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614A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614A
KR20150074614A KR1020130162546A KR20130162546A KR20150074614A KR 20150074614 A KR20150074614 A KR 20150074614A KR 1020130162546 A KR1020130162546 A KR 1020130162546A KR 20130162546 A KR20130162546 A KR 20130162546A KR 20150074614 A KR20150074614 A KR 20150074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able
area
panel
reg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1555B1 (en
Inventor
김호재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55B1/en
Publication of KR2015007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Abstract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switchable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witchable region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outputting the two-dimensional image to a three-dimensional image; a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switchable panel to separate a barrier region from a penetration region in each of the switchable reg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tage applying unit so as to adjust positions of the switchable regions and a width of a barrier region in each of the switchable regions.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장치의 외곽에서 발생하는 3D 크로스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3D crosstalk generated at the periphery of a display apparatus.

일반적으로 삼차원(3-Dimension; 3D)을 표현하는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두 눈의 위치의 차이로 왼쪽과 오른쪽 눈은 서로 약간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눈의 위치 차이에 의한 영상의 차이점을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라고 한다.Generally, a stereoscopic image expressing a three-dimensional (3D) image is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sion through two eyes. Sin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s, ie, the two eyes, is about 65 mm apart, the left and right eyes see slightly different images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of the two eyes. In this way, the difference in the image due to the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s is referred to as binocular disparity.

삼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왼쪽 눈은 왼쪽 눈에 대한 영상만 보게 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 눈 영상만을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양안 시차를 느껴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이차원 영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삼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한다. 이러한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하며, 이를 표시 장치로 응용한 장치를 입체 영상 표시 장치라 한다.The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llows the left eye to see only the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o see only the right eye image using the binocular parallax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binocular disparity and feel the stereoscopic effect. 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when these two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the brain fuses them precisely to reproduce the depth and real feeling of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image. This capability is commonly referred to as stereography,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as a display device is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한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삼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서 안경의 유무에 따라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안경 방식은 삼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스위처블 패널 방식(Switchable panel type)과 렌티큘러 방식(Lenticular type)이 있다. 스위처블 패널 방식은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 상에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3D 패널이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하며, 렌티큘러 방식은 표시 패널 상에 반원통형의 렌티큘러 시트를 부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divided into a spectacle type and a non-ey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lasses in a method of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non-eyeglass system has a switchable panel type and a lenticular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tructure that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image. In the switchable panel method, a 3D panel for converting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is provided on a display panel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lenticular method is realized by attaching a semi-cylindrical lenticular sheet on a display panel, Lt; / RTI >

또한, 스위처블 패널 방식은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 상에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스위처블 패널이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배리어(Barrier) 방식의 스위처블 배리어 방식(Switchable Barrier Type)과 렌즈(Lens) 방식의 스위처블 액정 렌즈 방식(Switchable Liquid Crystal Lens Type)이 있다.In the switchable panel method, a switchable panel for converting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on a display panel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is implemented to realize a stereoscopic image, and a switchable barrier Type and a switchable liquid crystal lens type of a lens type.

도1은 스위처블 배리어 방식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해당 도면의 구성이 가로 방향으로 반복되어 전체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스위처블 배리어 방식은 스위처블 패널(200)의 복수개의 전극(210)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들의 배열에 따라 액정층이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으로 구분되어 배리어 영역(B)을 통해 광학적으로 표시패널(100)의 좌(L), 우(R) 영상이 분리되어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witchable barrier method.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is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nstitute the entir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 this switchable barrier scheme, a voltage is selectively a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210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nd a liquid crystal layer is divided into a barrier region B and a transmissive region 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The left and right (L) and right (R) images of the display panel 100 are optically separated through the region B so that the viewer can view the stereoscopic image.

