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255A -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 Google Patents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255A
KR20150069255A KR1020130155471A KR20130155471A KR20150069255A KR 20150069255 A KR20150069255 A KR 20150069255A KR 1020130155471 A KR1020130155471 A KR 1020130155471A KR 20130155471 A KR20130155471 A KR 20130155471A KR 20150069255 A KR20150069255 A KR 2015006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sture
hinge
upper body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9264B1 (en
Inventor
장용석장용석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3015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264B1/en
Publication of KR2015006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2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Abstract

Disclosed is a hinge device of an electronic apparatus. The hinge device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lt control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a lower main body to allow a change of a posture so that either one of a first posture and a second posture can be taken wherein an upper main body of an electronic apparatus is folded to overlap an upper portion of a lower main body in the first posture and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being in an open state is erected upwardly to a rear upper portion in the second posture. The tilt control apparatus is also provided for controlling a tilt of the upper main body in the second posture.

Description

전자기기의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0001]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본체에 대해 상부본체가 슬라이딩 이동 및 틸팅 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자기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ng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provided so that an upper body can continuously perform a sliding movement and a tilt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근래 들어 휴대용 컴퓨터 중에는 노트북의 성능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이동성을 결합시킨 태블릿 컴퓨터가 유행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ablet computers that combine the performance of a notebook and the mobility of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e become popular among portable computers.

통상 태블릿 컴퓨터는 스마트폰 타입의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패널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본체 형태가 전체적으로 단순한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enerally, the tablet computer adopts a touch panel method which can simultaneously input and output data on a display, such as a smart phone type mobile phone, so that the body form is generally provided to have a simple plate form as a whole.

이와 같이 단순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태블릿 컴퓨터는 대부분 이용자가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책상 등에 눕혀 놓고 이용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책상 등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시키기가 어려웠다. Since the tablet computer provided in such a simple plate shape is mostly used by a user with his or her hands or lying on a desk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tablet computer in a slanted state on a desk unless a separate stand is used.

따라서 최근 태블릿 컴퓨터 중에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상부본체가 하부본체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사용 편리성이 개선된 태블릿 컴퓨터가 등장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tablet computer having a display on its front side is provided so as to be raised in an inclined state above the lower body, and thus, the tablet computer is improved in convenience of us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6328호는 본체가 하부본체와,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상부본체로 마련되는 태블릿 컴퓨터로써, 상부본체가 하부본체 상부에 중첩되도록 포개어지는 제1자세와, 하부본체 전방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 상부에 힌지장치로 자세전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6328 discloses a tablet computer provided with a main body and an upper main body having a display on the front side thereof. The tablet computer has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upper main body is sup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front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s rais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upper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s opened, so that the posture can be switched by the hinge device.

따라서 상기 탬블릿 컴퓨터는 상부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가 상부를 향하도록 눕혀지거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의 자세를 보다 다양하게 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tablet computer can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laid down so as to face upward or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o that the posture of the display can be more variously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태블릿 컴퓨터의 경우, 상부본체를 하부본체 상부에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는 제2자세로 전환된 상부본체의 경사도가 조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일반 폴더 타입으로 개폐되는 노트북과 비교하였을 때, 비스듬히 경사진 디스플레이의 경사정도를 보다 다양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므로, 연전히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ablet computer, since the hinge device for connecting the upper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converted into the second posture is fixed without being adjusted,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obliquely inclined display can not be adjusted more variously, so that it has a limitation in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6328호(2013.10.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6328 (Oct. 23, 201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부본체가 하부본체 상부에 중첩되도록 포개어진 제1자세에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2자세로 자세전환 되는 전자기기에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로써, 사용편리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된 전자기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device for connecting between an upper main body and a lower main body in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pivoted to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upper main body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such that the upper main body is inclined obliquely in a first pos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nge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convenience is more effectively improv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상부본체를 하부본체 상부에 중첩되게 포개어지는 제1자세와, 상기 하부본체 전방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후방 상부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 상부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연결시키되, 상기 제2자세에 있는 상기 상부본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irst posture in which an upper body of an electronic device is superimposed over an upper portion of a lower body;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lower body is opened upwardly, And an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so as to be able to take an attitude in any one of the attitude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in the second attitude. A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전자지기기의 힌지장치는 전면이 상기 상부본체 배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와 함께 자세전환 되도록 마련된 지지판과, 상기 상부본체의 자세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하부본체 사이를 연결시키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지지판의 단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힌지와, 상기 상부본체의 배면이 상기 지지판 전면에 지지된 상태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켜 상기 연결힌지에 의한 상기 상부본체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마련된 구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device of the electronic paper machine includes a support plate having a front surface configured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upper main body in a state that the front surface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and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main body, And a link member, wherein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hing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body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 connecting hinge for restricting or releasing the state in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suppor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 restrain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allow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by the connecting hinge.

