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556A -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556A
KR20150068556A KR1020130154231A KR20130154231A KR20150068556A KR 20150068556 A KR20150068556 A KR 20150068556A KR 1020130154231 A KR1020130154231 A KR 1020130154231A KR 20130154231 A KR20130154231 A KR 20130154231A KR 20150068556 A KR20150068556 A KR 2015006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information
item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396B1 (ko
Inventor
강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3015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96B1/ko
Priority to PCT/KR2014/012173 priority patent/WO2015088257A1/en
Publication of KR2015006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연관 컨텐츠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연관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RELATED SERVICE USING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TV는 단방향 서비스만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처리 용량의 증가로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셋탑박스 또는 TV 자체 성능의 향상 및 네트워크 대역폭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과거부터 제공되던 라이브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주문형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실시간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 이외에도, 게임, 쇼핑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TV와 휴대 단말과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TV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상품 정보, 주인공 관련 정보 등)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V 및 휴대 단말의 연결을 통한 서비스는 단순히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만 할 뿐, TV와 휴대 단말간 상호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행위 없이도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휴대 단말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를 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미러링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러링 서비스는 휴대 단말에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을 단순히 TV를 통해 출력하기만 할 뿐, 이와 연관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66331호(공개일 : 2003년 8월 9일)
본 발명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연관 컨텐츠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연관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없이 상기 제 1 컨텐츠의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단말기의 기설정된 영역에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서버는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연관 서비스부;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UI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제 1 단말기의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제 2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풍부한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므로, 사용자는 상기 아이템의 종류, 내용 등을 즉시 파악할 수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기가 용이하고 편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이템에 상기 연관 컨텐츠의 가격 정보, 회차 정보, 할인 정보, 소스 정보, 화질 정보 등이 제공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그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방향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자 사용하는 제 1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연관 서비스)를 제 2 단말기, 예를 들어 텔레비젼(TV)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연관 서비스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기설정 영역의 일부에는 가격 정보, 시간 정보, 할인 정보, 화질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연관 컨텐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102), 서비스 수단부(104) 및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102), 서비스 수단부(104) 및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후술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하여 인증된 후 제 2 단말기(1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단말기(102)와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등의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스트리밍(streaming)하거나 미러링(mirroring)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컨텐츠에 해당하는 제 1 단말기(100)의 제 1 화면이 제 2 단말기(102)로 미러링되어 제 2 단말기(102)에 상기 제 1 화면에 대응하는 제 2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1 화면과 동일한 화면일 수도 있고, 상기 제 1 화면의 일부 화면일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에서 제 2 단말기(102)로의 제 1 컨텐츠의 전송은 예를 들어 Wi-Fi를 기반으로 하여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저장한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제 1 컨텐츠 또는 제 1 화면을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2 단말기(102)에는 제 1 단말기(100)의 제 1 화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컨텐츠, 예를 들어 유튜브(Youtube)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 1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제 2 단말기(102)에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단말기(100)의 제 1 화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화면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를 수신하되 디스플레이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에는 연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츠 또는 상기 제 1 화면을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컨텐츠 또는 제 1 화면을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기(100)는 자신이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하지만, 상기 제 1 컨텐츠의 일부만을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지 이미지만을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연관 서비스 제공을 지원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미러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102)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 1 컨텐츠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연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연관 서비스로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서비스 수단부(104)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따라 서비스 수단부(104)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컨텐츠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동일하나 다른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고, 상기 제 1 컨텐츠에 해당하는 시리즈물의 다른 회차 컨텐츠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관 컨텐츠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되는 한 제한이 없다.
한편, 제 2 단말기(102)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 1 컨텐츠를 미러링받기 때문에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알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타이틀 등을 이용하여 연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가 어떤 프로그램인지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연관 서비스 정보, 예를 들어 연관 컨텐츠들을 나타내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 1 컨텐츠 위에 오버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1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컨텐츠 위에 4방향 UI를 오버랩시키고, 사용자가 특정 UI 선택시 상기 선택된 UI에 해당하는 아이템들을 상기 제 1 컨텐츠 위에 오버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연관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의 일부 또는 상기 아이템의 표시 영역의 일부에 가격 정보, 시간 정보, 화질 정보, 할인 정보, 회차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연관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타이틀만 표시하면, 상기 타이틀만으로는 해당 연관 컨텐츠의 내용 및 화질 등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아이템들을 선택하기도 어렵고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아이템들을 예를 들어 동영상으로 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위에 가격 정보, 시간 정보, 화질 정보, 할인 정보 또는 회차 정보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을 통하여 화질 및 가격 등을 즉시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할인 가격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격 대비 화질이 우수한 아이템을 선택하여 해당 연관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가 아닌 컨텐츠 사업자(예를 들어, PAYTV 사업자)의 연관 컨텐츠들로 사용자를 유도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격 대비 화질이 우수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컨텐츠 사업자는 상당한 수익을 창출할 수가 있다. 컨텐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기가 용이하므로, 컨텐츠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더 우수한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2 단말기(102)는 제 1 컨텐츠 또는 제 1 화면을 기초로 하여 연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서비스에 따른 연관 컨텐츠는 서비스 수단부(104) 또는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단말기(102)는 셋탑(STB) 또는 셋탑 기능을 가지는 TV일 수 있다.
