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78A -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78A
KR20150069578A KR1020130149715A KR20130149715A KR20150069578A KR 20150069578 A KR20150069578 A KR 20150069578A KR 1020130149715 A KR1020130149715 A KR 1020130149715A KR 20130149715 A KR20130149715 A KR 20130149715A KR 20150069578 A KR20150069578 A KR 2015006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dditional
pressing
pi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7448B1 (en
Inventor
최기선
유영찬
최창호
조삼덕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48B1/en
Publication of KR2015006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ditional pile constructing method comprising: a through-h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through-hole (21) on a base plate (20) supporting a load of an upper structure with an existing pile (10) installed in a lower side; an excavating step of excavating an excavation hole (30)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hole (21); an additional pile installing step of integrating an additional pile (100) with an excavation hole (30) while installing the additional pile (100) in the through-hole (21) and the excavation hole (30); a pressing devic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pressing device (200) integrated with the through-hole (2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top of the additional pile (100) inside the through-hole (21); and a displacement forming step of forming a perpendicular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pile (100) and the ground by pressing the additional pile (100) downward using the pressing device (2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excellent resisting force of the additional pile with respect to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by stably reinforcing the base structure when expanding an existing structure.

Description

추가파일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file.

아파트의 리모델링과 같이, 기존의 구조물의 규모를 확대(증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 기초구조물의 보강이 문제시된다.If it is necessary to expand (enlarge) the size of the existing structure, such as the remodeling of the apartment,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tructure becomes a problem.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추가파일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1 and 2 are process drawing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additional file construction method.

종래에는 기존 구조물(1)의 기초저판(20)의 하부에 형성된 기존파일(10)의 주위에 추가파일(10a)을 설치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다.Conventionally, a method has been employed in which an additional file 10a is installed around an existing file 10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a base bottom plate 20 of an existing structure 1.

그런데, 종래의 공법에 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기존구조물(1)이 200의 하중을 가진다고 할 때, 2개의 기존파일(10)은 본래 100의 하중을 각각 부담한다(도 1).Assuming that the existing structure 1 has a load of 200, the two existing files 10 inherently bear 100 loads, respectively (Fig. 1).

리모델링에 의해 확대된 구조물(2)이 400의 하중을 가진다고 한다면, 2개의 기존파일(10)과 2개의 추가파일(10a)은 각각 100의 하중을 부담하여야 한다.If the structure 2 expanded by the remodeling has a load of 400, the two existing files 10 and the two additional files 10a should bear a load of 100 each.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종래의 공법에 의해 추가파일을 시공하는 경우, 기존파일(10)에는 더 많은 하중(120)이 작용하게 되고, 추가파일(10a)에는 더 작은 하중(80)이 작용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actual practice, when the additional file is construct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a larger load 120 is applied to the existing file 10 and a smaller load 80 is applied to the additional file 10a have.

파일은 주면마찰력(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의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에 의해 강도를 발휘하게 되는데, 주면마찰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 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할 것이 요구된다.The file exhibits the strength by the frictional for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e and the ground) and the tip end supporting force. In order to generate the frictional surface force, the file is required to be displac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e and the ground.

그런데 종래의 공법에 의해 추가파일을 설치하는 경우, 추가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지 않거나 미미한 상태에서 확대된 구조물(2)을 시공하게 되므로, 추가파일의 주면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기존파일이 더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additional file is install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enlarged structure 2 is constructed in such a state that the displacement does not occur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dditional file and the ground, or the space is small, the frictional force of the additional file does not act , There is a problem that existing files bear more lo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기존 구조물의 증축 시 안정적으로 기초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에 대한 추가파일의 저항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는 추가파일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onal pil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foundation structure when an existing structure is expanded, The purpose of the presentation is to do so.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으로 설치된 기존파일(10)과 함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저판(20)에 대하여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관통공 형성단계;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 천공 홀(3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관통공(21) 및 천공 홀(30)에 추가파일(100)을 설치하되, 상기 추가파일(100)과 상기 천공 홀(30)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추가파일 설치단계;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관통공(21)과 일체화되는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 설치하는 가압장치 설치단계; 상기 가압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하는 변위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through h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through hole (21) with a base bottom plate (20) supporting a load of an upper structure together with an existing file (10) Forming a perforation hole (30) in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Installing additional files (100) in the through holes (21)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so that the additional files (100)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are integrated; A pressurizing devic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pressurizing device (200)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and integr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inside the through hole (21); Forming a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by pressing the additional file (100) downward by using the pressing device (200); Provides additional file construction metho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가압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에 배치시키고 상기 관통공(21)의 내면과 상기 가압장치(200)의 외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타설부(5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에 고정할 수 있다. The pressuriz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1 and the concret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device 200, The pressure device 200 can be fixed to the through-hole 21 by forming the through-hole 50. [

그리고, 상기 변위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압장치(200)의 내측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상기 가압장치(200)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된 가압볼트(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displacement forming step, the grout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pressing device 200 to fix the pressing bolt 220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in the pressing device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tep.

