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400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5400A KR20150075400A KR1020150082576A KR20150082576A KR20150075400A KR 20150075400 A KR20150075400 A KR 20150075400A KR 1020150082576 A KR1020150082576 A KR 1020150082576A KR 20150082576 A KR20150082576 A KR 20150082576A KR 20150075400 A KR20150075400 A KR 20150075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ispenser
- flow path
- valve
-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 F25B41/04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4—Filters in the air flow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Background Art [0002] A refrigerator is an appliance for storing food in a low temperature state, and has either or both of a refrigerating chamber capable of storing food in a refrigerated state and a freezing chamber capable of storing food in a frozen state.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In recent years, a dispenser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drinking water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ice maker for storing and storing ice may be provided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r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ice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5099호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필터장치를 거친 후 고내에 구비되는 워터탱크 공급되고, 상기 워터탱크에 저장된 물이 고내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어 외부로의 음용수 취출 또는 제빙을 위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5099 discloses that water supplied from outside is supplied to a water tank provided in the water tank after passing through a filter device, and af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cooled by cool air in the tank, It is supplied to the maker so that drinking water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or water can be supplied for making ice.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의 선택과 관계없이 항상 냉각된 물이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로 공급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디스펜서를 통한 많은 양의 물을 취출하게 될 경우 디스펜서를 통한 냉각된 물의 취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냉각 성능이 저하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 cooled water always has to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it is impossible to take out the cooled water through the dispenser, or the cool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를 통해서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물과, 필터장치에서 정수된 후 직접 공급되는 정수된 물 2가지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selectively take out water cooled in a water tank through a dispenser and two kinds of purified water supplied directly after being purified in a filter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펜서를 통해서 냉각된 물과 정수된 물의 선택 취출이 가능하며, 정수된 물의 선택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량의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electively extracting cooled water and purified water through a dispenser and extra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putted by a user when selecting purified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펜서를 통해서 냉각된 물과 정수된 물의 선택 취출이 가능하며,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이 도어의 내측에서 분지되어 제빙장치와 연결되어 제빙장치로 정수된 물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a wate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extracting cooled water and purified water through a dispenser and a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is branch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to be supplied.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물공급유로상에 세정장치를 연결하여, 냉각된 물과 정수된 물이 이동되는 모든 유로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connect a cleaning device to a water supply channel of a refrigerator and sterilize and clean all channels through which cooled water and purified water move.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냉수와 정수가 취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 상기 정수가 선택된 경우, 정수를 일정량 추출하기 위하여 취출될 정수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취출량 입력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상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정수 밸브; 및 상기 냉수 유로 중 상기 필터장치와 상기 워터탱크 사이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 유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냉수 밸브는 닫히며, 이 상태에서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물의 양 만큼 물이 취출되면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히고,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comprising: a main body defin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and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 integ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a constant; A cold wa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cold water; An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configured to set an amount of an integer to be extracted in order to extract a certain amount of an integer when the integer is selected;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apable of cooling the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controlling water flow on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cold water valve disposed in a flow path between th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tank in the cold water flow path to control water flow in the cold water flow path, and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opened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and when the water is taken out by the amount of water set by using the take-out amou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and when the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valve closes.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냉수와 정수가 취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와, 상기 정수가 선택된 경우, 정수를 일정량 추출하기 위하여 취출될 정수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취출량 입력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및 상기 냉수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장치를 통과한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밸브는 상기 정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냉수 유로를 닫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물의 양 만큼 물이 취출되면 상기 정수 유로를 닫고,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밸브는 상기 정수 유로를 닫고 상기 냉수 유로를 개방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body defin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and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 integ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a constant; A cold water input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can be selected for extracting cold water; a take-out amount input unit that can set an amount of purified water to be extracted to extract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apable of cooling the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nd a valve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the cold water passag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device.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valve opens the purified water passage, When the water is taken out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ter set by using the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in this state,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is closed, and when the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valve closes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Lt; / RTI >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서 결합되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냉수와 정수가 취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 상기 정수가 선택된 경우, 정수를 일정량 추출하기 위하여 취출될 정수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취출량 입력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상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정수 밸브; 및 상기 냉수 유로 중 상기 워터탱크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 유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냉수 밸브는 닫히며, 이 상태에서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물의 양 만큼 물이 취출되면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히고,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defining a storage space; A door coupled to the body by a hing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and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 integ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a constant; A cold wa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cold water; An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configured to set an amount of an integer to be extracted in order to extract a certain amount of an integer when the integer is selected;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apable of cooling the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controlling water flow on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cold water valve disposed in a flow path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dispenser in the cold water flow path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in the cold water flow path, wherein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and when the water is taken out by the set amount of water by using the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and when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Is clos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냉수와 정수가 취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및 상기 냉수 유로를 청소하기 위해 설치된 세정장치에 의해서 상기 급수원에서부터 상기 필터장치의 필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정수 유로 및 상기 냉수 유로와 연통되는 세정 유로; 상기 정수 유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정수 밸브; 및 상기 냉수 유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를 포함하고, 세정장치의 동작 시, 상기 정수 밸브 또는 상기 냉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정수 유로 또는 상기 냉수 유로를 세정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defin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and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 integ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a constant; A cold wa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to extract cold water;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apable of cooling the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 cleaning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and the cold water flow path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hrough the filter of the filter device by a cleaning device installed to clean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and the cold water flow path;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in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cold water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in the cold water channel, and when the cleaning device operates,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or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to clean the purified water channel or the cold water channel.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수납부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를 통과한 정수와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물공급 유로; 및 상기 물공급유로 상에 제공되어 상기 물공급유로를 개폐 및 절환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는, 병렬로 배치되되 물은 직렬로 유동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는 상기 수납부재의 일측 방에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storage member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allow water to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A filter devic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apable of cooling the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A water supply passage for independently flowing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device and the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And a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wherein the filter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filters disposed in parallel, the water flowing in series,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are vertically arranged in parallel on one side of the housing member.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구비되며, 상기 도어 외측에서 냉수 또는 정수가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상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정수 밸브; 및 상기 냉수 유로 상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냉수 밸브는 닫히며,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on the door to allow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o be taken out from the door; An integ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for extracting a constant; A cold wa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to extract cold water;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device and cooling the water by cool air in the storage chamber;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controlling water flow on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cold water valve for controlling water flow on the cold water flow path, wherein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opened,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and when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냉수와 정수가 취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수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며, 냉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냉수 입력부; 상기 정수가 선택된 경우, 취출될 정수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취출량 입력부; 상기 디스펜서의 캐비티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한 트레이; 취출되는 정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공간 내의 냉기에 의해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는 워터탱크;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 상기 필터장치에서 필터링되고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각된 냉수를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 상기 정수 유로 상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정수 밸브; 및 상기 냉수 유로 상의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냉수 밸브는 닫히며, 이 상태에서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양이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물의 양에 도달하면 상기 냉수 밸브가 닫히고,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defining a storage space; A do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space;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and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n integer input section selectable for extracting an integer; A cold wat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dispenser and selectable to extract cold water; An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capable of setting an amount of an integer to be extracted when the integer is selected; A tray selectively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of the dispenser;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to be taken out;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main body; A water tank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device is stored, and water stor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space can be cooled; An integral flow path for guiding filtered constants from the filter device to the dispenser; A cold water flow path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device and guides cold water cooled in the water tank to a dispenser;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on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cold water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on the cold water flow path, wherein when the constant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opened and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and in this state,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when the amount of water reaches the amount of water set by using the take-out amount input unit, and when the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유로는, 복수의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와, 상기 저장실 도어에 구비되어 얼음과 냉수 및 정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물 공급유로에 있어서, 냉장고의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 개방 시, 물이 공급되어 정수되도록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어느 한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의 후단에서 나누어지고, 상기 어느 한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워터탱크와 냉수 밸브를 경유한 후 상기 저장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하는 냉수유로; 상기 필터장치 후단에서 상기 냉수유로와 나누어지고 상기 저장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한 후 상기 저장실 도어에 장착된 정수밸브에 연결되는 정수유로; 상기 정수밸브의 후단에서 정수유로와 나누어지는 제빙유로; 및 상기 저장실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유로와 정수유로가 합류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취출유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are formed; a storage chamb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of the refrigerator,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filter device install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so that water is supplied and purified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A cold water passage which is divided at a rear