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830A -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830A
KR20150074830A KR1020130162981A KR20130162981A KR20150074830A KR 20150074830 A KR20150074830 A KR 20150074830A KR 1020130162981 A KR1020130162981 A KR 1020130162981A KR 20130162981 A KR20130162981 A KR 20130162981A KR 20150074830 A KR20150074830 A KR 2015007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te
cover
unit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9747B1 (en
Inventor
서민아
김자연
오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6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47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3900269.5A priority patent/EP3091111B1/en
Priority to PCT/KR2013/012196 priority patent/WO2015099228A1/en
Priority to AU2013408947A priority patent/AU2013408947B2/en
Priority to CN201380081872.9A priority patent/CN105849330B/en
Priority to BR112016014753-7A priority patent/BR112016014753B1/en
Priority to MX2016008316A priority patent/MX355701B/en
Priority to RU2016130046A priority patent/RU2643137C1/en
Priority to JP2016542728A priority patent/JP6400711B2/en
Priority to US15/107,744 priority patent/US20160319475A1/en
Publication of KR2015007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830A/en
Priority to US16/514,318 priority patent/US201903384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washing tool comprising: a first body having a washing space for washing laundry;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a second body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and includ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and an opening region formed to let the water flow to the washing space; a cover unit formed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opening region is cover so that water is collected in the second body, and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opening region is exposed so that the water and laundry are possible to pas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cover unit based on a control command inputt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다용도 세정기구{MULTIFUNCTIONAL CLEANER UNIT}[0001]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0002]

본 발명은 의류를 세탁하는 세정기구로 모드에 따라 세면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 세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performs a washing function according to a mode, which is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clothes.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가정 내에서 급수가 필요한 공간에 설치된다. 다만 혼자 사는 1인 주택이 증가하면서, 생활가전을 배치할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용량의 가전제품과, 간편하고 신속하게 기능이 완료되는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Generally,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in a room where a water supply is required in the home. However,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living alone increases, the space for placing household appliances is decreasing. As a result, it is in recent trends to prefer small size household appliances and products that are simple and quick to complete.

다양한 기능과 개성적인 형상을 갖는 제품들이 생산됨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품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배치하기 곤란한 불편함이 있다. It is difficult to arrange different products in a relatively small space due to the production of product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unique shapes.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세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satile cleaning mechanism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a relatively narrow sp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정기구는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공간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개구영역을 덮어 상기 제2 바디에 물이 고이는 제1 상태 및 상기 개구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물과 상기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제2 상태로 구현되는 커버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및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irst body having a laundry space in which laundry is washed, a water supply part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A second bod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the second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and an opening region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flow into the washing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the cover unit based on a cover unit configured to be exposed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water and the laundry are exposed, and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바디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진동을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upl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so that the second body is fixed to the first body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o buffer the vib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a cushioning portion that i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moving in a dire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mov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wa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buffer the vibration when the washing mode of the first body is washed,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위한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moving block for moving the cover portion,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결합이 해지된다. 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dge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e second state, the assembling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is released so that the water passes through.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향한 가압에 의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된다. 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are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by the urging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세탁 공간을 이루는 회전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면과 상기 회전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조를 덮고,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흐르도록 이동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further includes a rotating tub that forms the washing space, and a dr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tub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cover portion covers the rotating tub and can move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drain sp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ver unit to be in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based on whether or not a washing mode in which laundry is washed in the first body is activ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세탁모드의 건조단계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한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body is driven to the drying step of the washing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maintain the first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세탁모드를 일시적으로 비활성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temporarily disable the washing mod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first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물의 재생가능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water is contained in the cover unit, and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regeneration state of the wat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재생가능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is accommodated, the control section may control the cover section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based on the renewable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cover portion in the first stat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의 급수단계에서 상기 커버부를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witch the cover part to the second state in the water supplying step of the washing mo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불투명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unit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utput an opaque image when the washing mode is activ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세탁모드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hing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ode to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에 물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용됨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물을 상기 제2 바디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at water is received in the cover by the sensing unit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ler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second body The cover portion can be control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세탁모드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switch to the second state when the laundry mode in which the laundry of the first body is washed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and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is interrupted, ca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및 해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홀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지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hole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cap formed to be insertable and removable in the hole, wherein the cap is inserted or inserted into the hole by a user's control command, Can be cance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마개의 삽입 및 해지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sertion and release states of the stopper based on the driving step of the washing mode while the washing mode is activ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 세정 또는 세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적은 양의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leaning or washing function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and a small amount of laundry can be efficiently washed.