서비스 수단부(104)는 검색 서버(110) 및 연관 서비스 서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서버(110)는 제 2 단말기(102)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 2 단말기(102) 또는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로부터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검색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서버(110)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이용하여 제 1 컨텐츠가 어떤 프로그램인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검색 서버(110)는 제 1 컨텐츠가 "무한 도전"인 경우 상기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컨텐츠가 "무한 도전" 프로그램임을 검출할 수 있다. 검색 서버(110)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는 타이틀 정보 및 회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서버(110)는 상기 이미지 또는 오디오가 "무한 도전 110회"에 해당한다는 정보, 즉 검색 결과를 제 2 단말기(102) 또는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102)는 검색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검색 결과에 따라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연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관 서비스의 요청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제 2 단말기(102)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제 2 단말기(102)에서의 연관 서비스 요청 또는 검색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관 서비스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 리스트 제공 서비스, 추천 컨텐츠 리스트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에 대한 정보인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에 따라 4방향 UI를 매개로 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컨텐츠가 시리즈물인 경우,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시리즈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인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특정 연관 컨텐츠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상기 연관 컨텐츠를 연관 서비스 서버(112) 또는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는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PAYTV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검색 서버(110)와 연관 서비스 서버(112)가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서비스 수단부(104)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00)의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서비스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2 단말기(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연관 컨텐츠에는 가격 정보, 시간 정보, 화질 정보, 할인 정보 또는 회차 정보 등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연관 컨텐츠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가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미러링할 때 상기 제 1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상기 제 1 컨텐츠와 함께 제 2 단말기(102)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 1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타이틀, 주인공, 줄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 영상(예를 들어, 결혼 동영상, 게임 영상, 여행 사진 등)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에 대한 태그 정보(영상 주제, 장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검색 서버(110)로 검색을 요청함이 없이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전송하여 연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방향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102) 및 연관 서비스 서버(112) 사이에 페어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제 1 단말기(100)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 처리 과정은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이어서, 제 1 단말기(100)는 인증이 완료된 후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미러링시킬 수 있다(S202). 즉, 제 2 단말기(102)에 상기 제 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제 1 단말기(100)의 제 1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제 1 컨텐츠가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미러링 과정의 특성상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알 수가 없을 수 있다.
계속하여,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로부터 정지 이미지, 오디오 또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204).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일부를 캡처하여 정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정지 이미지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컨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정지 이미지로 가정하겠다.
이어서,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검색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206).
계속하여, 검색 서버(110)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어떤 프로그램인지를 검색한다(S208). 즉, 검색 서버(110)는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미러링시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모르더라도 검색 서버(110)를 통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검색 서버(110)는 검색 결과를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하거나(S210), 상기 검색 결과를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할 수 있다(S214).
계속하여,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연관 서비스를 요청한다(S212). 바람직하게는,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연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102)는 검색 결과로서 "무한 도전 110회"라는 정보를 검색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경우, "무한 도전 110회"라는 정보를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상기 연관 서비스 요청에 따라 연관 서비스 정보(S216)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한다(S218).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일 수 있다.
계속하여,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되,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를 4방향 UI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S220). 구체적으로는, 4방향 U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UI, 연관 컨텐츠 UI, 추천 UI 및 찜 보관함 UI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UI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연관 컨텐츠 UI를 선택하면,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관 컨텐츠 UI 내의 아이템들이 제 2 단말기(10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UI 구현을 위해서는 연관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UI별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UI의 종류, 배열 등은 도 3 및 도 5로 한정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는 4방향 UI가 디스플레이된 후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연관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4방향 UI의 디스플레이 없이 아이템들이 제 2 단말기(102)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UI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가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즉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의 프로그램 타이틀이 함께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아이템만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아이템의 소스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컨텐츠의 정지 이미지, 오디오 및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연관 컨텐츠들을 연관 서비스로서 제공하되, 사용자가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제 2 단말기(102)는 연관 서비스 정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에도 4방향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서비스 정보의 제 1 단말기(100)로의 전송은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제어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설정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페어링 과정을 살펴본 후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우선, 페어링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연관 서비스 서버(112)와의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00).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자신이 접속한 Wi-Fi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 2 단말기(102)를 검색하여 출력한다(S402).
