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671A -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671A
KR20150074671A KR1020130162681A KR20130162681A KR20150074671A KR 20150074671 A KR20150074671 A KR 20150074671A KR 1020130162681 A KR1020130162681 A KR 1020130162681A KR 20130162681 A KR20130162681 A KR 20130162681A KR 20150074671 A KR20150074671 A KR 2015007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magnetic force
st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671A/ko
Publication of KR2015007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보호 케이스에 삽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와, 상기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 케이스로 상기 전자 기기가 삽입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다른 실시 예들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DIRECTION INSERTED IN PROTECTIVE CAS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보호 케이스에 인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기기 내에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키들(shortcut keys)이 아이콘 형태로 전자 기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기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사용자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악세사리로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보호 케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전자 기기의 외관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되며,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갖춘 경우에는 전자 기기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즉각적인 전자 기기의 인출과 사용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가지는 보호 케이스의 경우 전자 기기의 화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보호 케이스로부터 매번 인출해야 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만일 전자 기기의 보호 측면만을 고려하다 보면 전자 기기의 기능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져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대한 다양한 활용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에 전가 기기가 인입되었을 때 그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를 보여줄 수 있는 윈도우를 상기 보호 케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전자 기기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윈도우에 맞게 인입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할 수 없었다. 게다가 전자 기기를 보호 케이스에 넣을 때, 그 보호 케이스에 윈도우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자 기기를 보호 케이스로부터 꺼내지 않고는 화면 내용을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또한, 잠금 기능을 설정해놓은 상태에는 사용자는 보호 케이스로부터 전자 기기를 완전히 꺼낸 상태에서만 잠금 해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의 휴대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전자 기기의 충실한 외관 보호와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게다가 그 전자 기기의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상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보관성 및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에 인입/인출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보호 케이스에 삽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와, 상기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 케이스로 상기 전자 기기가 삽입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면, 삽입되는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된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관성 및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에 인입/인출 가능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전자 기기의 일부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전자 기기의 삽입 방향을 검출하여, 전자 기기의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전자 기기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 스피커 등의 구성 요소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에 전자 기기를 삽입 시의 다양한 삽입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전자 기기에 삽입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소자들의 장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전자 기기에 삽입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소자들의 장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로의 삽입 시의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 및 그 홀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전자 기기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의 복수의 외부 버튼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동작 가능한 외부 버튼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기기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기기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은 보호 케이스 및 전자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180)와 전자 기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보호 케이스(180)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인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 인가부(190)는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보호 케이스(180)에 삽입됨에 따라 자력 인가부(190)에 의해 인가되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 감지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 감지 센서(170)는 자력 인가부(190)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자력 감지 센서(170) 외에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입출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or Unit)(111)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정보 통신을 위한 버스(bus) 및 정보 처리를 위해 상기 버스와 연결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와 연결된 제2의 메모리(예를 들어, 램(random access memory: RAM))(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의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임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정적 정보(static information)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와 연결되는 롬(read only memory: ROM)(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입출력부(160) 및 자력 감지 센서(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전자 기기(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각 구성부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자력 감지 센서(170)의 자력 감지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타입을 근거로 전자 기기(100)의 삽입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삽입 방향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호 케이스의 타입에 따라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이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180)는 보호 케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보호 케이스(180)에 상기 송신부가 구현될 경우, 전자 기기(100)의 본체가 보호 케이스(180)에 완전히 삽입되면, 보호 케이스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 기기(100)는 상기 보호 케이스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호 케이스(180)는 자력 인가부(190) 이외에 보호 케이스의 타입을 나타내기 위해 그 보호 케이스(180) 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자력 인가부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의 표시부(140) 상의 화면이 노출될 수 있는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의 경우 그 윈도우에 인접한 영역에 자력 인가부를 배치하며, 스피커(163)를 통한 사운드가 출력되는 통로 역할인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의 경우 그 홀에 인접한 영역에 자력 인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170)에서 각각의 감지 결과에 따라 보호 케이스의 윈도우 존재 여부, 홀 존재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호 케이스(180)는 자력 인가부(190) 이외에 타입별로 서로 다른 자력 크기를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지구 자기장 세기 정도의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가 추가로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지구 자기장 세기와는 구분되는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제어부(110)는 보호 케이스(180)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자력 감지 센서(170)에 의한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이러한 