일반적으로 스위처블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형성되어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하는 스위처블 패널을 포함한다. In general,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a switchable barrier type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switchable panel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o output a two-dimensional imag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그런데 이러한 스위처블 배리어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고정된 위치의 전극(210)에 의해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고정된 위치의 배리어영역(B) 형성되는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시청자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중앙부분에서 3d 영상을 시청할때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가로방향의 외곽부분에서 3d 크로스 토크를 인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고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배리어 영역(B)에 기인한다.
However, in the switchable barrier, a barrier region B having a fixed width and a fixed width is formed by the fixed electrode 2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re is a problem of recognizing the 3d crosstalk in the lateral outer por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when the 3D image is view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is is due to the barrier region B formed at a fixed position with a constant wid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일 스위처블 영역 중 투과 영역의 비율(Open Ratio)을 조절하여 배리어 영역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시청자가 느끼는 3D 크로스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barrier region is formed by adjusting the ratio of op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crosstal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100);과, 복수개의 스위처블 영역(S)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하는 스위처블 패널(200);과, 상기 스위처블 영역(S) 내에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300); 및 상기 스위처블 영역(S)의 위치 및 각 스위처블 영역(S) 내 배리어 영역(B) 폭을 조정하도록 상기 전압 인가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100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display panel 100 having a plurality of switchable regions S, A switchable panel 200 for outputting the two-dimensional imag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switchable panel 200 for emit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o the switchable panel 200 in order to distinguish the barrier region B from the switchable region T in the switchable region S. A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for applying a voltage; And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witchable area S and the width of the barrier area B in each switchable area S .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외곽부 스위처블 영역(S) 중 투과 영역(T)의 비율(Open ratio)을 스위처블 패널(200)의 중앙부 스위처블 영역(S)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T of the switchable area 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witchable panel 200 to the center switchable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200, (S).

또한, 상기 일 스위처블 영역(S) 중 투과 영역의 비율(Open ratio)을 감소시키는 것은, 크로스 토크가 1% 이하로 발생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desirable to reduce the open ratio of the transmissive region of the one switchable region S to a minimum within a range where the crosstalk occurs to 1% or less.

한편,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제 1,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200a)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 및 상기 제 2 기판(200b) 전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witchable panel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00a, And an upper electrode 240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240.

그리고, 상기 배리어 영역(T)을 형성시키는 것은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The barrier region T may be formed by controlling the voltage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

그리고, 상기 스위처블 영역(S)은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 방향의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제 1 폭(T1)의 투과 영역의 폭을 가지며, 상기 스위처블 패널의 가로 방향의 외곽부 영역에서 제 1 폭(T1)보다 작은 제 2 폭(T2)의 투과 영역의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switchable area S has a width of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first width T1 in an area except the lateral outer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nd the width of the transmission region of the second width T2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T1 in the reg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시청자가 입체 표시 장치의 가로방향의 외곽부를 시청했을 때 느낄 수 있는 3d 크로스 토크 없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특정 구역의 배리어 영역(T)을 변경시킨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barrier region T of a specific region so that a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without a 3d crosstalk that can be felt when a viewer views a lateral outer portion of th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이로써, 시청자가 느낄 수 있는 3d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3d crosstalk that the viewer can feel.