상기 연결힌지는 프리스톱(free stop) 힌지로 마련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inge may be provided as a free stop hinge.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상부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홈과,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 배면이 상기 지지판 전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지지판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aint unit includes an actuating member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a retaining groove provided on one of the actuating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and a retain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plate, And an engagement hook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or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상부본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작동버튼과, 슬라이딩 동작된 상기 작동부재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ai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so as to slide the operation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to return the operation member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구속유닛은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본체 배면이 자력에 의해 지지판 전면에 이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straint unit may include a magnet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는 하부본체 상부에 비스듬히 세워지도록 자세가 전환된 상부본체의 경사도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부본체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보다 다양한 자세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편리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The hinge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which is changed in posture so as to be rai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채용된 태블릿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태블릿 컴퓨터의 측면도로, 상부본체가 하부본체 상부에 제1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상부본체가 제2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채용된 태블릿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상부본체 내부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구속유닛을 통해 지지판과 상부본체 간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판과 상부본체 간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부본체가 연결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채용된 태블릿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경사조절장치의 구속유닛의 변형 예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지지판과 상부본체 간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부본체가 연결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ablet computer employing a hinge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tablet computer shown in FIG. 1, in which the upper body is in a first posture above the lower body.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s switched to the second posture in the state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ablet computer employing a hinge apparatu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hinge apparatus of the electronic apparatus is viewed from the outside.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body is released through the restraint unit in the state of FIG. 4;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connection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body is releas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ablet computer employing a hinge apparatu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modification of the restraint unit of the inclination adjusting apparatus.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connecting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body is released in the state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가 채용되는 전자기기는 하부본체(1)와, 하부본체(1)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본체(2)를 구비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탬블릿 컴퓨터를 포함한다. 1 to 4, a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the hinge apparatus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ncludes a lower main body 1 and an upper main body 2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And includes a tambour computer.

하부본체(1)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본체(1)의 상부 전방 쪽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a)가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1 may include a front case (not shown) and a rear case (not shown) which cooperatively form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 interface portion 1a for inputting /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main body 1 as described above.

인터페이스부(1a)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rmal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The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 button, a switch, a dial, a pointing device, and a touch pad, and the out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putterer.

상부본체(2) 역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본체(2)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2 may also include a front case (not shown) and a rear case (not shown) that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portion 2a may be provided.

그리고 이러한 상부본체(2)는 힌지장치(3)를 통해 하부본체 상부에 연결되며, 힌지장치(3)는 복수의 링크부재(10,20,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본체(2)를 하부본체(1) 상부에 중첩되게 포개어지는 제1자세와, 하부본체(1) 전방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후방 상부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 상부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The upper main body 2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through the hinge device 3. The hinge device 3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10, So as to be able to take any one of a first posture superim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is raised upward toward the rear upp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so as to be switchable.

힌지장치(3)는 전면이 상부본체(2)의 배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본체(2)와 함께 자세전환 되도록 마련된 지지판(40)을 구비하며, 상기 링크부재(10,20,30)는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와, 연결링크부재(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inge unit 3 includes a support plate 40 which is configured to be pivoted together with the upper main body 2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The link members 10,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and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

제1링크부재(10)는 일단이 하부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판(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링크부재(20)는 일단이 하부본체(1)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판(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링크부재(40)는 일단이 제1링크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main body 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40. The second link member 20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40. [0050]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member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member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20.

제1링크부재(1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본체(2)가 하부본체(1)에 중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본체(2,1)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20)는 제1링크부재(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어 제1링크부재(10) 안쪽에 제1링크부재(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link member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so that the upper body 2 is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2 and 1 in a folded state so as to overlap the lower body 1. [ . The second link member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ink member 10 inside the first link member 10.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의 양단부는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을 매개로 지지판(40) 및 하부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lower main body 1 via common shaft means such as a rotation pin, a rotation projection and a rotation shaft.

