support from the docking part during the head-on collis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동시에, 충돌 발생 시에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다양한 스마트폰 크기에 대응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enhancing aesthetics of a vehicle interior, preventing injury to an occupant when a collision occu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전자제품으로써, 차량의 운전 중에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생산 판매되고 있다. In general, smartphones are electronic products that are indispensable to modern people, and it is necessary to use them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o this end, a smartphone holder for a car is being produced and sold.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운전자가 운전대를 손으로 잡고 운전을 하는 중에도 용이하게 통화 또는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시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Such a smart phone holder is installed to allow a driver to easily manipulate a call or a smartphone while driving while holding a steering wheel by hand. Conventionally, the smartphone holder is attached to a panel such as a dashboard using an adhesive or by using a suction plate And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windshield.

여기서, 종래의 스마트폰 거대치 중,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여 접착제 성분의 효과가 떨어진 때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하는 때, 접착제 성분이 차량의 패널이 잔류하게 되어 미관상으로 좋지 않으며, 잔류 접착제를 제거하는 동안 차량의 패널도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attaching to a vehicle using an adhesive among the conventional smartphone gauges, when the effect of the adhesive component deteriorates over time or when the user removes it arbitrarily, the adhesive component remains in the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panel of the vehicle may be damaged during removal of the residual adhesive.

또한, 전면 유리에 탈부착을 하는 경우에는 흡착판의 효력이 감소하는 때 거치대가 전면 유리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된 스마트폰이 스마트폰에 충격을 가해 고정을 발생시키거나, 운행 중일 경우에는 운전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거치된 스마트폰의 충전을 위해 별도의 전원 잭을 전력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ttaching / detaching to / from the windshield, since the holder is detached from the windshield when the attraction force is reduced, a smartphone fixed to the holder may shock the smartphone and cause fixation. And it is troublesome to use a separate power jack connected to the power line for charging the mounted smart phone.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기반 APP의 사용 시에 시인성이 향상되어 그 활용도가 증가됨에 따라,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s the display screen of a smart phone has become larger, the visibility of the navigation and the Internet-based APP has been improved and the utilization thereof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mart phone cradle for mounting a smartphone in a vehicle It is tru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에 별도의 장착부가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전면 유리에 장착해야만 하는 바, 장착성이 떨어지며, 제조사 별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mounting portion, it must be mounted on a dashboard or a front glass of a vehicle using an adhesive or using a suction plat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smart phones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또한,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라인을 이용해 전원 잭을 연결하고, 이를 스마트폰과 연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됨과 동시에, 전원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 실내의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power jack is connected by using a separate power line to charge the smartphone and it is troublesome to connect the power jack to the smartphone and the power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have.

또한, 전방 시계 법규에 저촉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운전자가 운전 중 시계를 방해받아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고정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부딪혀 상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ed at a position inconsistent with the forward clock law, a driver may interfere with the clock during operation, causing a blind spot to cause a collision accide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 driver or a passenger It also has a problem that it can cause injury by crash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센터 페시아 패널에 마련된 도킹부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apable of being mounted directly through a docking unit provided on a center fascia pane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be applied to common use and is automatically detached using an impact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a collision of a vehicle to prevent injury to the occupan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 실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형성되며,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도킹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이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을 상기 하부 크래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도킹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도킹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탈거유닛을 포함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stand for a vehicle, the smartphone stand being mounted on a docking station including a power terminal, A support having a power supply pin at one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charging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and having a charging connector formed at one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mart phone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 phone inserted into the charging connector, A lower cradle for fixing; An upper crad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radle and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A mobile unit installed inside the lower cradle for selectively sliding the upper cradle from the lower cradle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having various sizes; And a detach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docking unit and the support to detach the support from the docking unit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도킹부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이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에 형성되는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upport base comprises: a body portion having the power pin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docking portion; A releas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t least one fixed hook inserted in a hook groove formed in the docking portion and adapted to fix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docking portion, the at least one fixed hook being configured to be slidable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lease button is operated, .