도 4에서 제 2 단말기(102)는 셋탑박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제 2 단말기(102) 중 하나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요청하며(S404), 페어링 요청이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된다(S406).
상기한 페어링 요청에는 제 2 단말기(102)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기(100)와의 페어링을 위해 사용자는 제 2 단말기(102) 상에서 연관 서비스 서버(112)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실행하며(S408), 그런 후 제 2 단말기(102)는 다른 주변 단말기 추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410).
사용자가 주변 단말기 추가를 선택하는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페어링 요청을 전송한다(S412).
본 발명의 인증 처리부는 인증 처리를 위한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패스워드를 소정 시간 주기로 랜덤하게 생성되는 원 타임 패스워드일 수 있다.
생성된 패스워드는 제 1 단말기(100)가 선택한 제 2 단말기(102)로 전송되며(S414), 제 2 단말기(102)는 수신된 패스워드를 출력한다(S416).
사용자가 제 2 단말기(102)가 출력한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제 1 단말기(100)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S418), 제 1 단말기(100)에 입력된 패스워드는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전송된다(S420).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한 패스워드와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 2 단말기(102)가 제 1 단말기(100)로 인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페어링을 완료한다(S422).
페어링이 완료 이후, 제 1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제 1 컨텐츠가 제 2 단말기(102)로 미러링된다(S424).
다음으로,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다양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상술하겠다.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은 4방향 UI 선택 후에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UI를 디스플레이함이 없이 직접적으로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이템들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상황만을 고려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102)는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600a, 600b, 600c 및 600d)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이템(600a, 600b, 600c 또는 600d)이 정지 이미지인 경우에는, 아이템(600a, 600b, 600c 또는 600d)은 해당 연관 컨텐츠의 일부분일 수 있다.
아이템(600a, 600b, 600c 또는 600d)이 동영상인 경우에는, 해당 박스 영역에 해당 연관 컨텐츠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실시간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영상은 해당 연관 컨텐츠의 일부 구간의 영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구간의 영상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동영상은 상기 아이템으로 보여지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영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선택한 제 1 컨텐츠가 "무한 도전 119회"인 경우,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한 도전 119회"와 연관된 프로그램인 "무한 도전 120회(600a)", "1박 2일(600b)", "개그 콘서트(600c)" 및 "런닝맨(600d)"을 아이템들로 하여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아이템들(600a, 600b, 600c 및 600d) 전부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도 있고, 아이템들(600a, 600b, 600c 및 600d)의 일부는 정지 이미지고 다른 일부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관 서비스로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아이템들을 예를 들어 동영상으로 제공하면, 사용자는 연관 컨텐츠가 어떤 프로그램인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연관 컨텐츠의 화질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순히 프로그램 타이틀만이 기록된 아이템들을 본다면, 사용자가 연관 컨텐츠가 어떤 내용의 프로그램이고 어떤 화질을 가지는지를 알 수가 없어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연관 컨텐츠로서 "무한 도전 120회"라는 내용만 사용자에게 제공된다면, 사용자는 "무한 도전 120회"가 어떤 내용인지 화질은 우수한지를 알 수가 없어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연관 컨텐츠를 동영상으로 제시하면, 사용자는 "무한 도전 120회"가 어떤 내용인지 및 화질을 알 수가 있어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가 복수의 소스들로부터 제공되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들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들을 모두 재생시켜본 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아이템들을 동영상으로 표시하면, 사용자는 동일한 연관 컨텐츠들 중 원하는 컨텐츠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연관 컨텐츠 선택을 유도하면서도 연관 컨텐츠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아이템들(600a, 600b, 600c 및 600d)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연관 컨텐츠가 풀 화면으로 하여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관 컨텐츠는 프로그램 시작부터 재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는 시점부터 재생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는 아이템들(600a, 600b, 600c 및 600d)이 자동으로 배열되었으나,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아이템들이 가격, 소스 또는 화질 등을 기초로 하여 정렬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많은 아이템들을 자신의 원하는 방식으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102)는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700a, 700b, 700c 및 700d)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이템들(700a, 700b, 700c 및 700d)은 제 2 단말기(102)의 기설정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다.
