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56A -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 Google Patents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56A
KR20150068856A KR1020130155007A KR20130155007A KR20150068856A KR 20150068856 A KR20150068856 A KR 20150068856A KR 1020130155007 A KR1020130155007 A KR 1020130155007A KR 20130155007 A KR20130155007 A KR 20130155007A KR 20150068856 A KR20150068856 A KR 2015006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binet
partition wall
exhaus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305B1 (ko
Inventor
윤진호
Original Assignee
윤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호 filed Critical 윤진호
Priority to KR102013015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은 다수의 캐비넷으로 구획되면서 서로 간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의 상판, 및 상기 캐비넷 내에 내장되는 가전기기들로 구성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열을 발생하는 주방가전기기가 매립 또는 내장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내격벽; 및 상기 내격벽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외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내격벽과 외격벽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격벽의 후면으로는 격벽 배기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캐비넷에 내장되는 전기 오븐 등의 주방가전기기의 발열되는 높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이중 격벽 구조의 캐비넷을 제공하여 강제 공냉시스템이 자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격벽 내의 공기 흐름 속도가 약 150 mm/sec 로 흘러 고열이 외벽으로 최소한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내부 작동기기는 물론 외벽까지 안전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CABINET HAVING DUAL LAYER WALL OF ALL IN ONE COMPACT KITCHEN APPLIANCES}
본 발명은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 공냉 시스템이 자동 작동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 경제 연구서의 리포트에 따르면, 2011년 전 세계 1인 가구 수는 2억 4,20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13%를 차지한다.
또한,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2013~2035년 장래가구 추계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3.9%이며, 2035년에는 1인 가구가 전체의 34.4%로 2인 가구(34%)와 함께 1~2인 가구가 가구 구성의 일반적인 형태(1~2인 가구 비율이 68%에 달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제 1인 가구의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아야 할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1인 가구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주거 공간, 시간, 소득이 제한된 1인 가구에게는 소형 가전제품이 유용하다. 이는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생활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율적인 제품이 1인 가구의 특성과 잘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형가전은 크기만 작아지고 여전히 생활공간을 잠식한 여러 형태와 종류의 주방가전기기들로 인해 사람들은 불편해 한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수 많은 가전 기기들의 코드 정리에 골머리를 앓는다. 복잡하게 얽혀있는 전원 플러그들은 하나 또는 두 개뿐인 콘센트에 모두 끼울 수가 없어 멀티 탭(multi tap)을 사용하거나, 가전 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83435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강제 공냉 시스템이 자동 작동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은 다수의 캐비넷으로 구획되면서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의 상판, 및 상기 캐비넷 내에 내장되는 가전기기들로 구성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열을 발생하는 주방가전기기가 매립 또는 내장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내격벽; 및 상기 내격벽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외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내격벽과 외격벽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격벽의 후면으로는 격벽 배기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격벽과 일측면으로는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통로 내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 구조 격벽 캐비넷의 외측으로는 측벽 외장재가 결합되는데, 상기 공기흡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 외장재에는 측벽 외장재를 관통하는 측벽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전면 상부의 내격벽과 외격벽 사이에는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은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공기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는 외벽와 내벽의 이중틀이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하부에는 다수의 유입공이, 도어의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도어의 배출공과 상기 이중 격벽 캐비넷의 상기 배기공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격벽은 상기 캐비넷 내에 내장되는 가전기기의 외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캐비넷에 내장되는 전기 오븐 등의 주방가전기기의 발열되는 높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이중 격벽 구조의 캐비넷을 제공하여 강제 공냉시스템이 자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격벽 내의 공기 흐름 속도가 약 150 mm/sec 로 흘러 고열이 외벽으로 최소한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내부 작동기기는 물론 외벽까지 안전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 격벽은 공냉 시스템이 작동시 필요한 공냉 공간을 한정하여, 다른 부위의 공간까지 공기가 불필요하게 순환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입력부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캐비넷의 내부에 내장되는 주방기기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격벽 캐비넷 내에 내장된 전기오븐의 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의 동작과 관련한 여닫이막의 작동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융합형 주방가전기기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들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기기들을 소형화시켜 하나의 틀 속에 탑재함으로써 공간활용성과 비용절감을 실현한다. 가전기기는 오븐, 쿡탑, 전자레인지, 믹서, 무선 주전자, 토스터, 커피메이커, 후드 등 다양한 가전기기들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융합형 주방가전기기(100)는 다수의 캐비넷으로 구획된 본체(110)와 그 상부의 상판(120)으로 구성된다.