또한, 세정기구의 모드에 따라 사용된 물의 재사용여부가 결정되므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ve the water resources sinc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d water is reused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clean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세정기구의 분해도.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모드에 근거하여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는 세탁조의 구동상태에 따른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b는 커버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제1 바디부의 구동상태에 근거한 제1 및 제2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of Fig. 1;
FIGS. 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state trans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A and 5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state transitio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section based on the drive mode of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7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7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first body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세정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of FIG. 3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state trans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용도 세정기구는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바디(200)는 상기 제1 바디(100) 상에 상기 결합부(300)를 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독립적인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300)에 의하여 연결되지만,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는 분리되지 아니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200, and a coupling portion 300. The second body 200 is mounted on the first body 100 through the coupling part 300.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independent members and are connected by the coupling unit 30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multi- Are not separated.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3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23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급수부(230)는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230 formed in the second body 200 and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The shape of the water supply unit 23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 and the water supply unit 230 may have a plurality of structures mounted in different areas.

예를 들어, 상기 급수부(23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모두 물을 공급하는 제1 급수구조 및 상기 제2 바디부(20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바디부(200)에만 물을 공급하는 제2 급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230 may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structure mounted on the second body 200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nd a second water supply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first body 200 and supplies water only to the second body 200.

상기 제1 바디부(100)는 내부에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공간(10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세탁공간(101)에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의류 등을 세탁하는 세탁조가 수납된다. The first body part 100 includes a washing space 101 for washing laundry. That is, the washing space 101 is filled with a washing tub for washing clothes using water and detergent.

또한, 상기 제2 바디부(200)는 물이 고이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201)과 상기 세탁공간(101)은 연통되는 구조로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상기 수용공간(201)에 물이 고이도록 형성되는 커버부(210)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dy 200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201 in which water is formed to be high. The receiving space 201 and the washing space 10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water can be flowed. The second body part 200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210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201 so as to have a high water content.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물의 이동상태가 서로 다른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The cover 21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or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second body part 200. The cover 210 may be operated i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in which the moving state of the water is different.

여기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이 연통되는 구조로서, 물이 상기 수용공간(201)으로부터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제1 및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제2 상태를 도시한다. The first state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space 101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201 and water is allowed to flow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01 to the washing space 101 . The control unit can switch the multi-function cleaning mechanism to the first and second stat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ver unit 210 or the user's control command. Fig. 1 (a) shows a first state, and Fig. 1 (b) shows a second state.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을 분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급수부(203)에서 유출되는 물이 상기 커버부(210) 및 상기 제2 바디부(200)에 고이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 and 1 (b), the cover part 210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laundry space 101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01, (100, 200). In the first state, the cover 210 is formed such that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water supply part 203 is high in the cover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는 상기 제2 바디부(200) 상에서 상기 커버부(210)가 형성된 위치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물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바디부(100)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ate, the water supply unit 203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ody 200 above the cover 210. Accordingl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body part 200 in the first state an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in the first state.

