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770A -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 Google Patents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770A
KR20150069770A KR1020130156289A KR20130156289A KR20150069770A KR 20150069770 A KR20150069770 A KR 20150069770A KR 1020130156289 A KR1020130156289 A KR 1020130156289A KR 20130156289 A KR20130156289 A KR 20130156289A KR 20150069770 A KR20150069770 A KR 20150069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image
warning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770A/en
Publication of KR2015006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7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Abstract

A device to recognize an inside image of a vehicle includes an image obtaining part obtaining an image about the inside of a vehicle; a first image processing part obtaining first information on a body shape and position of a passenger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a first communication part providing the first information to an airbag control part controlling an airbag; a second image processing part confirming whether a driver watches forward or not by extracting second information on a head position of the driver from the image;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 providing a warning signal to a warning control part when the driver is not watching forward for a while. Therefore, the airbag is able to be unfold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and position of the passenger and the driver is prevented from paying no attention to watching forward.

Description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와 운전자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occupant and a driver on a vehicle.

일반적으로 최근 생산되는 차량에는 차량 충돌 사고 시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어백이 장착된다. 나아가 현재는 탑승자의 위치 및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 강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에어백이 많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Generally, a recently produc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air bag to minimize the damage of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having a smart airbag that adjusts the deployment strength of the airbag according to the occupant's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종래 기술에 따르면, 좌석 위치 센서나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자의 위치 및 신체적인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좌석 밑에 위치 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운전석에 대한 에어백의 전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수석이나 뒷좌석의 탑승자는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 여부를 확인 후 에어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can be detected by using a seat position sensor or a weight sensor. Specifically, the deployment strength of the airbag with respect to the driver's seat can be adjusted by attaching a position sensor under the driver's seat and confirm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using the position sensor. In addition,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seat or the rear seat can use the weigh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irbag is operated afte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airbag is occupied.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에 각각 위치 센서 및 중량 센서를 장착하여 탑승자의 정보를 얻어야 한다. 상기 센서들이 다수개 필요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도 많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들 및 상기 전선을 구매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a position sensor and a weight sensor are mounted on the driver's seat,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respectively,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A large number of the sensors are required, and a large number of wires are required to transmit signals provided from the sensors. Therefore, it is expensive to purchase the sensors and the wires.

또한, 상기 센서들 및 상기 전선이 많이 사용되므로, 상기 센서들 및 전선의 품질에 이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에어백의 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sensors and the wires are used in large amou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quality of the sensors and the wires may be deteriorat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function of the airbag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위치 및 신체적인 조건을 감지하고,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ensing th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a passenger using an image,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은 차량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부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1 정보를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 중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운전자가 일정 시간 상기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ehicle interior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vehicle interior,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for acquiring first information on a position and a body shape of the vehicle occupant from the imag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ba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extracting second information on the head position of the driver among the vehicle occupants from the image,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and the driver do not perform the forward gaz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전체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selectively acquire either the image of the entire passenger of the vehicle or the image of the 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may obtain the first information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sensed 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은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탑승자 중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monitoring the vehicle occupant and a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occup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면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and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are sequentially performed while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sensed, and when the door opening / Performing the monitoring for the vehicle occupant, and monitoring the driver may be performed ag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를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음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the monitoring for the vehicle occupant includes obtaining position and body inform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airbag control unit,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or not and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sound controller when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driver's fro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제1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시간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steps of: measuring a first time when the driver does not look ahead;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with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generation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first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제공된 상기 경고 발생 신호에 따라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는 경우 경고 중단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may include the steps of re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when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provided to the warning control unit, And forwarding a warning stop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user looks ahea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은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을 감지하여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에어백을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에어백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에어백과의 충돌로 인한 상기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ehicle interior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a passenger using the image and provide it to the airbag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necessary deployment of the airbag to reduce the repair cost of the airbag, and to control the deployment speed of the airbag, so that the injury of the occupant due to collision with the airbag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하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전방을 주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ehicle interior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a driver is looking forward by using the image and provide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ler when the driver overlooks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vehicle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front sight hole by allowing the driver to continuously look ahead using the warning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vehicle interior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제1 영상 처리부(120), 제1 통신부(130), 제2 영상 처리부(140) 및 제2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1, the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

영상 획득부(110)는 차량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의 룸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s for acquiring an image of a vehicle interior and may be mounted on a room mirror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을 촬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photograph the driver's seat,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t one time.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can photograph the passengers aboard the vehicle.