그리고 연결링크부재(30)는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를 서로 연결하여 하부본체(1)에 대한 제1링크부재(10)의 회전시 제2링크부재(20)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10)의 일단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부본체(2)의 회전 과정에서 하부본체(1)에 대한 상부본체(2)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링크부재(30)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10)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링크부재(30)의 타단은 제2링크부재(20)의 일단과 동일한 축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to each other to rotate the first link member 10 relative to the lower main body 1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0 toward and away from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minimizes lifting of the upper main body 2 relative to the lower main body 1 dur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main body 2 .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0,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the same rotation center.

인터페이스부(1a) 후방으로 하부본체(1)의 상면 중앙에는 수용공간(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본체(2)가 제1자세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와 연결링크부재(30)는 수용공간(1b)에 수용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on space 1b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 behind the interface portion 1a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and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Ib.

이러한 힌지장치(3)의 구성에 의해 상부본체(2)가 제2자세를 취하도록 경사지게 세워질 경우, 제2링크부재(2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30)에 의해 당겨지며 제1링크부재(10)의 일단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부본체(2)가 제1자세를 취하도록 하부본체(1) 상면으로 접힐 경우, 제2링크부재(2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30)에 의해 밀려나며 제1링크부재(1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body 2 is inclined to assume the second postur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device 3,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0 is pulled by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When the upper body 2 is fol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 so as to assume the first posture,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and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

이와 같이 연결링크부재(30)에 의한 제2링크부재(20) 일단의 당김 및 밀림에 의해 상부본체(2)는 하단이 하부본체(1)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부본체(1)에 대해 제1 및 제2자세로 자세 전환될 수 있다. 수용공간(1b)에는 제2링크부재(20)의 일단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하부본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 is pulled by the connecting link member 30 by pulling and push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main body 1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0 to the lower body in a movable state may b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b.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와 연결링크부재(30)는 하부 및 상부본체(1,2)의 양측 폭방향 중앙부에 하나씩 설치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링크부재(10,20,30)들은 3개의 링크부재가 하나씩 조를 이루는 복수개가 하부 및 상부본체(1,2)의 양측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and the linking link member 30 are provid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and upper bodies 1 and 2, 20, and 3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ree link members ar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lower and upper bodies 1 and 2.

이와 같은 힌지장치(3)에 의해 상부본체(2)는 제1자세에서 제2자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저부가 하부본체(1) 상부에서 후방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하부본체(1) 전방 상부를 개방시켜 하부본체(1)의 인터페이스부(1a)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본체(2) 전면의 디스플레이부(2a)가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서,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일반 노트북 같은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body 2 is slid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2 is opened to ope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by the hinge device 3 The interface portion 1a of the lower main body 1 is exposed upward and the display portion 2a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is erected inclined obliquely so tha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ablet computer To be used in the form.

또한 힌지장치(3)는 제1자세에 있는 상부본체(2)가 제2자세로 전환되는 동작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유닛(미도시)은 하부 및 상부본체(1,2)에 대한 제1링크부재(10) 및 제2링크부재(20)의 회전시 제1링크부재(10) 및 제2링크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hinge device 3 may further include a drive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operation of switching the upper body 2 in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can be implemented in a semi-automatic manner,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0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when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0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and upper bodies 1 and 2, The driving force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heels.

일 예로 구동유닛(미도시)은 종동캠부재, 구동캠부재,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동캠부재는 하부본체(1)에 제공되는 샤프트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종동캠부재의 일면에는 종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동캠프로파일은 샤프트의 축선 방향을 높이차를 갖는 골부와 산부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캠부재는 제1링크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종동캠부재의 종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구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종동캠부재에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스프링부재는 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e unit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n cam member, a drive cam member, and a spring member. The follower cam member can be installed to move linearly along the shaft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1, and a follower cam profile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lower cam member. Such a driven camp rope can be constitut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valley portion and the mountain portion having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drive cam member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0 and may be provided with a drive cam pawl corresponding to the driven cam profile of the driven cam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and to interact with the driven cam member . Further, the spring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driven cam member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approaches the drive cam member.