또한, 상기 가압장치(200)는, 심부에 작업공(211)이 형성되고 내주에 나사산(212)이 형성되며 측면의 중앙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나사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ing device 200 includes a supporting table 210 having a working hole 211 formed in the core part and a thread 212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thereof and a side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rea so that the central area of the side surface protrudes outward And a pressing bolt 220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210 and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pile 100 downward by screw driving.

아울러, 상기 지지대(210)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스터드(21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tuds 21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er 2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er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of the supporter,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가압볼트(220)의 상면에는 다각형 단면의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A groove 221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bolt 220.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와 상기 기초저판(20)의 경계 영역에는 일부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에 매설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기초저판(20)에 매설되는 고정앵커(40)가 구비될 수 있다. A fixed anchor 40 is install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ncrete pouring unit 50 and the bottom plate 20 and a part of which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uring unit 5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기존 구조물의 증축 시 안정적으로 기초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에 대한 추가파일의 저항력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는 추가파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dditional pil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foundation structure when an existing structure is enlarg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resistance to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추가파일 시공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추가파일 시공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5는 응력분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rocess drawings of a conventional additional file construction method,
Figs. 3 and 4 are process drawings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dditional files,
5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는 추가파일 시공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5는 응력분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ressur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추가파일 시공방법, 하측으로 설치된 기존파일(10)과 함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저판(20)에 대하여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관통공 형성단계;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 천공 홀(3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관통공(21) 및 천공 홀(30)에 추가파일(100)을 설치하되, 상기 추가파일(100)과 상기 천공 홀(30)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추가파일 설치단계;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관통공(21)과 일체화되는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 설치하는 가압장치 설치단계; 상기 가압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하는 변위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dditional fil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hrough hole 21 for forming a through hole 21 with respect to a base bottom plate 20 supporting a load of an upper structure together with an existing file 10 installed on a lower side A ball forming step; Forming a perforation hole (30) in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Installing additional files (100) in the through holes (21)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so that the additional files (100)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are integrated; A pressurizing devic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pressurizing device (200)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and integr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inside the through hole (21); Forming a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by pressing the additional file (100) downward by using the pressing device (200); .

추가파일(1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측으로 설치된 기존파일(10)과 함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저판(20)에 대하여 관통공(21)을 형성하고, 관통공(21)의 하부에 천공 홀(30)을 형성한다(도 3).In order to construct the additional file 100, a through hole 21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20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existing file 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a perforation hole 30 is formed at the bottom (FIG. 3).

관통공(21) 및 천공 홀(30)에 추가파일(100)을 설치하되, 그라우팅(G) 작업 등에 의해 추가파일(100)과 천공 홀(30)이 일체화되도록 한다(도 4).The additional file 10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1 and the perforation hole 30 so that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perforation hole 30 are integrated by a grouting operation.

추가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기초저판(20)을 일체화한다(도 5).The additional file 100 is pressed downward to form a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base bottom plate 20 are integrated (Figure 5) .

즉, 기초저판(20)에 대하여 추가파일(100)을 설치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추가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additional file 100 is not only installed on the foundation bottom plate 20 but also the additional file 100 is pressed downward to form a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It is characteristic.

이와 같이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도록 한 후, 기존구조물을 증축하는 경우, 위 변위로 인하여 추가파일(100)이 선단지지력 뿐만 아니라 주면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증축된 구조물의 추가 하중을 추가파일(100)이 제대로 분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존파일(10)에 하중이 추가되는 부담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When the existing structure is enlarged after th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the additional file 100 can exhibit not only the end support force but also the main surface friction force due to the displacement, The load of the additional file 100 can be shared by the additional file 100, thereby reducing or eliminating the burden of adding the load to the existing file 10.

한편, 가압파일을 설치하는 단계는 가압장치(200)를 관통공(21)에 배치시키고 관통공(21)의 내면과 가압장치(200)의 외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타설부(50)를 형성함으로써 가압장치(200)를 관통공(21)에 고정시키게 된다. The step of installing the press pile includes placing the pressurizing device 200 in the through hole 21 and placing the concret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device 200, So that the pressure device 200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1.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기초저판(20)의 경계 영역에는 일부가 콘크리트 타설부(50)에 매설되고, 나머지 일부가 기초저판(20)에 매설되는 고정앵커(40)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and the bottom plate 20 is provided with a fixed anchor 40 parti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and the remaining portion embedded in the base bottom plate 20 to be.

