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026A -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 Google Patents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026A
KR20150072026A KR1020130159253A KR20130159253A KR20150072026A KR 20150072026 A KR20150072026 A KR 20150072026A KR 1020130159253 A KR1020130159253 A KR 1020130159253A KR 20130159253 A KR20130159253 A KR 20130159253A KR 20150072026 A KR20150072026 A KR 2015007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ading
user
room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731B1 (ko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영 filed Critical 정진영
Priority to KR102013015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7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각각의 구획된 독서실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상태 등을 판단하고 효과적인 학습이 수행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 경보가 가능한 독서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이용자가 내부 공간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독서유닛, 각각의 독서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독서유닛에 입실한 이용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독서설유닛에서 이용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독서실의 학습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READING ROOM ADMINISTRATING SYSTEM AND READING ROOM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서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구획된 독서실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상태 등을 판단하고 효과적인 학습이 수행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 경보가 가능한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은 학생이나 수험생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장소 또는 구획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독서실은 이용자 상호 간 방해되지 않도록 책상을 중심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며, 최근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책상을 하나의 공간으로 독립되도록 소정의 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룸 형식으로 이루어진 독서실은 구체적으로, 밀폐된 일정한 공간에 출입이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에 책상, 의자, 수납장 또는 조명장치 등을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독서실의 조용하고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실을 두고 관리자가 이용자들의 출입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래의 독서실은 외부의 간섭이 적고 밀폐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을 수행하는 데에는 집중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단조로운 환경 때문에 분위기의 환기가 어렵고 능동적으로 학습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이를 관리 받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룸 내부에 이용자가 있는지 또는 학습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는 알기가 어려운 폐쇄형의 룸 방식의 독서실에서 더욱 심화된다.
또한, 독서실의 개방시간 내에서는 이용자가 내부에 있는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낭비되는 전력은 조명, 팬이나 공기조화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 등이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학습능률과 관리의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독서실의 관리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폐쇄된 형식의 독서실에서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지 여부와 또는 수면하고 있는지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학습 및 전력 등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이용자가 내부 공간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독서유닛, 각각의 독서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독서유닛에 입실한 이용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독서설유닛에서 이용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독서실의 학습 및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센서부는, 독서유닛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와, 책상측으로 이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다양한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설정시간(ts)동안 이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졸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입실 여부를 먼저 판단하여 입실된 경우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 및 제어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제1설정퇴실시간(ti1)까지 입실되지 않은 경우 퇴실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설정퇴실시간(ti2)까지 입실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독서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입출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전력낭비의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졸음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독서유닛에 대해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학습의 관리 효율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독서실 관리시스템에 구비되는 독서유닛으로서, 전면의 도어부, 양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판부,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책상부 상측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움직임 또는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독서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다양한 상태의 센싱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상기 조명부, 센싱모듈 및 조명부와 센싱모듈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책상부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나의 전장모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부는, 점멸되어 이용자에 경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자에 구비되는 진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는, 졸음으로 판단되면 이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여 경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전체적으로 학습분위기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이용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은, 폐쇄된 형태의 독서유닛에서 이용자의 입실 및 퇴실 여부 또는 졸음 여부를 간단한 방식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학습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실에 대한 판단 또는 졸음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 이후 소정의 시각적인 통합 확인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각각의 이용자에 대한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경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용자 관리의 효율성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에서 센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에서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의 작동개념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독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독서실룸이 배치된 독서실의 분리된 학습공간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되나, 소정의 개방된 공간에서 책상이 배열된 상태의 독서실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독서설의 학습공간은 내부에 책상과 의자 및 조명 등을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독서실이란, 소정의 방이나 책상이 연결된 상태의 학습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독서실, 도서관 또는 스터디룸 등의 복수의 이용자들이 함께 학습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후술될 독서유닛은 예를 들어, 독서실 공간, 독서가 가능한 카페나 휴게실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공간에서 배열되고 이용자가 각각의 학습공간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각각의 독서유닛(100)과, 상기 독서유닛(10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용자의 입실 여부 또는 졸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에 연결되고 입실 여부 또는 졸음 여부의 판단을 수행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판별된 사항을 기초로 각각의 독서유닛(100)에서 이용자의 입실 여부 및 졸음 여부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독서유닛(100)은 구획된 공간 안에서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용자를 내부에 수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이용자의 학습에 필요한 책상과 의자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독서유닛(100)은 하나의 공간에서 벽체에 의하여 구획된 룸 형태일 수 있고, 각각 단일의 룸유닛들이 배열된 모듈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각각 칸막이를 구비한 책상들이 배열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의 독서유닛(100)은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각각의 독서유닛(100)은 내부에 센서부(10)를 구비하며, 이러한 센서부(10)는 내부에 이용자의 움직임이나 접근을 감지하여 모니터링부(30)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부(10)는 움직임감지 및/또는 접근감지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를 통칭하여 인체감지센서로 정의하도록 한다.