end of the filter device and passes through a hinge of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after passing through a water tank and a cold water valve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purified water passage divided into the cold water passage at a rear end of the filter device and connected to a water purification valve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door after passing through a hinge of the storage chamber door; An ice-making channel divided at a rear end of the water-purifying valve by a purified water passage; And a take-out duct which is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door and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mber in which the cold water passage and the purified water passage are join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어 얼음과 냉수 및 정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밸브 개방 시 물이 공급되어 물을 정화하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로부터 정화된 물을 공급받는 워터 탱크; 상기 워터 탱크에서 배출된 냉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냉수밸브; 상기 냉수밸브를 통과한 냉수를 상기 냉동실 도어로 안내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하는 냉수유로; 상기 필터장치의 후단에서 나누어지며,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한 후 상기 냉동실 도어에 장착된 정수밸브에 연결되는 정수유로; 상기 정수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정수유로와 나누어지는 제빙유로; 상기 냉동실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유로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제빙장치; 상기 냉동실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유로와 정수유로가 합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취출할 수 있는 취출유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espectively; A dispenser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for taking out ice,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o clean the water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A water tank for receiving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device; A cold water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col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A cold water passage for guiding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valve to the freezing chamber door and passing through the hing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A purified water passage divided from a rear end of the filter device and connected to a purified water valve installed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after passing through the hing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An ice-making passage divided from the purified water passage at a rear end of the water-purifying valve; An ice maker dispos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o receive purified water from the ice-making channel;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and joining the cold water channel and the purified water channel; And a take-out duc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capable of taking out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도어; 및 상기 저장실 도어에 구비되어 얼음과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저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함몰 형태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된 물 취출구 및 얼음 취출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물과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푸시 패드; 상기 푸시 패드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추가로 함몰되는 트레이 안착부; 상기 트레이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인 안착부에 결합 시 상기 캐비티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전면을 가지는 용기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트레이를 회동시키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용기 트레이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트레이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Another aspect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door; And a dispens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and capable of taking out ice and water, the dispenser being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door, the dispenser compartment being formed with a depression type cavity; A water outlet and an ice outlet disposed above the cavity; A push pad protru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to control the extraction of water and ice; A tray seating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push pad and further recessed from a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rearward; A container tray coupled to the tray seating part and having a front surface coplanar with a rear surface of the cavity when coupled to the tray seating part; And a hinge tha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y seating portion and rotates the container tray, wherein the dispenser housing includes: a bottom plate dispos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iner tray with the container tray being rotated and unfolded by the hinge; Plan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에 배치되며, 스테인리스 재질의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접하는 단부를 용접하여 제작되며, 바디 플랜지를 가지는 탱크 바디; 상기 탱크 바디의 개구된 양측을 차폐하도록 상기 바디 플랜지와 결합되는 캡 플랜지가 형성되며,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탱크 캡; 상기 복수의 탱크 캡 중 일 탱크 캡을 관통한 후 용접 결합된 입수관; 및 상기 탱크 바디를 관통한 후, 상기 탱크 바디에 용접 결합된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관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탱크바디가 상기 냉장실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water tank arrang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water tank being made by welding an end portion of a stainless steel plate roll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tank body having a body flange; A plurality of tank cap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a cap flange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body flange so as to shield open sides of the tank body; A water inlet pipe through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tank caps passes after being welded; And a water pipe welded to the tank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tank body, wherein the tank body i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so that the water pipe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상기 바디 플랜지와 상기 캡 플랜지는 서로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flange and the cap flange may be welded to each other while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상기 바디 플랜지와 상기 캡 플랜지가 용접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 캡의 외면과 상기 캡 플랜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cap and the cap flange in a state where the body flange and the cap flange are welded together.
상기 탱크 캡은, 제1탱크 캡과, 제2탱크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제1탱크 캡을 관통하고, 상기 출수관은 상기 제1탱크 캡 보다 제2탱크 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ank cap includes a first tank cap and a second tank cap, the water inlet pipe passing through the first tank cap, and the water outlet pipe being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tank cap than the first tank cap .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며, 워터탱크로 공급될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가지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바디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filter device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having at least one filter for purify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the tank body being arranged to intersect the at least one filter.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수납부재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storage member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water tank may be located behind the storage member.
상기 출수관은 상기 탱크 바디의 중간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상기 탱크 바디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The water pipe may be welded to the tank body at a point offset from the middle of the tank body.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물이 상기 탱크 바디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여 유입되고,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상기 탱크 바디의 물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Water flows horizontally into the tank body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and water in the tank body flows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배치되는 식품 저장용 서랍; 상기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냉장실의 측벽과 상기 서랍 사이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를 수용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공과 장착 가이드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복수의 필터가 삽입 장착되며, 복수의 필터를 물공급유로와 연결시키는 커넥터; 상기 냉장실의 후벽과 상기 서랍 사이 공간에 장착된 워터탱크; 상기 커넥터의 후단에서 나뉘어지고, 상기 워터탱크와 냉수밸브를 경유한 후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하는 냉수유로; 상기 커넥터의 후단에서 나뉘어지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힌지를 통과한 후,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에 장착된 정수밸브에서 추가로 나뉘어지는 제빙유로와 정수유로; 상기 냉동실 도어 또는 냉동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유로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제빙장치; 및 상기 냉수유로와 정수유로가 연결부재에 의해서 합류되는 취출유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 freezing chamb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food storage drawer dispos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cabinet;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 plurality of filters arranged vertical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rawer;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nd a mounting guide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filters; A connector into which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inserted and which connects the plurality of filters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 water tank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 rea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rawer; A cold water passage which is di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nector and passes through the hing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valve; An ice-making channel and an purified water channel which are further divided by a purified water valve that is di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nector and passes through a hing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and is mounted outside the freezing chamber door; An ice maker dispos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o receive purified water from the ice-making channel; And a takeout flow path in which the cold water flow path and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are joined by a connecting member.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은 상기 냉장실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ase cover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covering the plurality of filters at the same time.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은, 사용자가 상기 각 필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필터가 상기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include a handle capable of holding the filters by the user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when the filters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서 얼음과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함몰되게 형성된 캐비티;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서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며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된 물 취출구 및 얼음취출구; 상기 캐비티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며, 물과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푸쉬패드; 상기 표시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물 취출구와 얼음취출구를 커버하는 슈트커버; 및 상기 슈트커버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명령을 입력 받고 화면 전환이 가능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얼음종류선택 입력부와, 정수입력부, 냉수입력부로 선택이 가능한 구획된 초기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정수입력부 선택시, 정수의 취출량을 선택할 수 있는 취출량 입력부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includes a dispenser for allowing ice and water to be taken out from a refrigerator door, the dispenser including: a cavity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refrigerator door; A display disposed on the cavity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A water outlet and an ice outlet disposed above the cavity; A push pad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and controlling the extraction of water and ice; A chute cov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and covering the water outlet and the ice outlet; And a separate display which is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chute cover and receives a command in a touch screen type and is capable of switching screens, the display comprising: an ice type selection input unit; an integer input unit; To the take-out amount inputting section screen, which provides an initial screen for selecting the integer inputting section and selects the extraction amount of the integer when the constant inputting section is selected.
상기 초기 화면은 상기 얼음종류선택 입력부와, 정수입력부, 냉수입력부가 구획되되, 다수의 행과 열로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다. The ice type selection input unit, the integer input unit, and the cold water input unit are partitioned in the initial screen, and can be divided and display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상기 취출량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다수의 행과 열로 구획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The take-out amount input unit may be displayed in a stat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on the display.
상기 슈트커버는 상기 표시부 보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chute cover may protrude forward of the refrigerator door from the display unit.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통하여 취출량이 입력되면, 선택된 취출량의 취출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 입력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When the extraction amount is input through the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an oper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for extracting the selected extraction amount can be activated in the display.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상기 냉장실 내부에 배치된 식품 저장용 서랍; 상기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측벽과 서랍 사이 공간에 상하로 배열된 복수개의 필터;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수용 가능하도록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 필터의 장착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장착가이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필터가 각각 삽입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어진 복수개의 소켓;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 들과 결합하여 물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제1스템 커넥터;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타측에 결합되어진 제2스템 커넥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냉장실 후벽과 서랍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스템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입수관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타측에 출수관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물 냉각용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의 출수관과 연결되어진 냉수유로; 및 상기 냉수유로와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스템 커넥터 후단에서 분기되는 정수유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compartment; A food storage drawer disposed with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cabinet; A plurality of filters vertically arranged in a space betwe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side wall and the drawer;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having a mounting guide protruding inwardly to guide mounting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lurality of sockets vertically disposed in the case so that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inserted and mounted; A connec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with the sockets to connect the water supply passage; A first stem connec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ockets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 A second stem connector coupled to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sockets; A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stem connec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m connector and a water outlet pipe connected vertically to the other side, Water tank for water cooling of shape; A cold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water tank; And a purified water flow path branching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stem connector to form a separate flow path from the cold water flow path.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정수유로는 도어 힌지를 통과한 후에 합류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ld water channel and the purified water channel join together after passing through the door hinge.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정수유로는 냉동실 도어 힌지를 통과한 후에,냉동실 도어에서 합류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ld water channel and the purified water channel are merged at the freezing chamber door after passing through the freezing chamber door hinge.