상기 커버부(2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201)을 이루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패킹링이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ver part 210 is not limi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art 210 h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ater can be floated, and the shape of the cover part 210 is concave so that the user can use water.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ashing space 10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201 is formed. That is, in the first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1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00 constituting the accommodation space 201.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rubber ring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to block the flow of the water.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가 이동한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고였던 물은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에 의하여 유출되는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cover 210 moves in the second state, the water held by the cover 210 flows out to the washing space 101. Also, in the second state, water flowing out by the water supply unit 203 can directly flow into the washing space.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받는 제어장치(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이루는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203), 상기 커버브(210), 상기 제1 바디부(100)에 형성되는 세탁조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02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driving 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203, the cover 210, the washing tub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states . ≪ / RTI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용도 세탁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를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바디부(100)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결합부재(310), 상기 제1 결합부재(310)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320) 및 상기 제1 결합부재(310)에 형성되는 완충부(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multi-functional laundry machine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art 300 for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The engaging portion 300 includes a first engaging member 310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100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310 engaging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00, And a buffering part 330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member 310. The buffering part 330 is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member 31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320,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가 상기 제2 결합부재(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3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The buffer part 330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ngaging member 330 in a state where the first engaging member 310 is fitted to the second engaging member 3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respectively.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완충부(33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ffer part 33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exposed or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buffer part 33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impact. For example, the buffer 330 may be a spring.

따라서,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바디부(100) 내의 세탁조가 구동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때 회전에 충격(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제2 바디부(200)에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buffer part 330 absorbs shocks (vibration) when rotating the washing machine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body part 100, so that the buffer part 330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body part 200 do.

도 2 및 도 3a의 (a) 및 (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210)의 이동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이동블록(2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200)는 내주면에 형성도고, 상기 이동블록(221)의 일 영역과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21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221) 및 가이드부(22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블록(221) 및 상기 가이드부(222)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210)는 내면이 상기 제2 바디부(200)의 내주면을 스치듯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210)에 고였던 물이 상기 수요공간(201)을 지나,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유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A (a) and 3 (b), a movement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over part 210 includes a moving block 221 for moving the first body part 200 along one area of the second body part 200 to switch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second body part 200 includes a guide part 222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ixed to one area of the moving block 221 to guide rotation (movement) of the cover part 210 . The moving block 221 and the guide part 22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blocks.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10 may be shifted to the second state by mov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00 by the moving block 221 and the guide part 222 . Accordingly, the water, which has been accumulated in the cover part 210, flows into the washing space 101 through the demand space 201.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구체적인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switch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a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일 영역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막도록 형성되는 마개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홀을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홀을 열어 상기 물을 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커버부(2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2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압력 또는 상기 제어장치(202)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이동되고, 상기 다시 복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C, the cover 210 includes a hole formed in one region and a cap 211 formed to cover the hole. And includes the stopper 211. The stopper portion 211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hole. For example, the stopper 211 may be formed to block the hole in the first state to block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e, and to open the hole in the second state to drain the water. . That is, in the second state, the stopper portion 211 is formed to be movable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210. For example, the stopper 211 is moved based on a pressure applied by a user or a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controller 202, and is returned to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에 고인 물은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상기 세탁영역(101)으로 유출될 수 있다. In the second state, the water in the cover part 210 may flow out to the washing area 101 of the first body part 100.

상기 홀은 상기 커버부(2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210)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마개부(211)가 상기 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210)의 중앙으로 모인 물이 중력에 의하여 모두 제1 바디부(100)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The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210. For example, when the cover part 2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hen the cap part 211 is separated from the hole, water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210 is collected by the gravity, Can flow toward the portion (100).

도 3a의 (a)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나 상기 세탁공간(101)으로의 이동은 차단된 제3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중력방향(즉, 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3A and 3D, the cover 210 discharges wat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but the movement to the washing space 101 is blocked by the third The cover portion 210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gravity direction (i.e.,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moves).