고정앵커(40)는 기초저판(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기초저판(20)을 일체화시킴에 있어서 기초저판(20)의 상면에 축조된 건축물의 하중이 작용하여 콘크리트 타설부(50)가 쉽게 손상되지 않고 견고하게 기초저판(20)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xed anchor 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ttom plate 20 so as to integrate the concrete bottom portion 20 and the concrete placement portion 50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ase bottom plate 20. [ So that the concrete poured portion 50 can be firmly integrated with the bottom plate 20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그리고,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도록 하는 변위 형성단계 이후에는 가압장치(200)의 내측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가압장치(200)에 구비되어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된 가압볼트(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After the displacement forming step in which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the grout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ressuring device 200, The fixing step for fixing the contact pressure bolt 220 is performed.

가압장치는(200)는 심부에 작업공(211)이 형성되고 내주에 나사산(212)이 형성되며 측면의 중앙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대(210)와, 지지대(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나사구동에 의해 추가파일(10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pressurizing device 200 includes a support 210 formed with a work hole 211 at the core portion, a thread 212 formed at the inner periphery thereof, a side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surface protrudes outward, And a press bolt 220 installed inside the insert pin 210 and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pile 100 downward by screw driving.

지지대(210)의 중앙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측면이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은, 추가파일(100)이 매설된 지반이 침하되거나 혹은 융기될 경우에 콘크리트타설부(50)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ground embedded with the additional pile 100 is settled or protruded, the side wall is inclined toward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ing pavement 210 protrudes outward. So that it can be firmly fixed.

즉, 지반이 침하시에는 지지대(210) 측면의 중앙 영역 기준으로 그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지지대(21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반대로 지반이 융기시에는 지지대(210) 측면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지지대(21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the ground is settled, the resistance again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210 by the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relativ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210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210 can be increase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210. [

이러한 지지대(210)의 측면에는 지지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지지대(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스터드(213)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studs 213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re further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210, As shown in Fig.

스터드(213)는 지지대(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이격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타설부(50)와 지지대(21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tuds 213 are radial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nd protru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The studs 2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upport base 210. [0052] As shown in FIG.

이러한 스터드(213)는 궁극적으로 콘크리트타설부(50)와 지지대(2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서, 지지대(210)의 내부에 설치된 가압볼트(220)가 추가파일(100)을 지지시에 지지대(210)의 상측에 축조된 건축물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기초저판(20)이 안정적으로 상기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stud 213 ultimately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and the support 210 so that the press bolt 220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210 supports the additional pile 100 when the support pile 100 is supported. So that the foundation bottom plate 20 can stably support the building even if a load of the building built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210 is applied.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터드(213)를 대신하여 지지대(210) 측면의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콘크리트타설부(50)와 지지대(21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embossing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210 in place of the stud 213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installation part 50 and the support 210.

가압볼트(220)의 상면에는 다각형 단면의 홈(221)이 형성되며, 이러한 다각형 단면의 홈(221)에 별도의 회전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가압볼트(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추가파일(100)에 적절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며, 이러한 다각형 단면의 홈(221)에 의하여 가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groove 221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bolt 220. An additional rotary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1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 to rotate the pressing bolt 220, 100, and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groove 221 having the polygonal cross s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시공되는 추가파일(100)에 의하여 주면마찰력 및 선단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기존파일(10)에 걸리는 기존구조물의 하중의 부담은 줄어들게 된다.Since the additional pile 100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exerts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tip end supporting force, the burden of the load of the existing structure on the existing pile 10 is reduced.

충분한 변위가 발생한 이후, 비로소 기존구조물을 증축하면, 기존파일 및 추가파일에 골고루 하중이 전달되며, 결국 추가된 하중이 실질적으로 추가파일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After sufficient displacement has occurred, once the existing structure is expanded,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existing file and the additional file, resulting in the result that the added load actually acts only on the additional file.

이상에서는 기존구조물을 증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건물의 신축 시에도, 일부 파일의 설치 및 일부 층의 시공, 추가 파일의 설치 및 추가 층의 시공 등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xisting structure is enl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such as installation of some files, construction of some layers, installation of additional files, and construction of additional layers can do.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마이크로 파일)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forego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microfile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기존파일 20 : 기초저판
21 : 관통공 30 : 천공 홀
40 : 앵커 50 : 콘크리트타설부
100 : 추가파일 200 : 가압장치
210 : 지지대 211 : 작업공
212 : 나사산 213 : 스터드
220 : 지압볼트 221 : 다각형 단면의 홈
10: existing file 20: basic bottom plate
21: through hole 30: through hole
40: anchor 50: concrete pouring part
100: additional file 200: pressure device
210: support base 211: work ball
212: thread 213: stud
220: acupressure bolt 221: groove of polygonal section

Claims (8)