상기 워터탱크의 후단에 냉수유로제어용 제1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rst valve for controlling a cold water passage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water tank.
상기 정수유로의 후단에 정수유로제어용 제2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valve for constant flow path control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상기 정수유로의 후단에 제빙기 공급 유로제어용 제3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third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ice-maker supply passag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urified water passage.
상기 정수유로제어용 제2밸브와 제빙기 공급 유로제어용 제3밸브는 냉동실 도어 외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econd valve for the purified water passage control and the third valve for controlling the ice-maker supply passage are provided outside the freezing chamber door.
상기 제2스템 커넥터는 별도의 세정유로와 연결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econd stem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a separate cleaning channel.
상기 워터탱크는 스테인레스재질 금속으로 제작되어 상기 출구관과 입수관이 용접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tank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outlet pipe and the water inlet pipe are welded to each other.
상기 케이스 저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진 드레인부재가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drain memb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lower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is detachable.
상기 복수개의 필터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필터들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combined into filte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상기 장착가이드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unting guide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and is extended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복수개의 필터들을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as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covering the plurality of filters.
상기 소켓들을 장착가능한 브라켓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bracket for mounting the sockets is disposed inside the case.
상기 필터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의 가상 중심선이 원통형 워터탱크의 가상 중심선과 직교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filter is orthogonal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water tank in a state of being mounted in the cas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를 통해서 냉각된 물과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coole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take out water in a desired stat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그리고, 사용자가 취출할 수 있는 물의 양을 디스펜서를 통해서 설정하여 정해진 양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By setting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taken out by the user through the dispenser to take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로 정수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된 물이 상기 제빙장치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결빙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water purified by the ice making device can be supplied, thereby preventing ic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ourse of supplying the cooled water to the ice making device.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로 정수된 물과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디스펜서와 제빙장치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도록 유로를 분지시키는 정수 밸브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제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water to be purified with the dispenser to the piping for supplying the cooled water and a water purification valve for branching the flow path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dispenser and the ice making devi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manufacturing work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ore easily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의 분리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 및 정수 밸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관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여 서비스 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cover plate provided in the dispenser,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piping, thereby improving service efficiency.
그리고, 정수된 물과 냉각된 물의 취출 및 정수된 물의 취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푸쉬 패드와 조합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취출을 위한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한층더 향상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for controlling the extraction of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oled water and the extraction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realized through the display, and combined with the push pa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taking out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필터장치와 워터탱크를 상기 수납장치가 장착되는 공간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복수의 필터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함으로써 냉장고의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수납부재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Th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tank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device is mounted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dispos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를 압력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유로 정항을 최소화 하여 유속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water tank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essure vessel to store a larger amount of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flow pat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lowed down by minimizing the flow path.
또한, 상기 워터탱크를 금속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저장공간의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물때와 같은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water tank from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y using the cool air in the storage space, and also to generate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물공급 유로상에 세정장치를 연결하여 물공급유로의 내부는 물론 상기 물공급유로와 연결된 워터탱크, 제빙장치, 디스펜서를 동시에 살균 세정할 수 있게 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취출되는 물 또는 제빙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water tank, the ice maker, and the dispens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channel can be sterilized and cleaned at the same time by connecting a cleaning device on the water supply channel,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the quality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apparatus can be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물이 유동되는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고내 공간 일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워터탱크와 필터장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필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워터탱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디스펜서의 커버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에서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디스펜서의 입력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냉장고에 세정장치가 세정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물공급유로의 살균 및 세정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flow paths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the refrigerator.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refrigerator.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tank and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evic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devic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of the dispenser is removed.
11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 the dispenser.
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input part of the dispenser.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the refrigerator.
Fig.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rrangement of flow paths in a state where a cleaning device is mounted on a cleaning device in the refrigerator.
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epwise process of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water supply passage.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w path arrange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other embodiments which are degenerative by another addition, change or deletion of another element or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n be proposed.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어 디스펜서로 급수되며, 내부에 필터와 워터탱크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방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y type of refrigerator having a filter and a water tank provided therein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to be supplied with a dispens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bottom freeze-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ing chamber is dispos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물이 유동되는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flow paths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the refrigerat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상기 저장공간의 구성은 냉장고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일 예로 베리어를 기준으로 좌측에 냉동실(12)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냉장실(13)이 형성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냉장고의 종류 및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1, the freezing
상기 도어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14)와 냉동실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도 8 에서 16)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상기 본체(11)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3)과 냉동실(12)을 각각 회동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The door may include a pair of refrigerating
상기 냉동실 도어(15)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15)의 전면에는 디스펜서(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냉동실 도어(15)에 디스펜서(20)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A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개방 없이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이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냉동실 도어(15)의 전면에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상기 냉동실 도어(15) 배면에는 제빙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장치(30)는 공급되는 물을 얼려서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장치(30)는 자동으로 급수되어 얼음을 만들고 이빙시키는 자동 제빙기(31)와, 상기 자동 제빙기(31)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 제빙기(31)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32)를 포함할 수 있다. An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이스 뱅크(32)는 상기 디스펜서(20)와 아이스 슈트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디스펜서(20)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32) 내부의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32)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얼음이 각얼음 상태 또는 크러쉬되어 조각얼음 상태로 취출될 수도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한편, 상기 본체(11)에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장치(40)와. 상기 필터장치(40)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저장되며 저장공간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워터탱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40)와 워터탱크(50)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디스펜서(20) 및 제빙장치(30)로의 물 공급을 위해서 상기 냉장고(10)는 외부의 급수원(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원(1)과 상기 필터장치(40), 워터탱크(50), 디스펜서(20) 및 제빙장치(30)와 연결되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물공급유로(60)가 상기 본체(11) 및 냉동실 도어(14)에 배치된다. The
상기 물공급유로(60)는, 상기 본체(11) 외부에 제공되는 수도와 같은 급수원(1)과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필터장치(40)를 연결하는 급수 유로(61)와,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20)로 안내하는 정수 유로(62),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워터탱크(50)를 거쳐 상기 디스펜서(20)로 안내하는 냉수 유로(63), 및 상기 정수 유로(62)에서 분지되어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제빙장치(30)로 안내하는 제빙 유로(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급수 유로(61)는 상기 급수원(1)으로부터 상기 본체(11)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 유로(61)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두 개의 배관으로 구성되고, 피팅부재(6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피팅부재(611)는 상기 본체(11)의 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급수 유로(61) 중 상기 급수원(1)과 연결된 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장치(70)를 연결하여, 상기 물공급유로(60)를 비롯하여 상기 워터탱크(50)의 살균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급수 유로(61) 상에는 급수 밸브(6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612)는 상기 필터장치(40)로의 물 공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 유로(61)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612)는 상기 피팅부재(6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필터장치(40)는 상기 냉장실(13)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급수 유로(61)는 상기 냉장실(13)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40)의 내부에는 세정 유로(6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세정 유로(65)와 급수 유로(61)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원(1)의 물은 상기 필터장치(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정수 유로(62)는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유로(62)는 상기 필터장치(40)의 출구에서부터 상기 디스펜서(2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urified
상기 정수 유로(62)는 상기 필터장치(40)가 위치한 상기 냉장실(13)로부터 상기 디스펜서(20)가 위치되는 냉동실 도어(15)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와 냉동실 도어(14)를 연결하는 힌지(도 8의 16)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도 8의 16)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급수 유로(61)에는 피팅부재(621)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측과 본체측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급수 유로(6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 도어(14)의 장착 분리에 따라 상기 급수 유로(61)의 연결 및 분리 또한 가능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정수 유로(62)에는 정수 밸브(6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 밸브(622)는 상기 정수 유로(62)를 개폐하여 상기 디스펜서(20)로 취출되는 정수된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정수 밸브(622)는 일 예로 삼방밸브(three way valve)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정수 유로(62)에서 공급되는 물이 분지되어 각각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로 각각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urified
즉, 상기 정수 밸브(622)는 상기 정수 유로(62) 상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15)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빙장치(30)로 향하는 제빙 유로(6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 밸브(622)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필터장치(40)를 통과한 정수는 상기 디스펜서(20)로 바로 취출되거나 상기 제빙장치(30)로 공급될 수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에서 정수와 냉수가 별도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정수 배출 선택 시 냉수의 방출이 방지되어, 정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소비전력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water are separately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cool the purified water by preventing the discharge of the cold water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한편, 상기 힌지를 통과하는 유로의 개수가 많을 수록, 도어의 회전 과정에서 유로의 비틀림에 의한 유로 손상 가능성이 크고, 힌지에서 유로가 관통하기 위한 홀의 사이즈 증가에 의한 힌지의 크기가 증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flow passages passing through the hinge,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flow path due to the twisting of the flow path during the rotation of the door, and the size of the hinge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hole for passing the flow path through the hinge is increased.