상기 전원핀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pi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formed on the lower cradle through the body through the electric wire.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과 연결되는 제1,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가이드 로드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크래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is slidably mounted along the rail groove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within the lower cradle, and a guide rod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 A first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lider and the lower cradl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od of the first slider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slider; And a damp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lider in the lower cradle and controlling a moving speed of the first slider.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liders may be selectively slidably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by a guider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in the lower cradle.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ider may be formed with a gear trai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amper.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열에 대응하여 회전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기어열에 치합될 수 있다.The damper is rotatably mounted with a rotary gear corresponding to the gear train, and the rotary gear can be engaged with the gear train.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가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slider has a notch formed at one side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slider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cradle corresponding to the notch so that the second slider is engaged with the notch, A locker may be provided.

상기 로커는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노치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로부터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The lock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notch and is lock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notch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one end protruding outwardly, the locking can be released from the notch have.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The rocker may be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ocker facing the first slider and a support block formed in the lower cradle.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상기 지지대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되는 충돌패드; 및 상기 후크홈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의 두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홈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를 이동시키는 충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taching unit is interposed between the docking unit and the supporting frame and is deformed in thickness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frame due to an impact force; And a rear end mounted on the impact pad corresponding to the hook groove, wherein, when the impact pad is deform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the tip protrudes toward the fixed hook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nd an impact protrusion for moving the fixing hook.

상기 충돌패드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mpingement pad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olefin material or a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the impingement protrusion.

상기 충격돌기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ck protrusion may be made of a high hardness plastic materi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의하면, 센터 페시아 패널에 마련된 도킹부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면서 도킹부에 포함된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라인을 제거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an be directly supplied through the power terminal included in the docking part while being directly mounted through the docking part provided on the center fascia panel, The power line can be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또한, 스마트폰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유닛을 통해 스마트폰의 크기에 맞게 상부 크래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upper cradle is selectively mo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through the mobile unit that varies the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a smartphone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

또한,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센터 페시아 패널의 도킹부로부터 스마트폰 거치대가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센터 페시아 패널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된 스마트폰 거치대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martphone holder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docking portion of the center fascia panel by us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martphone holder protruded from the center fascia panel prevents the accident of the occupant There is also an effect.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부 높이를 운전자의 시계법규라인으로 준수함으로써, 주행 시, 시야가 분산되거나 사각지대 발생을 방지하고, 주요국가에서 발효중인 전방 시계분산 방지 법규에 저촉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수출 시에 법규 저촉으로 인한 필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By observing the top height of the smartphone stand with the driver's watch line, it prevents the view from being dispersed or blind spot when dri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eld claim from being caused by a violation of the la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에서 충돌 발생 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unit applied to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AA of FIG.
FIGS. 4 to 5 are operation states of the smartphone compartment of the vehicle when a collision occurs in a vehicle to which the smartphone compartment of the vehicl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erms such as " ... unit ", " unit of means ", " part of item ", " absence of member ", and the like denote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unit applied to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센터 페시아 패널(3)에 마련된 도킹부(5)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10)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martphone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mounted through a docking unit 5 provided on a center fascia panel 3, And can be applied to common use, and can be automatically detached using an impact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a collision of a vehicle,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the occupan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의 센터패시아 패널(3)에 형성되며, 전원단자(7)를 포함하는 도킹부(5)에 장착되는 것으로, 지지대(110), 하부 크래들(120), 상부 크래들(130), 이동유닛(140), 및 탈거유닛(160)을 포함한다.1, a smartphone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center panel 3 of a vehicle cabin and includes a power terminal 7, And includes a support base 110, a lower cradle 120, an upper cradle 130, a mobile unit 140, and a detaching unit 160, which are mounted on the base 5.

먼저,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도킹부(5)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7)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111)이 구비된다.First, the support member 110 is fixedly mounted on the docking unit 5, and a power pin 111 is provided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power source terminal 7.

