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784A -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784A
KR20150074784A KR1020130162879A KR20130162879A KR20150074784A KR 20150074784 A KR20150074784 A KR 20150074784A KR 1020130162879 A KR1020130162879 A KR 1020130162879A KR 20130162879 A KR20130162879 A KR 20130162879A KR 20150074784 A KR20150074784 A KR 2015007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unit
data
control unit
qual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필
유창현
이철기
박치영
홍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엔텍
Priority to KR102013016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784A/ko
Publication of KR2015007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수질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수질 관리 시스템은 수질 관리 항목 또는 공정능력지수 목표값을 설정하는 관리 항목 설정부, 복수의 수처리조 각각에 설치되어 수질 관리 항목에 따른 관리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분석 또는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설정하여 공정능력지수 목표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질 관리 항목에 상응하는 관리 인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WASTE WATER QUALITY BASED SIX SIGMA USING DATABASE IN CONJUNCTION WITH CONTROL SYSTEM DATABASE}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 처리 시스템에서 처리된 물은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이러한 방류수는 올바르게 하수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호수, 늪 또는 만 등의 폐쇄성 수역에서 부영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부영양화 현상은 배수 중에 함유되는 질소나 인이 영양분으로 되어 식물성 플라크톤이 대량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부영화 현상은 수질 오탁이나 악취 또는 어패류의 폐사 등을 불러 일으키는 환경 오염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부영양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수 처리 시스템에서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 물질인 질소나 인의 유출량을 억제해야 한다.
종래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수질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직접 수질을 확인하여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 물질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종래의 하수 처리 시스템에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관리 효율성을 개선하기 어려웠다.
한국등록특허 제2006-0042723호
본 발명은 수집된 데이터를 6 시그마 기법으로 분석하여 문제 발생시 자동 응급 조치가 가능하고 수처리 공정 관리 인자를 제어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질 관리 항목 또는 공정능력지수 목표값을 설정하는 관리 항목 설정부, 복수의 수처리조 각각에 설치되어 수질 관리 항목에 따른 관리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분석 또는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설정하여 공정능력지수 목표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질 관리 항목에 상응하는 관리 인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즉각 응급 조치를 실시하고, 수질 개선을 위한 관리 인자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수질 변화 원인으로 설정된 영향 인자를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은 DMAIC(Define, Measure, Analize, Imporve, Control)단계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6시그마 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수질 관리 항목 또는 목표값을 설정하 여 문제점 발생기준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은 관리 항목 설정부(100), 측정부(128), 데이터 수집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출력부(160) 및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관리 항목 설정부(100)는 수질 관리 항목을 설정한다. 여기서, 관리 항목 설정부(100)는 하폐수 처리를 위한 관리 인자 또는 방류 수질 개선을 위한 관리 인자를 수질 관리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항목 설정부(100)는 수질 관리 항목의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항목 설정부(100)는 도 2의 수질 변화 원인으로 설정된 영향 인자를 수질 관리 항목의 관리 인자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항목 설정부(100)는 공정능력분석을 통하여 산출되는 공정능력지수(Z)의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측정부(128)는 수질 관리 항목에 따른 관리 인자를 측정한다. 측정부(128)는 복수의 수처리조(110)에 설치된 복수의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수처리조(110)는 제1 침전지(112), 유량 조정조(114), 생물 반응조(116), 제2 침전지(124) 또는 슬러지 처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침전지(112)는 1차로 하수를 침전시키는 부분이다.
유량 조정조(114)는 유량을 조정한다. 여기서 유량 조정조(114)는 유입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생물 반응조(116)는 혐기조(118), 무산소조(120) 또는 호기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혐기조(118)는 미생물에서 인을 방출시키는 부분이다. 혐기조(118)에서 인축적 미생물(PAO, P Accumulating Organisms)은 유기탄소(Organic Carbon)를 섭취하여 PBH(Polyhydroxybutyrate)로 축적하는데, 이때 에너지원으로 생체 내에 축적된 Poly-P를 이용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계외로 인이 방출되게 된다.
