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18A -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 Google Patents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18A
KR20150068818A KR1020130154926A KR20130154926A KR20150068818A KR 20150068818 A KR20150068818 A KR 20150068818A KR 1020130154926 A KR1020130154926 A KR 1020130154926A KR 20130154926 A KR20130154926 A KR 20130154926A KR 20150068818 A KR20150068818 A KR 2015006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peater
relay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옥진
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3015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818A/en
Publication of KR2015006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4Modula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repeater which does not require an installation bracket. The repeater which does not require an installa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peater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which is formed inside the repeater body and through which a fixing member passes wherein the fixing member fixes the repeater body to an installation location.

Description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

본 발명은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that does not require a mounting bracket.

도 1은 종래의 중계기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peater installation meth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 브라켓(이하, '브라켓'이라 칭함)을 벽면과 같은 설치 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라켓에 중계기 본체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install a repeater, an installation bra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racket") is fixed to a mounting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nd work is performed by mounting the repeater main body on the bracket.

그러나, 도 1과 같은 설치 방법은 브라켓을 반드시 필요로 하며, 브라켓을 설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를 일일이 설치 면에 시공해야 하므로 설치 및 운용에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면의 파손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mounting method as shown in FIG. 1 requires a bracket and a plurality of screws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mounting position must be installed on each mounting surface, it is troublesom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o give.

또한, 중계기 본체를 브라켓에 거치하는 방식이므로 설치 면이 벽이 아닌 천장과 같은 곳에는 중계기 설치가 곤란한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of the repeater is mounted on the bracket,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repeater in a place where the installation surface is not a wall but a ceiling.

이에, 중계기 설치 시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함으로써 설치 및 운용을 간편하게 하며,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 시 설치 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epeater main body by fixing the main body of the repeater to the mounting surface without using a bracket when installing the repeater, and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mounting surface when the repeater main body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계기 설치 시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하여 설치 및 운용을 간편하게 하며,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 시 설치 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ixing a repeater main body to a mounting surface without using a bracket,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nu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계기 본체; 및 상기 중계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중계기 본체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을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apparatus comprising: a relay main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lay main body and through whic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lay main body to the installation site passes, wherein the relay bracket is not requi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In one embodiment,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체결 홈과 체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룰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hinge and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jection to form the main body of the rel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In one embodiment,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후크(hook)와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룰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coupled by a hinge and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The other end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is coupled by a hook and a hooking jaw, The main body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In one embodiment,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룰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hinge to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screws or bolts and nuts to form the relay main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홈(groove)이 각각 형성되며,In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each provided with a groove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상기 각각 형성된 관통 홈은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의 결합으로 상기 관통 홀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 설치 시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운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of the repeater can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without using the bracket when installing the repeate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can be simplified.

또한, 천장과 같이 중계기 본체를 단순 거치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main body of the repeater can not be simply mounted like a ceiling.

또한, 브라켓을 설치 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부재 사용이 불필요 하므로, 중계기 본체를 설치 면에 고정 시 설치 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 since it is unnecessary to us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mount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mounting surface when fixing the relay main body to the mounting surface.

도 1은 종래의 중계기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peater installation method.
2 is a view illustrating a repeater in which an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quired.
3 is a view illustrating a repeater in which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quire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repeater which does not require an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repeater in which an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이하, '중계기'라 칭함)(100)는 중계기 본체(110) 및 중계기 본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홀(120)(hole)을 포함할 수 있다.A repeater 100 that does not require an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120 formed in a repeater main body 110 and a repeater main body .

여기서, 관통 홀(120)은 중계기 본체(110)를 설치 장소(이하, '설치 면'이라 칭함)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고정 나사 등)가 관통되며, 설치 면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계기 본체(110)가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through-hole 120 is passed through a fixing member (for example, a fixing screw or the like) for fixing the relay main body 110 to an installation pl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stallation surface) The relay main body 110 can be fixed by the member.

즉, 도 2의 (a)와 같이, 중계기 본체(110)를 설치 면에 일시적으로 고정(예를 들어, 작업자가 손으로 일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를 이용해 중계기 본체(110)를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A, when the relay main body 11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for example, temporarily fixed by a hand by an operator) .

도 2의 (a)와 같은 경우, 천장과 같이 중계기 본체(110)를 설치 면에 거치하기 곤란한 환경에도 중계기 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도 중계기 본체(110)가 설치 면에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FIG. 2A, the repeater main body 110 can be fixed to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repeater main body 110 on a mounting surface like a ceil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separated.

참고로, 도 2의 (b)와 같이 고정 부재가 설치 면(예를 들어, 벽면)에 먼저 고정된 후, 중계기 본체(110)를 고정 부재에 간단히 거치할 수 있는 거치 홀(130)이 중계기 본체(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2 (b), the fixing hole 130, which can easily mount the relay unit main body 110 on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e.g., wall surface) Or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repeater in which a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qui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200)는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로 분리되는 중계기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일단은 힌지 결합에 의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타단은 체결 홈과 체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중계기 본체(210)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peat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peater main body 210 separated into a first main body 211 and a second main body 212 and may include a first main body 211, One end of the second body 212 rotates in a specific angle range by hinge coupling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are coupled by a coupling groove and a coupling projection to form one relay body 210 .