이러한 지지대(110)는 몸체부(113), 릴리즈 버튼(115), 및 고정후크(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base 110 includes a body portion 113, a release button 115, and a fixing hook 117.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3)는 상기 도킹부(5)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111)이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part 113 is provided with the power pin 111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docking part 5.

이러한 몸체부(113)의 일측에는 상기 릴리즈 버튼(11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후크(1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릴리즈 버튼(115)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5)에 형성되는 후크홈(9)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5)에 고정시키게 된다.The release button 11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113 a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hooks 117 is provided to allow the release of the body 113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release button 115 is operated. And one end of the body part 113 is fixed to the docking part 5 by being inserted into a hook groove 9 formed in the docking part 5.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117)는 상기 전원핀(1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상기 전원핀(111)을 기준으로 일측에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에 3개가 구비될 수 있다.One of the fixed hooks 117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power supply pin 111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pin 111. One of the fixed hooks 1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pin 111, Three may be provided at one end.

본 실시예에서, 하부 크래들(120)은 상기 지지대(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10)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121)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121)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cradle 1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110, and a charging connector 12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cradle 120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10 A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connector 121 to fix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전원핀(111)은 상기 몸체부(1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120)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121)와 전선(12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pin 1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21 formed on the lower cradle 120 through the body 113 and the electric wire 123.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은 사용자가 지지대(110) 상에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스마트폰(10)을 세로 또는 가로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lower cradle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electively rotate the user on the support 110 to vertically or horizontally position the smartphone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크래들(130)은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상부를 고정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cradle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radle 120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10.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140)은 상기 하부 크래들(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130)을 상기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The mobile unit 14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cradle 130 and selectively moves the upper cradle 130 from the lower cradle 120 in response to the smartphone 10 having various sizes. .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14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 제1 탄성부재(145), 및 댐퍼(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mobile unit 14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rs 141 and 143, a first elastic member 145, and a damper 147.

먼저,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144)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130)과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sliders 141 and 143 are slidably mounted along the rail groove 142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cradle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radle 130. [

이러한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142)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149)에 의해 상기 레일홈(14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liders 141 and 143 are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142 by a guider 149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142 in the lower cradle 120 , ≪ / RTI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가이드 로드(14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1)와 상기 하부 크래들(1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145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er 141 and the lower cradle 1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od 144 of the first slider 141. In this case,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slider 141.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가이드 로드(144)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45 is supported by the first slider 141 whi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45 is inserted into the guide rod 144 of the first slider 141, And a coil spring supported inside the coil spring.

이러한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레일홈(142)을 따라 제1 슬라이더(14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부 크래들(130)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2 슬라이더(143)도 레일홈(142)을 따라 제1 슬라이더(14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부 크래들(130)을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145 slides the first slider 141 along the rail groove 142 in the lower cradle 120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slider 141, The second slider 143 connected through the upper cradle 130 is also slid along with the first slider 141 along the rail groove 142 to move the upper cradle 130 from the lower cradle 120 to the upper .

그리고 상기 댐퍼(147)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The damper 147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lider 141 inside the lower cradle 120 to control the moving speed of the first slider 141.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1)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151)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lider 141 may be formed with a gear train 151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amper.

또한, 상기 댐퍼(147)는 상기 기어열(151)에 대응하여 회전기어(1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153)가 상기 기어열(151)에 치합될 수 있다.The damper 147 is rotatably mounted on the gear train 151 in correspondence with the gear train 151 so that the rotary gear 153 can be engaged with the gear train 151.

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더(141)는 제1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시, 기어열(151)에 회전기어(153)를 통해 치합된 댐퍼(147)에 의해 레일홈(142) 상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lider 141 is moved by the damper 147 coupled to the gear train 151 through the rotary gear 153 when the slide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45, 142). ≪ / RTI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143)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155)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155)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155)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143)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157)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lider 143 has a notch 155 formed at one side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notch 155 is formed in the lower cradle 120 corresponding to the notch 155, A locker 15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143 by being caught by the notch 155.

