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986A -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986A
KR20150067986A KR1020130153657A KR20130153657A KR20150067986A KR 20150067986 A KR20150067986 A KR 20150067986A KR 1020130153657 A KR1020130153657 A KR 1020130153657A KR 20130153657 A KR20130153657 A KR 20130153657A KR 20150067986 A KR20150067986 A KR 2015006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storage
storage device
food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1413B1 (en
Inventor
김성은
임정빈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13B1/en
Publication of KR2015006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8Drinking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storage apparatus comprises: a receiving unit receiving food and capable of rotating; a cold and heat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and connected with the receiving unit about a central shaft for rotation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state of movement among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ld and heat unit; and a sensing unit sens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state of movemen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tart a day while drinking a desired beverage when the user wakes up in morning and conveniently and individually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Description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apparatus, a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device, a control system for a food storage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which can conveniently store food in a desired state by a user.

종래의 식품저장장치는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저장과 함께 식품가공의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식품저장장치로는, 믹서, 쿠커, 음료제공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가 있다. 이 중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로는, 음료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정수기, 청량음료를 차게 제공되는 퀵 칠러(quick chiller) 또는 광천수의 온도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워터 디스펜서 또는 물을 끓여서 제공하는 전기포트가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저장장치는 음료제공장치를 대표적으로 예로 들 수 있고 이하에서는 식품저장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onventional food storage devices are devices for storing foods, and a process of food processing can be further performed with storage. Food storage devices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 mixer, a cooker,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the like. Among these devices, there are a water purifier for purifying a beverage, a quick chiller for providing a refreshing beverage or a water dispense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mineral water or an electric port for boiling water For example. The foo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by a beverage supply device as an exampl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of a food storage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storing various foods.

상기되는 식품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큰 용량의 기기가 산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부엌에 설치되어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어느 한 개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기에는 용량 및 사용상태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부적합하다. The above-mentioned food storage device is intended to provide food in a desired state, and it is general that a relatively large capacity device is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or installed in a kitchen and used for domestic use.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use for a personal purpose due to problems such as capacity and usage condition.

물론, 정수기의 경우에는 거실이나 부엌에 놓아두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움직이지 않고 정치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에 접근하여 음료를 받아서 마셔야만 한다. 전기포트의 경우에는 물을 끓이는 기능밖에 주어지지 않으므로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may be used in a living room or kitchen. However, since the water purifier is merely used in a stationary environment without moving, the user must approach the food storage device and drink it. In the case of an electric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ink cold water since it is only given to the function of boiling water.

상기하는 배경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분신과 같이 개인 종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가열/냉각/보온/알람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음료를 자신이 원하는 환경 및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를 제안한다. Under the above backgr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can use his / her personal dependency like his or her own, and can conveniently us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eating / cooling / warming / alarm, And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the control system of the food storage device, and the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한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현재의 동작모드를 인식하여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개인용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food is received and rotatable; A cool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 control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unit via a central axis for rotation,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operating states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n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accommod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stat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recognize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operate the food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for the user is increased because it is provided for any one individual.

상기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공되는 버튼과 홈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작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작상태에는, 가열모드, 냉각모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배치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팅부가 제공되고, 상기 라이팅부는 발광부로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면발광하거나,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부근에 제공되어 손잡이 부분이 발광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감각적이고 간단하게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food storage device,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and a groov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time of the food storage device, Wherein the operating section is provided with a lighting section which can include a heating mode and a cooling mode and in which the arrangement status can be recognized by a user, wherein the lighting section is provided as a light emitting section, Or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handl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emits light, or the operation portion operated by the user can emit light.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recognize and use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more sensibly and simply, use it in various ways he wants, and use the food storage device more conveniently.