여기서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에는 고정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홈(220)(groove)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홈(220)은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타단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고정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may each have a through groove 220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can pass. The through body 220 has the first body 2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21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can pass.

즉, 설치 면(벽면이나 천장 등)에 고정 부재를 먼저 고정 시킨 상태에서,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타단을 결합시키면, 도 3과 같이, 하나의 중계기 본체(210)가 형성되며, 설치 면에 고정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계기 본체(210)가 설치 면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fixing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wall, ceiling, or the like), one relay main body 210 And the relay main body 210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the fixing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도 3의 방법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중계기 본체(210)를 설치 면에 직접 고정 시 중계기 본체(21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장과 같이 중계기 본체(210)를 설치 면에 거치하기 곤란한 환경에서도 중계기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도 중계기 본체(210)가 설치 면에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3 can prevent breakage or damage of the relay main body 210 when the relay main body 210 is directly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using a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not only to fix the repeater main body 210 in a difficult environment but also to prevent the repeater main body 2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even in an external impact.

참고로, 도 3에서는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타단이 체결 홈과 체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타단은 후크(hook)와 후크가 걸리는 걸림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3,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are coupled by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However,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212 may be coupled by hooks and hooking jaws, or may be joined by screws or bolts and nuts.

물론,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의 일단 또한 힌지 결합이 아닌 체결 홈과 체결 돌출부에 의한 결합, 후크(hook)와 후크가 걸리는 걸림턱에 의한 결합, 나사에 의한 결합, 볼트와 너트에 의한 결합이 적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one end of the first main body 211 and the second main body 2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not only the hinge but also the engagement by the engagement groove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the engagement by the hook and the engagement hook, Coupling by bolts and nuts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이 필요 없는 중계기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repeater which does not require an install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이나 천장 등의 설치 면에 고정 부재를 먼저 고정 시킨 상태에서, 제 1 본체(211)와 제 2 본체(212)를 결합시켜 중계기 본체(210)가 설치 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4, the first main body 211 and the second main body 212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fixing the fixing member to a mounting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or a ceiling, It can be fix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 중계기
110, 210 : 중계기 본체
211 : 제 1 본체
212 : 제 2 본체
120 : 관통 홀
130 : 거치 홀
100, 200: Repeater
110 and 210:
211:
212:
120: Through hole
130: mounting hole

Claims (5)

중계기 본체; 및
상기 중계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중계기 본체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
을 포함하는 중계기.
A repeater main bod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lay main body and through whic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lay main body to the installation site passe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체결 홈과 체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루는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hinge to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coupling groove and a coupling projection to form the main body of the transf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후크(hook)와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루는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hinge to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and a hook that hooks the hook to form the relay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본체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일단은 힌지로 결합되어 특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은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중계기 본체를 이루는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by a hinge to rotate in a specific angle ran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coupled by a screw or a bolt and a nut to form the relay main body.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홈(groove)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 형성된 관통 홈은 상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의 타단의 결합으로 상기 관통 홀을 형성하는 중계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grooves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And each of the formed through-holes forms the through-hole by engag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KR1020130154926A 2013-12-12 2013-12-12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KR201500688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26A KR20150068818A (en) 2013-12-12 2013-12-12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26A KR20150068818A (en) 2013-12-12 2013-12-12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18A true KR20150068818A (en) 2015-06-22

Family

ID=5351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26A KR20150068818A (en) 2013-12-12 2013-12-12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8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434B2 (en) Wall-mounting structure for wall-mounted electronic device
GB2437039A (en) Boundary scan testing system
WO2014187198A1 (en) Mounting device
US20080278959A1 (en) Mounting apparatus for light guide pipe
KR20150068818A (en) Repeater without installation bracket
KR100836836B1 (en) Device for fixing the air conditioner of ceiling installation type
JP2017531303A (en) Fasteners and fastener assemblies
KR101496332B1 (en) Crescents
KR101097356B1 (en) An industrial monitor setting device
JP5293470B2 (en) DIN rail mounting adapter
KR20100034351A (en) Fixing apparatus
KR102471193B1 (en) cable drum close type pulling device
JP6497361B2 (en) Mounting bracket for equipment
CN105530472A (en) Monitor apparatus
JP5987649B2 (en) Unit mounting structure
CN202412502U (en) Auxiliary mounting tool for LED (light-emitting diode) panel lamp
CN210799605U (en) Spliced screen fixing device and spliced screen display system
KR101859763B1 (en) front installation type control box protection device
JP3176040U (en) Fluorescent lamp installation base
KR20190072361A (en) A method of fixing a ceiling structure including a fixed fastener
JP2007198580A (en) Elbow for racking
JP2010035383A (en) Internal machine fitting adapter
JP2015089301A (en) Cabinet structure
CN106527020B (en) Photographic system with internal load mechanical interfa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EP1701421A3 (en) Apparatus for releasably fixing molded parts of cable 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