상기 로커(157)는 상기 노치(155)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58)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158)를 통해 상기 노치(155)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155)로부터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The locker 15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58 at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notch 155 and is lock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notch 155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158, When the one protruding outwardly is pressed, the locking can be released from the notch 155.

이러한 로커(157)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156)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159)에 지지될 수 있다.The rocker 157 may be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159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rocker 157 and the support block 156 formed inside the lower cradle 120 at the other end toward the first slider 141 .

상기 제2 탄성부재(159)는 지지블록(156)에 일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로커(157)가 하부 크래들(120)의 외부로 항상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상기 노치(155)에 항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59 provides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rocker 157 is alway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radle 120 whil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156,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being always hooked on the base 155.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유닛(140)은 사용자가 상기 로커(157)를 누르면, 중앙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제1 탄성부재(145)에 의해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가 상승됨에 따라, 중앙 크래들(120)로부터 상부 크래들(130)이 상승된다.When the user depresses the locker 157,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141 and 143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45 in the center cradle 120, The upper cradle 130 is lifted from the center cradle 120.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상단에 상부 크래들(130)이 접촉되도록 누르면, 상승된 상태의 상부 크래들(130)을 누르면, 상부 크래들(130)이 스마트폰(10)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로커(157)의 걸림돌기(158)가 제2 탄성부재(159)의 탄성력에 의해 노치(155)에 걸린 상태가 됨으로서, 상부 크래들(130)이 고정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cradle 130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10, the upper cradle 130 is pus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10 The locking claw 158 of the locker 157 is engaged with the notch 15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59 in the contact state so that the upper cradle 130 is fixed.

이러한 작동을 통해 스마트폰(10)은 상부가 상부 크래들(130)에 고정될 수 있다.With this ope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10 can be fixed to the upper cradle 130.

그리고 상기 탈거유닛(160)은 상기 도킹부(5)와 지지대(110)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110)를 상기 도킹부(5)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The detaching unit 160 is provided between the docking unit 5 and the supporting unit 110 so that the supporting unit 110 is detached from the docking unit 5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탈거유닛(16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패드(161)와 충격돌기(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detaching unit 160 includes a collision pad 161 and an impact protrusion 163.

먼저, 상기 충돌패드(163)는 상기 도킹부(5)와 상기 지지대(110)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지지대(110)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된다.First, the impact pad 163 is interposed between the docking unit 5 and the support base 110,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 thickness of the impact pad 163 is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support base 110 due to an impact force.

여기서, 상기 충돌패드(163)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163)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Here, the impact pad 163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shock protrusion 163.

그리고 상기 충격돌기(163)는 상기 후크홈(9)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163)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9)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161)의 두께 변형 시, 상기 후크홈(9)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117)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11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The impact protrusion 163 has a rear end attached to the impact pad 163 corresponding to the hook groove 9 and a rear end of the impact pad 161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9, The fixing hooks 117 are slid while the tips of the fixing hooks 117 protrude toward the fixing hooks 117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s 9. [

이러한 충격돌기(163)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ck protrusion 163 may be made of a high-hardness plastic material.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에서 충돌 발생 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FIGS. 4 to 5 are operation states of the smartphone compartment of the vehicle when a collision occurs in a vehicle to which the smartphone compartment of the vehicl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거유닛(160)은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되면, 도 3과 같은 초기 장착 상태에서, 충돌패드(161)가 도킹부(5)와 지지대(110) 사이에서 충격력에 의해 지지대(110)와 접촉되면서 그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occurs, the detaching unit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ollision pad 161 is moved from the docking unit 5 to the support table 110 And the thickness thereof becomes thinn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10.