연관 컨텐츠를 단순히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제공하였던 제 1 실시예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템들(700a, 700b, 700c 및 700d)에 프로그램 타이틀, 가격 정보, 회차 정보, 시간 정보 및 할인 정보 등의 컨텐츠 관련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는 해당 연관 컨텐츠 상에 오버랩될 수도 있고, 상기 연관 컨텐츠와 합성된 후 합성된 영상이 아이템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관련 정보가 영상과 함께 제공되면, 사용자가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기가 더 용이하여질 수 있다.
특히, 연관 컨텐츠가 유료 컨텐츠인 경우, 사용자는 화질, 가격, 할인 정도, 내용을 본 후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가이어도 화질이 우수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고, 화질은 보통이나 가격은 저렴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연관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 컨텐츠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해당 연관 컨텐츠를 선택한 후 제공되는 화면 또는 그 후의 화면에서 가격 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며, 따라서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는 데 불편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으로 연관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으면, 유료 프로그램인 경우 사용자의 상당한 불만을 야기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연관 컨텐츠를 동영상으로 재생시키면서 상기 연관 컨텐츠와 컨텐츠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연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기설정 영역 또는 아이템의 일부분에 연관 컨텐츠의 재생 구간(710)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 구간(710)의 임의 지점을 선택하여 해당 구간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서 연관 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면, 제 2 단말기(102)는 재생 구간(710)의 현재 지점의 영상 또는 선택된 지점의 영상부터 연관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도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기설정 영역 또는 아이템의 일부분에 댓글 개체(7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댓글 개체(712)를 선택하면 해당 연관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의 시청 평가 댓글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댓글을 통하여 상기 연관 컨텐츠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까지의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102)는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800a, 800b, 800c 및 800d)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아이템들(800a, 800b, 800c 및 800d) 중 하나, 예를 들어 800a를 선택하면, 아이템(800a)과 관련된 새로운 아이템들(810a, 810b 및 810c)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한 도전 119회" 아이템(800a)을 선택하면, "무한 도전 118회" 아이템(810a), "무한 도전 120회" 아이템(810b) 및 무한 도전 121회" 아이템(810c)이 제 2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시리즈 프로그램인 경우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아이템들(810a, 810b 및 810c)을 시청하기 위한 비용은 아이템들(810a, 810b 및 810c) 모두 동일할 수도 있지만 일부는 다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102)에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되면서 제 1 단말기(100)에도 상기 아이템들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즉, 제 2 단말기(102)의 아이템들이 제 1 단말기(100)로 미러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제 2 단말기(102)를 통하여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증가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00)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는 제 2 단말기(102)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있는 등의 상황에서 제 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게다가, 멀티룸 시스템에서는 제 1 단말기(100)는 각 방의 TV이고 제 2 단말기(102)는 제 1 단말기들(100)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방에서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원하는 연관 컨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자 방에서 해당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연관 컨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관 서비스 서버(112)는 제어부(1000), 통신부(1002), 인증부(1004), 연관 서비스부(1006), 컨텐츠부(1008), 어플리케이션부(1010) 및 저장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단말기들(100 및 102)과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인증부(1004)는 페어링 과정에서 제 1 단말기(100)를 인증하기 위한 제반의 과정들을 제어한다.
연관 서비스부(1006)는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한다.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연관 컨텐츠들을 나타내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일 수 있다.
컨텐츠부(1008)는 연관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연관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010)는 본 발명의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동작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저장부(1012)는 연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000)는 연관 서비스 서버(11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단말기(102)는 제어부(1100), 통신부(1102), 미러링부(1104), 이미지 추출부(1106), 검색 요청부(1108), 연동 요청부(1110), UI부(1112), 디스플레이부(1114) 및 리모콘 연동부(11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2)는 제 1 단말기(100), 서비스 수단부(104) 및 컨텐츠 사업자 서버(106)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미러링부(1104)는 제 1 단말기(100)와의 컨텐츠 또는 연관 서비스 정보의 미러링 동작을 관리한다.
이미지 추출부(1106)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 1 컨텐츠로부터 연관 컨텐츠 검색을 위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추출한다.
검색 요청부(1108)는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검색 서버(110)로 전송하여 연관 컨텐츠의 정보를 검색을 요청한다.
연동 요청부(1108)는 검색 요청부(1108)의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연관 서비스 서버(112)로 연관 서비스를 요청한다.