따라서 이와 같은 구동유닛(미도시)이 추가될 경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되므로,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종동캠부재 및 구동캠부재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종동캠부재의 직선운동은 탄성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러한 힘에 의해 하부본체(1)에 대한 제1링크부재(1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such a drive unit (not shown) is added, the driven cam member can be elastically contacted to the drive cam memb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so that the driven cam member and the drive cam member The linear motion of the follower cam member can be converted into an elastic rotational motion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main body 1 is resiliently made semi-automatically by this force .

이와 같은 상부본체(2)가 하부본체(1) 상부에 제 1 및 제2자세로 자세전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링크부재(10,20)와 연결부재(30)의 구성이나, 구동유닛(미도시)의 구성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6328호에 개시된 내용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0 and 20 and the connection member 30 that allow the upper body 2 to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in the first and second postures ,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disclosur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6328.

또한 제2자세로 자세가 전환된 상태의 상부본체(2)가 하부본체(1) 상부에 안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1)의 상부 양측에는 제2자세에 있는 상부본체(2)의 저부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c)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지지돌기(1c)에 대응하는 상부본체(2)의 저부 배면 양측에는 지지돌기(1c)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지지홈(2c)이 마련된다. In order to allow the upper body 2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is switched to the second posture, A support protrusion 1c for supporting the bottom bottom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orward an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1c, 2c.

따라서 제1자세에 있던 상부본체(2)는 상부가 세워지고 저부가 하부본체(1)에 상면에 인접한 상태로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자세로 전환되고, 제2자세로 완전히 자세가 전화되는 시점에서 상부본체(2)는 저부 배면의 지지홈(2c)에 지지돌기(1c)가 삽입되어 걸림에 따라 제2자세로 전화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pper body 2 in the first posture is switched to the second posture while the upper portion is raised and the lower portion is slid toward the rear in the state of being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 The upper main body 2 can securely hold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s 1c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s 2c of the bottom back surface so as to be in the second posture according to the engagement.

상부본체(2)가 제1자세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상부본체(2) 배면과 하부본체(1) 상면 사이가 지지돌기(1c)에 의해 들뜨게 되는 일이 없도록 상부본체(2)의 배면 양측으로 제1자세에서 지지돌기(1c)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지지돌기(1c)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2d)이 마련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 ar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up by the support protrusions 1c in the process of being dialed to the first postu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jection 1c in the first posture, a receiving groove 2d for receiving the support projection 1c is provid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힌지장치(3)는 전자기기의 사용편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2자세에 있는 상부본체(2)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사조절장치(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the hinge device 3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more effectively. The hinge device 3 includes a tilt adjustment device (50). ≪ / RTI >

경사조절장치(50)는 상부본체(2)와 지지판(40)의 단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힌지(60)와, 상부본체(2)의 배면이 지지판(40) 전면에 지지된 상태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켜 연결힌지(60)을 중심으로 지지판(40)에 대한 상부본체(2)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마련된 구속유닛(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50 includes a connecting hinge 60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body 2 and the end of the supporting plate 40 and a connecting hinge 60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2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2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40 And a restraining unit 70 provided to selectively allow rotation of the upper main body 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40 about the connecting hinge 60 by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hinge 60. [

상부본체(2)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0)은 일단이 제2자세에서 하단을 형성하게 되는 상부본체(2)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힌지(60)는 제2자세에서 상부본체(2)의 하단을 형성하는 상부본체(2)의 단부와 지지판(40)의 단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The support plate 40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2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second posture to the end of the upper body 2 in which the lower end forms the lower end, The end of the upper body 2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2 and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40 are rotatably connected.

연결힌지(60)의 설치를 위해 지지판(40)의 일단 양측으로는 한 쌍의 제1힌지브래킷(41)이 결합되며, 각 제1힌지브래킷(41)의 외측으로 상부본체(2) 일단 양측에는 한 쌍의 제2힌지브래킷(2e)이 결합되며, 연결힌지(60)는 제1 및 제2힌지브래킷(41,2e)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판(40)에 대한 상부본체(2)의 회전중심을 이루게 된다. A pair of first hinge brackets 41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40 for installing the connection hinge 6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bracket 41 is connected to both sides And a connecting hinge 6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brackets 41 and 2e to rotate the upper main body 2 relative to the supporting plate 40. The second hinge bracket 2e, Centered.