그리고, 무안경 입체 영상 시청 영역 제한이 완화되어 시청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Then, the limitation of the non-eyeglass stereoscopic image viewing area is relaxed,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viewer can be solved.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부 전극의 전압 인가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시청자의 시선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과제해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스위처블 패널의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스위처블 패널의 외곽부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처블 패널의 외곽부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oltage applying method of the lower electrode of FIG.
FIG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art that occurs depending on a viewer's gaze posi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1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region except for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switchable panel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outer frame region of the switchable panel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outer frame region of a switchabl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부 전극에 전압 인가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voltage application method to the lower electrode of FIG.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 상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스위처블 영역을 포함하여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하는 스위처블 패널(200)을 포함한다. 1 and 2,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display panel 100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able regions, And a switchable panel 200 that emits an image.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은 각 스위처블 영역이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으로 구분되며, 이는 내부에 형성된 전극에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형성된다. 즉, 전압 인가시 이차원 영상에서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 가능한 상기 각 스위처블 영역 내 배리어 영역(T)이 배리어로 기능하며, 전압 오프시는 하부의 표시 패널(100)에서 출사되는 이차원 영상을 그대로 출사하는 하나의 투과 셀로 기능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위처블 패널(200)의 액정층(230)에는 액정이 위치하게 되는데 TN(Twisted nematic)액정이 사용된다. 스위처블 패널(200)은 이차원 영상을 그대로 출사하는 투과 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TN모드의 구동방식이 적합하기 때문이다.In the switchable panel 200, each switchable region is divided into a barrier region B and a transmissive region T, which are form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an electrode formed in the switchable region. That is, the barrier region T in each switchable region, which can be output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from the two-dimensional image upon voltage application, functions as a barrier, and when voltage is turned off, the two- And functions as one transmissive cell.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liquid crystal is locat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230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nd TN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s are used. This is because the switchable panel 200 is suitable for the TN mode driving method in order to function as a transmissive cell that emits the two-dimensional image as it is.

스위처블 패널(200)은 액정층(2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제 1, 제 2 기판(200a, 200b), 제 1 기판(200a)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 제 2 기판(200b) 전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240)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2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상에 나누어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 층에 미세하게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전극(210)이 서로 다른 층상에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는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하부전극(210)을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써 서로 다른 층상에 하부전극(210)을 나누에 배치하므로써 서로 인접한 하부전극(210)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switchable panel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00a and 200b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230 therebetween,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00a, And an upper electrode 24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b.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layers with the insulating layer 22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finely divided into one layer in some cases . In the case where the lower electrodes 210 are disposed in different layers, the lower electrodes 210 may be arranged in a divided manner on different layers so as to have more lower electrodes 210 in a limited space, 210).

표시 패널(100)은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발광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양자점 표시 패널(Quantum Dot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 상에 형성된 스위처블 패널(200)은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도2의 전압 인가부(300)가 연결되어, 전압 인가부(3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액정층(230)의 액정 분자를 선택적으로 배열한다.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 field emission display (PDP)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nd a quantum dot display panel may be used. The switchable panel 200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00 has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of FIG. 2 and receives a voltage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ayer 230 are selectively arranged.

특히,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 분자들의 배열에 따라 일 피치에 대응되는 폭 'S'를 갖는 일 스위처블 영역이, 액정층(230) 내에서,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처블 영역은 도면상의 가로 방향으로 반복된다. 배리어 영역(B)의 액정 분자는 백라이트(미도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을 거쳐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로 입사되는 광의 출사가 차단되도록 배열되며, 투과 영역(T)의 액정 분자는 광을 투과하도록 배열된다. In particular, when a voltage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one switchable region having a width S corresponding to one pitc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is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230 in the barrier region B) and a transmissive region (T). Then, the switchable area is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gure.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barrier region B are arranged such that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not shown) through the display panel 100 to the switchable panel 200 is blocked,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transmissive region T And is arranged to transmit light.