무산소조(120)는 유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등의 질소산화물로 변화된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시켜 질소를 제거시키는 부분이다. 무산소조(120)에서는 탈질미생물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질소가스로 탈질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호기조(122)는 유기성 질소를 질산화시키며,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현상(Luxury Uptake)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호기조(122)건에서는 인축적미생물은 축적된 PBH를 소비하며, 혐기조(118)서 방출한 인의 양보다 과다하게 섭취(Luxury Uptake)한다.
따라서, 하수 중의 인은 혐기조(118) 및 호기조(122)를 차례로 거치며 인축적미생물에 과다하게 축적되고, 인축적 미생물은 슬러지 처리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수 중의 질소는 호기조(122)와 무산소조(120)를 차례를 거치며 질소가스 형태로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질소성분이 높은 하수의 경우에는, 호기조(122)에서 발생된 슬러지의 일부를 무산소조(120)에 다시 보냄(내부반송)으로써, 호기조(122)와 무산소조(120)를 반복하여 거치게 하여 하수에서 높은 농도의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침전지(124)는 2차로 하수를 침전시키는 부분이다. 제2 침전지(124)는 침전된 하수를 방류할 수 있다.
슬러지 처리부(126)는 제1 침전지(112), 생물 반응조(116) 또는 제2 침전지(124)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처리부(126)는 수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8)는 제1 침전지(112)의 전단 또는 제2 침전지(124)의 후단에 설치된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28)에서 측정되는 측정 항목은 수온, 약품 주입량, 유입 유량,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전 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총인(T-P: Total Phosphrus), 총질소(T-N: Total Nitrogen) 또는 산화환원전위(ORP: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128)는 혐기조(118) 또는 호기조(122)에서 수중에 녹아 있는 산소를 의미하는 용존산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8)는 수중의 인의 농도 또는 질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0)는 측정부(128)에서 측정된 관리 인자 데이터 또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130)는 관리 인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게이트 웨이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부(130)는 통신부(132)를 통해 관리 인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2)는 측정부(128)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32)는 측정부(128)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2)는 기상청, 환경관리공단 등에서 제공하는 기상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수집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관리 인자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분석 또는 평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선 방안을 설정하고 개선 방안에 따라 수질 관리 항목의 공정능력지수가 목표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수질 관리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공정능력지수의 관리를 통해 표준 편차표준 편차를 줄여나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분석 또는 평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의 수처리조(110) 각각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혐기조(118)의 용존산소가 0을 유지하도록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혐기조(118)의 용존산소가 상승할 경우 인의 방출량이 감소하여 인을 제거하는 효율이 감소하므로 제어부(140)는 혐기조(118)에 약품 주입 또는 교반기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호기조(122)의 용존산소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약 1~2ppm)을 유지하도록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공정능력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공정능력지수(Z) 값을 관리 항목 설정부(100)에서 설정한 공정능력지수(Z)의 목표값과 비교하여 문제발생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값 분석 또는 표준 편차표준 편차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결합하여 Z값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누적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모집단의 평균을 구하고 이를 중심으로 표준 편차를 분석하여 이 데이터가 일반적인 패턴의 데이터인지 측정에 의한 오차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급격히 변하는 수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방류수질 항목 중 질소(T-N)의 데이터를 5분 간격으로 수집할 수 있고 12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켜가며 공정능력지수(Z)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1 ~ 2개의 데이터의 수치가 상승하더라도 공정능력지수(Z)가 미리 설정된 2.0 이상이면 이를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다. 