예를 들어,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상기 세탁공간(101)은 세탁조가 수납되고, 상기 세탁공간(101)은 상기 세탁조의 내부공간과 구분되는 배수공간(1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세탁조를 막으면서 상기 수용공간(201)이 상기 배수공간(102)와 연통하도록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세탁공간(101)에는 상기 세탁조를 막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210)가 걸쳐지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세탁조는 상기 커버부(210)가 안착되는 안착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shing space 101 of the first body part 100 houses a washing tub, and the washing space 101 may include a drain space 102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washing tub . In the third state, the cover part 210 may be moved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201 communicates with the drain space 102 while blocking the washing tub. The washing space 101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ortion for covering the cover 210 to block the washing tub or the washing tub may have a s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210 is se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으로부터 제공된 물은 상기 세탁조로 이동하지 못하고 배수공간(102)을 통하여 별도로 배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hird stat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3 can not be moved to the washing tub and is drained separately through the drainage space 102.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수용공간(201) 및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된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을 배수하거나, 사용된 물 또는 급수부에 의하여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3 상태에서 배수된 물이 세탁조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고 물을 배수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ate, the user can use the water accommodated by the accommodating space 201 and the cover part 210, and in the second state, the user drains the water, Water can be used to drive the washing tub, and water discharged in the third state can not flow into the washing tub, thereby preventing reuse and draining water.

도 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구조 및 상태전환을 설명한다. The structure and state transition of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210)를 이루는 조립부재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립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the cover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that are formed so that edge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number of the assembling members constituting the cover portion 21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The assembling members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tates and then assembled again.

도 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부재들은 틈을 형성하지 아니하여 상기 급수부(203)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이동을 제한한다.Referring to FIGS. 3 (a) and 3 (b), in the first state,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are formed to abut each other. That is, the assembling members do not form a gap to restrict the moveme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3.

도 3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 또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서로 맞닿았던 가장자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다만,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의 각 일 가장자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Referring to (b) of FIG. 3b,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are moved so that the edges of the assembling member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a pressing or a control command by the user. However, one ed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is kept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00 in the second state.

즉,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은 상기 제2 바디부(200)와 접한 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하며, 상기 조립부재들의 회전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210)의 중심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도록 전환된다. That is,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ference to the surface contacting the second body 200,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210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ssembling members. So that a movable aperture region is formed.

또는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은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21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각 조립부재들이 변형되고, 서로 맞닿아있던 가장자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 해지되면 각 조립부재가 서로 맞닿는 상태로 전환된다.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210 can be formed with an opening region through which the assembling members are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the edges where the abutting ends thereof are opened, so that the water can move. In this case, when the pressurization by the user is canceled, the respective assembling members are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되었던 물이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이동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received by the cover 210 moves to the washing space 101.

한편, 도 3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중심부가 각각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면서 개구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cover 210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whose edg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n opening region may be formed whil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project upward.

상기 제2 바디부(200)의 가장자리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0)를 둘러싸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상태로 전환된다. 반면, 상기 커버부(210)를 둘러싸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좁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can be switched by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based on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art 200. [ When the second body part 200 surrounding the cover part 210 has a concave shape, the second stat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On the other hand, if one area of the second body part 200 surrounding the cover part 210 is narrowly formed, the third state can be chang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된 물을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drain the water accommodated by the cover portion 21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도 4는 다른 실시예데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310) 및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커버부(320)를 포함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310 having an inner space and a cover 320 formed in one area of the body 310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상기 바디부(310)의 외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조가 수납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inner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tub for washing laundry.

상기 커버부(320)는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상기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지면과 평행)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 단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세탁조가 개폐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사용자의 가압 또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가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한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상기 커버부(320)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가 노출된 상태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320 may be formed to cross one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so as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The cover 320 may mov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to be opened and closed. The cover 320 may be driven by a user's pressing or control command.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320 divides the internal space may be defined as the first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washing vessel is exposed by the cover portion 320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region.

상기 커버부(320)는 슬라이딩 형태로 상기 세탁조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320)의 일 영역을 휜상태로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바디부(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cover 320 may be slidab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ody 310. The cover 32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320 of the body 310, Or may protrude out of the body portion 310. [0035]

급수부(340)는 상기 바디부(310)의 상기 커버부(320) 상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310)는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20) 및 상기 세탁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rt 340 is prefer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rt 320 of the body part 310. The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330 formed in one area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ver unit 320 and the washing tub.

