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21A -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21A
KR20150069521A KR1020140170215A KR20140170215A KR20150069521A KR 20150069521 A KR20150069521 A KR 20150069521A KR 1020140170215 A KR1020140170215 A KR 1020140170215A KR 20140170215 A KR20140170215 A KR 20140170215A KR 20150069521 A KR20150069521 A KR 2015006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e oxide
oxide compound
group
control fluid
crud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업
고건혁
김종찬
이한솔
전영욱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67,90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66878A1/en
Publication of KR2015006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8/00Compositions for drilling of boreholes or wells; Compositions for treating boreholes or wells, e.g. for completion or for remedial operations
    • C09K8/58Compositions for enhanced recovery methods for obtaining hydrocarbons, i.e.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oil, e.g. displacing fluids
    • C09K8/584Compositions for enhanced recovery methods for obtaining hydrocarbons, i.e.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oil, e.g. displacing flui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surf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8/00Compositions for drilling of boreholes or wells; Compositions for treating boreholes or wells, e.g. for completion or for remedial operations
    • C09K8/58Compositions for enhanced recovery methods for obtaining hydrocarbons, i.e.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oil, e.g. displacing flui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16Enhanced recovery methods for obtaining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으로부터의 오일 회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원유 회수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유체의 폼 형성 및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Mobility Control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mine Oxide Compounds and Enhanced Oil Recovery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전으로부터의 오일 회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전의 원유 회수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에서 원유를 회수하는 방법에는 유정에 웰(well)을 뚫고 자연압으로 원유를 회수하는 원유의 1차 회수(Primary Recovery) 단계, 1차 회수를 마친 후 물을 주입하여 원유가 흐를 수 있는 추진력(Driving force)을 제공하여 원유를 회수하는 2차 회수(Secondary Recovery) 단계가 있다.
그런데 상기 1차 및 2차 회수단계를 거쳐도 유전 지층 내에는 상당량의 원유가 잔존하며, 상기 잔존 원유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할 목적으로 채용되는 방법이 원유 회수증진법(Enhanced Oil Recovery, EOR)이며, 더욱이 중질원유(점성이 큰 원유) 중의 일부는 원유 회수증진법을 채용하지 않고서는 전혀 생산이 어렵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유 회수증진법(enhanced Oil Recovery, EOR)은 3 차 회수(Tertiary Recovery)라고도 하며, 원유 회수증진법(enhanced Oil Recovery, EOR)은 2차 회수 단계 후에도 남아 있는 원유 회수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주입하여 캐필러리(Capillary)에 갇힌 원유를 뽑아내거나, 고분자를 주입하여 원유를 밀어내는 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원유에 대한 배출 효율(Sweep Efficiency)을 높여 오일의 회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기존의 원유 매장량이 빠르게 고갈되고 노후화되면서 증진된 원유 회수법(enhanced Oil Recovery, EOR)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시장의 성장이 촉진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석유 매장량 고갈 상태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에너지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이 두 지역의 석유 매장량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어 석유 추출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상당히 많은 매장량의 석유가 경제적 생산이 불가능해 지하에 계속 매장되어 있는 상황이어서, 고효율 원유 회수증진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기존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석유 자원에 대해 원유 회수증진법 이용해 배출시키는 접근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현재 주요 석유 생산업체들은 선진 탐사기술과 증진된 원유 회수법에 사용되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활용해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자원들을 찾아내고 답사하는 노력을 계속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화학물질을 주입하여 제3차 원유회수를 통해 석유를 채굴하고자 하는 원유 회수 증진법을 위한 화학물질에 대한 개발 역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원유 회수 증진법에서 추진유체(driving Fluid)로서 이산화탄소를 채용하는 가스 주입 방법(Gas Flooding) 혹은 이산화탄소 주입방법(CO2 Flooding)은 수공법 적용후의 필드에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유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원유의 부피가 팽창하게 되면, 원유의 점도와 계면장력이 감소하여 저류층에 생산되지 못하고 남아있던 잔류 원유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영역까지도 도달하여 저류층에 트랩되어 있는 원유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주입방법(CO2 Flooding) 에 의한 원유 회수 증진법은 저류층에 주입되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갖는 낮은 점도 특성으로부터 기인하는 핑거링(fingering)과 바이패싱(bypassing) 현상으로 인해 배출효율(sweep efficiency)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상존하게 된다.
