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397A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2397A KR20150072397A KR1020150084231A KR20150084231A KR20150072397A KR 20150072397 A KR20150072397 A KR 20150072397A KR 1020150084231 A KR1020150084231 A KR 1020150084231A KR 20150084231 A KR20150084231 A KR 20150084231A KR 20150072397 A KR20150072397 A KR 20150072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input
- text message
- predicted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M1/7255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은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 단계,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하는 입력 예상 단어 표시 단계,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됨을 인식하는 단어 선택 단계 및 선택된 단어를 문자 메시지 작성 창에 입력하는 단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자판을 통해 단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할 단어를 추천받아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는 휴대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들 간의 의사 전달 통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통신 채널을 비실시간 점유하여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채널 점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간단한 문장으로 정확한 의사내용을 전달하고 메시지를 기록 저장하여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고 있다. 이러한 편의성 때문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문자 메시지 작성 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은 3*4 형태 또는 Qwerty 형태의 자판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형태의 자판을 이용하여 단어를 하나씩 작성해 나가는데, 모든 단어를 일일이 자판으로 작성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특히, 문자 메시지 작성 시 통상적인 문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 이모티콘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매번 자판을 통해 새로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시간적 낭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어를 일일이 자판을 통해 입력하지 않더라도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판을 통해 단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은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 단계,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하는 입력 예상 단어 표시 단계,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됨을 인식하는 단어 선택 단계 및 선택된 단어를 문자 메시지 작성 창에 입력하는 단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결정부 및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추출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자판을 통해 단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적은 키 입력횟수 또는 터치 횟수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문자 메시지 작성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입력이 예상되는 단어 리스트를 제공받아 문장을 작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휴대 단말기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이 변경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답장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이 변경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이 변경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답장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이 변경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110)는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20)는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시 이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60)가 표시부(150)에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할 때,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될 때 등의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작성 시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또는 휴대 단말기 제조 당시에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단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 목록(예를 들어, 발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된 단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 1위부터 설정된 순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수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들 또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의 일정 순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관련 단어들(예를 들어, 자주 같이 사용되는 단어들)을 그룹별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일부 단어와 입력 예상 단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전화번호 별로 입력 예상 단어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관용어구에 대한 응답으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그룹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는 전화번호부(폰 북), 스케줄 정보, 날짜 및 시간 정보, 통화 기록(call log)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단어들은 입력 예상 단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상기 센서들도 입력부(140)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일부 단어들을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입력 예상 단어들을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단어를 문자 메시지 작성 창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 메시지 분석부(166),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를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저장부(130)로부터 입력 예상 단어들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단어들 중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단어들 중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발신 및 수신 메시지 목록에서 직접 입력 예상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출되는 입력 예상 단어들은 모두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우선순위는 입력 예상 단어들의 표시 순서와 관련된다.
메시지 분석부(166)는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메시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부(166)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들을 문장 단위, 어구 단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또는 특수 문자 단위로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장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관용어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문장을 단어 단위로 구분하지 않고 문장 전체를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단서로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장이 평서문에 해당하는지 의문문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부(166)는 현재 작성중인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장을 문장 단위, 어구 단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또는 특수 문자 단위로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문자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반영하여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됨을 인식한다. 310단계에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저장부(130)로부터 입력이 예상되는 단어를 추출한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 작성 창의 초기 화면 상태(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a의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는 'OK', '응', '알았어', '아니오', '네', '알겠습니다', '아니', '오케이', '콜', '땡큐'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단어들은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들(발신 메시지 목록을 구성하는 문자 메시지들) 중에서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된 단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 1위부터 10위에 해당하는 단어에 해당할 수 있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단어들의 개수는 데이터베이스 용량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단어들을 모두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10개의 단어들 중 사용 빈도수가 높은 5개의 단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 이외에 휴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단어들 중에서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서 단어를 추출하지 않고, 발신 및 수신 메시지 목록에서 직접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메시지 목록에 50개의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저장된 50개의 메시지들 중에 사용 빈도수가 설정 조건(일정횟수 이상 반복적인 사용 등)을 만족하는 단어들을 직접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단어들 중에서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는 전화번호부(폰 북), 스케줄 정보, 날짜 및 시간 정보, 통화 기록(call log)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기본 정보가 포함되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구성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09년 3월 25일에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때, 스케줄(일정관리) 메뉴의 2009년 3월 25일에 '김철수 생일'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입력 예상 단어로써 '2009년 3월 25일'을 추출할 수 있으며, '김철수' 와 '생일'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315단계에서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추출한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가 사용 빈도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추출한 단어들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추출된 단어들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서 추출된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는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자판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추출된 입력 예상 단어들을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추출된 단어들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서 추출된 단어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단어 수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자판 표시 영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는 5개의 입력 예상 단어가 표시되어 있다.