본 발명의 경우, 두 개의 정수 유로가 힌지를 개별적으로 관통하여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에 각각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정수 유로(62)가 상기 힌지를 통과한 후에 상기 냉동실 도어(15) 내에서 정수 밸브(622)에 의해서 분지되어 상기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에 연결됨에 따라서, 힌지 사이즈 증가가 방지되고, 도어 회전 과정에서 정수 유로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urified water flow passages are not connected to the
그리고, 제빙 유로(64)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는 그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유로(64) 내부의 물이 유동되는 도중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제빙장치(30)로의 안정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ice-making
상기 냉수 유로(63)는 상기 냉장실(13)로부터 상기 냉장실 도어(14)까지 연장된다. 상기 냉수 유로(63)는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이 상기 워터탱크(50)를 경유하면서 냉각된 후 상기 디스펜서(20)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cold water channel (63) extends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4). The
이때, 상기 냉수 유로(63) 또한 상기 힌지(도 8의 16)를 통해 상기 냉장실 도어(14)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피팅부재(6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냉수 유로(63)는 상기 필터장치(4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정수 유로(62)에서 분지되어 상기 워터탱크(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유로(63) 상에는 냉수 밸브(632)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20)로 취출되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냉수 유로(6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The
상기 냉수 밸브(632)는 상기 워터탱크(50)와 디스펜서(20) 사이의 냉수 유로(63)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 밸브(632)의 개폐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로의 물 공급이 결정될 수 잇다. The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고내 공간 일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워터탱크와 필터장치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tank and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는 서랍과 선반 등과 같은 다수의 수납부재(131)가 제공되며, 상기 수납부재(131)는 상기 냉장실(13)의 내부를 구획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31)와 상기 필터장치(4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3 and 4, a plurality of receiving
상기 냉장실(13)의 일측에는 지지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2)는 상기 수납부재(131)와 필터장치(4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13)의 바닥면 또는 또 다른 수납부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2)는 상기 냉장실(13)의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supporting
상기 지지부재(132)의 상면은 상기 수납부재(131)가 장착되기 위한 수납부재 장착부(133)와 상기 필터장치(40)가 장착될 수 있는 필터장치 장착부(134) 두 개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상시 수납부재 장착부(133)에는 상기 수납부재(131)의 전후방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인출입 가이드(135)가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필터장치(40)는 상기 필터장치 장착부(134)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재(131)와 상기 냉장실(13)의 내측 벽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장치(40)는 상기 수납부재(131)의 전면 및 상면과 대응하는 전면과 상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장치(40)가 상기 냉장실(13)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부재(131)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수납부재(131)의 상방에는 선반(136)이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재(131)와 필터장치(40)의 상면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The
상기 수납부재(131)와 필터장치(40)의 후면은 상기 냉장실(13)의 후측 벽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131)와 필터장치(40)의 후방에는 상기 워터탱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50)는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화된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냉장실 내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디스펜서(20)로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워터탱크(50)는 상기 수납부재(131) 및 필터장치(40)와 상기 냉장실(13)의 벽면 사이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50)에는 물공급유로(60)가 연결되며, 상기 필터장치(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와 연결되는 냉수 유로(63)는 상기 워터탱크(50)가 배치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밸브(632) 또한 상기 워터탱크(50) 상방의 상기 냉장실(13)의 후벽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해 상기 냉수 밸브(632)는 밸브커버(1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워터탱크(50)와 냉수 밸브(632) 및 물공급유로(60)의 일부는 상기 워터탱크(50)가 배치되는 냉장실 후벽면과 상기 수납부재(131) 및 필터장치(40)의 사이 공간에 모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The
상기 수납부재(131)의 전후 길이와 상기 필터장치(40)의 전후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131)의 전면과 상기 필터장치(40)의 전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receiving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랍과 냉장실 측벽 사이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서, 서랍과 같은 수납부재의 식품저장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food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member such as a drawer can be maximally secured.
만약, 복수의 필터들을 냉장실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필터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누수된 물이 냉장실 전체로 퍼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복수의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에 따라서, 복수의 필터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여도, 누수된 물이 냉장실에서 접촉하는 영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filters so as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ked water spreads to the entire refrigerating chamber when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lters.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ea in which the leaked water contacts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minimized even if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lte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워터탱크가 케이스의 외측에서 서랍과 같은 수납부재와 냉장실의 후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보다 워터탱크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어, 냉수의 저장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케이스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워터탱크를 필터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냉수의 저장용량이 줄어들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member such as a drawer and the rear 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water tank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filter,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ld water can be increased, and the cas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unnecessarily large. If the water tank is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diameter as the filter, it can be easily deduced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ld water will be reduced.
도 5는 상기 필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device,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lter devic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장치(4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복수의 필터(42)와, 상기 필터(42)를 상기 물공급유로(6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상세히, 상기 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필터(42)가 상하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전면에는 케이스 커버(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44)는 상기 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44)의 차폐시 상기 케이스 커버(44)의 전면은 상기 수납부재(131)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detail, the
상기 케이스(41)에는 복수의 필터(42)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공이 구비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는 장착가이드(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45)는 상기 필터(42)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42)가 고정되는 커넥터(43)와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45)는 상기 케이스(41)의 좌우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42)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42)의 장착시 상기 필터(42)가 상기 커넥터(43)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 mounting
한편, 상기 케이스(41)의 바닥면에는 드레인부재(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재(46)는 상기 필터(42)의 탈착 시 발생되는 잔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41)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트레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상기 드레인부재(46)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46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을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부재(46) 또는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드레인부재(46)에서 집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462)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케이스(41)에 삽입되는 필터(42)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다수의 필터(4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역삼투압방식의 필터(RO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3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는 커넥터(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3)는, 상기 케이스(41)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7)과, 상기 브라켓(47)에 장착되는 소켓(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7)은 상기 케이스(41)의 내측면에서 고정되어 상기 필터(42)의 장착시 상기 필터(42)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유로(61)와 정수 유로(62)가 상기 브라켓(47)의 좌우측 양단의 스템 커넥터(483)(제1스템 커넥터 및 제2스템 커넥터라고 할 수 있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스템 커넥터(483)는 세정 유로(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정 유로(65)는 다수의 상기 필터(42) 들과 연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필터(42)에는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소켓 장착부(471)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소켓 장착부(471)의 사이에는 상기 소켓(48)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소켓(48)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필터(42)의 장착시 상기 소켓(48)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42)의 단부가 삽입될 때 상기 소켓(48)과 필터(42)의 단부가 자연스럽게 유동되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결합가능하게 된다. When the end of the
상기 소켓(48)은 상기 소켓 장착부(471)에 장착되는 헤드부(481)와 상기 필터(42)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부(4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481)는 인접하는 두 개의 소켓 장착부(47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 장착부(47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82)는 상기 필터(42)의 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42)의 장착시 내부로 물 공급이 가능하며, 상기 필터(42)의 분리시에는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되는 피팅 구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42)의 분리 후에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캡(미도시)이 장착될 수도 있다. The
한편, 상기 다수의 상기 소켓 장착부(471)는 세정 유로(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정 유로(65)는 하나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 장착부(471)를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소켓 장착부(471)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유로(65)는 상기 커넥터(43) 상에서 상기 급수 유로(61) 및 정수 유로(6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장치(40)로 공급되는 물이 각각의 상기 필터장치(40)를 차례로 거친 후 상기 정수 유로(6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물론, 상기 필터가 분리되고, 캡이 상기 소켓(48)에 장착되면, 유로 세정을 위한 세정수는 필터(42)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세정유로(65)에 의해서 상기 필터장치(40)를 통과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filter is separated and the cap is mounted on the