이는 저류층 조건에서의 이산화탄소는 초임계상 (supercritical phase)을 유지하게 되며, 이 때 이산화탄소의 밀도는 오일과 가까우나 점도가 0.03 내지 0.10 cP로 낮은 특성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원유회수 증진법 상의 배출효율(sweep efficiency)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이산화탄소 유체의 유동성 조절을 위해 (1) 물을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기적으로 주입하여 이산화탄소의 상대적인 투과도를 낮추는 물-대체-가스공법(water-alternating-gas; WAG)과 (2) 폼(foam)을 이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중력에 의한 분리현상(gravity segregation)이나 물에 의한 방해 현상(water shielding)에 의한 가스 유동성 감소 등의 문제가 있고 저류층에서의 폼(foam)의 생성과 이동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로 하여 오일을 회수할 시 보다 효율적인 회수를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상기 유전의 원유 회수 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이용한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진 유체가 주입되는 단계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주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이산화탄소를 추진 유체로 하는 이산화탄소-원유회수 증진법을 적용하면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이산화탄소에 포함되어 유체의 폼 형성 및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의 폼 형성 및 이동성을 제어함으로써 기존 방법에서 문제시 되었던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갖는 낮은 점도 특성으로부터 기인하는 핑거링(fingering)과 바이패싱(bypassing) 현상으로 인한 배출효율(sweep efficiency)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으며, 유동 조절 유체로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장점과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장점을 활용하여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력, 폼 형성과 폼 유지력을 동시에 확보하여 유동 조절 유체가 유정 내 잘 퍼져 나가게 하는 특성과 안정된 폼 및 라멜라 유지가 가능하여 점도를 증가시켜 이동성 향상시키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폼 안정성(Foam stability) 평가를 위한 장치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생성된 폼 및 폼의 기포도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A: Foam height, B: CO2 Phase height),
도 3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폼에 의한 점도 증가 측정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유회수 증진을 위한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에서 추진 유체(driving Fluids)는 통상의 유동 조절을 위한 물질이라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초임계상태가 될 수 있는 유체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고, 이는 원유를 밀어낼 수 있는 추진 유체(driving Fluids)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에서 유동 조절 유체로서 작용하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이산화탄소/물과의 폼, 즉, 연속상인 물 경계면 안에 이산화탄소가 형성되는 폼(CO2 in Water Foam)을 형성함으로써 추진 유체인 이산화탄소의 점도를 증가시켜 오일의 이동성을 향상시켜 원유 회수율을 높이는 공정이 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에서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물과 이산화탄소 계면에서 자리 잡으면서 폼의 형성 및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폼은 연속상인 물 경계면 안에 이산화탄소가 형성되는 폼(CO2 in Water Foam) 타입 형태로 형성되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연속상인 물에 정열된 구조로 배열되어 폼의 얇은 막(thin film)의 두께가 점점 줄어들어 결국에는 꺼져버리는 것을 막아주어 폼의 형성 및 유지에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비이온성이면서도 이온성 성격도 강해 전기 이중층 반발력(Electronic double layer Repulsion)을 제공함으로써 폼 형성 및 유지에 기여하게 되며, 또한 안정된 폼 형성과 견고한 라멜라(lamella) 유지는 유동 조절 유체의 점도를 5 내지 20 cSt로 높여서 이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의 구체적 예시에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C3-C7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7은 C1-C7의 알킬렌기 또는 C3-C7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내지 R6의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와 R7의 알킬렌기 및 시클로알킬렌기의 탄소 원자 -CH2-는 -NR- 또는 -O- 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은 수소 또는 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R1 내지 R7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는 (C1-C30)알킬, 할로(C1-C30)알킬, 할로겐, 시아노, (C3-C30)시클로알킬, (C1-C30)알콕시, (C6-C30)아릴옥시, (C6-C30)아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C3-C30)헤테로아릴, (C1-C30)알킬이 치환된 (C3-C30)헤테로아릴, (C6-C30)아릴이 치환된 (C3-C30)헤테로아릴, 모노 또는 디(C1-C30)알킬아미노, 모노 또는 디(C6-C30)아릴아미노, 트리(C1-C30)알킬실릴, 디(C1-C30)알킬(C6-C30)아릴실릴, 트리(C6-C30)아릴실릴, 나이트로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R1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7-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이고, R2, R3, R4 또는 R5은 C1-C3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인 화합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구조의 화합물인 것이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 알킬아민옥사이드 화합물들은 그 제조방법은 다수의 선행문헌들에 공지되어 있으며, 정제 및 개인 의류 보호용(Personal clothing Care) 용도로 상업적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어 