그러면, 상기 충격돌기(163)는,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대(110)에 의해 고정후크(117)를 향해 이동되면서 후크홈(9)에 고정된 상태의 고정후크(117)를 밀어냄으로써, 고정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4, the impact protrusion 163 is moved toward the fixed hook 117 by the support base 110 and pushes the fixed hook 117 fixed to the hook groove 9, The slide is moved to release the fixing.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지지대(110)에 연결된 상, 하부 크래들(120, 130)의 자중에 의해 차량의 실내 바닥을 향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도킹부(5)로부터 자동으로 탈거되어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smartphone cradle 100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docking unit 5 while being rotated toward the indoor floor of the vehicle by the weight of the upper and lower cradles 120 and 130 connected to the support base 110, This prevents the passenger on the passenger seat from being inj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설명함에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이동유닛(140)을 통해 상부 크래들(1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유닛(140)의 작동 방향을 좌, 우측으로 변경하고, 이 이동유닛(140)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좌, 우 크래들을 통해 스마트폰(10)을 폭 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radle 13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lower cradle 120 through the mobile unit 1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mobile unit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left and right, and to move left and right through the mobile unit 140 And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smartphone 10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left and right cradles.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적용하면, 센터 페시아 패널(3)에 마련된 도킹부(5)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면서 도킹부(5)에 포함된 전원단자(7)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라인을 제거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applying the smartphone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unit 100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center fascia panel 3 through the docking unit 5, 5, the power supply terminal 7 is supplied with power, so that a separate power supply line can be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또한, 스마트폰(10)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유닛(140)을 통해 스마트폰(10)의 크기에 맞게 상부 크래들(13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10)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upper cradle 130 is selectively mo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mobile unit 140 that varies the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10, And can be applied to common use.

또한,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센터 페시아 패널(3)의 도킹부(5)로부터 스마트폰 거치대(10)가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센터 페시아 패널(3)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된 스마트폰 거치대(100)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martphone cradle 10 is automatically detached from the docking portion 5 of the center fascia panel 3 by us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mart caddy panel 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jury of the passenger due to the phone rest 100. [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상부 높이를 운전자의 시계법규라인으로 준수함으로써, 주행 시, 시야가 분산되거나 사각지대 발생을 방지하고, 주요국가에서 발효중인 전방 시계분산 방지 법규에 저촉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수출 시에 법규 저촉으로 인한 필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다.By observing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smartphone stand 100 with the driver's watch regulation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ibility from being dispersed or the occurrence of blind spot at the time of driving,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eld claim from being incurred by the law when expor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3 : 센터 페시아 패널 5 : 도킹부
7 : 전원단자 9 : 후크홈
10 : 스마트폰 100 : 스마트폰 거치대
110 : 지지대 111 : 전원핀
113 : 몸체부 115 : 릴리즈 버튼
117 : 고정후크 120 : 하부 크래들
121 : 충전 커넥터 123 : 전선
130 : 상부 크래들 140 : 이동유닛
141, 143 : 제1, 제2 슬라이더 142 : 레일홈
144 : 가이드 로드 145 : 제1 탄성부재
147 : 댐퍼 149 : 가이더
151 : 기어열 153 : 회전기어
155 : 노치 156 : 지지블록
157 : 로커 158 : 걸림돌기
159 : 제2 탄성부재 160 : 탈거유닛
161 : 충격패드 163 : 충격돌기
3: Center fascia panel 5: Docking area
7: Power terminal 9: Hook groove
10: Smartphone 100: Smartphone cradle
110: Support 111: Power pin
113: body part 115: release button
117: fixed hook 120: lower cradle
121: Charging connector 123: Wires
130: upper cradle 140: mobile unit
141, 143: first and second sliders 142: rail groove
144: guide rod 145: first elastic member
147: damper 149: guider
151: gear train 153: rotary gear
155: notch 156: support block
157: Locker 158:
159: second elastic member 160: detaching unit
161: impact pad 163: shock projection

Claims (13)