또는, 제어부(140)는 공정능력지수(Z)가 미리 설정된 2.0 이하이면 이를 문제로 인식하여 오차인지 공정상의 문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실시간, 2일 또는 일주일 등의 설정된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예년 또는 지난달과 비교할 수 있고, 어떤 수질 상태로 유입 또는 방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폐수처리장의 공법, 하수의 성상, 지역의 특성 등에 따라서 유의 수준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유의 수준을 넘어설 경우 수질 관리를 위해 하폐수 처리 공정의 관리 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관리 항목 설정부(100)를 제어하여 하폐수 처리 공정의 관리 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공정능력지수(Z)를 기준으로 수질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할 관리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설정된 관리 인자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가 호기조(122)의 용존산소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140)는 용존산소가 저하되는 원인을 해소하도록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용존산소가 저하되는 원인은 유입되는 유기물의 증가로 인해 산소 소모량이 많아지는 경우와, 공기 공급 장치에 이상이 생겨 송풍기의 효율이 저하된 경우와, 공기 주입구가 막혀 공기 공급량이 저하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유입유량 또는 유입수 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조절하거나, 송풍량을 측정하여 송풍기의 풍량 또는 풍압을 상승시키도록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수질 변화 원인들의 누적된 자료로부터 평균값과 표준 편차표준 편차를 분석하여 변동이 가장 큰 부분을 핵심 영향 인자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영향 인자들의 차트를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해결 가능한 인자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문제 발생시 원인이 되었던 인자들을 카운트하여 특정 문제의 발생시 빈도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 검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빈도수가 높은 문제를 상황조치 우선순위에 반영하고 문제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수집된 데이터의 누적 및 문제 발생에 대한 조치 사항을 업데이트하여 도 2의 차트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의 차트 데이터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문제인식 또는 기타 활용 가능하도록 관리 인자 데이터, 수질 관리 항목의 설정값, 수질 관리 항목의 목표값, 문제 발생시 원인이 되었던 인자의 카운트 정보, 핵심 영향 인자 또는 상황조치 우선수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관리 항목 설정부(100)에서 설정된 수질 관리 항목 또는 수질 관리 항목의 목표값,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관리 인자 데이터, 또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받은 문제 발생시 원인이 되었던 인자의 카운트 정보, 핵심 영향 인자 또는 상황조치 우선수위를 데이터 베이스(DB)로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관리 인자 데이터, 처리 상태 또는 에러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60)는 소리, 영상, 인쇄 등의 방식으로 관리 인자 데이터, 처리 상태 또는 에러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6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는 전동 밸브,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기,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170)는 호기조(122) 내부에는 호기조의 하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 및 전동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관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를 DMAIC 단계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정의(Define) 단계로, 관리 항목 설정부는 수질 관리 항목 및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다(S10). 여기서 관리 항목 설정부는 방류수 수질 기준의 하나인 인(T-P: Total Phosphorus)의 공정능력지수(Z) 목표값을 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항목 설정부는 수질 관리 항목 중 용존 산소의 목표값을 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측정(Mesure) 단계로, 측정부는 반응조에서 수질을 측정하고, 데이터 수집부는 측정된 수질 데이터, 외부에서 수신받은 데이터, 자체 입력한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다(S12). 여기서, 측정부가 수질원격감시시스템(TMS: Tele-Monitoring System)과 연계된 경우, 데이터 수집부는 TMS로부터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분석(Analize) 단계로, 제어부는 관리항목 설벙부에서 설정된 인(T-P)의 공정능력지수의 목표값 2.0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공정능력지수를 5분 간격으로 비교하여 목표값보다 낮을 경우 문제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14).
다음, 제어부는 수집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부 또는 TMS가 정상적인지 점검할 수 있다(S16). 이때,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측정부 또는 TMS에 대한 점검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음, 측정부 또는 TMS에 대한 점검에 이상이 없을 경우, 상승한 인(T-P)을 낮추기 위해 제어부는 응급 조치로 약품 예비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다(S20).
다음, 제어부는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생물 반응조의 용존산소 측정값을 수신하여 용존산소에 대한 공정능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용존산소의 공정능력지수가 용존산소의 공정능력지수가 목표값 2.0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S30). 여기서 제어부는 용존산소 공정능력지수가 2.0 이하일 경우 공기 주입을 위해 송풍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S32). 다음, 제어부는 수집된 데이터 중 유입된 인(T-P)의 농도를 측정하고 인(T-P)의 농도 측정값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S34). 여기서, 제1 기준값은 공기 주입을 통해 인(T-P)의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은 인(T-P)의 공정능력지수를 높이도록 용존산소의 공정능력지수(Z)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40에서 용존산소의 공정능력지수(Z)가 목표값 2.0을 초과할 경우 약품 펌프의 가동을 점검할 수 있다(S40).
만약, 약품 펌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약품 펌프를 점검할 수 있다(S42). 만약, 약품 펌프에 문제가 없을 경우, 제어부는 약품 탱크를 점검할 수 있다(S44).