상업적으로 수득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물, 추진 유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10 중량% 초과로 사용되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 및 확산 속도가 떨어지고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석출되어 목적하는 폼 안정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의 재활용(recycle)이 어려우며,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한계미셀농도(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하로 폼이 형성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원유 회수증진 방법이 적용되는 유전은 pH 3 내지 10, 온도 70℃ 이하, 및 염 25% 이하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추진 유체가 주입되는 단계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주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진 유체가 주입되는 단계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을 주입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은 추진 유체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주입 웰을 통하여 유전 내에 주입하면서, 상기 추진 유체 주입 웰(injection well) 또는 또 다른 주입 웰을 통하여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을 주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진 유체 및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의 주입은 추진 유체가 생산 유정(Producing Wellbore)으로 배출될 때 주입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 및 추진 유체는 서로 혼합하여 주입하거나 교번으로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추진 유체의 바람직한 일예로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에 있어,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C3-C7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7은 C1-C7의 알킬렌기 또는 C3-C7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내지 R6의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와 R7의 알킬렌기 및 시클로알킬렌기의 탄소 원자 -CH2-는 -NR- 또는 -O- 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은 수소 또는 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하기 구조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에 있어, 유동 조절 유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술된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선형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인 하기 구조의 화합물일 경우, 보다 강한 이중층 반발력(Electronic double layer Repulsion)을 제공함으로써 폼 안정성에 기여하여 견고한 라멜라의 형성 및 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이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상술하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폼 안정성(Foam stability) 평가
도 1과 같이 구성하여 폼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8㎖ 용량의 플라스크에 해수 또는 소금물(Brine water) 4㎖를 채우고 아민옥사이드 화합물로서 하기 구조의 미리스틸디메틸아민 옥사이드(Myristyl dimethyl amine oxid)를 1wt%로 주입하고, 40℃ 및 50℃에서 140 bar 조건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가한 후 1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을 멈춘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폼에 대하여 폼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포도(Foamability, (Foam height/CO2 Phase height)x100)를 시간 별로 측정한 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4
미리스틸디메틸아민옥사이드
Figure pat00025
[실시예 2] 폼 안정성(Foam stability) 평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민옥사이드 화합물로서 코카미도 프로필디메틸아민 옥사이드(Cocamido Propyl Dimethyl amine oxide)를 1wt%로 주입하여 시간 별로 폼 안정성을 측정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6
Cocamido Propyl Dimethyl amine oxide
Figure pat00027
[실시예 3] 폼에 의한 점도 증가 평가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0.5wt%의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폼에 의한 점도 증가를 측정하였다. 이산화탄소와 물은 이산화탄소 4 volume에 Brine을 1 volume 비(이산화탄소와 물은 액체 상태 부피비 기준으로 4 : 1)로 주입하였다. 점도는 코일링된 모세관의 양쪽 차압을 측정하여 점도를 계산하였으며,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8
상기의 실시예에서 보여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폼 형성을 얻을 수 있고 폼 형성에 의한 점도 증가가 20 cP 이상으로 나타나 유동 조절 유체로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 21 : CO2 기체 실린더
12, 22, 24 : 실린지 펌프
13 : 스터러
14 : 관찰셀(View cell)
15 : 카메라
16 : 컴퓨터
23 : 아민옥사이드 용액
25 : 폼 생성기(Foam generator)
26 : 캐필러리 튜브
27 : 차압 측정장치(dP)
28 : 역류압 조절 장치(BPR)

Claims (13)

  1.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9

    [화학식 2]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C3-C7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7은 C1-C7의 알킬렌기 또는 C3-C7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내지 R6의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와 R7의 알킬렌기 및 시클로알킬렌기의 탄소 원자 -CH2-는 -NR- 또는 -O- 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은 수소 또는 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다.)