또한,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운전석만을 선택적으로 촬영하여 운전자의 영상만을 획득할 수도 있다. Also,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only the image of the driver by selectively photographing only the driver's seat.

즉,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전체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That i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selectively acquire either the image of the entire passenger of the vehicle or the image of the driver.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탑승자에 대한 영상을 제1 영상 처리부(120)로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에 대한 영상을 제2 영상 처리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may provide the image of the passenger to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may provide the image of the driver to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40. [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제공된 상기 탑승자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한다.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the image of the passenger provided from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to check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the vehicle occupant.

구체적으로,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차량에 탑승자가 없을 때인 기준 영상과 상기 탑승자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탑승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탑승자가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by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image of the passenger when the vehicle is not occupi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re the occupant is located in the driver's seat, the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또한,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과 상기 탑승자의 경계에서 상기 영상의 밝기, 명암 대조비 및 컬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탑승자의 체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occupant's body shape using the brightness, the contrast ratio, and the color of the imag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river's seat,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and the occupant.

제1 영상 처리부(120)에서 상기 제1 정보가 확인되면, 제1 통신부(130)는 상기 제1 정보를 에어백 제어부(1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130)는 상기 차량의 C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에어백 제어부(10)로 제공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부(10)는 상기 차량의 충돌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하여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좌석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며, 나머지 좌석에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개된 에어백을 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confirmed in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provides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airbag control unit 10.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may provide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airbag control unit 10 via the CAN network of the vehicle. The airbag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airbag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to selectively deploy the airbag only in the seat occupied by the occupant so that the airbag is not deployed in the remaining sea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deployment of the airbag,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repairing the deployed airbag.

또한, 에어백 제어부(10)는 상기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탑승자의 체형이 큰 경우, 에어백 제어부(10)는 상기 에어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전개되도록 한다. 상기 탑승자의 체형이 작은 경우, 에어백 제어부(10)는 상기 에어백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전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탑승자의 체형이 작은 경우,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에어백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bag control unit 10 can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airbag is deploy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For example, when the body of the occupant is large, the airbag control unit 10 causes the airbag to deploy relatively quickly. When the body of the occupant is small, the airbag control unit 10 causes the airbag to deploy relatively slowly. Accordingly, when the body of the occupant is smal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jury caused by collision of the occupant with the airbag.

제2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제공된 상기 운전자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한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40 processes the image of the driver provided from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to extract second information on the head position of the driver and confirm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구체적으로,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운전자의 영상에서 상기 영상의 밝기, 명암 대조비 및 컬러 등을 이용하여 눈, 코, 입 등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눈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지 아니면 다른 곳을 주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extracts second information on the head position of the driver by recognizing the eyes, nose, mouth, and the like using the brightness, contrast, contrast, and color of the image in the image of the driver can do.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eye in the second in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or looking elsewhere.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통신부(150)는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20)로 제공한다. 경고 제어부(20)는 상기 경고 발생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여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도록 경고한다. 상기 경고음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전방을 주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f it is confirmed from the second information that the driver does not look ahea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s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20. The warning controller 20 generates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to warn the driver to watch ahea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vehicle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front sight hole by allowing the driver to continuously look ahead using the warning sound.

상기 경고음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통신부(150)는 경고 발생 중단 신호를 경고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150)는 상기 차량의 C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경고 발생 중단 신호를 경고 제어부(20)로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제어부(20)는 상기 경고 발생 중단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을 발생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 경고음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information tha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s an alarm stop signal to the alarm controller 20 in a state wher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may provide the warning stop unit 20 with the warning stop signal via the CAN network of the vehicle. The warning control unit 20 stops generating the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warning generation stop sig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occurrence of the warning sound.

한편,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또는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confirm the first information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에 상기 탑승자들이 탑승하게 되므로, 상기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상기 제1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면, 상기 탑승자의 위치 또는 체형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정보를 확인한다. Specifically,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sensed, the passengers are boarded on the vehicle, so that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the passenger is confirmed. Further, if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the position or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may be changed, so that the first information is confirmed.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또는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영상 처리부(120)는 상기 제1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Therefore,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not detected,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need to check the first information.