움직임감지 또는 접근감지 센서와 같은 인체감지센서의 경우 공지된 종래의 센서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방식의 적외선 센서 또는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는 소정의 카메라모듈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0)에서 카메라모듈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입실 또는 졸음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각각의 센서부(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서부(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용자의 입실 여부 또는 졸음 여부를 판별하고 이를 모니터링부(30)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제어부(20)는 마이콤이나 소정의 서버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부(30)는 시각적으로 독서유닛(100)에서의 이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서유닛(100)에 대한 식별표시와 이에 대한 상태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30)는 제어부(20)로부터의 표시신호를 수신하여 화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부(30)는 각각의 독서유닛(100)에 대해 개별적인 입실상태 및/또는 졸음여부를 표시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입실의 경우 입실상태 표시가 발광되고, 졸음의 경우 졸음에 대한 표시 또는 화상으로 표시하거나 광원을 통하여 점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부(30)는 종래의 독서실에서 총무실이나 관리실에 구비되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각각의 독서유닛(100)에 대한 전력을 제어하거나, 전기장치를 제어하거나, 독서유닛(100)의 실제 상태에 대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부(30)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의 화상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휴대용 모바일 단말이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네트워크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네트워크모듈에서는 WIFI, 3G, 4G 또는 RF(radio frequency)와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독서유닛(100)의 상태를 모바일 단말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소정의 웹서버와 연동되어 원격의 웹 상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모니터링부는 상기된 모바일 단말이나 데스크톱PC와 같은 장치의 디스플레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 교사 또는 학부모 등이 독서실에서 학습을 수행하는 이용자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습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의 센서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독서유닛(100)에 입실한 이용자의 움직임을 통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제어부(20)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10)는 움직임감지센서(1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감지센서(11)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거나 카메라를 통하여 동적화상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11)는 RF신호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방사된 무선 환경 내에서의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무선주파수의 위상의 차이를 감지하여 움직임의 정도 및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이를 감지하는 방식은 선택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방사된 전자기파와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변조 방식으로 반사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여기서 무선 주파수 동작인식 방식은 공지의 요소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움직임감지센서(11)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송신부(미도시)와, 룸 내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반사변조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반사변조 RF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으로 낮추는 복조부와 기저대역의 출력의 움직임의 변화에 대한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부(10)는 독서유닛(100)에 이용자가 입실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접근감지센서(1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접근감지센서(12)의 방식으로서 초음파센서나 적외선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의 접근 센싱에 더 유리한 적외선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접근감지센서(12)의 구성은 상기된 예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감지센서(12)는 적외선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된 움직임감지센서(11)와 접근감지센서(12)는 하나의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독서유닛(100)의 특성상 내부에 책상, 선반 또는 조명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접근 및 움직임의 감지는 책상 상부측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개념에 따라, 종래에 독서실의 이용상태에서 이용자의 입실 여부나 졸음 여부가 관리자 등의 직접적인 확인 또는 수기 등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 이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습 및 관리상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어부(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0)에 의하여 감지된 움직임이나 이용자의 접근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하여 이용자의 졸음 여부나 입실 여부를 판단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졸음판단부(2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졸음판단부(21)는 움직임감지센서(11)에서 감지된 소정의 움직임감지신호를 통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설정시간(ts)이 경과한 경우 졸음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러한 설정시간(ts)은 5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이 없는 경우란 전혀 움직임이 없는 상태는 물론 수면 중의 미세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입실판단부(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실판단부(22)는 접근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접근감지신호를 통하여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입실판단부(22)는 최초 독서유닛(100)의 배치상태에서 책상이나 내벽까지의 거리를 설정된 기준으로 마련하고 이에 대해 이용자가 입실하여 착석한 경우 접근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유닛관리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후술될 바와 같이 입실판단부(22)에서 이용자가 입실되지 않은 것으로 본 경우 등의 에너지의 절약이 필요한 상태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관리부(23)는 상기된 졸음판단부(21)에서의 졸음으로 판단된 경우 룸 내부에 배치된 소정의 전기장치들을 가동하여 경보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에 따른 독서실 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독서실 관리방법은 기본적으로, 움직임감지센서(11)를 통하여 독서유닛(100) 내부의 동적요소를 감지하고 제어부(20)의 졸음판단부(21)를 통하여 졸음판단(S200) 단계와, 졸음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부(30)를 