기능은 보호 케이스(180)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할 필요가 없으며, 삽입 방향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거나 전자 기기(100)의 외부 버튼(161)의 기능을 설정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는 삽입 방향이 전자 기기(100)의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면 디스플레이 화면 중 보호 케이스(180)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방향이 상기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 아닐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운드가 출력되는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180)의 경우에는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의 스피커(163)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부(11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120)는 전자 기기(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의 각종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NFC, 또는 블루투스 등의 각종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10), 통신부(120), 표시부(140), 카메라부(150), 입출력부(160), 자력 감지 센서(17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기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각종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TTS(Text To Speech)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TTS 알고리즘은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180)에 전자 기기(100)가 삽입되거나,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180)에 삽입되더라도 전자 기기(100)가 정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출력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호 케이스(180)에 전자 기기(100)를 넣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출력 내용은 문자 메시지 수신 내용, 음악 재생 시에는 노래 제목 등 전자 기기(100)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에 따른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제어부(110) 내 롬(ROM)(112), 램(RAM)(113) 또는 전자 기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일 수 있으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RAM),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 예컨대, 전자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근접 또는 터치 등의 각종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180)의 윈도우에 상기 표시부(140)가 대면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0)는 보호 케이스(180)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영역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160)는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이어폰 연결잭(164), 입력 유닛(16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부(16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10)와의 통신 및 표시부(14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자 기기(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각종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음원에 의한 음성(voice) 또는 각종 소리(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한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기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63)는 TTS 알고리즘을 통해 변환된 음성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유닛(165)은 전자 기기(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거나 별도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물체일 수 있으며,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5)은 스타일러스 펜(이하 '펜'이라 함)등과 같이 표시부(140)에 근접 또는 터치 등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이거나, 사용자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전면(101) 중앙에는 표시부(140)가 배치된다. 표시부(140)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의 전면(101)의 가장자리에는 스피커(163a), 전면 카메라(150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측면(102)에는 예를 들어, 전원(ON/OFF) 버튼(161d)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버튼(161e)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후면(103)에는 후면 카메라(150b)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피커(163b, 163c)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상단에는 이어폰 연결잭(164) 부분이 배치되며, 측면(102)에는 볼륨 업 버튼(161f) 및 볼륨 다운 버튼(161g)이 맞닿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볼륨 업 버튼(161f), 볼륨 다운 버튼(161h)이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후방은 전자 기기(100)의 후면과 대면하는 방향이고, 전방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과 대면하는 방향이며, 전방은 일 방향을 나타내고, 후방은 일 방향에 반대인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정면 상태의 정방향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며 직립 상태로 보호 케이스(180)에 삽입될 때의 방향을 나타내며, 정면 상태의 역방향은 전자 기기(100)의 상단이 보호 케이스(180)에 먼저 삽입될 때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기기(100)가 인입되는 케이스를 보호 케이스라고 칭하나, 파우치, 커버 등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의 모양은 전지 기기의 외형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케이스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합 구조를 가지며 전자 기기(100)의 인출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a)에서는 윈도우 없는 보호 케이스(400)를 예시하며, 전자 기기(100)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가지는 보호 케이스(400)에 수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바 형태를 가지므로, 보호 케이스(400)의 상단부(410)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도 4(b)는 윈도우(440)를 가지는 보호 케이스(420)를 예시하고 있다. 윈도우(440)를 가지는 보호 케이스(420)는 전자 기기(100)의 표시부(140)의 전체 화면을 커버할 수도 있고, 전체 화면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버할 수 있고, 노출된 화면에는 시계나 문자, 수, 발신 번호 또는 설정된 사용자 환경 등의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케이스(420)는 전자 기기(100) 본체를 완전히 수용하며, 표시부(140)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의 화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화면 투영부(즉, '윈도우')(440)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440)는 표시부(140)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표시부(14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뚫려있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440)는 투명한 윈도우이거나 오픈된 컷 아웃 윈도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440)를 통해 외측에서 윈도우(440)의 내측에 구비되는 표시부(14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윈도우(440)를 통해 표시부(140)에서 나타나는 내용, 예를 들어 날씨 또는 날짜 및 시간 또는 문자수신의 내용 또는 통화 송수신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환경 등의 간략한 내용을 확인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윈도우(440)는 보호 케이스(420)의 전면(430) 일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윈도우(440)는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보호 케이스(420)의 전면(430)의 중앙 측에 제공되거나, 하측에 제공되거나 그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윈도우(440)는 전면(430)에 하나의 윈도우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었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윈도우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c)는 보호 케이스(450)의 전면(460)에 홀(470)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홀(470)을 가지는 보호 케이스(450)는 전자 기기(100)의 스피커(163)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버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홀(470)을 통해 스피커(163)로부터의 소리 예컨대, 이벤트 내용 등의 화면에 출력할 정보, 재생 중인 음악 등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홀(470)은 스피커(163)로부터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형태이면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홀(470)은 전면(460)에 하나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홀이 전자 기기(100)의 스피커 배치 타입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르게는 전/후면 카메라(150a, 150b)의 대응하는 위치에 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홀은 개구, 개구분 등의 용어로 칭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에 전자 기기를 삽입 시의 다양한 삽입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케이스에 다양한 상태로 인입될 수 있다.