한편,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유지되며,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 영상 처리부(120)가 상기 제2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image processor 120 continuously checks the second informa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not detected.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또는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전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제1 영상 처리부(120)로 제공한다.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obtains an image of the entire occupant of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image to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또는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운전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제2 영상 처리부(140)로 제공한다.
If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not detected, the image obtaining unit 110 obtains the image of the driver and provides the image to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4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00)2, in order to perform the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method, the vehicle occupant is first monitored (S100)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 정보를 획득한다.(S110)Specifically, in order to monitor the vehicle occupant, the position and the body inform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are obtained (S110)

상기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을 한 번에 촬영하여 상기 탑승자들을 촬영한다. 이후, 상기 차량에 탑승자가 없을 때인 기준 영상과 상기 탑승자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탑승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탑승자가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river's seat,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re shot at one time and the passengers are photographed. Thereafter,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image of the passenger when the vehicle is not occupi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re the occupant is located in the driver's seat, the passenger's seat, and the rear seat.

또한, 상기 탑승자의 영상에서 상기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과 상기 탑승자의 경계에서 상기 영상의 밝기, 명암 대조비 및 컬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탑승자의 체형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occupant's body type can be confirmed using the brightness, the contrast ratio and the color of the imag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river's seat, the front passenger's seat, the rear seat and the passenger on the image of the occupant.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제1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1 정보를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한다.(S120)When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the vehicle occupant is obtained, the firs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airbag controller (S120)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시 상기 정보에 따라 에어백을 제어하여 상기 탑승자가 탑승한 좌석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며, 나머지 좌석에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개된 에어백을 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airbag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bag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to selectively deploy the airbag only in the seat occupied by the occupant so that the airbag is not deployed in the remaining sea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deployment of the airbag,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repairing the deployed airbag.

또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에어백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bag control unit adjusts the speed at which the airbag is deploy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thereby minimizing injury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occupant with the airbag.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탑승자 중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200)When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is completed, monitoring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occupant is performed (S200)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먼저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한다.(S210)In order to monitor the driver, it is first checked whether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S210)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운전자의 영상에서 상기 영상의 밝기, 명암 대조비 및 컬러 등을 이용하여 눈, 코, 입 등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제2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눈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지 아니면 다른 곳을 주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cquires an image of a driver who operates the vehicle, extracts second information from the driver's head position by recognizing the eyes, nose, mouth, and the like using the brightness, contrast, contrast, and color of the image in the image of the driver do.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eye in the second in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or looking elsewhere.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로 전달한다.(S220)If the driver does not perform the frontward gazing, the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arning controller (S220)

구체적으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제1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운전자의 머리에서 상기 눈이 기준 눈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에서 상기 눈이 상기 기준 눈 위치에서 벗어난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time when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front is measured. For example, when the eyes of the driver are out of the reference eye posi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 does not look ahead. Therefore, the first time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time at which the eye deviates from the reference eye position on the head of the driver.

상기 제1 시간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약 2초 일 수 있다. And compares the first tim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about 2 seconds.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경고 발생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여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도록 경고한다. 상기 경고음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전방을 주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f the first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alarm generation unit provides the alarm generation unit with the alarm generation signal. The warning control unit generates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to warn the driver to watch ahea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vehicle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front sight hole by allowing the driver to continuously look ahead using the warning sound.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제공된 상기 경고 발생 신호에 따라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재확인한다.(S230)If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warning signal provided to the warning control unit, the driver is checked to see if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S230)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눈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지 아니면 다른 곳을 주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eye in the second in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or looking elsewhere.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는 경우 경고 중단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제공한다.(S240) And provides a warning stop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watches the front side (S240)

구체적으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는 제2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운전자의 머리에서 상기 눈이 상기 기준 눈 위치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2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er measures a second time to look ahead. For example, the second time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time at which the eye is located at the reference eye position on the head of the driver.

상기 제2 시간과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약 0.5초 일 수 있다. And compares the second time with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ime.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For example,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be about 0.5 seconds.

상기 제2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 발생 중단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경고 발생 중단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중단한다. And provides the warning generation stop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warning control unit stops the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warning generation stop signal.

상기 제1 기준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 보다 짧을 경우, 잠깐동안이라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고음이 자주 발생하여 오히려 운전자의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상기 제2 기준 시간보다 길 수 있다. If the first reference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if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forward even for a short time. Therefore, the warning sound frequently occurs,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erefore,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의 수행(S100)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의 수행(S200)은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에 상기 탑승자들이 탑승하게 되므로, 먼저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상기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완료되면,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유지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S100) and the monitoring of the driver (S200)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while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detected. When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sensed, the passengers are boarded on the vehicle. Therefore, the vehicle occupant needs to be monitored first, and when the monitoring of the passenger is completed, the driver is monitored. Monitoring for the driver is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the starting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한편, 상기 차량의 시동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S100)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의 수행(S200)을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Meanwhile, if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is detected while the start of the vehicle is being maintained, the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is performed (S100) and the monitoring of the driver is performed (S200).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닫히는 경우, 상기 탑승자의 위치 또는 체형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의 수행(S200)을 중단하고 상기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S100)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S100)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의 수행(S200)을 수행한다.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n closed again,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position or body shape of the occupant. Therefore, the execution of the monitoring for the driver (S200) is interrupted and the monitoring of the occupant (S100) is performed again. When the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is completed (S100), the monitoring of the driver is performed again (S200).