UI부(1112)는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4방향 UI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14)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 영역들에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리모콘 연동부(1116)는 리모콘과 연동하며, 리모콘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0)는 제 2 단말기(102)의 구성요소들이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단말기 102 : 제 2 단말기
104 : 서비스 수단부 106 : 컨텐츠 사업자 서버
110 : 검색 서버 112 : 연관 서비스 서버
600, 700, 800, 810 : 아이템

Claims (20)

  1.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연관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츠를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로 미러링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제 1 컨텐츠의 이미지, 오디오 및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 1 컨텐츠의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연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미러링시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알지 못하며, 상기 획득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와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또는 상기 아이템이 표시되는 기설정 영역의 일부에는 가격 정보, 할인 정보, 회차 정보, 소스 정보 및 화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UI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사용자가 특정 UI를 선택하면 상기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이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상기 연관 컨텐츠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동영상이거나 상기 연관 컨텐츠의 일부분 또는 편집 부분만이 재생되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시리즈 프로그램들을 나타내는 새로운 아이템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새로운 아이템들은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동영상이고, 상기 아이템 또는 상기 아이템이 표시되는 기설정 영역의 일부분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재생 구간을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가 재생 구간 중 특정 부분을 선택하면 상기 연관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 2 단말기가 상기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 1 단말기로 미러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이 복수의 단말기들에 동일하게 표시되며, 상기 단말기들은 각기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해당 연관 컨텐츠를 서비스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댓글 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댓글 개체를 선택하면 상기 연관 컨텐츠를 시청한 사람들에 의해 작성된 댓글이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기가 상기 제 1 컨텐츠를 제 2 단말기로 미러링시키되,
    상기 제 1 단말기는 연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를 미러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없이 상기 제 1 컨텐츠의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단말기의 기설정된 영역에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가격 정보, 회차 정보, 할인 정보, 화질 정보, 소스 정보, 재생 구간 및 댓글 개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연관 컨텐츠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연관 서비스부;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일부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가격 정보, 회차 정보, 할인 정보, 화질 정보, 소스 정보, 재생 구간 및 댓글 개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페어링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서비스 서버.
  18.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UI부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템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컨텐츠를 미러링받는 미러링부;
    상기 제 1 컨텐츠로부터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추출하는 추출부;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 없이 상기 추출된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컨텐츠의 타이틀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 요청부; 및
    상기 검색 결과로서 제공된 상기 타이틀 정보에 따라 연관 서비스를 요청하는 연동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제18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영역의 일부에는 상기 연관 컨텐츠의 가격 정보, 회차 정보, 할인 정보, 화질 정보, 소스 정보, 재생 구간 및 댓글 개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30154231A 2013-12-11 2013-12-11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31A KR102157396B1 (ko) 2013-12-11 2013-12-11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12173 WO2015088257A1 (en) 2013-12-11 2014-12-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lated content service using a still image or video clip, and cloud server applicabl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31A KR102157396B1 (ko) 2013-12-11 2013-12-11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56A true KR20150068556A (ko) 2015-06-22
KR102157396B1 KR102157396B1 (ko) 2020-09-17

Family

ID=5337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231A KR102157396B1 (ko) 2013-12-11 2013-12-11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396B1 (ko)
WO (1) WO20150882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331A (ko) 2000-06-05 2003-08-09 미라링크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리모트 데이터 미러링
KR20120060692A (ko) * 2010-12-02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검색방법
US20130205036A1 (en) * 2010-10-22 2013-08-08 France Telecom Processing data for transferring or mirroring a media stre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6623B2 (en) * 2004-04-23 2009-02-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essaging including a displayable status indicator
US20090019492A1 (en) * 2007-07-11 2009-01-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rroring and transcoding media content
KR101919788B1 (ko) * 2012-05-3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331A (ko) 2000-06-05 2003-08-09 미라링크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리모트 데이터 미러링
US20130205036A1 (en) * 2010-10-22 2013-08-08 France Telecom Processing data for transferring or mirroring a media stream
KR20120060692A (ko) * 2010-12-02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컨텐츠 검색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96B1 (ko) 2020-09-17
WO2015088257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7550B2 (ja) メディアアセットの部分を識別し記憶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91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content
JP6231524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を用いて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性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251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20120324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rental controls in a cloud-based media guidance application
JP6436903B2 (ja) タイムバーを使用してメディアアセットアクセス衝突を示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089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bjects displayed in a media asset
US201303470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o content without an advertisement
US201301737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US20120319825A1 (en) Methods, systems, and means for restricting control of a home entertainment device by a mobile device
JP527843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1061663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US8515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content
KR102036384B1 (ko)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57396B1 (ko)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9086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71147A (ko) 선택된 쿼리 이미지를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353470B2 (ja) コンテンツ付加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303470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o a favorite content source without an advertisement
KR20100001317A (ko) 댓글정보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7092331A1 (zh) 一种控制电视设备节目播放的方法及装置
KR102157399B1 (ko) 연속적인 쿼리 이미지를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587703B (zh) 隨頻道產生聊天室之播放裝置及其方法
KR202200828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