도 5(a)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이 보호 케이스(500)의 전면에 대응하면서 전자 기기(100)의 하단이 먼저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되는 삽입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a)의 삽입 방향을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b)는 전자 기기(100)의 후면이 보호 케이스(500)의 전면에 대응하면서 전자 기기(100)의 상단이 먼저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되는 삽입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b)의 삽입 방향을 후면 상태의 역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c)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이 보호 케이스(500)의 전면에 대응하면서 전자 기기(100)의 상단이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되는 삽입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c)의 삽입 방향을 전면 상태의 역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d)는 전자 기기(100)의 후면이 보호 케이스(500)의 전면에 대응하면서 전자 기기(100)의 하단이 먼저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되는 삽입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d)의 삽입 방향을 후면 상태의 정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전자 기기에 삽입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소자들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호 케이스(500)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인가부(600, 6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기 기기(100)의 전후면을 식별하기 위해 전면에 자력 인가부(6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보호 케이스(500)의 측면에는 전자 기기(100)의 좌우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력 인가부(6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상기 좌우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620, 6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서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전후면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6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 방향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620, 630)는 상기 보호 케이스(500)의 상기 자력 인가부(610)에 의한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100)의 전면(101)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6(c)의 전자 기기(100)의 좌우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620, 630)은 도 6(b)의 자력 감지 센서와 동일한 것으로, 도 6(b)의 자력 감지 센서의 다른 쪽 면이 보여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면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자력 감지 센서(640)는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600)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의 후면(103)에 상기 자력 인가부(600)에 의한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면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자력 감지 센서(640)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에서는 보호 케이스(500)의 중앙 및 측면에 각각의 자력 인가부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나, 그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 감지 센서도 상기 자력 인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에 완전히 수용되면, 적어도 하나의 자력 인가부(600, 610)에 의한 자력이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620, 630, 64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620, 630, 640) 각각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로 후면 상태로 삽입되었는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63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610)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고 자력 감지 센서(640)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두 개의 자력 감지 센서(620, 64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들(600, 610)에 의한 자력이 각각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후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62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610)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고 자력 감지 센서(640)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두 개의 자력 감지 센서(630, 64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들(600, 610)에 의한 자력이 각각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전자 기기에 삽입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소자들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c)는 도 6(a) 및 도 6(c)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도 7(b)는 도 6(b)에 비해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 상기 전후면을 판단하기 위한 자력 감지 센서(635)를 더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 기기(100)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들(630, 635)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600, 610) 각각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들(620, 64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들(600, 610)에 의한 자력이 각각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후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들(620, 635)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들(600, 610)에 의한 자력이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들(630, 640)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들(600, 610)에 의한 자력이 각각 감지되면, 전자 기기(100)가 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보호 케이스(500) 및 전자 기기(100) 각각에 둘 이상의 자력 인가부 및 자력 감지 센서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호 케이스(500) 및 전자 기기(100) 각각에 자력 인가부 및 자력 감지 센서가 하나씩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 케이스(600)의 측면에 자력 인가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00)도 그 측면에 자력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 및 자력 감지 센서는 중앙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100)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자력 감지 센서를 통해 보호 케이스(500)의 자력 인가부에 의한 자력 세기가 제1자력 세기의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전자 기기(100)가 전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력 세기의 범위는 상기 자력 감지 센서와 상기 자력 인가부가 합치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 세기의 범위로, 상기 자력 인가부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최대치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자력 세기가 제2자력 세기의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전자 기기(100)가 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되는 자력 세기에 따라 전자 기기(100)의 삽입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100)는 보호 케이스(500)에 어떠한 상태 및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삽입 방향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로의 삽입 시의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800단계에서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되었는지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100)는 