도 5a 및 도 5b는 각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A and 5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state transitio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도 5a를 참조하여, 물의 재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에 구비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된 제어명령 또는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의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use of water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water based on a control command applied by a user or a driving state of the multi-purpose cleaning mechanis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되어 있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water is received in the cover unit 210 (S10).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ver 210 receives water. The sensing sensor may be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cover and sensing the weight of the wa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바디부(상기 제1 바디부에 수납된 세탁조)가 세탁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여기에서 상기 세탁모드는 상기 세탁조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탁중인 상태, 즉 상기 세탁조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세정모드는 상기 커버부(210)에 상기 급수부(203)에 의하여 제공되고 있는 물이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If it is detected that water is contained in the cover unit 21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ody unit (the washing machine housed in the first body unit) is in the washing mode (S20). Here, the washing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is being washed by the washing tub, that is, the washing tub is activated.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ode means that the water provided by the water supply unit 203 is received in the cover unit 210 by the cover unit 2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물의 수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한다(S31). 또한, 상기 세탁모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S32)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물이 배수되는 상태는 상기 물이 상기 세탁조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배수부를 통하여 버려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210 to maintain the water receiving state in the washing mode (S31). Further, when the washing mode is maintained, the cover unit S32 is controlled to drain the water. Here,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is drained means that the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모드인 경우, 상기 물의 재사용여부를 판단한다(S40). 여기에서 상기 물의 재사용여부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근거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에 근거할 수 있다. In the cleaning mod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is reused (S40). Here, reuse of the water may be based on a setting by a user or based on a control command by a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가 물의 재사용이 결정되면,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커버부를 전환하여 상기 물을 세탁공간(101)으로 유출시킨다(S51). 즉, 상기 사용되고 난 후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고여있던 물이 상기 세탁조로 유출되어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reuse of the drink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switches the cover part to the second state to discharge the water into the washing space 101 (S51). That is, the water accumulated by the cover 210 after being used may be used to wash the laundry by flowing out to the washing tub.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이 세탁조로 이동된 후에 상기 세탁조가 구동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세탁조가 배수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물은 재사용되지 않고 배수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washing tub is not driven after the water is moved to the washing tub, or when the washing tub passes the drain step, the water can be drained without being reu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이 재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S32)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210 to drain the water if the water is determined not to be reused (S32).

이하,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상태에 따라 물의 재사용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the water reus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세탁조가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를 판단한다(S21). 여기에서 상기 구동단계는, 급수단계, 세제투입단계, 세정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washing tub of the first body part 100 is in the washing mod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driving mode of the washing mode (S21). The driving step may include a water supplying step, a detergent applying step, a cleaning step, a rinsing step, a dehydrating step, a drying step,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급수단계인 경우, 상기 수용된 물의 상태를 판단한다(S41). 여기에서 상기 수용된 물은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유동되지 못하고 수용된 상태의 물을 의미한다. If the washing mode is the water supply step,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water (S41). Here, the received water means water in a state of being not received by the cover 210.

또한, 상기 다기능 세정기구는 상기 커버부(210)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210) 또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이 수용되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not shown) for sensing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contained in the cover unit 210. The sensing un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210 or the second body 200.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물의 오염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에 녹아있는 물질을 검출하여 수질을 판단하거나, 상기 물이 오염된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는 옷감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물에 녹아있는 지 여부, 물에 섞인 불순물의 양 등을 검출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senses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wat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ubstance dissolved in the wate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water, or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may detect whether a material capable of damaging the fabric is dissolved in water, an amount of impurities mixed with water,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는 오염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오염된 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over unit 210 to drain the wa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minated state is contaminated water exceeding a predetermined rang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양호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세탁모드의 세탁레벨을 확인한다(S42). Meanwhile, if the contamination state is determined to be in a good condition below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checks the wash level of the wash mode (S42).