차량 실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형성되며,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도킹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이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을 상기 하부 크래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도킹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도킹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탈거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The center fascia panel of the vehicle interior is mounted on a docking portion including a power terminal,
A supporting member selectively fixedly mounted on the docking unit and having a power pin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A charging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and having a charging connector formed at one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mart phone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 phone inserted into the charging connector, A lower cradle for fixing;
An upper crad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radle and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martphone;
A mobile unit installed inside the lower cradle for selectively sliding the upper cradle from the lower cradle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having various sizes; And
A detach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docking unit and the support and detaching the support from the docking uni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in fro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of the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도킹부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이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에 형성되는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 body part having the power pin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docking part;
A releas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t least one fixed hook which is slidable at one end of the body part depending on whether the release button is operated or not and is inserted into a hook groove formed in the docking part and fixes one end of the body part to the docking part;
Wherein the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핀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pin
And wherein the charging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formed on the lower cradle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e electric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과 연결되는 제1,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가이드 로드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크래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unit
First and second sliders which are slidably mounted along the rail groove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within the lower cradle,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ro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radle;
A first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lider and the lower cradl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od of the first slider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slider;
A damp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lider in the lower cradle and controlling a moving speed of the first slider;
Wherein the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Wherein the lower cradle is selectively slidably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by a guider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in the lower cra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lider
And a gear trai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amp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열에 대응하여 회전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기어열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amper
Wherein a rotary gear is rotatably moun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gear train, and the rotary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tra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lider
A notch is formed a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end is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crad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tch and the rocker is caught by the notch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Wherein the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노치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로부터 로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er
Wherei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notch and are lock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notch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user presses one end protruding outward, the locking is released from the notch Smart phone holder for c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er
And the other end toward the first slider is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end and the support block formed inside the lower crad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상기 지지대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되는 충돌패드; 및
상기 후크홈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의 두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홈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를 이동시키는 충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aching unit
A crash pad interposed between the docking portion and the support and deformed in thickness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due to an impact force; And
A rear end is mounted on the impact pad corresponding to the hook groove and a tip is protruded toward the fixing hook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mpact pa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n impact protrusion for moving the fixed hook;
Wherein the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패드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mpact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a thermoplastic olefin or a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of the impact protrus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돌기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hock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a high-hardness plastic material.
KR1020130164097A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KR101987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85A true KR20150075785A (en) 2015-07-06
KR101987153B1 KR101987153B1 (en) 2019-06-10

Family

ID=5378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126B2 (en) 2015-12-14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based extendable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KR100625699B1 (en) * 2005-07-06 2006-09-20 이호상 Spin stand for cellular phone case
KR20120037856A (en) * 2010-10-12 2012-04-20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KR100625699B1 (en) * 2005-07-06 2006-09-20 이호상 Spin stand for cellular phone case
KR20120037856A (en) * 2010-10-12 2012-04-20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126B2 (en) 2015-12-14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based extendable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53B1 (en)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12B1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KR101500380B1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KR101782273B1 (en) Telescopic cover element of a receiving device of a vehicle seat
US9537990B2 (en)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CN106864384B (en) Smartphone holding device for vehicle
KR20110025532A (en) Car seat belt device
US20170259749A1 (en) Vehicular console device
CN106573564B (en) Rear pallet, automobile seat and automobile seat arrangement structure for automobile seat backrest
KR200488939Y1 (en) Portable Smart Device Holder For Vehicle
KR101369672B1 (en) Wireless rechargeable cell phone holder for automobile
CN104512349A (en) Display device holder apparatus for sun visor
KR101987153B1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GB2450858A (en) Vehicle seat mounting with docking unit to receive leg on video display
CN106956624B (en) Tether hook bracket with rebound blocker
JP2014234009A (en) Fitting structure of device for vehicle
KR102084679B1 (en) Cradle of portable terminal
KR20140115608A (en) Cellular phone holder for car
CN204870795U (en) Display screen support and car seat
CN211280844U (en) Wirelessly-chargeable storage box for automobile
CN210212252U (en) Vehicle-mounted storage type mobile phone support
KR200489154Y1 (en)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JP2020031282A (en) Smartphone holder for automobile
CN220764258U (en) Vehicle-mounted flat plate fixing device
KR101477926B1 (en) fixing the flange of headlining support for automobile
CN205086788U (en) A structure for rear -view mirror annex is fix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