본체(110)는 도면에서는, 우로 3개 캐비넷(111, 112, 113), 좌로 3개 캐비넷(114, 115, 116)으로, 총 6개의 캐비넷이 구성되며, 좌우의 캐비넷 사이에는 스피커(117) 및 온/오프(on/off)와 볼륨 다이얼(118)과 라디오 본체 및 USB 단자(11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 박스에는 전기 오븐, 전자레인지, 믹서, 토스터 등의 다양한 주방가전이 매립 또는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가전제품들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가전제품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어 적은 힘으로도 일체용 복합 주방기기(100)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캐비넷(111, 112, 113, 114, 115, 116)의 후면으로는 보조 공간(160, 도 14 참조)이 형성되어 다수의 주방가전기기의 배기 장치, 정수기의 정수시설과 배관, 및 전기설비 등이 설치된다.
상판(120)은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20)에는 공기청정기와 겸용이며 상판(1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 본체(121), 상기 후드 본체(121) 하부의 상판에 배치되는 쿡탑(122), 커피메이커(123), 무선 주전자(125), 및 정수기(126)가 배치된다. 또한, 상판에는 제어장치(도 3 참조)의 입력부인 터치스크린(13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방가전들을 하나의 터치스크린(130)에서 모두 작동 제어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터치스크린(130) 또는 블루투스(150)로 입력을 받아 컨트롤 보드(210)를 통하여 전류제어기(211) 및 각종 주방가전(220)들을 제어한다.
컨트롤 보드(210)는 각 주방가전(220)들의 동작입력을 터치스크린(130) 또는 블루투스(131)를 통한 스마트 기기로부터 지시받아서 주방가전(220)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 보드(210)는 주방가전들에 셋업되어 있는 전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발생할 시에는 전류를 차단한다. 컨트롤 보드(210)의 전류제어기(211)는 주방가전(220)들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하지 않는 주방가전들은 전원플러그를 제거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켜 절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보드(210)에는 저장 메모리(213)가 있어 사용자의 설정 모드에 의한 운용을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원터치 운용이 가능하게 한다.
제어장치(200)는 여러 종류의 주방 가전 기기들을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있어, 임베디드 컴퓨터인 컨트롤 보드(210)를 탑재하여 각 기기들의 기능 및 고유의 작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250)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효율적인 관리로 과부하 방지 및 누전차단, 절전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컨트롤 보드(210)를 통하여 전류 제어기(213) 및 각종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과부하 사용을 제어하고 디바이스에 셋업되어 있는 전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해당 기기 하나에만 전류를 차단한다.
하나의 장치에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여러 기기들을 사용할 때에도 정격 전압에 맞추어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상부에 설치된 제어장치(200)는 LCD 터치 스크린(130)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주방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00)의 입력부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의 터치스크린(130)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LCD 모니터(131)와 다수의 아이콘 버튼들을 포함한다.