그리고, 상기 각 필터(42)는, 사용자가 상기 각 필터(42)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필터(42)가 상기 커넥터(43)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워터탱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워터탱크(50)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50)는 금속소재 중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50)는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고내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갑게 냉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워터탱크(50)는 하나 이상의 필터(42)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50)는 전체적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탱크(5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탱크 바디(51)와, 상기 탱크 바디(51)의 개구된 좌우 양측단을 차폐하는 반구 형상의 탱크 캡(52)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탱크 바디(51)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를 둥글게 말아서 접하는 단부를 용접하여 서로 접합함으로서 좌우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성형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51)의 개구된 좌우 양측단은 절곡되어 바디 플랜지(511)를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탱크 캡(52)은 탱크 바디(51)와 동일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바디(51)의 개구된 좌우 양측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50)는 압력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가 고압이 되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캡(52)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캡(52)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디 플랜지(511)와 접하는 캡 플랜지(521)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 캡(52)이 반구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50)에서 각진 모서리가 없어질 수 있어, 각진 모서리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탱크(50)에 각진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세정 시에도 청소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따라서, 상기 바디 플랜지(511)와 캡 플랜지(521)를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상기 탱크 캡(52)을 상기 탱크 바디(51)의 양측에 결합시키게 된다. The
상기 캡 플랜지(521)와 바디 플랜지(5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 플린지(521)의 일부와 상기 탱크 캡(52) 외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a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탱크 캡(52)을 동시에 관통하는 가상의 선이 상기 냉장실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워터탱크(50)가 상기 냉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워터탱크(50)에는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이 공급되는 입수관(522)과, 상기 워터탱크(5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관(512)이 구비된다.The
상기 입수관(522)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탱크 캡(52) 중 어느 일측의 탱크 캡(52)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 유로(63)에 의해서 상기 필터장치(40)의 출구측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관(522)을 통해서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수된 물이 상기 워터탱크(5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상기 출수관(512)은, 상기 입수관(522)과 대향되는 방향의 탱크 캡(52)과 가까운 상기 탱크 바디(51)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출수관(5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관(522)과 가능한 먼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입수관(522)을 통해 입수되는 물이 충분히 냉각된 후에 상기 출수관(51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수관(512)은 상기 탱크 바디(51)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워터탱크(50)의 물이 항상 만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수관(512)은 상기 냉수 유로(63)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0)로 냉각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출수관(512)이 상기 탱크 바디(51)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탱크 바디(51) 내에 존재하는 기포가 상기 탱크 바디(51)의 물과 함께 상기 출수관(51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어, 상기 탱크 바디(51) 내에 저장되는 물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탱크 바디(51) 내에서 기포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물이 존재하지 못하므로, 기포가 존재하는 경우 기포에 의해서 탱크 바디(51) 내에 저장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출수관(512)이 탱크 바디(51)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서 기포(51)가 출수관(512)으로 배출될 수 있어, 기포에 의한 물의 저장공간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냉각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Since the
또한, 세정 시에도 입수관(522)을 통하여 세정수가 투입되면, 탱크내에서 세정수의 유동방향이 변화되어 출수관(512)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세정수가 탱크내를 골고루 세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워터탱크(50)에 각진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워터탱크(50)의 청소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상기 워터탱크(50)가 만약 플라스틱재질인 경우라면, 워터탱크(50) 자체 내의 열전달이 원활치 않아, 워터탱크(50)의 하측부에 더 차가운 물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탱크(50)가 스테인리스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워터탱크(50)의 상측과 하측의 원활한 열전달이 가능하여 출수관(512)이 워터탱크(50)의 상부측에 위치되어도, 물이 충분히 냉각된 후에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f the
상기 입수관(522)과 출수관(512) 모두 상기 워터탱크(50)와 동일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캡(52)과 상기 탱크 바디(51)에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522)과 출수관(512)은 각각 상기 필터장치(40)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유로(63)의 일부와, 상기 워터탱크(50)와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냉수 유로(63) 일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Both the
한편, 상기 출수관(512)과 인접하는 냉수 유로(63)상에는 냉수 밸브(6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밸브(632)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냉수의 공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냉수 밸브(63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워터탱크(50) 내부의 물이 가득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 도어(15)는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도어(151)와, 냉동실 도어(15)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미도시)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153)와 로우 캡데코(1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8, the freezing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상부에는 가이드 브라켓(15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55)은 상기 제빙장치(3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아웃 도어(151)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55)은 상기 제빙장치 측으로 연장되는 제빙 유로(64)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리셉터클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성형시 상기 가이드 브라켓(155)에 상기 제빙 유로(64)와 상기 리셉터클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웃 도어(151)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단열재를 발포 충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5)에는 디스펜서(2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펜서(20)를 구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21)이 상기 아웃 도어(151)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일측으로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안내된다. The
이때, 상기 냉동실 도어(15) 내측에는 유로 가이드(156)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156)는 상기 디스펜서(20) 측으로 안내되는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의 수용이 가능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상기 유로 가이드(156)는 상기 냉동실 도어(15)를 하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16)가 연결되는 로우 캡데코(154)의 일측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일측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유로 가이드(156)의 개구된 일단은 상기 로우 캡데코(154)를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측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성형 및 조립 후에 상기 디스펜서(20)와 연결된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를 분리한 후 상기 유로 가이드(156)로부터 꺼내어 필요한 서비스 조치를 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유로 가이드(156)의 내부로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를 삽입하여 디스펜서(20) 측에서 연결할 수도 있다. The
한편, 상기 유로 가이드(156)의 단부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0)측으로 안내되는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일측에서 정수 밸브(622) 및 연결부재(662)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디스펜서의 커버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plate of the dispenser is remov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 도어(15)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도어(151)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크기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에 상기 디스펜서(20)가 장착된다. 9 and 10,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상기 디스펜서(20)는 디스펜서 하우징(21)에 의해서 전체적이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상기 디스펜서(20)의 함몰된 캐비티(211)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에는 물 취출구(212)와 얼음 취출구(213) 그리고 디스펜서(20)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와 푸쉬 패드(22) 및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231) 및 디스플레이(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는 상기 정수 유로 및 상기 냉수 유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25)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플라스틱 사출물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웃 도어(15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물 취출시 컵과 같은 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는 상기 캐비티(211)를 형성하게 된다. In detail, the
상기 캐비티(211)의 함몰된 후면에는 용기를 받치는 용기 트레이(214)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211)의 후면을 이루는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일부분은 후방으로 더 함몰되어 트레이 안착부(2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상기 트레이 안착부(215)에 안착되며, 상기 용기 트레이(214)가 상기 트레이 안착부(2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용기 트레이(214)의 표면은 상기 캐비티(211)의 후면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14)의 전면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용기 트레이(214)가 쉽게 확인되지 않고 단순히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일부분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A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상기 용기 트레이(214)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트레이(214)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용기 트레이(214)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211)의 후면에는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푸쉬 패드(22)가 제공된다. 상기 푸쉬 패드(22)는 얼음 또는 물 취출의 개시 또는 정지를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컵 또는 용기를 쥔 상태에서 용이하게 누를 수 있으며, 누른 상태에서 물 또는 얼음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211)의 상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취출구(212)와 얼음 취출구(213) 그리고 상기 푸쉬 패드(22)는 동일 연장선 상에 위치될 수있다. A