즉,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은 물리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라, 액정 분자의 배열로 인해 백라이트에서 입사되는 광이 차단되거나 투과되어 액정층(230)내에 배리어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처블 패널(200)은 표시 패널(100)에서 출사된 이차원 영상을 투과 영역(T)을 통해 삼차원 영상으로 분리하고, 시청자의 좌안이 좌안 영상(L)을, 우안이 우안 영상(R)을 인지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좌안 영상(L)과 우안 영상(R)은 표시 패널(100)의 서브픽셀(R or G or B)중 하나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이다. That is, the barrier region (B) and the transmissive region (T) are not physical constituent elements but appear to form a barrier in the liquid crystal layer (230) by blocking or trans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backlight due to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Therefore, the switchable panel 200 separates the two-dimensional image outputted from the display panel 100 in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the transmission region T, separates the left eye image L of the viewer and the right eye image R So that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are images corresponding to one of subpixels (R or G or B) of the display panel 100, respectively.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구성과 관련된 핵심 기술 사상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는 스위처블 패널의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계했을 때의 적정시청 마진(M)을 나타낸 도면이다. Open ratio가 낮게 설정되면 배리어 영역이 투과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시청자의 좌안을 기준으로 봤을 때 우안영상(R)이 충분히 배리어 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넓어져서 시청자의 좌안이 좌안영상(L)만을 볼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인접한 우안영상(R) 두개의 진행방향을 시청자의 좌안을 도착지로 설정하여 각각 한쌍의 직선으로 표시했을 때 이들 직선들이 배리어 영역을 경유하여 서로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영역이 적정 시청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시청자의 눈과 다이아몬드 형상의 끝부분의 거리를 적정시청 마진(M)으로 정의한다. 결론적으로 적정시청 마진(M)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정시청 마진(M)이 높을수록 시청자의 눈이 입체 영상을 크로스 토크를 인지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이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게되면 표시 패널(100)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감소하게 되므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즉 적정 시청 마진(M)과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휘도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구성에서는 시청자가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시청할 때 3d 크로스 토크를 느끼는 영역인 스위처블 패널의 가로방향 양측 외곽부의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낮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Open ratio가 낮아지면 적정 시청 마진(M)이 커지므로 3d 크로스 토크가 해소되는 원리이다.4A and 4B, a description of a core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A is a diagram showing an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when the switch ratio of the switchable panel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low. When the open ratio is set to be low, the barrier reg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transmissive region, so that the portion of the right eye image R sufficiently blocked by the barrier region becomes wider when viewed from the left eye of the viewer, ) Is widened. In other words, when the two right and left eye images (R) are set as the destination of the left eye of the viewer, and the pair of straight lines are displayed as the destination, the areas where the straight lines meet each other via the barrier are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This diamond-shaped area can be regarded as an appropriate viewing area. The distance between the viewer's eyes and the end of the diamond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a proper viewing margin (M). As a result, the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is increased. Generally, the higher the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the more the viewer can see the stereoscopic image without recognizing the crosstalk. However, if the open ratio is set to a relatively low value,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panel 100 can pass therethrough is reduc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lower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and the luminance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Therefo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ewer views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e open ratio of both lateral side outer portions of the switchable panel, which is an area where 3d crosstalk is felt, is relatively low. When the open ratio is lowered, the proper viewing margin (M) is increased, and thus the 3d crosstalk is eliminated.

도 4b는 스위처블 패널의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계했을 때의 적정시청 마진(M)을 나타낸 도면이다. Open ratio가 높게 설정되면 배리어 영역이 투과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시청자의 좌안을 기준으로 봤을 때 우안영상(R)이 배리어 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좁아져서 시청자의 좌안이 좌안영상(L)만을 볼 수 있는 영역이 좁아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인접한 우안영상(R) 두개의 진행방향을 시청자의 좌안을 도착지로 설정하여 각각 한쌍의 직선으로 표시했을 때 이들 직선들이 배리어 영역을 경유하여 서로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면 앞에서 설명한 다이아몬드 형상의 적정 시청 영역이 좁아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적정시청 마진(M)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게되면 표시 패널(100)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했듯이 적정 시청 마진(M)과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휘도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으므로 3d 크로스 토크에는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구성에서는 시청자가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시청할 때 3d 크로스 토크를 느끼지 않는 영역인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 양측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Open ratio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의 Open ratio는 크로스 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넓게 설계하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휘도 상승을 꾀한다. FIG. 4B is a diagram showing an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when the switch ratio of the switchable panel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high. When the open ratio is set to be high, the barrier region becomes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the transmissive region, so that the portion of the right eye image R covered by the barrier region becomes narrower when viewed from the left eye of the viewer, The area in which only the image can be seen becomes narrow. In other words, when the two right and left eye images (R) are displayed in a pair of straight lines by setting the left eye of the viewer as a destination, when the straight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arrier area, The area becomes narrower. As a result, the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is lowered. If the open ratio is set to a relatively high value,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panel 100 can pass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per viewing margin M and the luminance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they are vulnerable to 3d crosstalk. Therefo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ewer views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e open ratio of the region excluding both lateral side outer portions of the switchable panel 200, which is an area where 3d crosstalk is not felt, is set to be relatively high. The open ratio at this time is designed to be as wide as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crosstalk, there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시청자가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시청한다고 가정하고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 영역과,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배리어/투과 영역 폭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ssuming that viewers watch the stereoscopic image at the center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barrier / transmissive area width of the area excluding the sub area.