자력 감지 센서(170)에 의해 자력이 감지됨에 따라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00)는 810단계에서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 시 검출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들(620, 630)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자력이 감지됨에 따라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삽입 방향을 결정하면, 820단계에서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0단계 및 910단계는 도 8의 800단계 및 810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자 기기(100)는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 시 그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인가되는 자력에 따라 자력을 감지하여 보호 케이스(500)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송신되는 보호 케이스(500)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여 보호 케이스(500)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케이스(500)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는 보호 케이스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 홀 등의 존재 여부, 그 윈도우 및 홀의 영역 크기 및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윈도우가 없는 보호 케이스를 전제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910단계에서 삽입 방향이 결정되면, 전자 기기(100)는 920단계에서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변경한다. 삽입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를 미리 설정해놓을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는 메뉴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930단계에서 전자 기기(100)는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인출 시에는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인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940단계에서 만일 인출된 상태가 아닌 경우 950단계에서 현재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940단계에서 현재 상태가 인출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960단계에서 현재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이전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한편,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보호 케이스(500)로의 삽입이 검출되면 자동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는 정보 확인이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보호 케이스(500)에 들어있는 전자 기기(100)의 외부 버튼, 예컨대, 전원 버튼, 홈 버튼 등을 누르면, 잠금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시간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이때, 알람, 전화 수신, 문자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 발생 시에는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에 들어있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이벤트 내용을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알림음과 함께 이벤트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연결잭(164)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로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볼륨이나 노래 제목 등을 화면을 통해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음악 재생 전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50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사운드 프로파일을 무음을 제외한 모드로 전환되며, 이후,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전자 기기(100)를 꺼낼 때 원래 사운드 프로파일 예컨대, 무음 모드로 복원되도록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또한, 정면 상태의 정방향 또는 정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 시에는 뮤트 모드로 전환하며, 후면 상태의 정방향 또는 후면 상태의 역방향으로 삽입 시에는 진동 모드로 전환되는 등의 다양한 모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다양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삽입 방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윈도우가 있는 보호 케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의 타입에 대한 판단은 전술한 바에 따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 및 1010단계는 도 8의 800단계 및 810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10단계에서 삽입 방향이 결정되면, 전자 기기(100)는 1020단계에서 삽입 방향이 정면 상태의 정방향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을 켜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1040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한다. 이와 달리 삽입 방향이 정면 상태의 정방향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1030단계에서 보호 케이스(500)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윈도우 영역을 활성화한 후, 그 윈도우 영역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케이스(500)의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는 윈도우 영역에 시간, 날짜, 날씨를 비롯하여 전자 기기(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문자 수신의 내용 또는 통화 송수신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환경 등의 간략한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홀이 있는 보호 케이스 및 그 홀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전자 기기의 예시도인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0단계 및 1110단계는 도 8의 800단계 및 810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110단계에서 삽입 방향이 결정되면, 전자 기기(100)는 1120단계에서 보호 케이스(500)의 홀에 해당하는 스피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서는 복수의 스피커(1200, 1210)가 전자 기기(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위치하며, 도 12에서는 홀(1220)이 보호 케이스(500)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제1, 2스피커(1200, 1210)가 전자 기기(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위치한 전자 기기(100)가 홀(1220)이 보호 케이스(500)의 하단에 위치한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되게 되면, 정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제1스피커(1200)는 비활성화시키고 홀(1220) 위치에 대응하는 제2스피커(1210)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와 반대로 전자 기기(1000의 상단이 보호 케이스(500)에 먼저 삽입되는 역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홀(1220) 위치에 대응하는 제1스피커(1200)를 활성화시킨 후 제2스피커(1210)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1130단계에서 보호 케이스(500)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의 활성화된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에 삽입 시 전자 기기의 복수의 외부 버튼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보호 케이스 및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동작 가능한 외부 버튼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예시도인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0단계 내지 1320단계는 도 10의 1000단계 내지 1020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320단계에서 삽입 방향이 정면 상태의 정방향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1330단계에서 전자 기기(100)의 외부 버튼의 기능을 유지한다. 