  3. 제 2 항에 있어서,
    R1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7-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이고, R2, R3, R4 또는 R5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3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인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구조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7. 추진 유체가 주입되는 단계와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이 주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39

    [화학식 2]
    Figure pat00040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 R5 또는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C3-C7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7은 C1-C7의 알킬렌기 또는 C3-C7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내지 R6의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와 R7의 알킬렌기 및 시클로알킬렌기의 탄소 원자 -CH2-는 -NR- 또는 -O- 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R은 수소 또는 1-C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은 하기 구조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0.01 내지 10 중량%로 주입되는 것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이 0.05 내지 2 중량%로 주입되는 것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추진 유체 및 유동조절유체 조성물이 주입되는 유전은 pH 3 내지 10, 온도 10 내지 70℃, 및 염 5 내지 25% 이하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유체의 주입은 추진 유체가 생산 유정(Producing Well bore)으로 배출될 때 주입을 중단하는 것인 유전의 원유 회수증진 방법.
KR1020140170215A 2013-12-13 2014-12-02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 KR20150069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7,905 US20150166878A1 (en) 2013-12-13 2014-12-11 Mobility Control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mine Oxide Compound and Enhance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5252 2013-12-13
KR1020130155252 2013-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21A true KR20150069521A (ko) 2015-06-23

Family

ID=5351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215A KR20150069521A (ko) 2013-12-13 2014-12-02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5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169A (zh) * 2017-10-18 2019-04-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超深气井中采用泡沫排水剂组合物排水采气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169A (zh) * 2017-10-18 2019-04-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超深气井中采用泡沫排水剂组合物排水采气的方法
CN109681169B (zh) * 2017-10-18 2021-05-2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超深气井中采用泡沫排水剂组合物排水采气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668B2 (en) Compositions for oil recovery and methods of their use
EP3303512B1 (en) Foam-forming surfactant compositions
EP2707571B1 (en) Method for enhanced oil recovery, using a foam stabilizer
US3342256A (en) Method for recovering oil from subterranean formations
US9267364B2 (en) Oil recovery
US10717921B2 (en) Co-surfactant foam-forming composition for enhanced oil recovery
Sheng Surfactant–polymer flooding
US2016021520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Nguyen et al. Low-tension gas (LTG) injection strategy in high salinity and high temperature sandstone reservoirs
US11708750B2 (en) Methods of enhanced oil recovery using dense carbon dioxide compositions
AlOtaibi et al. A novel technique for enhanced oil recovery: In-situ CO2-emulsion generation
EP2794810A1 (en) Oil recovery process
Ngo et al. Enhancing surfactant desorption through low salinity water post-flush during Enhanced Oil Recovery
KR20150069521A (ko) 아민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동 조절 유체(Mobility Control Fluid)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유 회수 증진 방법
US2016021520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US20160237337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US11434416B2 (en) Formation of in-situ activated injection fluids for enhanced oil recovery applications
Das Enhanced oil recovery using low tension gas flooding in high salinity, low permeability carbonate reservoirs
US20150166878A1 (en) Mobility Control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mine Oxide Compound and Enhance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CN112513224B (zh) 作为用于重油采收的蒸汽泡沫添加剂的烷基烷氧基化羧酸盐
US2016023007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ed hydrocarbon recovery
Moayedi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optimization of SAG process utilizing nonionic surfactants and sodium lignosulfonate
Klimenko et al. CO2 Geostorage and Enhanced Oil Recovery: Challenges in Controlling Foam/Emulsion Generation and Propagation
WO2023183575A1 (en) Foaming agents, gas mobility control agents,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oil recovery
Pope et al. Surfactant-less alkaline-polymer formulations for recovering reactive crude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