도 5는 스위처블 패널(2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가로방향의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단면도이다.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불량없이 볼 수 있도록 설계한, 스위처블 패널(200)의 투과 영역 폭이 제 1 폭(T1)을 나타낸다. 이 경우, 약 open ratio가 50%이다. 이는 T1/S에 해당하는 값이 약 50%임을 의미한다. Open ratio를 넓게 설정할수록 표시 패널(100)로부터 많은 빛이 투과되므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휘도가 상승된다. 그러나 open ratio가 과도하게 높게 설정되면 좌안영상(L)과 우안영상(R)이 분리되는 기능이 떨어져 표시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즉, 시청자의 좌안에 좌안영상(L) 뿐 아니라 우안영상(R)이 섞여서 인지되면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좌안영상(L)과 우안영상(R)이 분리되는 기능이 충분히 유지되는 적정값의 open ratio 설정이 요구되며 여기서는 적정 open ratio의 일예로 50%를 설정했을 때를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S'는 일 스위처블 영역의 폭을, 'T1'은 투과 영역(T)의 폭을 나타내며, 이는 'S-B1'으로도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B1'은 제 1 배리어 영역의 폭을 의미한다.5 is a sectional view of a region of the switchable panel 200 excluding the outer frame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he width of the transmissive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200, which is designed so that the viewer can see the stereoscopic image without defect, represents the first width T1. In this case, the open ratio is about 50%. This means that the value corresponding to T1 / S is about 50%. The larger the open ratio is set, the mor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rightness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increased. However, if the open ratio is set too high,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is lost and the display quality is degraded. That is, 3d crosstalk occurs when the left eye image L as well as the right eye image R are mixed and recognized in the viewer's left ey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t the open ratio of the proper value enough to maintain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Here, an example of setting the right open ratio to 50% is described. Here, 'S' represents the width of one switchable region and 'T1' represents the width of the transmission region T, which can also be defined as 'S-B1'. Here, 'B1' means the width of the first barrier region.

그리고 도 6은 스위처블 패널(2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가로방향의 외곽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스위처블 패널(200)의 외곽부에서는, 상기 스위처블 영역(S) 내 투과 영역의 폭을 제 2 폭(T2)으로 설정한다. 제 2 폭(T2)은 상기 제 1폭(T1)보다 좁게 설정된다. 이때의 open ratio는 약 37%가 나오게 된다. 이는 제 2폭(T2)의 일예이며, 제 2폭(T2)은 제 1폭(T1)보다 좁은 범위내에서 시청자가 3d 크로스 토크를 시인하지 않을 수준에서 설정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frame reg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s shown in Fig. At the outer frame of the switchable panel 200, the width of the transmissive area in the switchable area S is set to the second width T2. The second width T2 is set narrower than the first width T1. The open ratio at this time is about 37%. This is an example of the second width T2 and the second width T2 can be set at such a level that the viewer does not view 3d crosstalk within a narrower range than the first width T1.