그러므로, 상기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제1 정보가 변화되는 것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ope with the change of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및 방법은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을 감지하고,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감지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에어백의 전개 여부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할 때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한 차량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 에어백의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position and body shape of a passenger using an image,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and provide information to control the deployment and speed of the airbag And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driver neglects the front s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front sight of the driv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pair cost of the airbag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vehic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110 : 영상 획득부
120 : 제1 영상 처리부 130 : 제1 통신부
140 : 제2 영상 처리부 150 : 제2 통신부
10 : 에어백 제어부 20 : 경고 제어부
100: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tion device 110:
120: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30: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50: second communication unit
10: air bag control unit 20: warning control unit

Claims (8)

차량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상 처리부;
상기 제1 정보를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탑승자 중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대한 제2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운전자가 일정 시간 상기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vehicle interior;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first information on a position and a body shape of the vehicle occupant from the imag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the first information to an airba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bag;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second information on a head position of a driver of the vehicle occupant from the imag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forward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 전체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운전자에 대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The vehicle interior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selectively acquires either the image of the entire passenger of the vehicle or the image of the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obtains the first information when an engine start of the vehicle is detected or when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detected.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탑승자 중 운전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
Performing monitoring on a vehicle occupant; And
And performing monitoring of a driver among the vehicle occupan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감지되면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monitoring the vehicle occupant and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are sequentially performed while detecting an engine start of the vehicle,
Wherein the step of monitoring the vehicle occupant and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are sequentially performed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is det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위치 및 체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를 에어백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 신호를 경고음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performing the monitoring of the vehicle occupant comprises:
Obtaining position and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And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airbag control unit,
Wherein the step of monitoring the driver comprises: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And
And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warning sound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does not perform the forward sigh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제1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livering the alert signal to the alert controller comprises:
Measuring a first time when the driver does not look ahead;
Comparing the first time with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And
And if the first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transmitting the warning generation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제공된 상기 경고 발생 신호에 따라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전방을 주시하는 경우 경고 중단 신호를 상기 경고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영상 인식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monitoring the driver comprises:
Re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when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provided to the warning control unit; And
And transmitting a warning stop signal to the warn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watches the front side.
KR1020130156289A 2013-12-16 2013-12-16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KR201500697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289A KR20150069770A (en) 2013-12-16 2013-12-16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289A KR20150069770A (en) 2013-12-16 2013-12-16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770A true KR20150069770A (en) 2015-06-24

Family

ID=535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289A KR20150069770A (en) 2013-12-16 2013-12-16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7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5505A2 (en) Occupant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vehicle
CN111660980A (en) Occupant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and traffic system
US20040220705A1 (en) Visual classification and posture estimation of multiple vehicle occupants
EP1759932A1 (en) Method of classifying vehicle occupants
EP2706384A1 (en) Occupant sensing device
US20070045026A1 (en) Device for activating an actuator system for protecting a pedestrian
US11535184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100063394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 saving infant and children riding car
US8036795B2 (en) Image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s for determining occupant classification and seat belt status and vehicles having same
US8952801B2 (en) Motor vehicle with several active or passive safety devices
US9981598B2 (en) Alighting notification device
EP3326868B1 (en) Passenger detection device and passenger detection program
US20150125126A1 (en) Detection system in a vehicle for recording the speaking activity of a vehicle occupant
US20120330512A1 (en) Method for triggering at least one irreversible retain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CN11141799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116528B2 (en) Illumination source for an image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and vehicle using same
KR101461911B1 (en) System and method of guiding to fasten safety belt correctly
CN113401075A (en) Method for operating a restraint system of a vehicle with a detachable door and restraint system
CN111093130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882418B2 (en) Method for classifying an occupant and providing the occupant classification for a safety device in a motor vehicle
KR20150069770A (en) Image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inside
KR20220081453A (en) Apparatus for rear occupant aler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08128276A (en) For triggering the method and trigger circuit that are arranged in the air bag in steering wheel for motor vehicle
US10882484B2 (en) Occupant detection apparatus
US11203317B2 (en) Vehicle with occupant prot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