구속유닛(70)은 지지판(40) 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본체(2)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재(71)와, 작동부재(71)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부본체(2)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된 작동버튼(72)과, 슬라이딩 동작된 작동부재(71)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73)와, 지지판(40)에 마련된 걸림홈(74)과, 상부본체(2) 배면이 지지판(40) 전면에 지지된 상태로 걸림홈(74)에 걸리거나 걸림홈(7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작동부재(71)에 마련된 걸림후크(7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걸림홈(74)과 걸림후크(75) 부위를 확대 도시한 'B'부위는 지지판(40)의 배면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The restricting unit 70 includes an operation member 71 installed inside the upper main body 2 so as to be slidable toward the support plate 40 and an operation member 72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main body 2 to slide the operation member 71 A button 72 and an elastic member 73 for returning the operating member 71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an engagement groove 74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40, And an engagement hook 75 provided on the operation member 71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74 or detach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74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40. In FIG. 4, the 'B' region showing enlarged portions of the latching groove 74 and the latching hook 75 shows a structure viewed from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plate 40.

작동부재(71)는 작동로드(71a)와, 지지판(40)에 겹쳐진 상태로 작동로드(71a)와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마련된 작동판(71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75)는 작동판(71b)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버튼(72)은 눌려졌을 때 작동부재(71)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ember 7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rod 71a and an operation plate 71b that is configured to slide with the operation rod 71a in a state overlapping with the support plate 40. [ The hooking hook 75 may be installed on the operation plate 71b and the operation button 72 may be provided to push the operation member 71 in the sliding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72 is depressed.

상부본체(2) 내부에는 작동로드(71)와 작동버튼(72)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홈 형태의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73)는 작동부재(71)를 작동버튼(72) 쪽으로 탄성지지하여 작동버튼(72)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된 작동부재(71)와 눌려진 작동버튼(72)을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A groove-shaped support for slidingly supporting the actuating rod 71 and the actuating button 72 so as to prevent the actuating rod 71 and the actuating button 72 from being released can be provided in the upper body 2. The elastic member 73 includes an actuating member 71 To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operation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button 72 is removed and the operation member 71 and the depressed operation button 72 that are operated to slide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

탄성부재(73)는 압축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을 통해 슬라이딩 동작된 작동부재(71)와 작동버튼(72)을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홈(74)과 걸림후크(75)는 상호 반대로 배치되도록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73)는 작동로드(71a) 주변의 상부본체(2) 내부에 형성되는 턱부와 작동로드(71a)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된다. The elastic member 73 may be provided to restore the operation member 71 and the operation button 72 that are slid through the compression spring or the tension spring to the original position, 75 may be reversed to be plac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73 is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between the jaw portion formed in the upper main body 2 around the operation rod 71a and the operation rod 71a.

따라서 이와 같은 경사조절장치(50)가 마련된 상태에서는 상부본체(2)가 제2자세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작동버튼(72)을 누르게 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71)가 지지판(40) 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걸림후크(75)는 걸림홈(7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부본체(2)를 앞으로 당기게 될 경우, 상부본체(2)는 연결힌지(6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부(2a)의 각도를 이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5,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button 72 in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2 is switched to the second posture in a state where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5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71 are slid toward the support plate 40 so that the hooking hook 75 can be separated from the hooking groove 74.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body 2 forward The upper body 2 can rotate the connecting hinge 60 about the axis of the display unit 2a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2a to a desired angle.

그리고 다시 상부본체(2)의 자세를 제1자세로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상부본체(2)를 배면이 지지판(40) 전면에 지지되도록 지지판(40)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시 작동버튼(72)을 눌려 걸림후크(75)가 걸림홈(74)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버튼(72)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73)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71)와 작동버튼(72)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걸림후크(75)는 걸림홈(74)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판(40) 전면이 상부본체(2) 배면에 전체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어 지지판(40)에 대한 상부본체(2)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상부본체(2)는 다시 제2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부본체(2)를 하부본체(1) 상부로 누르게 되면, 상부본체(2)는 다시 하부본체(1) 상부에 중첩되도록 포개어지면서 제1자세로 자세가 전환된다. When the user wishes to switch the attitude of the upper main body 2 to the first attitude again, the user rotates the upper main body 2 toward the supporting plate 40 so that the back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40,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72 is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hook 75 is pressed into the engaging groove 74 by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72 to thereby remove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72, 71 and the operation button 72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hooking hook 75 is hooked on the hooking groove 74 to be fixed. In this state,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0 is entirely suppor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and the rotation of the upper main body 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40 is restricted,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main body 2 is pus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the upper main body 2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 again, and the posture is switched to the first posture.