통하여 각 독서유닛(1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졸음표시(S210)하는 단계와, 독서유닛(100) 내부에서 이용자를 깨울 수 있도록 경보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졸음과 관련된 동작의 감지 및 졸음판단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졸음판단부(21)를 통하여 움직임이 없거나 미세한 움직임만이 있는 상태로 설정된 시간(ts)을 경과한 경우 이를 졸음상태로 판단하고, 모니터링부(30)를 통하여 각 독서유닛(100)별로 이용자의 졸음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모니터링부(30)를 통하여 이용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표시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30)는 일반적으로 관리실이나 총무실과 같은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 가능한 실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이 일반적이나, 네트워크통신 또는 광대역 망 등을 통하여 표시신호를 수신하는 모바일장치의 화면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렇게 졸음의 표시(S210)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0)의 유닛관리부(23)에서는 해당 독서유닛(100) 내부의 소정의 경보수단을 통하여 이용자를 깨우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수단은 스피커나 부저와 같은 음향발생장치나 램프와 같은 발광장치일 수 있는데, 소음이 억제될 필요성이 있는 독서실의 특성상 발광장치나 진동장치와 같은 무소음 또는 저소음의 경보수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경보단계(S220)는 자동적인 경보수단에 의한 경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관리자에 의한 직접적인 깨움 동작 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독서유닛(100)에 구비되는 책상 또는 의자에는 소정의 진동장치 내지는 마사지 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이를 통하여 졸음으로 판단된 경우 이용자를 깨우거나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장치 내지는 마사지 장치는 소정의 관리실에서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나의 독서유닛(100)에 구성되는 소정의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진동장치 내지는 마사지 장치는 소정의 알람과 연동되어 주변에 소리를 발생하지 않고 설정된 시각이나 시간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졸음의 판단에서 졸음경보에 이르는 독서실 관리방법에서, 이용자가 입실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도 경보를 발생하는 상태를 제거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움직임감지센서(11)가 이용자의 입실상태를 먼저 판단하지 않고 동적인 상태만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없는 경우도 졸음을 판단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졸음판단(S200) 전에 입실여부의 판단(S100) 단계를 더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실판단(S100)은 입실판단부(2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12)를 통하여 감지된 센싱신호는 입실판단부(22)에서 이용자의 소정의 접근 상태를 입실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입실로 판단된 경우에만 졸음판단(S200)을 수행하는 것이 관리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움직임감지센서(11)가 이용자의 입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감지센서(11)와 접근감지센서(12)는 하나의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실판단(S100)에서 입실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는, 이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운 것인지 장시간 외출이나 귀가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입실되지 않은 경우 퇴실판단(S110)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퇴실판단(S110)은 입실되지 않은 시간(t)과 설정퇴실시간(ti)를 비교하여 설정퇴실시간(ti)를 초과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퇴실이 장시간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전력제어(S120)를 통하여 해당 독서유닛(100)에 대한 불필요한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전력제어(S120)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설정퇴실시간(ti)는 두 개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설정퇴실시간(ti1)을 초과한 경우 부재표시(S105)를 먼저 수행하고, 제2설정퇴실시간(ti2)를 초과한 경우 전력제어(S12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정퇴실시간(ti1)은 20분으로 설정되고 제2설정퇴실시간(ti2)는 40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상기된 본 발명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독서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독서유닛(100)은 양측 벽체를 이루는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와, 상기 제1측판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부(160)와, 상기 제2측판부(120)에 연결되어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판부(140)와, 제1측판부(110) 및 제2측판부(120)를 후면에서 연결하는 후면판부(130)와, 상기 제1측판부(110)와 제2측판부(12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책상부(320)와, 상기 책상부(3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명부(333)와, 전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332) 및 이용자의 입실상태 및/또는 움직임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모듈(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독서유닛(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면이 폐쇄된 형태로 제시되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벽체가 제거되고 책상부(320)와 소정의 칸막이가 배치된 상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졸음판단 및 입실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부(10)는 독서유닛(100) 내부에서 센싱모듈(331)을 포함하고, 이러한 센싱모듈(331)은 움직임감지센서(11)와 접근감지센서(12)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센싱모듈(331)의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움직임의 감지 및 접근의 감지는 책상부(320)의 상면의 소정의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가 독서유닛(100)의 내부에 입실한 경우 대부분은 책상부(320) 전방측의 의자에 착좌한 상태로 학습을 수행하기 때문에 책상 상측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런데, 책상부(320)의 상면에 바로 인접되어 센싱모듈(331)이 배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책상부(320)의 상부에 책이나 독서대 또는 노트북 등을 배치하기 때문에 사물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명은 책상부(320)의 상측으로 30 ~ 70cm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 가능성의 방지와 배치의 효율성 및 전력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조명부(333)에 인접되어 센싱모듈(331)이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모듈(331) 및 조명부(333)는 컨트롤러부(3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부(332)는 소정의 제어부(20)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부(332) 독서유닛(100) 내부에서 이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따라 조명, 소음제거장치, 시계, 환기 등의 장치들이 