아이콘 버튼들은 무선주전자 아이콘(132), 커피메이커 아이콘(133), 믹서 아이콘(134), 전기밭솥 아이콘(135), 토스터 아이콘(136), 후드 아이콘(137), 쿡탑 아이콘(138), 전자레인지 아이콘(139), 전기 오븐 아이콘(140), 식기 건조기 아이콘(141), 안전잠금장치(Safety Lock) 아이콘(142), 이동 아이콘(143), 되돌리기 아이콘(144), 선택 아이콘(14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쿡탑 아이콘(138)을 사용하여 쿡탑 조리시에는 자동으로 본 발명의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의 후드 배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음식 냄내나 수증기 등을 흡입하여 배기관을 통과한 후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후드 아이콘(137)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정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체의 캐비넷 내부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캐비넷의 내부에 내장되는 주방기기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측 최상단의 캐비넷(111)의 서랍식 도어(1111)를 열면, 이 서랍 내에는 믹서(1112) 및 토스터기(1113)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측 중간의 캐비넷(112)의 서랍식 도어(1121)를 열면, 이 서랍은 다용도 서랍으로 활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측 최하단의 캐비넷(113)의 서랍식 도어(1131)를 열면, 이 서랍은 식기 건조대로 활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최상단의 캐비넷(114)의 회전식 오븐 도어(300)를 아래로 열면, 전기 오븐(300)이 배치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 중간의 캐비넷(115)의 회전식 도어(1151)를 아래로 열면, 전자레인지(microwave)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 최하단의 캐비넷(116)의 서랍식 도어(1161)를 열면, 이 서랍에는 전기밥솥(1162)이 배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의 캐비넷의 전면의 서랍식 도어(1111, 1121, 1131, 1161) 및 회전식 도어(1151, 300)는 동일한 두께와 크기로 제작되어, 캐비넷별 도어면의 높낮이를 깔끔하고 균일하게 정돈하여 도어의 스타일을 통일시켰다.
이는 여러 주방가구나 리빙룸 가구 표면소재와도 동일한 스타일로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융합형 주방가전기기는 철재 등이 용접 또는 조립되어 철재 프레임(400)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상판(120)이, 측면으로는 측벽 외장재(340)가 결합된다.
철재 프레임(400)은 다수의 캐비넷이 생성되는 공간 틀을 형성하며, 이 중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전기 오븐 등의 주방가전기기가 수용되는 캐비넷은 이중격벽 캐비넷(370)으로 구성된다.
이중 격벽 캐비넷(370)은 내격벽(371)과 외격벽(372)으로 이루어지면, 그 사이에 배기통로(350)가 형성된다.
내격벽(37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으로서, 내격벽 내에 전기 오븐 등의 열을 발생하는 주방가전기기가 매립 또는 내장된다. 또는 내격벽(371) 자체가 전기 오븐 등의 주방가전기긱의 외벽일 수 있다.
외격벽(372)은 내격벽(371)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내격벽(371)과 외격벽(372) 사이에는 배기통로(350)가 형성되며, 전면의 내격벽과 외격벽의 사이에는 배기통로(350)와 연통되는 배기공(317)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317)은 이중 격벽 캐비넷 내의 전기 오븐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 등을 흡입하여 배기통로(35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이후에 상술하겠지만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공기통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격벽(372)과 일측면으로는 공기 흡입홀(373)이 형성되어 배기통로(350) 내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외격벽(372)의 후면으로는 격벽 배기홀(375)을 구비하여, 배기공(317)과 공기흡입홀(373)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배기통로(350)를 거쳐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격벽 배기홀(3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이중 격벽 캐비넷의 외측으로는 측벽 외장재(340)가 결합되는데, 공기흡입홀(373)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 외장재(340)에는 측벽 외장재를 관통하는 측벽통로(325)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 통로(325)는 철재 프레임(400)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며, 또한 이중 격벽 캐비넷의 공기 흡입홀(373)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중 격벽 캐비넷 내에 전기 오븐이 내장된 실시예로 이중 격벽 캐비넷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오븐(300)은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킨다. 전기오븐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접하는 캐비넷의 다른 주방가전에 전달되거나, 상판에 전달되어 다른 주방가전들의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더 나아가 화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 오븐은 이중 격벽 캐비넷 내에 내장 또는 매립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300)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격벽 캐비넷 내에 내장된 전기오븐의 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오븐 도어(310)는 본체(120)의 전기오븐(300)과 힌지결합(320)에 의하여 결합되며, 하부로 여닫을 수 있도록 도어 손잡이(301)를 구비하고 있다.
오븐 도어(310)는 외벽(330)와 내벽(335)의 이중틀이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공기통로(337)가 형성되어 있다.