여기에서 세탁레벨은 세탁되는 세탁물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세탁조의 구동레벨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손상되기 쉬운 옷감의 세탁레벨(예를 들어, 변형되기 쉬운 옷감), 소독강도를 높게 설정한 세탁레벨(예를 들어, 아기옷) 등에 해당되는 경우 서로 다른 세탁레벨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Here, the wash level corresponds to the type of laundry to be laundered or the driving level of the washing tub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For example, when the laundry level (for example, a cloth that can be easily deformed) of a cloth that is easily damaged, the laundry level (for example, a baby cloth) .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동중인 세탁조의 세탁레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수용된 물을 세탁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S52).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ver unit 210 to supply the received water to the washing space if the washing level of the washing tub currently operating does not fal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52).

이에 따라, 다기능 세정기구는 경우에 따라 적합한 환경에서 물을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can reuse water in a suitable environment in some cases, thereby saving water and also preventing damage to the laundry.

도 6은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모드에 근거하여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portion based on the drive mode of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급수부에 의하여 물이 공금되면(S11), 상기 제어부는 세탁모드인지 새정모드인지 판단한다(S20). When the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S1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washing mode is the wash mode or not (S20).

상기 제어부는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전환한다(S53). 이에 따라, 세탁모드 인 경우, 일차적으로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모드의 각 구동단계에서 상기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e washing mod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cover unit to the first state (S53). Accordingly, in the washing mode, the flow of the water is primarily blocked. Whereby the inflow of the water can be blocked at each driving step of the washing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상태를 제3 상태로 전환한다(S54). 즉 사용자는 사용된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기능 세정기구는 세탁모드 인 경우 세탁조에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세탁조의 구동이 방해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first state to the third state when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s applied (S54). That is, the user can control the cover portion 210 to drain the used water. Accordingly,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can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when the washing mode is set, thereby preventing the driving of the washing tub from being hindered.

한편, 상기 세정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내지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S55). 즉, 사용자는 세정모드 인 경우 커버부를 조정하여 사용된 물을 세탁조에 유입시켜 재사용하거나, 배수 또는 수용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cover unit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states based on an input user's control command (S55). That is, when the user is in the washing mode, the user can adjust the cover portion so that the used water can be reused, drained or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ub.

도 7a는 세탁조의 구동상태에 따른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부(100)에 수납되는 세탁조의 구동상태를 확인한다(S22). 상기 세탁조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유지한다(S61). 7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The controller confirms the driv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housed in the first body part (S22). When the washing tub is being drive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cover unit in the first state (S61).

즉, 상기 물은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에 유입되지 못하므로, 세탁조에 흘러들어간 물에 의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차단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62).That is, since the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by the cover 210, the laundr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tub.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cover unit 210 to the cutoff mode (S62).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세탁공간(101)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the cover 210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user can sense the state of the washing space 101 of the first body part 100 in the first state.

상기 투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세탁조가 구동중인 경우에, 상기 세탁조가 구동되는 모습을 사용자가 감지하지 못하도록 차단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차단모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한 색채를 갖도록, 불투명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태에 해당된다. When the washing tub is being driven, the duplex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blocking mode to prevent the user from detecting the driving of the washing tub. For example, the blocking mode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paque image is output so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has an opaque colo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세탁공간(101)을 감지할 수 없는 바, 상기 커버부(210)를 이용하여 물을 수용하는 경우 제1 바디부(100)의 구동과 독립적인 상태로 세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not sense the washing space 101, and when the water is received by using the cover part 210, the user performs the washing function independently of the driving of the first body part 100 can do.

또한, 상기 커버부(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치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of the cover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However, the touch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controlled to be activated only when water is not received in the cover unit 210.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세탁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2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210)는 제1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graphic image 210 'for receiving a touch input in order to control the washing tub. That is, the cover 210 may be utilized as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washing tub when water is not used in the first state.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재질의 커버부를 이용하여 제1 상태에서 세탁공간(101)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출력되는 불투명한 이미지에 의하여 세탁조의 구동과 독립적으로 세정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부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제1 상태에서 세탁조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washing space 101 in the first state by using the cover part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or can use the washing function independently of the driving of the washing tub by the outputted opaque image, The touch inpu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state to control the washing tub.