경사조절장치(50)에 의해 제2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상부본체(2)의 경사조절 동작이 정해진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상부본체(2)가 원하는 각도에서 정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힌지(60)는 통상의 프리스톱(free stop) 힌지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djustment operation of the upper body 2 in the second posture can be stably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constant angle range by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50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hinge 60 may b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free stop hinge so as to maintain a precisely fixed state.

제2자세에서 상부본체(2)는 대략 전방에 위치한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부(2a)를 보기 편안하도록 대략 30~50도의 각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제2자세에 있는 상부본체(2)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힌지(60)는 제2자세로부터 대략 20~30도의 범위 내로 상부본체(2)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cond posture, the upper main body 2 can be designed to have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to 50 degrees so that a user positioned substantially at the front is comfortable to see the display portion 2a. When the upper main body 2 in the second pos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hinge 60 is se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2 within a range of about 20 to 30 degrees from the second posture so that the inclination can be freely adjus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upper body 2 is not vertically erected .

연결힌지(60)를 구성하는 프리스톱 힌지는 하부본체(1)에 대해 상부본체(2)가 조금 열렸을 때는 닫힘력을, 거의 개방되었을 때는 개방력을 클림감으로 제공하며, 그 사이의 틸팅 과정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경사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마련된 반자동 힌지를 가리킨다. The free stop hinge constituting the connection hinge 60 provides a closing force when the upper main body 2 is slightly ope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main body 1 and a closing force when the upper main body 2 is opened substantially, Quot; refers to a semiautomatic hinge provided so as to maintain an inclination angle as long as an external force does not act.

일 예로 연결힌지(60)는 가동캠과, 고정캠, 그리고 가동캠을 고정캠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힌지(60)의 구성들은 제1힌지브래캣(41)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하우징부(41a)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가동캠은 하우징부(41a) 내부에 하우징부(41a)의 길이방향으로만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고정캠은 가동캠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고정캠에는 제2힌지브래킷(2e)에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necting hinge 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able cam, a fixed cam, and an elastic member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movable cam toward the fixed cam.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necting hinge 60 may include a first hinge bracket 41 and a hollow housing part 41a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part 41a. The movable cam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onl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41a inside the housing part 41a, and the fixed cam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interaction with the movable cam, An extension 61 extending to engage the hinge bracket 2e may be provided.

가동캠과 고정캠에서 상호 접하는 접합면에는 각각 가동캠면과 고정캠면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가동캠면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안내돌기와, 안내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안내돌기는 평면으로 구성되는 프리스톱 안내면과, 프리스톱 안내면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안내면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캠면은 안내돌기와 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는 가동캠면의 경사안내면과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선접촉을 이루어 마찰력이 감소하고, 프리스톱 안내면과 걸림홈에 접하는 경우에는 면접촉을 이루어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고정돌기의 단부는 프리스톱 안내면과 같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vable cam surface and the fixed cam surface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joint surfaces that contact each other at the movable cam and the fixed cam. The movable cam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guide grooves form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And a slanting guide surface inclined at both sides of the free stop guide surface. The fixed cam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s. When the fixed protrus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 of the movable cam surface, the frictional force is reduced by the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 When the fre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free stop guide surface and the engaging groove, the end of the fixed protrusion Plan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예에서 구속유닛(70′)은 자석을 구비하여 상부본체(2) 배면이 자력에 의해 지지판(40) 전면에 이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lso, in the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raining unit 7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40 by a magnetic force.

즉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유닛(70′)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도록 상부본체(2) 배면에 설치되는 제1자력부재(70a)와, 지지판(40) 전면에 마련되는 제2자력부재(7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자력부재(70a,70b)는 모두 상호 간에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는 자석으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통해 구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40) 자체가 자성체로 구성될 경우, 제1자력부재(70a)를 자석으로 구성하게 되면, 제2자력부재(70b)는 생략이 가능하게 되며, 제2자력부재(70b)는 지지판(40) 표면에 얇게 코팅이 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7 and 8, the restraining unit 70 'includes a first magnetic force member 70a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2 so as to be mutually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And a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70b which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70a and 70b may be constituted by a magnet that forms attraction for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members 70a and 70b may be provided by a magnet and the other by a magnetic substance. When the first magnetic force member 70a is formed of a magnet,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70b can be omitted,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member 70b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40. [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in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40.