오븐 도어(3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유입공(314)이, 도어의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3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이중 격벽 캐비넷(370)에는 전기오븐(3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기오븐(300)에는 오븐 도어(310)가 힌지결합(320)되어 상하로 여닫을 수 있다. 그런데, 이중 격벽 캐비넷(114)의 외격벽과 전기오븐(300) 사이는 이격되어서 그 사이에 배기통로(350)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 오븐(300)의 오븐도어(310) 또는 본체의 측벽통로(32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배기통로(350)와 격벽 배기홀(375, 도 12 참조), 및 배기관(165)을 통과하여 보조공간(160)에 배치된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전기오븐(300)이 동작할 때,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가 자동 동작되어, 전기오븐(300)의 외벽의 배기통로(350)로 공기를 순환하도록 하여, 뜨거워진 공기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체(110)의 하단 캐비넷(113)에는 전기밥솥이 배치되며, 캐비넷(113)의 후면 보조공간으로 배기 파이프(161)가 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7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밥솥이 동작 중일 때에는,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가 동작되어서, 전기밥솥이 취사 작동 중일 때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165)에는 보조공간(160)과 연통하는 보조통로(163)를 구비하여, 보조공간(160)의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기파이프(161) 및 보조통로(163)는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지만, 구조를 변형시켜서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의 사용에 의하여 외부로 배기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의 상판(120)은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20)에는 공기청정기와 겸용이며 상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121)를 구비한다. 상기 후드 하부의 상판에 배치되는 쿡탑(122)이 배치된다.
상기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121)는 그 하단부가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와 연결되어서, 후드(121)가 동작할 때,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가 동작되어, 공기를 후드(121)가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판에 끼워져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와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의 배출구에는 각각 여닫이막(171, 181)이 형성되며, 공기필터(190)를 거쳐서 융합형 주방가전 기기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공기필터(190)는 카본 공기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필터(190)에 의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오븐배기 구동모터(170)의 배출구에 형성되는 오븐 배기 여닫이막(171)과 후드배기 구동모터(180)의 배출구에 형성되는 후드 배기 여닫이막(181)은 각각의 구동모터가 동작할 때만 개방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의 동작과 관련한 여닫이막의 작동 단면도들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전기 오븐과 연결된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오븐 배기 여닫이막(171)은 개방된다. 후드(121)와 연결된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후드 배기 여닫이막(181)은 닫혀져 있다. 따라서,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의 동작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후드(121)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후드(121)와 연결된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후드 배기 여닫이막(181)은 개방된다. 전기 오븐과 연결된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오븐 배기 여닫이막(181)은 닫혀져 있다. 따라서,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의 동작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전기오븐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기 오븐과 연결된 오븐 배기 구동모터(170)와 후드(121)와 연결된 후드 배기 구동모터(180)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는 오븐 배기 여닫이막(171)과 후드 배기 여닫이막(181)은 모두 개방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모터가 만드는 공기압에 의하여 서로 간에 역류가 발생할 수 없다.
100: 융합형 주방가전기기 110: 본체
111. 112, 113, 114, 115, 116: 캐비넷
117: 스피커 118: 볼륨 다이얼
119: 라디오 및 USB 단자 120: 상판
121: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본체 122: 쿡탑
123: 커피 메이커 125: 무선 주전자
126: 정수기 130: 터치스크린
131: LCD 모니터 132: 무선주전자 아이콘
132: 커피 메이커 아이콘 134: 믹서 아이콘
135: 전기밭솥 아이콘 136: 토스터 아이콘
137: 후드 아이콘 138: 쿡탑 아이콘
139: 전자레인지 아이콘 140:전기 오븐 아이콘
141:식기 건조기 아이콘
142: 안전잠금장치(Safety Lock) 아이콘
143: 이동 아이콘 144: 되돌리기 아이콘
145: 선택 아이콘 150: 블루투스
160: 보조공간 161: 배기 파이프
163: 보조통로 165: 배기관
170: 오븐 배기 구동모터 171: 오븐 배기 여닫이막
180: 후드 배기 구동모터 181: 후드 배기 여닫이막
190: 필터 200: 제어장치 210: 컨트롤 보드 211: 전류 제어기 213: 저장 메모리 300: 전기 오븐 301: 오븐 손잡이 310: 오븐 도어
314: 유입공 315: 배출공
317: 배기공 320: 힌지결합