도 8은 제1 바디부의 구동상태에 근거한 제1 및 제2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first body por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바디부(100)가 진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가 상기 결합부(300)에 의하여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진동은 제2 바디부(200)에 까지 전달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body 100 vibrates based on the driving of the washing tub. The vibration of the first body part 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body part 2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fit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art 300. [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가 서로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중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다기능 세정장치를 제어한다. 즉, 상기 다기능 세정장치는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move the second body 20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apparatus to move the second body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based on the driving of the washing tub. That is,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body 200.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330)가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지지하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의한 진동이 상기 완충부(330)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Whe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nd the buffer part 330 supports the second body part 200, (330). ≪ / RTI >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기능 세정기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functional clean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Claims (20)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공간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개구영역을 덮어 상기 제2 바디에 물이 고이는 제1 상태 및 상기 개구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물과 상기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제2 상태로 구현되는 커버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및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A first body having a laundry space in which laundry is laundere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A second body mounted on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includ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and an opening area for allowing the water to flow into the washing space;
A first state in which water is accumulated in the second body to cover the opening region, and a second state in which the opening region is exposed and the water and the laundry are allowed to pass through;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the cover unit based on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바디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진동을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gag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fix the second body to the first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buffer portion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to buffer vib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mov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so as to buffer the vibration when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is activated in the first body to which the laundry is washed, Multifunction cleaning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위한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moving block for movement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a guide por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결합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ir edg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said second state, the engagement of said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is released to allow said water to pass therethroug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향한 가압에 의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are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by the urging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세탁 공간을 이루는 회전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면과 상기 회전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조를 덮고,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흐르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tub forming the washing space,
A dr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tub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ver part covers the rotating tub and moves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drainage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based on whether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in the first body is activ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세탁모드의 건조단계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maintain the first state when the first body is driven to the drying step of the washing m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세탁모드를 일시적으로 비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temporarily disables the washing mod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first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물의 재생가능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water is received in the cover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regenerable state of the wa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재생가능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based on the reproducible state when the water is accommoda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keeps the cover unit in the first stat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의 급수단계에서 상기 커버부를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cover unit to the second state in the water supply step of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불투명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ortion for outputting an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an opaque image when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is activat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세탁모드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ode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is activ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에 물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용됨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물을 상기 제2 바디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cover unit for a preset time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cover unit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second body based on the driving step of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unit to switch to the second state when the laundry mode in which the laundry of the first body is washed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and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is interrup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및 해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홀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hole formed to allow the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cap formed to be insertable and removable in the hole,
Wherein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hole or the insertion is released by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마개의 삽입 및 해지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sertion and release states of the stopper based on a driving step of the washing mode while the washing mod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is activated.
KR1020130162981A 2013-12-24 2013-12-24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KR102109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en) 2013-12-24 2013-12-24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PCT/KR2013/012196 WO2015099228A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U2013408947A AU2013408947B2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CN201380081872.9A CN105849330B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EP13900269.5A EP3091111B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BR112016014753-7A BR112016014753B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MX2016008316A MX355701B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RU2016130046A RU2643137C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device for cleaning
JP2016542728A JP6400711B2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equipment
US15/107,744 US20160319475A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US16/514,318 US20190338454A1 (en) 2013-12-24 2019-07-17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en) 2013-12-24 2013-12-24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830A true KR20150074830A (en) 2015-07-02
KR102109747B1 KR102109747B1 (en) 2020-05-12