3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단어가 위치하는 영역에 터치 동작을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단어가 위치하는 영역에 터치 동작을 입력하고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드로잉하여 해당 단어를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40)가 키패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단어들을 입력 예상 단어 목록에서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예상 단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단어 개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추출한 단어들이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 예상 단어 목록에서 일부 단어를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삭제가 요구된 단어들을 입력 예상 단어 목록에서 삭제하며, 다음 우선순위의 단어들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삭제가 요구된 단어들을 삭제하며, 다음 우선순위의 단어들을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325단계에서 선택된 단어와 링크된 단어들을 추출한다. 325단계에서도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관련 단어들을 그룹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응' 다음에 '오케이'를 자주 입력하는 경우,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응'과 '오케이'를 그룹핑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 때, 3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응'이 선택된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로부터 '오케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어형 변형 단어들 또는 의미 관련 단어들(예를 들어, 시제, 단복수, 반의어, 유의어 등)이 링크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상기 단어들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 예상 단어 영역에 'have'가 표시되었고, 사용자가 'have'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have'의 어형 변형 단어들인 'has', 'had', 'don't have' 등을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어형 변형 단어들 또는 의미 관련 단어들은 휴대 단말기 제조 시점에 저장부(130)에 저장된 단어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저장된 단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선택된 단어와 링크된 단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집'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집'과 관련된 전화번호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33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한다. 315단계에서 표시되지 않은 단어가 325단계에서 새로 추출되는 경우, 33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새로 추출된 단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가 추출된 단어들 전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표시부(150)는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325단계에서 새로 추출된 단어를 최우선순위로 판단할 수 있으며, 표시부(150)는 새로 추출한 단어를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맨 앞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이 변경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b에서는 사용자가 '응'을 선택함에 따라 '응'과 링크된 '오케이'가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맨 앞에 위치하여 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형 변형 단어들 또는 의미 관련 단어들은 예상 입력 단어 영역에 함께 표시되지 않고, 별도의 메뉴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에 링크된 단어가 310단계에서 이미 추출되었거나 315단계에서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입력 예상 단어의 우선순위를 재조정하며, 제어부(160)는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입력 예상 단어들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50)는 상기 링크된 단어를 입력 예상 단어 목록의 맨 앞에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335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 완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성 완료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34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과정을 종료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외부로 송신한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345단계에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업데이트한다.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저장되며,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문자 메시지들의 단어들을 분석하여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단어들을 새로 구성한다. 전송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 구성에 따라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단어 목록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320단계에서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60)는 350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자판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판'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된 입력부로서 3*4 패드 또는 Qwerty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판은 터치스크린 기반에서 표시부(15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키패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 예상 단어로 표시된 단어 이외의 새로운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판을 통해 직접 글자를 입력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자를 인식하며, 355단계에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글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5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글자와 링크된 단어가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50단계에서 자판을 통해 '김철수'를 입력한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의 전화번호부로부터 '김철수'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350단계에서 '내일'을 입력한 경우, 내일 날짜에 해당하는 '3월26일'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에상 단어 추출부(162)가 단어를 추출하면 33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하고, 이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작성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0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610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답장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7a는 사용자에 의해 답장 메시지 작성 메뉴가 선택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615단계에서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문장 단위, 어구 단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또는 특수 문자 단위로 문자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할 때, 605단계에서 '너 지금 어디에 있어?'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시지 분석부(166)는 '너 지금 어디에 있어?'를 한 문장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너', '지금', '어디에', '있어', '?'와 같이 단어 단위로 구분하여 문자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장 또는 어구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며, 이러한 관용 문장 또는 어구가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분석부(166)는 단어 단위가 아닌 문장 단위 또는 어구 단위로 문자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분석부(166)는 문장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들이 의문문에 해당하는지 평서문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분석부(166)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문장 형식을 분석하게 되며, 예를 들어, '?'가 문장에 포함되었는지 여부, 의문사(what, how)등이 문장 앞에 위치하였는지 여부, 조동사(can, must)등이 문장 앞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의문문인지 평서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166)는 의문문 중에서도 의문사로 시작하는 문장인지, 조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에 대응시켜 입력 예상 단어를 저장하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나타낸다. 도 4b에는 '누구', '누가'에 대응하는 입력 예상 단어로서 '나', '너', '엄마'를 저장하고 있고, '언제', '몇시에'에 대응하는 입력 예상 단어로서 '내일', '오늘', '12시'를 저장하고 있으며, '어디', '어디서'에 대응하는 입력 예상 단어로서 '집', '회사', '학교'를 저장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 제조 시점에 사람과 관련된 단어들, 시간과 관련된 단어들, 장소와 관련된 단어들이 저장부(130)에 저장되며,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미리 저장된 단어들 중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선별하여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나', '너', '당신', '아빠', '엄마' 등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단어들 중 '나', '너', '엄마'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는 '나', '너', '엄마'를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예상 단어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김철수'라는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업데이트 메뉴를 이용하여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편집할 수 있다.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단어는 '누가', '누구', 언제', '어디' 등이 된다. 도 7a와 관련해서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어디에'를 단서 단어로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메시지 분석부(166)는 수신 메시지가 누구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메시지 분석부(166)는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c는 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 별로 입력 예상 단어들이 구분되어 저장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 별로 1차 구분하고,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 별로 2차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분석부(166)는 메시지를 송신할 전화번호 및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에 관한 정보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로 전송한다.