제어될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러부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20)가 컨트롤러부(332)를 통하여 독서유닛(100) 내부의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예와 같이 이용자가 퇴실하고 소정의 시간(ti2)이 경과한 경우 전력의 낭비를 위하여 컨트롤러부(332)측으로 유입되는 전력을 제어부(20)의 유닛관리부(23)에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332), 조명부(333) 및 센싱모듈(331)은 하나의 결합된 형태의 전장모듈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책상부(320)의 상측에서 후면판부(130)의 내면에 결합되는 선반부(310)의 하단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모듈장치는 소정의 경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보는 소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발광수단이 발광 또는 점멸하는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수단은 조명부(333)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어부(160)에는 전면측에 미관적 향상을 위한 데코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데코부는 전면에 도장되거나, 시트가 부착되거나 소정의 패널이나 장식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160)가 전면측에 소정의 삽입부재를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판재인 데코부의 양단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바람직하게는 유리판재 또는 아크릴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데코부와 도어부의 사이에 미관적향상을 위한 도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부는 도어부(160)는 물론 전면판부(140)나 도어부(160) 상측에 구비되는 도어상판부(참조번호 미표시)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에 따라, 특히 폐쇄된 형태의 독서유닛(100)에서 이용자의 입실 및 퇴실 여부 또는 졸음 여부를 간단한 방식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학습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입실에 대한 판단 또는 졸음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 이후 소정의 시각적인 통합 확인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각각의 이용자에 대한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경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용자 관리의 효율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센서부 11...움직임감지센서
12...접근감지센서 20...제어부
21...졸음판단부 22...입실판단부
23...유닛관리부 100...독서유닛
110...제1측판부 120...제2측판부
130...후면판부 140...전면판부
310...선반부 320...책상부
331...센싱모듈 332...컨트롤러부
333...조명부

Claims (10)

  1. 복수의 이용자가 내부 공간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독서유닛;
    각각의 독서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독서유닛에 입실한 이용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독서설유닛에서 이용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독서유닛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와, 책상측으로 이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설정된 시간(ts)동안 이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졸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독서실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이용자의 입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독서유닛에 대해 입실 여부를 먼저 판단하여 입실된 경우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제1설정퇴실시간(ti1)까지 입실되지 않은 경우 퇴실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설정퇴실시간(ti2)까지 입실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독서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졸음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독서유닛에 대해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독서유닛으로서,
    전면의 도어부;
    양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판부;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책상부;
    상기 책상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책상부 상측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움직임 또는 접근을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센싱모듈 및 조명부와 센싱모듈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책상부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나의 전장모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부는, 점멸되어 이용자에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의자에 구비되는 진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는, 졸음으로 판단되면 이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유닛.
KR1020130159253A 2013-12-19 2013-12-19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KR10160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53A KR101607731B1 (ko) 2013-12-19 2013-12-19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53A KR101607731B1 (ko) 2013-12-19 2013-12-19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26A true KR20150072026A (ko) 2015-06-29
KR101607731B1 KR101607731B1 (ko) 2016-03-30

Family

ID=5351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253A KR101607731B1 (ko) 2013-12-19 2013-12-19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21B1 (ko) * 2020-12-15 2021-12-22 주식회사 에듀택트 스터디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2906B2 (ja) * 2009-06-24 2014-01-22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遠隔学習システム及び遠隔学習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21B1 (ko) * 2020-12-15 2021-12-22 주식회사 에듀택트 스터디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731B1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1506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US20190317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EP1071055B1 (en) Home monitoring system for health conditions
US20180225956A1 (en) Smart home security control device
US20130162423A1 (en)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care receiver activity
KR101607731B1 (ko) 독서실 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독서유닛
US11810444B2 (en) Notification apparatus
CN209893596U (zh) 空调内机及具有该空调内机的空调系统
JP2001052276A (ja) 行動判定装置、ケアシステム、ケア住宅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5793904B (zh) 在恰当时机提供非警报状态信号的智能住家危险检测器
KR101589512B1 (ko) 조명과 연동되는 알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독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