하측으로 설치된 기존파일(10)과 함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저판(20)에 대하여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관통공 형성단계;
상기 관통공(21)의 하부에 천공 홀(3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관통공(21) 및 천공 홀(30)에 추가파일(100)을 설치하되, 상기 추가파일(100)과 상기 천공 홀(30)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추가파일 설치단계;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관통공(21)과 일체화되는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 설치하는 가압장치 설치단계;
상기 가압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추가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하는 변위 형성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A through h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through hole (21) with a base bottom plate (20) supporting a load of an upper structure together with an existing pile (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Forming a perforation hole (30) in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Installing additional files (100) in the through holes (21)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so that the additional files (100) and the perforation holes (30) are integrated;
A pressurizing devic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a pressurizing device (200)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and integr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inside the through hole (21);
Forming a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additional file (100) and the ground by pressing the additional file (100) downward by using the pressing device (200);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에 배치시키고 상기 관통공(21)의 내면과 상기 가압장치(200)의 외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타설부(5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장치(200)를 상기 관통공(2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izing device 20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21 and the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device 200, Wherein the pressing device (200)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압장치(200)의 내측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상기 가압장치(200)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과 접촉된 가압볼트(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displacement forming step, a grout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pressing device 200 to fix the pressing bolt 220, which is provided on the pressing device 2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file 100, Wherein the additional fil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200)는,
심부에 작업공(211)이 형성되고 내주에 나사산(212)이 형성되며 측면의 중앙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나사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파일(10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ssure device (200)
A support table 210 having a working hole 211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screw thread 212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thereof and a side surfac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region so that a central region of the side surface protrudes outward; And a pressing bolt (2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ditional pile (100) and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pile (100) downward by screw driv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스터드(21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studs 213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er 2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er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er to protrude from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iles are joined toge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엠보싱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embossments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ase (210) and fixedly coupled to the concrete installation part (5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볼트(220)의 상면에는 다각형 단면의 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Wherein a groove (221)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bolt (2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와 상기 기초저판(20)의 경계 영역에는 일부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0)에 매설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기초저판(20)에 매설되는 고정앵커(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가파일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 fixed anchor 40 parti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and partially embedded in the bottom plate 20 is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ncrete pouring portion 50 and the bottom plate 20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30149715A 2013-12-04 2013-12-04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101677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15A KR101677448B1 (en) 2013-12-04 2013-12-04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15A KR101677448B1 (en) 2013-12-04 2013-12-04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78A true KR20150069578A (en) 2015-06-24
KR101677448B1 KR101677448B1 (en) 2016-11-29

Family

ID=5351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715A KR101677448B1 (en) 2013-12-04 2013-12-04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29A (en) * 2016-07-20 2018-01-30 이엑스티 주식회사 The pre-loading device and method of pile using bearing plate and bolt fasten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496A (en) 2003-01-08 2004-07-29 Shimizu Corp Pile head cap and pile head semi-rigid joint method making use of the pile head cap
KR100899372B1 (en) 2007-07-13 2009-05-26 김정인 Connection method of micropile cap to existing concrete footing structure, reinforced method using same and structure thereof
KR101200927B1 (en) * 2011-12-07 2012-11-13 강덕만 C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dy and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101337570B1 (en) * 2012-11-06 201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29A (en) * 2016-07-20 2018-01-30 이엑스티 주식회사 The pre-loading device and method of pile using bearing plate and bolt fasten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48B1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57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10173213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101809111B1 (en) Apparatus for pressing pile and method for reinforcing building base using this same
KR101863792B1 (en) Pre-loading method of reinforcing pile
KR101377019B1 (en) Reactive forcing device using guide rail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KR101732134B1 (en) Pre-loading method for pile using pre-loading apparatus
KR10168308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101426066B1 (en) End supporting multi micro pile and method for reinforcing structure base using this
KR101677448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101731535B1 (en) Pre-loading apparatus for pile and pre-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8084035A (en) Pile head base isolation joint structure
KR101549394B1 (en) Socket shaped anchor
KR20200120345A (en) Pile performance reinforcement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20150085602A (en)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22160B1 (en) Pre-loading apparatus for pile and pre-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5214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ile using load cell
KR2014005831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dition pile
KR20170133673A (en) Pile grouting device for enhanced friction of skin
KR101663174B1 (en) A based pile with based pile tip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943185B1 (en) Foot Concrete Reinforcing Method Using Micropile And Dispersion Plate
KR101114860B1 (en) Structure lifting and supporting method and apparatus by using a micro pile and shear plate
JP2019065457A (e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structure
KR101672930B1 (en) Pre-loading apparatus for pile and pre-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7793B1 (en) Fixing method for pile
JP2014073852A (en) Tank body fixing device and tank body fix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4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608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