한편, 상기 물 취출구(212)는 상기 캐비티(211)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정수와 냉수가 배출되는 취출 유로(66)의 출구와 결합된다. 상기 취출 유로(66)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연결부재(662)와 연결되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우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취출 유로(66)는 상기 얼음 취출구(213)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취출 유로(66)는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의 가이드 파이프(66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파이프(661)가 상기 연결부재(662)로부터 상기 물 취출구(212)가 위치되는 곳 까지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취출 유로(66)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661)를 관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취출 유로(66)는 가이드 파이프(661)에 의해 고정된 위치와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관로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 하고, 원할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take-out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상부 즉, 상기 캐비티(211)의 상방 중앙에는 얼음 취출구(213)와 물 취출구(212)가 배치되며, 상기 물 취출구(212)와 얼음 취출구(213)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에는 각각 전장부품 장착부(216)와 밸브 장착부(217)가 형성된다.An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도 10에서 볼 때)의 전장부품 장착부(216)에는 상기 푸쉬 패드(22)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감지하는 스위치와 같은 감지부 및/또는 상기 얼음 취출구(213)를 개폐하는 댐퍼의 동작을 위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밸브 장착부(217)에는 상기 정수 밸브(622)가 배치되고,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연결되는 연결부재(66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의 밸브 장착부(217)에는 상기 유로 가이드(156)의 개구된 일단이 위치되어 상기 유로 가이드(156)를 통해 안내되는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들어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lectrical
상기 전장부품 장착부(216)와 밸브 장착부(217)는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23)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3)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3)에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231)와 더불어 동작의 입력을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al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0)의 사용시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가 장착되어 상기 전장부품 장착부(216)와 상기 밸브 장착부(217)가 차폐된 상태이고, 냉장고의 조립 또는 상기 전장부품의 조립, 정수 밸브(622), 연결부재(662), 정수 유로(62) 또는 냉수 유로(63)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23)를 분리하여 상기 전장부품 장착부(216)와 상기 밸브 장착부(217)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 유로(66)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정수 밸브(622)가 장착됨에 따라서, 정수 밸브(622)의 폐쇄 시 취출 유로(66)에 남아있는 물의 양이 적어 잔수 누설이 적고, 세균 번식의 억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또한, 정수 밸브(622)의 불량에 의해서 물의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물이 취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내에서 물의 누설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even if water leaks due to the failure of the
한편, 상기 전장부품 장착부(216)와 상기 밸브 장착부(217)의 사이에는 슈트 커버(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커버(24)는 상기 물 취출구(212)와 얼음 취출구(213)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3) 보다 다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슈트 커버(24)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3)와 일체로 구성된 경우 상기 슈트 커버(24)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와 함께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A
상기 슈트 커버(24)의 전면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2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25)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입력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5)를 통하여 냉장고(10) 또는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 touch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에서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 the dispenser.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밸브 장착부 내부의 유로 배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밸브 장착부(217)의 내부에는 정수 밸브(622), 연결부재(662), 정수 유로(62), 냉수 유로(63) 및 취출 유로(66)가 배치된다.11, a
상기 유로 가이드(156)를 통해서 안내되는 정수 유로(62)는 상기 밸브 장착부(217)의 내측에서 상기 정수 밸브(622)의 입구와 연결된다. 상기 정수 밸브(622)의 출구는 두 개로 분지되어 상기 정수 유로(62)와 제빙 유로(64)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정수 밸브(622) 출구의 정수 유로(62)는 상기 연결부재(662)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밸브 (622)출구의 제빙 유로(64)는 상기 제빙장치(30)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된 물은 상기 정수 밸브(622)의 동작에 따라서 유로가 절환되어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662) 쪽으로 향하거나, 상기 제빙 유로(64)를 통해서 상기 제빙장치(30)로 향하게 된다. The purified
상기 유로 가이드(156)를 통해서 안내되는 냉수 유로(63)는 상기 연결부재(66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62)는 입구에서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모두 연결되며, 출구에서 상기 취출 유로(66)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 유로(62) 또는 냉수 유로(63)를 통해서 공급되는 정수 또는 냉수는 상기 연결부재(662)를 통해서 하나의 취출 유로(66)로 배출될 수 있다. The cold
한편,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 취출 유로(66), 정수 밸브(622), 연결부재(662)는 상기 밸브 장착부(217)를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작업이 필요한 경우 각 구성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피팅구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도 12는 상기 디스펜서의 입력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input part of the dispenser.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0)의 슈트 커버(24)에는 터치방식의 디스플레이(25)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5)는 사용자의 조작 상황에 따라서 화면이 전환되면서 다양한 입력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12, the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25)의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 또는 냉장고(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5)가 꺼진 상태가 될 수 있다.In detail,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5)를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5)를 활성화시키게 되면, 도 12의 (a)와 같은 첫번째 화면이 표시된다. 첫번째 화면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취출할 수 있는 물 또는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5)의 화면을 다수 개로 구획하고, 각각의 입력에 해당하는 그림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state, if the user touches the
상세히, 정수 입력부(251)는 디스플레이(250)의 좌측 상단에 표시되어 정수된 물의 취출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냉수 입력부(252)는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냉수가 취출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각얼음 입력부(253)는 좌측 하단에 표시되어 각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조각얼음 입력부(254)는 우측 하단에 표시되어 조각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In detail, the
이때, 상기 얼음종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253, 254)와, 정수 입력부(251), 냉수 입력부(252)는 디스플레이(250) 상에서 다수의 행과 열로 구획된 상태에서 표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하여 취출하기를 원하는 메뉴가 표시된 네 개의 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것으로 취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the kind of water or ice taken out by touching any one of the four input units displayed with the menu desired to be taken out through the
그리고, 첫번째 화면에서 정수 입력부(251)를 선택한 후에는 두 번째 화면이 출력된다. 두 번째 화면에서는 취출량 입력부(255)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취출하고자 하는 정수의 용량을 선택하여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취출량 입력부(255)는 두 가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fter selecting the
상세히,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취출량 입력부(255)는 복수의 칸으로 구획된 후 각각의 칸마다 다른 용량의 물을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가 해당 칸을 터치하게 되면 대응하는 용량의 물이 취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설정된 용량은 기준이 되는 용기를 몇개의 등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등분에 해당하는 양 만큼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물이 채워진 수위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In detail, as shown in FIG. 12 (b), the takeout
이때, 취출량 입력부(225)는 디스플레이(250) 상에서 다수의 행과 열로 구획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 취출량 입력부가 표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취출량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225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50 in a stat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refore, as the takeout amount input unit is displayed on one screen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takeout amount.
또한, 도 12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취출량 입력부(256)는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되며, 사용자가 버튼(257)을 조작하여 취출되는 용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정된 용량만큼의 물이 정확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버튼(257)을 조작하게 되면 취출되는 용량을 숫자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2C, the take-out
한편, 첫 번째 화면에서 냉수 입력부(252), 각얼음 입력부(253) 또는 조각얼음 입력부(254)를 선택하거나, 두 번째 화면에서 취출량 입력부(255,256)의 조작을 통하여 취출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 완료하게 되면, 도 12의 (d)와 같은 세 번째 화면으로 전환된다. 세 번째 화면에서는 취출이 시작되는 작동 입력부(258)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입력부(258)의 조작 시 상기 디스펜서(20)에서는 선택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작동 입력부(258)를 다시 조작하게 되면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멈추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screen, the cold
즉, 첫 번째 화면에서 상기 정수 입력부(251)를 조작하여 정수된 물을 선택하고, 두 번째 화면에서 취출량 입력부(255,256)를 조작하여 설정된 유량을 선택하게 되면, 최초 작동 입력부(258)의 조작에 따라 급수가 시작되고, 입력된 용량의 물이 취출 완료된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급수가 정지된다.
That is, when purified water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그리고, 두번째 화면에서 취출량 입력부(255,256)를 조작하여 설정된 유량을 선택하고 최초 작동 입력부(258)의 조작에 따라 급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다시 작동 입력부(258)를 조작하게 되면 설정된 용량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급수가 정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또한,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푸쉬 패드(22)를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디스플레이(25)의 첫번째 화면에서 원하는 물 또는 얼음의 종류를 설정한 후에 상기 푸쉬 패드(22)를 조작하여 급수 또는 얼음의 취출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푸쉬 패드(22)의 조작을 중지할 경우 급수 또는 얼음의 취출을 중단하게 된다.That is, after setting the desired type of water or ice on the first screen of the
특히, 정수된 물의 취출 시 두 번째 화면에서 상기 취출량 입력부(255,256)를 조작하여 취출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한 경우에도 상기 푸쉬 패드(22)의 조작을 통한 물의 공급과 중지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화면에서 상기 작동 입력부(258)를 조작하여 취출 개시를 조작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푸쉬 패드(22)의 조작을 통해서 급수를 중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even when the extracted water is taken out by operating the take-out