620단계에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단어들 중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단어들을 추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단어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메시지 분석부(166)로부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에 관한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단서 단어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예상 단어들을 추출한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상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예상 단어 이외에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어디'에 대응하여 설정된 '집', '회사', '학교' 이외에 'OK, '응', '알았어' 등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답장 메시지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수신 메시지에 사용된 단어들을 그대로 추출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장 또는 어구가 관용 문장 또는 어구로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상기 관용 문장 또는 어구에 대응하여 저장된 단어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관용 어구 'How are you?'에 대응하여 'I'm', 'fine', 'thank', 'you'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상기 저장된 단어들을 추출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문장이 메시지 분석부(166)에 의해 조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으로 분석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저장된 'Yes', 'No'를 추출하게 된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메시지 분석부(166)로부터 메시지를 송신할 전화번호 정보 및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에 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한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해당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입력 예상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c를 예로 들면, 메시지를 송신할 전화번호가 '010-8856-7776'에 해당하며 수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서 단어가 '어디'에 해당하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집'을 추출하며, 'OK, '응', '알았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입력 예상 단어들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접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단어들 전부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가 아닌 발신 및 수신 메시지 목록에서 입력 예상 단어를 직접 추출할 수 있다. 즉,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사용 빈도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수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메시지에 특정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상기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62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로부터 추출된 입력 예상 단어들을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가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는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자판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단어들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된 단어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 예상 단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의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는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가 추출한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 7b에서 '집', '회사', '학교'는 도 4b의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수신 메시지의 단서 단어 '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단어들을 추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에서 '너', '지금', '있어'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 '너 지금 어디에 있어?'에서 추출한 단어에 해당한다. 또한 'OK'는 도 4b의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수신 메시지의 단서 단어와 대응하여 설정된 단어들 이외에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 목록('OK', '응', '알았어', '아니오', '네', '알겠습니다')에서 추출한 단어에 해당한다.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상기 추출한 단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입력 예상 단어의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입력 예상 단어가 수신 메시지의 단서 단어에 대응하여 저장된 단어들로만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 메시지의 단서 단어에 대응하여 저장된 단어 이외에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입력 예상 단어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된 단어들로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635단계에서 선택된 단어와 링크된 단어들을 추출한다. 635단계에서도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링크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응'과 '오케이'가 그룹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63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응'이 선택되면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로부터 '오케이'를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630단계에서 선택되는 단어에 대응하여 설정된 단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집'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집'과 관련된 전화번호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단어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새로운 단어를 입력 예상 단어로 추출할 수 있고,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추출된 입력 예상 단어의 우선순위를 재조정할 수 있다.
64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한다. 625단계에서 표시되지 않은 단어가 새로 추출된 경우, 64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635단계에서 추출된 단어를 표시하게 된다.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새로 추출된 단어를 620단계에서 추출된 단어들보다 최우선순위로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새로 추출한 단어를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맨 앞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와 링크된 단어가 이미 입력 예상 단어로서 추출되어 있는 경우, 64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링크된 단어를 입력 예상 단어들 중 맨 앞에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7c는 사용자가 '집'을 선택함에 따라 변경된 입력 예상 단어들을 나타내는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의 전화번호부에서 '집'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단어 우선순위 결정부(164)는 추출한 전화번호를 최우선순위로 판단하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전화번호를 표시부(150)의 입력 예상 단어 영역에 표시한다. 도 7c의 입력 예상 단어 영역에는 '02-535-4370'이 맨 앞에 위치하여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645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 완료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성 완료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650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과정을 종료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외부 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655단계에서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를 업데이트한다.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저장되며,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부(168)는 발신 메시지 목록에 포함되는 문자 메시지들의 단어들을 분석하여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단어들을 새로 구성한다. 전송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에 따라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는 단어들의 목록이 변경될 수 있으며,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630단계에서 표시부(150)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들 중 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60)는 660단계에서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자판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자를 인식하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665단계에서 입력된 글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66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글자와 링크된 단어가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예상 단어 추출부(162)는 단어 목록 데이터베이스(132)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4)로부터 입력 예상 단어를 추출한다. 입력 에상 단어 추출부(162)가 단어를 추출하면 64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추출한 입력 예상 단어를 표시하고, 이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110: 무선 통신부