다음, 제어부는 약품 펌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잉여 슬러지가 인발하는지 점검할 수 있다(S50). 제어부는 잉여 슬러지가 인발할 경우 인발 횟수와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S52).
만약, 잉여 슬러지가 인발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잉여 슬러지 예비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다(S60).
다음, 제어부는 인(T-P)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T-P)의 농도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S70). 만약, 인(T-P)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인 1.5 이하일 경우 제어부는 기타 사항을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다(S72). 또는, 인(T-P)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인 1.5 이상일 경우 제어부는 저장부에 경과 및 조치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S80). 이때, 제어부는 측정부 또는 TMS의 설정을 점검으로 변경하고 알람을 울린 후, 저장부에 경과 및 조치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수질 관리를 위한 알람 또는 경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하페수 처리 공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측정부와 구동부의 오류를 조기 발견할 수 있고 신속하게 조치하여 상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시스템은 축적된 문제 발생 인자, 각종 수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 발생시 추적이 가능하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수질 관리 항목 또는 공정능력지수 목표값을 설정하는 관리 항목 설정부;
    복수의 수처리조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질 관리 항목에 따른 관리 인자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분석 또는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설정하여 상기 공정능력지수 목표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질 관리 항목에 상응하는 관리 인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이용한 공정 능력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공정능력지수를 상기 공정능력지수 목표값과 비교하여 문제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에 따라 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의 누적을 이용하여 상기 수질 관리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인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영향 인자에 대한 발생 횟수를 카운트고 상황 조치 우선 순위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관리 항목,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관리 인자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질 관리 항목, 상기 데이터, 상기 관리 인자, 처리 상태 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KR1020130162879A 2013-12-24 2013-12-24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KR20150074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79A KR20150074784A (ko) 2013-12-24 2013-12-24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79A KR20150074784A (ko) 2013-12-24 2013-12-24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784A true KR20150074784A (ko) 2015-07-02

Family

ID=5378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879A KR20150074784A (ko) 2013-12-24 2013-12-24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7737A (zh) * 2021-08-04 2021-11-16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基于自动监测数据的水质评价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7737A (zh) * 2021-08-04 2021-11-16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基于自动监测数据的水质评价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7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control
CN101088923B (zh) 水处理设施的管理系统
CN104102255A (zh) 氨氮耦合溶解氧曝气节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188946B (zh) 一种污水参数的预测方法及污水预测系统
CN105836965A (zh) 一种智能化污水处理专家系统
CN113044973B (zh) 一种污水处理控制系统及出水tn控制方法
CN111039383A (zh) 一种碳源投加方法及系统
CN1303357A (zh) 废水生物处理过程中调节曝气的方法
Jiang et al. Estimation of costs of phosphorus removal i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daptation of existing facilities
KR102041326B1 (ko) 하모니서치 알고리즘을 이용한 활성슬러지 공정의 산소공급량 제어 시스템
CN102815788B (zh) 一种cass工艺应对异常进水水质冲击的应急调控方法
KR20220024245A (ko) 하수처리장용 통합제어 시스템
Borzooei et al. Critical evaluation of respirometric and physicochemical methods for characterization of municipal wastewater during wet-weather events
Abulimiti et al. The trade-off between N2O emission and energy saving through aeration control based on dynamic simulation of full-scale WWTP
KR20150074784A (ko) 제어 시스템과 연계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실시간 6시그마 기반 하폐수 수질 관리 시스템
CN112320972A (zh) 采用云数据管理的碳源智能精准投加系统及方法
CN105785951A (zh) 利用统计建模技术实现污水的处理自动化运行系统
CN114790039A (zh) 养殖废水智能脱氮调控方法及调控系统
KR20150064574A (ko)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573641B (zh) 一种污水处理量确定方法及装置
CN115220408A (zh) A2/o工艺系统的故障诊断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obylinski et al. Starting up a 5-stage Bardenpho plant with in-line fermentation-one step at a time
CN115465952B (zh) 利用污泥负荷控制排泥量的方法、污水处理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0475717C (zh) 交替式好氧厌氧完全混合活性污泥工艺
CN218811159U (zh) 具有加药装置的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