1: 하부본체 1a: 인터페이스부
2: 상부본체 2a: 디스플레이부
3: 힌지장치 10: 제1링크부재
20: 제2링크부재 30: 연결링크부재
40: 지지판 50: 경사조절장치
60: 연결힌지 70, 70′: 구속유닛
71: 작동부재 72: 작동버튼
73: 탄성부재 74: 걸림홈
75: 걸림후크
1: Lower main body 1a: Interface part
2: upper body 2a: display portion
3: hinge device 10: first link member
20: second link member 30: connecting link member
40: support plate 50: tilt adjustment device
60: connection hinge 70, 70 ': restraint unit
71: operation member 72: operation button
73: elastic member 74: latching groove
75: Retaining hook

Claims (6)

전자기기의 상부본체를 하부본체 상부에 중첩되게 포개어지는 제1자세와, 상기 하부본체 전방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후방 상부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 상부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연결시키되, 상기 제2자세에 있는 상기 상부본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A first postur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is sup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lower body is erected upwards toward the upper rear side in a state that the front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n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attitude, wherein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in the second attitude. 제 1항에 있어서,
전면이 상기 상부본체 배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와 함께 자세전환 되도록 마련된 지지판과, 상기 상부본체의 자세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하부본체 사이를 연결시키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지지판의 단부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힌지와, 상기 상부본체의 배면이 상기 지지판 전면에 지지된 상태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켜 상기 연결힌지에 의한 상기 상부본체의 회전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마련된 구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upper main body,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hing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body and the end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connecting hinge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support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restricting unit provided to selectively allow rotation of the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힌지는 프리스톱(free stop)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hinge is a free stop hin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상부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홈과, 상기 작동부재의 슬라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 배면이 상기 지지판 전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지지판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straint unit includes an actuating member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a retaining groove provided on one of the actuating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and a retain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ing plate, And an engagement hook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or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슬라이딩 시키도록 상기 상부본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작동버튼과, 슬라이딩 동작된 상기 작동부재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stri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so as to slide the operation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to return the operation member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Of the hinge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본체 배면이 자력에 의해 지지판 전면에 이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의 힌지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traint unit is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by magnetic force.
KR1020130155471A 2013-12-13 2013-12-13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1539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71A KR101539264B1 (en) 2013-12-13 2013-12-13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71A KR101539264B1 (en) 2013-12-13 2013-12-13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255A true KR20150069255A (en) 2015-06-23
KR101539264B1 KR101539264B1 (en) 2015-07-28

Family

ID=535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471A KR101539264B1 (en) 2013-12-13 2013-12-13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26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2877B1 (en) * 2000-06-05 2002-05-21 Richard J. Iredale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JP4333293B2 (en) * 2003-09-09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Electronics
US7907393B2 (en) * 2009-04-28 2011-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upport for a clamshell electronic device
KR101122171B1 (en) * 2010-04-09 2012-03-16 주식회사 다이아벨 Tilting Slide Apparatus and The Electronic Equipments hav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264B1 (en)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0219B2 (en) Sliding-tilt unit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EP3206379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01871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TWI470404B (en) Adjusting device of adjusting view angle of a panel module and computer system having the same
US20080304215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ickup structure
US2017009052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14440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3153902U (en) Multistage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170190A1 (en) Electronic device
JP2011077495A (en) Support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2475152B1 (en) Slid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11147110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116328A (en) Tablet computer capable of sliding and tilting
KR20070061817A (en) Rotation support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KR101539264B1 (en) Hing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1142554B1 (en) A terminal and sliding apparatus
KR101756147B1 (en) Slim Type Tilting Hinge and Electric Device having it
JP2011139422A (en)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KR101756141B1 (en) Slim Type Tilting Hinge and Electric Device having it
WO2021171017A1 (en) A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shells
KR20090099699A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153374B1 (en) Display tilt hinge device for bar type mobile phone
JP2011253037A (en) Display device
KR20120136616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KR20160025784A (en)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