120:오디오 처리부
130: 저장부 140: 입력부
150: 표시부 16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입력부
150: 표시부 160: 제어부
Claims (41)
-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폰 북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및 키패드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문자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문자가 상기 폰 북 정보 및 상기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상기 입력 받은 문자에 관련되는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입력 예상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예상 단어로서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받은 문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받은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폰 북 정보, 상기 스케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5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 중 설정된 횟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단어들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화 번호 정보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단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에 관련된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예상 단어보다 선순위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휴대 단말기의 폰 북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및 키패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키패드를 통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문자를 입력 받는 동작; 및
상기 입력 받은 문자가 상기 폰 북 정보 및 상기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상기 입력 받은 문자에 관련되는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입력 예상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예상 단어로서 더 저장하고,
상기 입력 받은 문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받은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더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폰 북 정보, 상기 스케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더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단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입력 예상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에 관련된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예상 단어보다 선순위로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및 키패드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문자가 입력되지 않은 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문장 단위, 어구 단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및 특수 문자 단위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의 문장 형식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의문문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는 상기 의문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 중 설정된 횟수 이상의 사용 빈도수를 갖는 단어들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화 번호 정보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단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에 관련되는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예상 단어보다 선순위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일부를 삭제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다음 순위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장 메시지 작성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 및 키패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문자가 입력되지 않은 채,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작성 영역에 표시된 입력 예상 단어를 외부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문장 단위, 어구 단위, 어절 단위, 단어 단위 및 특수 문자 단위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의 문장 형식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 예상 단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단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예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입력 예상 단어에 대응되는 관련 단어를 상기 입력 예상 단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231A KR101581778B1 (ko) | 2015-06-15 | 2015-06-15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4231A KR101581778B1 (ko) | 2015-06-15 | 2015-06-15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414A Division KR101542136B1 (ko) | 2009-03-31 | 2009-03-31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397A true KR20150072397A (ko) | 2015-06-29 |
KR101581778B1 KR101581778B1 (ko) | 2016-01-04 |
Family
ID=5351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4231A KR101581778B1 (ko) | 2015-06-15 | 2015-06-15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17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84136A (zh) * | 2016-09-23 | 2017-03-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词汇输入方法及移动终端 |
WO2020171422A1 (ko) * | 2019-02-18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단축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35856A (ja) * | 2005-02-23 | 2006-09-07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端末機器、入力候補辞書選択方法 |
JP2007272739A (ja) * | 2006-03-31 | 2007-10-18 | Nec Corp | 文字入力変換装置、文字入力変換方法、プログラム |
US20080243737A1 (en) * | 2007-03-29 | 2008-10-02 | Nokia Corporation | Club dictionaries |
-
2015
- 2015-06-15 KR KR1020150084231A patent/KR101581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35856A (ja) * | 2005-02-23 | 2006-09-07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端末機器、入力候補辞書選択方法 |
JP2007272739A (ja) * | 2006-03-31 | 2007-10-18 | Nec Corp | 文字入力変換装置、文字入力変換方法、プログラム |
US20080243737A1 (en) * | 2007-03-29 | 2008-10-02 | Nokia Corporation | Club dictionari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84136A (zh) * | 2016-09-23 | 2017-03-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词汇输入方法及移动终端 |
WO2020171422A1 (ko) * | 2019-02-18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단축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1778B1 (ko) | 2016-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136B1 (ko)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US7149550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 |
KR101397757B1 (ko) | 텍스트 입력을 위한 언어 정보 관리방법, 텍스트 입력방법및 이동 단말 | |
JP2008533579A (ja) | テキスト予測編集の方法及び装置 | |
KR20150011879A (ko) | 휴대 단말기에서 일정을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592178B1 (ko) |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감정상태 결정 방법 | |
KR100617756B1 (ko) |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 |
KR101581778B1 (ko) |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WO2007031602A1 (en) |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 interpretation mode | |
JP5031269B2 (ja) | 文書表示装置及び文書読み上げ方法 | |
CN111679746A (zh) |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电子设备 | |
KR20100110628A (ko)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1137567B1 (ko) |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 |
KR101199725B1 (ko) | 이동단말 상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메시지전송방법 | |
KR2009002026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작성 방법 | |
EP1868064B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ssisted text entry using existing message thread, and associated method | |
JP2012044562A (ja) | 携帯端末装置 | |
WO2015011217A1 (en) | User-interface using rfid-tags or voice as input | |
KR100678134B1 (ko) | 휴대단말기에서 문자 편집 방법 | |
KR10079306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 |
KR100664250B1 (ko)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중문자 표시방법 | |
KR10142425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 |
CN109240511A (zh) | 一种更新词库的方法、系统和一种用于更新词库的装置 | |
KR10065188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 입력 방법 | |
KR10068819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