Family

ID=534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en) 2013-12-24 2013-12-24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60319475A1 (en)
EP (1) EP3091111B1 (en)
JP (1) JP6400711B2 (en)
KR (1) KR102109747B1 (en)
CN (1) CN105849330B (en)
AU (1) AU2013408947B2 (en)
BR (1) BR112016014753B1 (en)
MX (1) MX355701B (en)
RU (1) RU2643137C1 (en)
WO (1) WO2015099228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3Y1 (en) * 2004-06-17 2004-08-30 오광철 Water saving type washing machine
KR20100120049A (en)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ashing machine
KR20120044569A (en)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Vibration reducing type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9286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Drain overflow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039284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Mounting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FR1496590A (en) * 1966-10-07 1967-09-29 Intefi Trust Reg Washing machine, with built-in sink
US3575020A (en) * 1969-01-14 1971-04-13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JPS5074773U (en) * 1973-11-07 1975-06-30
JPS57153690A (en) * 1981-03-19 1982-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with washstand
US4531387A (en) * 1983-12-27 1985-07-30 The Maytag Company Combination appliance with sliding door
JPS6376285U (en) * 1985-08-20 1988-05-20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JPH0652787U (en) * 1993-12-22 1994-07-19 重雄 大橋 Washing machine combined washing tub
JPH1023987A (en) * 1996-07-12 1998-01-27 Noda Corp Sink stand
KR100220751B1 (en)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The support washing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JP3739293B2 (en)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Washing machine
US7484515B1 (en) * 2003-09-09 2009-02-03 Bluestone Ronald H Combination parts jet washer and sink washer
US8763619B2 (en) * 2003-09-09 2014-07-01 Heritage-Crystal Clean, Llc Combination agitating parts washer and sink washer
US7296443B2 (en) * 2003-09-15 2007-11-20 Haier America Trading, Llc Top-load sink/laundry combo
ATE557126T1 (en) * 2005-01-14 2012-05-15 Electrolux Home Prod Corp DEVICE FOR TREATING A TISSUE ARTICLE US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US8225804B2 (en) * 2007-03-02 2012-07-24 Safety-Kleen Systems, Inc. Multipurpose aqueous parts washer
US8220471B2 (en) * 2007-03-02 2012-07-17 Safety-Kleen Systems, Inc. Multipurpose aqueous parts washer
CN202000137U (en) * 2011-03-12 2011-10-05 俞威 Space-saving washing machine
EP2500815B1 (en) * 2011-03-13 2018-02-28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500814B1 (en) * 2011-03-13 2019-05-08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3Y1 (en) * 2004-06-17 2004-08-30 오광철 Water saving type washing machine
KR20100120049A (en)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washing machine
KR20120044569A (en)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Vibration reducing type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43137C1 (en) 2018-01-30
BR112016014753A2 (en) 2017-08-08
EP3091111B1 (en) 2018-11-28
AU2013408947B2 (en) 2019-02-28
US20160319475A1 (en) 2016-11-03
EP3091111A4 (en) 2017-08-30
MX355701B (en) 2018-04-27
KR102109747B1 (en) 2020-05-12
JP6400711B2 (en) 2018-10-03
MX2016008316A (en) 2016-09-08
AU2013408947A1 (en) 2016-07-21
EP3091111A1 (en) 2016-11-09
CN105849330B (en) 2017-12-08
WO2015099228A1 (en) 2015-07-02
US20190338454A1 (en) 2019-11-07
BR112016014753B1 (en) 2021-07-27
CN105849330A (en) 2016-08-10
JP2017500953A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911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WO2009142355A1 (en) Dispenser and washing machine
KR101353421B1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and dehumidifying method of the same
US10876241B2 (en) Clothes pre-wash compartment for an appliance
KR20150071987A (en) Washing machine
KR101268222B1 (en) Washing machine
KR20160142048A (en) Washing apparu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20099544A (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DE502007001764D1 (en) Washing machine with external detergent feed
JP6920860B2 (en) Washing machine
WO2017073120A1 (en) Washing machine
JP2014151000A (en) Washing machine
KR20150074830A (en) Multifunctional cleaner unit
JP2011104150A (en) Washing machine
KR100786680B1 (en) Drai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640405B1 (en) Washing machine
JP2005334118A (en) Washing machine
JP7157857B2 (en) washing machine
JP7161278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JP2020103517A (en) Washing machine
WO2021005832A1 (en) 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KR200157093Y1 (en) Damping apparatus of washer
KR200479218Y1 (en) Rinse-bucket assembly
RU2383383C2 (en) Household water filter
KR20240012262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