이와 달리 삽입 방향이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 아닌 경우 전자 기기(100)는 1340단계에서 삽입 이전과 동일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외부 버튼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양측면에 서로 다른 기능의 외부 버튼들(161d, 161e, 161f, 161h)을 구비한 전자 기기(100) 및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기 외부 버튼들의 기능(1410, 1420, 1430, 1440)들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에 삽입될 때 정면 상태의 정방향으로 삽입 시에는 전자 기기(100)의 외부 버튼들(161d, 161e, 161f, 161h)은 각각 ON/OFF 전원키(1420), 토글키(1440), 볼륨 업(14120), 볼륨 다운(1430)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버튼들(161d, 161e, 161f, 161h)은 삽입 이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가 정면 상태의 정방향이 아닌 상태로 삽입 시에는 삽입되기 전과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각 외부 버튼들에 대한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어, 1350단계에서 전자 기기(100)가 보호 케이스(500)로부터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1360단계에서 인출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인출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1350단계로 진행하며, 인출된 상태인 경우에는 1370단계로 진행하여 각 외부 버튼의 기능을 이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직관적으로 사용하던 전자 기기의 외부 버튼의 기능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기기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가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9)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보호 케이스에 삽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와,
    상기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 케이스로 상기 전자 기기가 삽입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는,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는,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전면,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는,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좌, 우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 중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전면 상태 또는 후면 상태로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 중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방향인지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먼저 삽입되는 역방향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보호 케이스로부터의 인출이 감지되면 이전 모드로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는,
    자동 잠금 모드, 디스플레이 화면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드, 진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은,
    상기 전자 기기가 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면 상태의 정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면 상태의 역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후면 상태의 정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후면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후면 상태의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 케이스가 윈도우가 있는 경우 상기 삽입 방향이 상기 정면 상태의 정방향일 경우 상기 보호 케이스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윈도우 영역을 활성화한 후, 상기 윈도우 영역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호 케이스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가 수용되는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2.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면, 삽입되는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된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되는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삽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보호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전 모드로 복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되는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전면 상태 또는 후면 상태로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되는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한 측면에 배치되는 자력 인가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방향인지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먼저 삽입되는 역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은,
    상기 전자 기기가 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면 상태의 정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정면 상태의 역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후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하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후면 상태의 정방향, 상기 전자 기기가 후면면 상태로 상기 전자 기기의 상단이 상기 보호 케이스에 먼저 삽입되는 후면 상태의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가 윈도우가 있는 경우 상기 삽입 방향이 상기 정면 상태의 정방향일 경우 상기 보호 케이스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윈도우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활성화된 윈도우 영역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130162681A 2013-12-24 2013-12-24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KR20150074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81A KR20150074671A (ko) 2013-12-24 2013-12-24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81A KR20150074671A (ko) 2013-12-24 2013-12-24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671A true KR20150074671A (ko) 2015-07-02

Family

ID=5378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681A KR20150074671A (ko) 2013-12-24 2013-12-24 보호 케이스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6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89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10221389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10200942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US8493338B2 (en) Mobile terminal
KR102041984B1 (ko)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9348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KR20100073743A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KR2014012507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잠금 해제 방법
KR20140092722A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JP2010244253A (ja) 情報処理装置、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30671A (ko)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WO2012127792A1 (ja) 情報端末、表示画面切り替え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090948B1 (ko) 대화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1657A (ko)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76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8148286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CN103984433B (zh) 用于控制触摸键操作的方法和设备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36897A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선택
CN104317402A (zh) 描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KR20140003035A (ko) 상황 인지를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015904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