도 7은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외곽부와 관련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외곽부의 Open ratio를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Open ratio 보다 좁게 설정하는 기술사상은 동일하다. 구성상의 차이점은 스위처블 패널(200)의 양측 외곽부 영역의 하부전극(210)의 크기를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하부전극(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스위처블 영역(S)는 동일하다. 따라서 스위처블 패널(200)의 양측 외곽부 영역의 하부전극(210)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고 배리어 영역 형성용 전압과 투과 영역 형성용 전압의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전압들의 개수가 줄어들게되면 상기 전압을 전송하는 라인의 수도 줄어들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하부전극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relating to a lateral outer portion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s shown in Fig. The technical idea of setting the open ratio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witchable panel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narrower than the open ratio of the region except the outer portion is the same. The difference in configuration is that the size of the lower electrode 210 of the outer frame region on both sides of the switchable panel 20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electrode 210 of the region except the outer frame portion. Here, the one switchable area S is the same.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lower electrodes 210 of the outer frame regions on both sides of the switchable panel 200 is reduced, and the number of the barrier region formation voltage and the number of the transmissive region formation voltages can be reduced. When the number of the voltages is reduced, the number of lines for transmitting the voltage is reduced, so that the lower electrode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스위처블 패널(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은, 배리어 영역 형성용 전압과, 투과 영역 형성용 전압으로 구분되는데, 도 6의 외곽부 영역의 경우에는, 투과 영역 축소에 따라 투과 영역 형성용 전압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Open Ratio, 즉, T2/S를 37%로 감소시킨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Open Ratio를 감소시키는 것은 Open Ratio가 낮을수록 시청자가 정상적으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적정 시청 마진(M)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S는 일정하므로 투과영역이 감소되어 배리어 영역의 폭 B2는 B1보다 커지게 된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provided in the switchable panel 200 is divided into a voltage for forming a barrier region and a voltage for forming a transmissive region. In the case of the outer region of FIG. 6,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transmissive area forming voltages. In this figure, the open ratio, that is, T2 / S is reduced to 37%. As described above, the reduction of the open ratio is because the lower the open ratio is, the more the appropriate viewing margin (M) for the viewer to view the stereoscopic image normally increases. Since S is constant, the transmission area is reduced and the width B2 of the barrier area becomes larger than B1.

도5 및 도6에서, 상기 스위처블 영역(S)은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제 1 폭(T1)의 투과 영역 폭을 가지며, 스위처블 패널(200)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 영역에서 제 1 폭(T1)보다 작은 제 2 폭(T2)의 투과 영역의 폭을 가질 수 있다. 5 and 6, the switchable area S has a transmission area width of a first width T1 in an area excluding both lateral side outer areas of the switchable panel 200, (T2)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T1) in the both side outer frame reg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rame.

상술한 구동 방법을 적용하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6 및 도 2와 같이,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100)과, 복수개의 스위처블 영역(S)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하는 스위처블 패널(200)과, 상기 각 스위처블 영역(200) 내에 배리어 영역(B)과 투과 영역(T)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300) 및 상기 스위처블 영역(S)의 위치 및 각 스위처블 영역(S) 내 배리어 영역(B) 폭을 조정하도록 상기 전압 인가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6 and 2,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ing the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display panel 100 having a plurality of switchable regions S, A switchable panel 200 positioned on the switchable substrate 100 and outputting the two dimensional image as a three dimensional image; and a switchable panel 200 disposed on the switchable area 200 for separating the barrier area B and the transmissive area T from each other, A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switchable panel 200 and a voltage applying unit 30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able area S and the width of the barrier area B in each switchable area S. [ And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300).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시청자가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삼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여 도 6와 같이,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의 일 스위처블 영역(S) 중 투과 영역의 비율, 즉, 폭을 제 1 폭(T1)에서 제 2 폭(T2)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곽부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어서 굳이 수치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중앙 부분에서 시청하는 시청자의 눈에 3d 크로스 토크를 인지하게 하는 영역을 상기 외곽부로 보면 족하다. 6,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so that the viewer can view a normal three-dimensional image even when viewing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is, the width, of the one switchable area S on both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display area S from the first width T1 to the second width T2. Here, the outer frame portion is a portion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not limited to a numerical value. However, it is enough to see an area for recognizing the 3d crosstalk in the eyes of the viewer watching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스위처블 패널(200)은 액정층(2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제 1, 제 2 기판(200a, 200b), 상기 제 1 기판(200a)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 및 상기 제 2 기판(200b) 전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210)은 이층에 나누어 형성된 제 1 층의 하부 전극과 제 2 층의 하부 전극 사이에 절연층(220)을 더 개재할 수도 있다.The switchable panel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00a and 200b facing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2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200a And an upper electrode 24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0b. In addition, the lower electrode 21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20 between the lower electrode of the first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second layer formed in two layers.