본 발명에 의하면, 첫 번째 화면에 냉수 입력부 및 정수 입력부와 얼음 종류 선택부가 표시되고, 취출량 입력부는 첫 번째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정수 입력부를 선택하면 표시되는 화면에 표시됨에 따라서, 많은 입력부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버튼의 종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의 종류를 확인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입력부를 잘못 선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constant input unit, and the ice type selection unit ar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nd the extraction amount input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integer input unit is selected instead of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type of the button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butt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confirm the type of the input section is reduced, and erroneous selection of the input sec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in a step-by-step manner on the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can be reduc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the refrigerator.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에 따른 물 취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3, the water taking-out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상기 급수원(1)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 유로(61)를 통해서 상기 필터장치(4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 유로(61)상에 구비되는 급수 밸브(612)에 의해 상기 필터장치(40)로의 급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61)상에는 유량센서(613)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시 상기 유량센서(613)에서 검출된 유량을 이용하여 지정된 용량의 물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량센서(613)는 급수 유로(61)를 지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마그네틱 타입 또는 홀센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상기 필터장치(4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42)에 의해서 정화되며, 상기 필터장치(40)에서 정화된 물은 정수 유로(62), 상기 힌지(16)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서(20) 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에는 정수 밸브(622)가 구비되며, 상기 정수 밸브(622)에서 분지된 정수 유로(62)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연결부재(662)로 연장되고, 상기 제빙 유로(64)는 상기 제빙장치(30)로 연장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수 밸브(622)가 동작하여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상기 제빙장치(30)로의 정수의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상기 필터장치(40)의 출구 측과 연결된 정수 유로(62)는 분지되어 냉수 유로(63)와 연결된다. 상기 냉수 유로(63)는 상기 힌지(16)를 지나 상기 디스펜서(20)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냉수 유로(63) 상에는 상기 워터탱크(50)와 냉수 밸브(63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는 상기 냉수 유로(63)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50)의 내부에 유입되어 저장 및 냉각되며, 상기 냉수 밸브(632)의 개방시 상기 디스펜서(20)로 냉수를 공급하게 된다.The purified
한편, 상기 디스펜서(20)측의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는 상기 연결부재(662)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662)에 구비되는 취출 유로(66)를 통해서 상기 디스펜서(20)로의 물취출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이와 같은 유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서, 냉수를 취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5)의 냉수 입력부(252)를 조작하게 되면,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5)의 작동 입력부(258)를 조작하거나 상기 푸쉬 패드(22)를 누르게 되면 상기 냉수 밸브(632)가 개방되면서 상기 취출 유로(66)의 물 취출구(212)로부터 냉수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물을 취출한 후에는 상기 작동 입력부(258)를 다시 한 번 조작하거나 상기 푸쉬 패드(22)를 누르고 있던 손이나 용기를 떼게 되면 급수가 정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refrigerator having such a flow path struct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그리고, 정수된 물의 취출을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5)의 정수 입력부(251)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정수 밸브(622)가 절환되어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한 물 취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원(1)에서 급수되는 물이 상기 필터장치(40)를 통과하여 정수되고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해 바로 상기 디스펜서(20)로 취출될 수있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25)의 취출량 입력부(255,256)를 통해서 취출되는 물의 양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취출량 입력부(255,256)를 조작하여 취출되는 물의 양을 입력한 후 상기 작동 입력부(258) 또는 상기 푸쉬 패드(22)를 누르게 되면 상기 냉수 유로(63)와 연통되는 상기 취출 유로(66)를 통해 정수된 물의 취출이 시작된다.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the amount of water taken out through the extraction
그리고, 정수된 물의 취출 시작과 동시에 상기 유량센서(613)는 상기 급수원(1)을 통해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게 되며, 상기 유량센서(613)에서 검출되는 유량에 따라서 급수의 중단을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유량센서(613)를 통해서 설정된 용량의 물이 취출된 것이 감지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정수 밸브(622)는 닫히게 되고 정수된 물의 취출을 완료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purified water is taken out, the
즉, 상기 정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정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냉수 밸브는 닫힌다. 이 상태에서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물의 양 만큼 물이 취출되면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 반면, 상기 냉수 입력부를 통하여 냉수가 선택된 경우, 상기 냉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힌다. 이 때, 상기 취출량 입력부를 이용하여 설명한 물의 양의 취출여부는 상기 유량센서(613)에 의해서 감지된 유량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when an integer is selected using the consta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opened and the cold water valve is closed. In this state, when the water is taken out by the amount of water set by using the takeoff amount input unit,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On the other hand, when cold water is selected through the cold water input unit, the cold water valve is opened and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is closed.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o take out the amount of water described using the take-out amount input unit can be judged based on the flow rate sensed by the
이 때, 상기 푸쉬 패드(13)의 누름조작이 감지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정수가 취출되는 경우, 일정량의 정수가 취출되기 전에 상기 푸쉬 패드(13)의 누름 조작이 미감지되면, 정수의 취출을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힐 수 있다. If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is taken out in a state where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푸쉬 패드(13)의 누름조작이 감지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정수가 취출되는 경우에, 일정량의 정수가 취출된 후에는 상기 푸쉬 패드(13)의 누름조작의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정수의 취출을 중단하기 위하여 상기 정수 밸브는 닫힐 수 있다. 즉, 상기 일정량의 정수가 취출된 후에는 상기 푸쉬 패드(13)의 누름 조작이 지속적으로 감지더라도 정수 밸브는 닫히게 된다. When a certain amount of purified water is taken out in a state in which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25)의 각얼음 입력부(253) 또는 조각얼음 입력부(254)의 조작시 상기 디스펜서(20)의 얼음 취출구(213)를 통해서 대응하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다.The corresponding ice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도 14는 상기 냉장고에 세정장치가 세정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물공급유로의 살균 및 세정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flow paths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device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and 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water supply flow path.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의 사용 중에 상기 물공급유로(60) 또는 워터탱크(50)의 세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세정장치(70)를 물공급유로(60) 상에 연결하고 상기 물공급유로(60)와 상기 워터탱크(50)에 세정수를 채워 세척하게 된다.14 and 15, when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세정장치(70)는 공급되는 물을 전기분해를 통해 차아염소산을 생성하여 살균 역할을 하는 세정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휴대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의 물공급 유로상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the
상기 세정장치(70)의 연결을 위해서 상기 급수 유로(61)를 분리하고, 상기 급수 유로(61)상에 상기 세정장치(70)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원(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세정장치(70)를 거친 후에 냉장고(10)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장치(40)에 장착된 상기필터(42)를 분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소켓(48)에 유로를 차단하는 피팅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캡을 장착하여 상기 필터(42)의 분리시 상기 소켓(48)을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removes the
다음으로, 상기 세정장치(70)를 동작시켜 세정수를 생성하여 상기 물공급유로(60) 상에 주입하게 된다. 상기 세정수는 상기 필터(42)가 제거된 필터장치(40)의 세정 유로(65)와, 상기 워터탱크(50) 그리고 상기 정수 유로(62), 냉수 유로(63) 및 제빙 유로(64)를 차례로 지나면서 채우게 된다.Next, the
한편, 상기 세정장치(70)의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빙장치(30)는 테스트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자동 제빙기(31)의 트레이를 비우고 상기 제빙 유로(64)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자동 제빙기(31)의 트레이에 공급하여 상기 제빙 유로(64) 및 상기 제빙장치(30)의 트레이까지 세정수를 이용한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물공급유로(60) 및 상기 워터탱크(50) 전체에 채워진 물은 설정시간 동안 상기 물공급유로(60)상에 머무르면서 내부을 살균하게 된다.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살균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푸쉬 패드(22) 또는 작동 입력부(258)의 조작을 퉁해서 상기 물공급유로(60)상의 세정수를 모두 배수하게 된다. The water filled in the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세정수를 모두 배수시킨 후에는 상기 소켓(48)에 장착된 캡을 제거하고 상기 필터(42)를 상기 소켓(48)에 다시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세정장치(70)를 통해서 세척수가 상기 물공급유로(60) 상에 공급되고,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배수될 수 있다. After draining all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이와 같은 살균과 세정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세정장치(70)를 상기 급수 유로(61)에서 분리하고, 상기 급수 유로(61)는 다시 상기 물공급유로(6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냉장고의 물공급유로(60) 및 워터탱크(50)의 세정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After the sterilization and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그리고, 테스트 모드 상태에서 제빙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2)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자동 제빙기(31)로 세정수가 급수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32)에 저장된 얼음을 비우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냉장고(10)의 표시부(231) 또는 디스플레이(25)를 통하여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ce stored i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 밸브가 상기 필터장치와 상기 워터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valve for discharging cold water from the water tank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tank.
따라서, 상기 냉각 밸브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cooling valve,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물공급 유로(60)는, 급수원(1)과 필터장치(40)를 연결되는 급수 유로(61), 상기 필터장치(40)와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62), 상기 제빙장치(30)와 연결되는 제빙 유로(64), 상기 워터탱크(50)를 거쳐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냉수 유로(63) 및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상기 정수 유로(62) 및 냉수 유로(63)와 연통되고 상기 디스펜서(20)의 외부로 정수 또는 냉수를 취출하는 취출 유로(66)를 포함할 수 있다. 16, the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61)상에는 급수 밸브(612)와 유량센서(613)가 구비될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정수 유로(62)상에는 정수 밸브(622)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 밸브(622)는 분지되어 출구 측이 정수 유로(62)와 제빙 유로(64)로 나뉘어 지며, 각각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로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A
한편, 상기 냉수 유로(63) 상에는 냉수 밸브(6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밸브(634)는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워터탱크(50)의 사이의 상기 냉수 유로(63)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 시 개폐되어 냉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워터탱크(50)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워터탱크(50) 내부에 냉수가 가득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냉수 밸브(634)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 및 작용은 모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물 취출을 위한 작동 및 세정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워터탱크에서 냉수가 배출되는 냉각 밸브가 삼방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장치와 상기 워터탱크의 사이서 상기 정수 유로와 냉수 유로가 분지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valve through which col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the cold water passage are branched between th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tank do.