325: 측벽 통로 330: 외벽
335: 내벽 337: 공기통로
340: 측벽 외장재 350: 배기통로
370: 이중 격벽 캐비넷 371: 내격벽
372: 외격벽 373: 공기 흡입홀
365: 격벽 배기홀 400: 철재 프레임

Claims (8)

  1. 다수의 캐비넷으로 구획되면서 서로 간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의 상판, 및 상기 캐비넷 내에 내장되는 가전기기들로 구성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열을 발생하는 주방가전기기가 매립 또는 내장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내격벽; 및
    상기 내격벽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외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내격벽과 외격벽 사이에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외격벽의 후면으로는 격벽 배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격벽과 일측면으로는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통로 내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구조 격벽 캐비넷의 외측으로는 측벽 외장재가 결합되는데, 상기 공기흡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 외장재에는 측벽 외장재를 관통하는 측벽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전면 상부의 내격벽과 외격벽 사이에는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은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공기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벽와 내벽의 이중틀이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하부에는 다수의 유입공이, 도어의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도어의 배출공과 상기 이중 격벽 캐비넷의 상기 배기공은 서로 연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격벽은 상기 캐비넷 내에 내장되는 가전기기의 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KR1020130155007A 2013-12-12 2013-12-12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KR10161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007A KR101615305B1 (ko) 2013-12-12 2013-12-12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007A KR101615305B1 (ko) 2013-12-12 2013-12-12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56A true KR20150068856A (ko) 2015-06-22
KR101615305B1 KR101615305B1 (ko) 2016-04-25

Family

ID=5351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007A KR101615305B1 (ko) 2013-12-12 2013-12-12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706A1 (de) * 2018-09-11 2020-03-18 Convotherm Elektrogeräte GmbH Gargeräteanordnung, insbesondere gewerbliche gargeräteanordnung
CN115381991A (zh) * 2022-06-17 2022-11-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前排气消毒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760Y2 (ja) * 1990-03-09 1996-08-21 シャープ株式会社 調理家具組み込み形電子レンジ
JP4603901B2 (ja) * 2005-02-15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キッチン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706A1 (de) * 2018-09-11 2020-03-18 Convotherm Elektrogeräte GmbH Gargeräteanordnung, insbesondere gewerbliche gargeräteanordnung
CN115381991A (zh) * 2022-06-17 2022-11-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前排气消毒柜
CN115381991B (zh) * 2022-06-17 2023-08-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前排气消毒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305B1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8996C (zh) 整体厨房智能一体化设备
RU2382280C2 (ru) Печь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внутренних элементов
KR101615305B1 (ko)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CN104105924A (zh) 加热烹调器
JP2006220320A (ja) 加熱調理器
CN109611895A (zh) 一种可变式多功能集成灶
CN211795810U (zh) 多功能集成智能烹饪装置
KR101364786B1 (ko) 배기 장치를 갖는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KR200473042Y1 (ko)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KR101615302B1 (ko)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스탠드형 회전식 후드 장치
CN207378872U (zh) 带灶具的嵌入式厨具一体机及橱柜
TWM642730U (zh) 具電路控制裝置之抽屜式電器櫃
TWM643935U (zh) 具電路控制裝置之掀蓋式電器櫃
CN211380786U (zh) 与集成灶合为一体的长时间预约烹饪机
CN210624609U (zh) 烟灶一体机
KR101615299B1 (ko)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오븐 도어
CN206291266U (zh) 油烟机
CN209726272U (zh) 一种多功能灶具
CN217937603U (zh) 一种集成烹饪机
CN216619934U (zh) 集成式厨房设备
CN201277628Y (zh) 一体化家用厨电集成灶
WO2014014227A1 (ko)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WO2006039854A1 (fr) Dispositif integre intelligent pour cuisine modulaire
CN217772033U (zh) 控制面板、蒸汽烹饪装置和集成灶
CN111810994A (zh) 家用电器与烹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