상기 배리어 영역의 폭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리어 영역의 폭의 조절시에는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투과 영역용 전압과 배리어 영역용 전압의 수를 조절하며, 각 스위처블 영역에 해당하는 투과 영역용 전압 및 배리어 영역용 전압을 하부 전극에 인가하여 이루어진다.
The width of the barrier regio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That is,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width of the barrier region, the number of the transmissive region voltage and the barrier region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is adjusted, and the voltage for the transmissive region and the barrier reg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도 5 및 도 6에서는, 하나의 스위처블 영역에 해당하는 폭을 'S'로 표현하였으며, 각각 우안(R), 좌안(L)의 영상 정보를 하나씩 갖는 표시 패널(100)의 영역을 하나의 스위처블 영역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인접한 우안(R), 좌안(L)의 영상 정보를 갖는 영역이 하나의 스위처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혹은 좌안(L), 우안(R) 영상 정보를 갖는 영역이 하나의 스위처블 영역이 될 수 있다.5 and 6, the width corresponding to one switchable area is represented by 'S', and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having one image information of the right eye R and one image of the left eye L is divided into one Switchable area. Accordingly, the area hav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right eye R and left eye L may be one switchable area, or the area having the left eye L and right eye R image information may be one switchable Area.

도 5와 같이, 스위처블 패널의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투과영역을 제 1 폭(T1)을 유지하고 스위처블 패널의 외곽부의 투과영역은 도 6와 같이, 제 2 폭(T2)으로 좌우 축소시키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area except the outer frame part of the switchable panel is maintained at the first width T1, and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outer frame part of the switchable panel is reduc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second width T2 as shown in FIG. will be.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은 각각 전압 인가부(300)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are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300, respectively, so that voltage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are individually adjusted.

구체적으로, 스위처블 패널(200)의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은 제어부(400)와 연결된 전압 인가부(300)와 연결되고, 제어부(400)는 시청자가 최적의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한다. 이 때, 제어부(400)는 스위처블 패널의 영역에 따라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의 Open Ratio(T2/S)와 양측 외곽부의 Open Ratio(T1/S)가 서로 상이하도록 전압 인가부(300)를 통해 복수개의 하부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of the switchable panel 200 are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display unit 400 to display a plural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s 210 is chang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300 so that the open ratio (T2 / S) of the area except the outer area is different from the open ratio (T1 / S) of the outer area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And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10.

한편, 스위처블 영역 중 투과 영역의 비율을 높일수록 3D 크로스 토크(Cross Talk)가 증가할 수 있다. 즉, 3D 크로스 토크는 좌안 영상이 우안으로, 우안 영상이 좌안으로 입사되는 것으로, 3D 크로스 토크가 50% 발생한 것은 좌안 영상의 50%가 우안으로 입사됨을 의미한다. 3D 크로스 토크가 증가하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3D 크로스 토크가 1% 이하로 발생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Open Ratio를 최대로 증가시켜 배리어 영역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region in the switchable region is increased, the 3D cross talk can be increased. That is, the 3D crosstalk means that the left eye image is incident on the right eye and the right eye image is incident on the left eye. When the 3D crosstalk is 50%, 50% of the left eye image is incident on the right eye. As the 3D crosstalk increases, the defective rate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reas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barrier area by maximizing the above-mentioned open ratio within the range where the 3D crosstalk is 1% or less.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스위처블 패널의 가로방향의 양측 외곽부 영역에서 open ratio는 약 37% 로 설명되었고, 스위처블 패널의 가로방향의 외곽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open ratio는 50%로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처블 패널의 피치 폭, 전극 간격, 일 스위처블 패널 내에 구비된 전극 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n ratio of the switchable panel in both lateral side areas of the switchable panel is described as about 37%, and the open ratio in the area excluding the lateral side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is 5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itch width of the switchable panel, the electrode interval, and the number of electrodes provided in one switchable panel.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표시 패널 200: 스위처블 패널
200a: 제 1 기판 200b: 제 2 기판
210: 하부 전극 220: 절연층
230: 액정층 240: 상부 전극
300: 전압 인가부 400: 제어부
100: display panel 200: switchable panel
200a: first substrate 200b: second substrate
210: lower electrode 220: insulating layer
230: liquid crystal layer 240: upper electrode
300: voltage applying unit 400:

Claims (8)

이차원 영상을 출사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상에 위치하며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 영역과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영역으로 이루어진 스위처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원 영상을 삼차원 영상으로 출사하는 스위처블 패널;
상기 스위처블 패널을 적어도 두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구역에 따라 상기 스위처블 영역 내의 배리어 영역 폭을 다르게 조정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for emit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switchable panel located on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switchable region including a barrier region for blocking light and a transmissive region for transmitting light, the switchable panel emitting the two dimensional image as a three dimensional image;
A voltage applying unit for dividing the switchable panel into at least two regions and applying a voltage to differently adjust the barrier region width in the switchable region according to the reg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처블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하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able panel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처블 패널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구역중 어느 한 구역의 상기 복수개의 제 1 전극은 다른 구역의 상기 복수개의 제 1전극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able panel has a width that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n the other area in any one of the at least two are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배리어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스위처블 패널에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divides the barrier region and the transmissive region and applies a different voltage to the switchable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구역중 제 1 구역은 상기 스위처블 패널의 가로방향의 좌측 및 우측 외곽부 영역이며
제 2 구역은 상기 스위처블 패널의 제 1 구역을 제외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f the at least two zones is the left and right outer frame area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witchable panel
And the second area is an area excluding the first area of the switchable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구역에서의 투과 영역의 비율보다 상기 제 1 구역에서의 투과 영역의 비율을 감소시켜 구동하도록 상기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oltage applying unit to reduce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in the first area to the transmissive area in the second are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비율은 일 스위처블 영역내의 투과 영역 폭을 일 스위처블 영역 폭으로 나눈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is a ratio obtained by dividing a transmission area width in one switchable area by one switchable area wid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비율은 상기 전압 인가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unit.
KR1020130162546A 2013-12-24 2013-12-24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415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546A KR102141555B1 (en) 2013-12-24 2013-12-24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546A KR102141555B1 (en) 2013-12-24 2013-12-24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614A true KR20150074614A (en) 2015-07-02
KR102141555B1 KR102141555B1 (en) 2020-08-05

Family

ID=5378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546A KR102141555B1 (en) 2013-12-24 2013-12-24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6519A (en) * 2017-04-28 2017-06-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its driv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966A (en)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ve device
JP2012141331A (en)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barrier element
KR20130032239A (en) * 2011-09-22 2013-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966A (en)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diffractive device
JP2012141331A (en)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barrier element
KR20130032239A (en) * 2011-09-22 2013-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6519A (en) * 2017-04-28 2017-06-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its driv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55B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1644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method
US7986283B2 (en) Multi-dimensional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KR102003022B1 (en)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70155893A1 (en) Variable barrier pitch correction
EP1793623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parallax barrier form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normally black mode of transmission
KR102284841B1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GB2422737A (en) Multiple-view display and display controller
KR101649235B1 (en) Stereoscopy Display Device
KR20130128253A (en)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18777B1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KR101990490B1 (en)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2017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852006B1 (en) A display panel and A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451588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33116B1 (en)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41555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00965B1 (en)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US9581826B2 (en) 3D display device
US20140002447A1 (en) 3d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10129664A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21650A (en) Lenticular lens type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KR102421328B1 (en) A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ing adjustable parallax barrier
KR101726639B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420686B1 (e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barrie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4271616A (en)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