따라서, 상기 냉각 밸브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cooling valve,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물공급 유로(60)는, 급수원(1)과 필터장치(40)를 연결되는 급수 유로(61), 상기 필터장치(40)와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62), 상기 제빙장치(30)와 연결되는 제빙 유로(64), 상기 워터탱크(50)를 거쳐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냉수 유로(63) 및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상기 정수 유로 및 냉수 유로(63)와 연통되고 상기 디스펜서(20)의 외부로 정수 또는 냉수를 취출하는 취출 유로(66)를 포함할 수 있다. 17, the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61)상에는 급수 밸브(612)와 유량센서(6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정수 유로(62)상에는 정수 밸브(622)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 밸브(622)는 분지되어 출구 측이 정수 유로(62)와 제빙 유로(64)로 나뉘어 지며, 각각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로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
한편,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워터탱크(50)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서로 분지되는 지점에는 냉수 밸브(6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밸브(635)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장치(4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정수 유로(62) 또는 냉수 유로(63)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서 냉수를 취출하고자 상기 디스펜서(2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밸브(635)가 절환되어 상기 필터장치(40)의 물을 워터탱크(50)로 공급하게 되고, 워터탱크(50)에 저장된 물이 압력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 정수를 취출하고자 상기 디스펜서(2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밸브(635)가 절환되어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해 상기 필터장치(40)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정수 밸브(622)는 상기 디스펜서(20) 측으로 향하는 정수 유로(62)측을 개방하여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한편, 상기 제빙장치(30)에 제빙을 위한 물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냉수 밸브(635)는 상기 정수 유로(62)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정수 유로(62)를 통해서 상기 필터장치(40)의 물은 상기 디스펜서(20)로 향하게 되며, 상기 디스펜서(20)에 구비된 정수 밸브(622)는 상기 제빙장치(30)와 연결된 제빙 유로(64) 측을 개방하여, 상기 필터장치(40)에서 배출되는 물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빙 유로(64)를 통해 상기 제빙장치(30)로 안내될 수 있다. If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냉수 밸브(635)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 및 작용은 모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물 취출을 위한 작동 및 세정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기 디스펜서에 물 취출구가 2개가 형성되어 각각 정수 유로의 단부와 냉수 유로의 단부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정수와 냉수가 각각의 취출구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two water outlet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and the end of the cold water flow path, respectively, so that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outlets .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정수 유로와 냉수 유로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fore, the other construction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the cold water passage in the dispenser,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물공급 유로(60)는, 급수원(1)과 필터장치(40)를 연결되는 급수 유로(61), 상기 필터장치(40)와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62), 상기 제빙장치(30)와 연결되는 제빙 유로(64), 상기 워터탱크(50)를 거쳐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냉수 유로(63)를 포함할 수 있다. 18, the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61) 상에는 급수 밸브(612)와 유량센서(6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정수 유로(62) 상에는 정수 밸브(622)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 밸브(622)는 분지되어 출구 측이 정수 유로(62)와 제빙 유로(64)로 나뉘어 지며, 각각 디스펜서(20)와 제빙장치(30)로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한편, 상기 냉수 유로(63)상에는 냉수 밸브(6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밸브(632)는 상기 워터탱크(50)와 상기 디스펜서(20) 사이의 상기 냉수 유로(63)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시 개폐되어 냉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워터탱크(50)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워터탱크(50) 내부에 냉수가 가득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그리고,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는 모두 상기 힌지(16)를 거쳐 상기 냉동실 도어(14)로 안내되며, 상기 디스펜서(20)에 각각의 물 취출구에 연결된다. 즉, 상기 디스펜서(20)에는 상기 정수 유로(62) 및 냉수 유로(63)의 단부가 노출되어 정수를 취출하는 정수 취출구와 냉수를 취출하는 냉수 취출구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The purified
즉,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상기 디스펜서(20) 측에 취출유로(66)와 상기 취출유로(66)에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662)가 생략되고, 상기 취출유로(66)가 생략되는 것이다.That is, when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20)측에서의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의 출구 개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 및 작용은 모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물 취출을 위한 작동 및 세정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number of outlets of the purified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상기 제빙장치가 냉동실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장치에서 정수 유로에서 분지된 물이 공급되는 제빙장치가 냉동실이 형성된 본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mak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ice 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anch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passage in the filter apparatus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ide where the freezing chamber is formed.
따라서, 상기 제빙장치의 위치와 상기 제빙장치와 연결되는 유로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ice maker and the channel structure connected to the ice maker,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유로 구조와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arrange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0)는,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는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가지는 본체(11)와, 디스펜서(20)가 장착되는 냉동실 도어(14) 및 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19 and 20, a
그리고, 물공급 유로(60)는 급수원(1)과 필터장치(40)를 연결되는 급수 유로(61), 상기 필터장치(40)와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62), 상기 워터탱크(50)를 거쳐 상기 필터장치(40)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는 냉수 유로(63)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33)와 연결되는 제빙 유로(6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61)상에는 급수 밸브(612)와 유량센서(6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정수 유로(62)상에는 정수 밸브(623)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 밸브(623)는 상기 냉장실(13) 또는 압축기 등이 제공되는 기계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13)의 내부에서 출구가 분지되어 상기 정수 유로(62) 및 제빙 유로(67)와 연결될 수 있다. A
따라서, 상기 정수 밸브(623)는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상기 디스펜서(20)로 정수된 물을 설정 용량만큼 취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냉동실(12)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빙장치(33)로 제빙을 위한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냉수 유로(63)상에는 냉수 밸브(6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밸브(632)는 상기 워터탱크(50)와 상기 디스펜서(20) 사이의 상기 냉수 유로(63)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시 개폐되어 냉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워터탱크(50)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워터탱크(50) 내부에 냉수가 가득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그리고, 상기 정수 유로(62)와 냉수 유로(63)는 모두 상기 힌지(16)를 거쳐 상기 냉동실 도어(14)로 안내되며,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상기 취출유로(66)와 연결된 연결부재(662)와 연결되어 상기 취출 유로(66)를 통해 정수 또는 냉수를 취출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을 통해 정수된 물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용량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Both the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0) 또한, 물 취출을 위한 작동 및 세정 작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Claims (15)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상기 냉장실 내부에 배치된 식품 저장용 서랍;
상기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측벽과 서랍 사이 공간에 상하로 배열된 복수개의 필터;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수용 가능하도록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 필터의 장착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장착가이드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복수개의 필터가 각각 삽입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어진 복수개의 소켓;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 들과 결합하여 물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제1스템 커넥터;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타측에 결합되어진 제2스템 커넥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냉장실 후벽과 서랍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스템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입수관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타측에 출수관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물 냉각용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의 출수관과 연결되어진 냉수유로; 및
상기 냉수유로와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스템 커넥터 후단에서 분기되는 정수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forme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 compartment;
A food storage drawer disposed with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water supply channel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cabinet;
A plurality of filters vertically arranged in a space betwe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side wall and the drawer;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ilters and having a mounting guide protruding inwardly to guide mounting of the plurality of filters;
A plurality of sockets vertically disposed in the case so that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inserted and mounted;
A connec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with the sockets to connect the water supply passage;
A first stem connec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ockets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hannel;
A second stem connector coupled to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sockets;
A water inlet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stem connec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m connector and a water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m connector, Water tank for water cooling of shape;
A cold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water tank; And
And a purified water flow path branched from a rear end of the second stem connector to form a separate flow path from the cold water flow path.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정수유로는 도어 힌지를 통과한 후에 합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d water channel and the purified water channel join together after passing through a door hinge.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정수유로는 냉동실 도어 힌지를 통과한 후에,냉동실 도어에서 합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ld water channel and the purified water channel are joined at the freezing chamber door after passing through the freezing chamber door hinge.
상기 워터탱크의 후단에 냉수유로제어용 제1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valve for controlling a cold water flow path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water tank.
상기 정수유로의 후단에 정수유로제어용 제2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valve for constant flow path control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상기 정수유로의 후단에 제빙기 공급 유로제어용 제3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third valve for controlling an ice-maker supply flow passage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purified water passage.
상기 정수유로제어용 제2밸브와 제빙기 공급 유로제어용 제3밸브는 냉동실 도어 외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valve for controlling the purified water passage and the third valve for controlling the ice-maker supply passage are installed outside the freezing chamber door.
상기 제2스템 커넥터는 별도의 세정유로와 연결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m connector is connectable to a separate cleaning channel.
상기 워터탱크는 스테인레스재질 금속으로 제작되어 상기 출구관과 입수관이 용접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outlet pipe and the inlet pipe are welded together.
상기 케이스 저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진 드레인부재가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ain memb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lower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side is detachabl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복수개의 필터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필터들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combined with filte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상기 장착가이드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guide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and extends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복수개의 필터들을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s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covering the plurality of filters.
상기 소켓들을 장착가능한 브라켓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cket capable of mounting the sockets is disposed inside the case.
상기 필터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의 가상 중심선이 원통형 워터탱크의 가상 중심선과 직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is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filter is orthogonal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water tank in a state of being mounted in the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76A KR20150075400A (en) | 2015-06-11 | 2015-06-11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76A KR20150075400A (en) | 2015-06-11 | 2015-06-11 | Refrigerat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4426A Division KR101639481B1 (en) | 2014-10-23 | 2014-10-23 |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400A true KR20150075400A (en) | 2015-07-03 |
Family
ID=5378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576A KR20150075400A (en) | 2015-06-11 | 2015-06-11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75400A (en)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576A patent/KR20150075400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4334B2 (en) | Refrigerator | |
US12013169B2 (en) | Refrigerator | |
KR101166640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131442A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 |
KR101519198B1 (en) | Refrigerator | |
KR20160055741A (en) | Refrigerator | |
KR101639481B1 (en) | Refrigerator | |
KR20100092686A (en) | Refrigerator with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75400A (en) | Refrigerator | |
KR101738294B1 (en) | Refrigerator | |
KR101774136B1 (en) | Refrigerator | |
KR20130046043A (en) | Refrigerator | |
KR20110050956A (en) | Refrigerator | |
KR20100062352A (en) | A dispenser of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3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02 Effective date: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