상기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제공되어 차를 투입하는 차투입기기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이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의 외면을 이루는 각기둥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배치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를 다양한 사용모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r insertion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insert a car and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ood is received And an elevat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capable of elevating and lowering the food.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rism, and the surface of the prismatic portion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oling / heating portion can operat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food storage device in various use m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는,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그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를 보다 감각적이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food storag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otating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a food is received relative to a control portion to determine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And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method,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operated more sensibly and conveniently.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그 사용방버은,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아침에 기상하여 음료가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상태로 마실 수 있고, 사용자의 아침기상에 이용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the usage buff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timer so that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You can have the alarm ring.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drink in a desired state at the time of needing a beverage in the morning, and to use it in the morning weather of the user.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식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수용부가 포함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동작모드가 지시될 수 있고, 상기 동작모드를 사용자에게 빛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라이팅부가 더 포함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키면서 시각적으로 더 편리하게 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실내의 조명의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storage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nd an accommodation portion accommodating the food and being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wherein the operation mode can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 lighting uni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more conveniently while operating the food storage device, and can also be utilized as a function of lighting in the room.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에는, 식품저장장치 및 상기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는 단말기가 포함되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대적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신부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을 위하여 침대에 누워서도 식품저장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The control system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storage device and a terminal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food storage device, Receiving portion; A cool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 controll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ccommodat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stat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ontroller and the receptacl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and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food storage device wirelessly and to use it more conveniently. For example, a food storage device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lying on a bed for sleeping.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내부에 식품저장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식품저장용기에 인접하여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상기 냉열부의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를 조작할 때 더 감각적 인식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개인만의 사용용도로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storage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And a receiving portion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and containing a food storage container therei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seated; And a cooling / hea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adjacent 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can designate an operation mode of the cooling /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ccommod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sensibility more sensib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food storage device, and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as a personal use application.

상기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아침에 일어나는 때에 바로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고, 식품저장장치를 개인용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tart the day immediately when he wakes up in the morning while drinking the desired beverage, and can conveniently use the food storage device as a personal use.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버튼과 그 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다른 측면으로 설명하는 블록도.
도 8은 상기 조작부의 내부 구성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사시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놓임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1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9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d storage container is separated in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ensing unit;
6 is a sectional view of a button and its structure.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aspect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the operating por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ing unit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ommodating portion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ndgrip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FIG.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system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ut it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사용 편의성 향상, 멀티 기능 제공, 및 향상된 사용자 인지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경우를 제시한다. 전체 실시예를 아우르는 주요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나, 엄밀한 의미로는 해당되는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를 다른 번호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는 각 도면 상의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데에 있어서 그 길이, 면적, 및 크기 등은 사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 제품의 적용에 있어서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The various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sent various cases of improving usability, providing multi-functions, and enhancing user's perception.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numerals in order to explain the main idea of the entire embodiment, but they can be understood in the strict sense to refer to the corresponding parts in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 may be indicated by a different number,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each drawing and may be understood as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 The length, area, and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is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produc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 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는 하단부의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와 유사한 단면형상으로 제공되어 음료가 담기는 식품저장용기을 수용하는 수용부(100)와,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는 식품저장용기(3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을 덮는 뚜껑(302)이 포함된다. 1, the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t a lower end, a storage unit 100 provided in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the control unit 200 to receive a food storage container, And a food storage container 300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In addition, a lid 302 cover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included.

상기 수용부(100)의 적어도 어느 일부에는 적어도 냉열부(10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열부(103)에서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로 열기를 전달할 수도 있고 냉기를 전달할 수도 있고, 외부로는 반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냉열부(103)로서 펠티에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냉매를 이용하는 소형 냉동시스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용부(100)의 어느 일 면에는 식품저장용기(300)의 손잡이가 놓여 있어, 식품저장용기(300)을 잡고 이동하거나 수용부에 장착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열부(103)로는 냉기 또는 열기 중의 어느 하나만을 제공하는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은 음료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컵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음료가 아닌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식품수용기기일 수도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a cold part 103. In the cooling / heating unit 103, heat can be transmitted 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cold air can be transmitted, and cold air or hea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In the embodiment, a Peltier element may be provided as the cold / However, a miniature refrigeration system using refrigerant may also be used. A handl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hold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or mount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n the housing.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103 may be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providing either cold air or hot air.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a cup when the beverage is accommodated, but may be a different type of food storage container when the beverage is not a beverage.

상기 제어부(200)에는 조작부(2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1)는 다이얼로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다이얼을 돌리는 회전각을 타이머의 시간으로 대응시켜서, 조작부(201)를 이용하여 상기 냉열부(103)를 동작시키는 타이머의 동작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201. The operation unit 201 can be exemplified by a dial, and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dial is turned is associated with the time of the timer,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timer for operating the cooling / heating unit 103 using the operation unit 201 is controlled It is possible.

상기 제어부(200)와 상기 수용부(100)는 각기둥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다각기둥의 형상에서 있어서, 각각의 수직모서리 또는 수직면은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다각형이 아닌 원형 및 타원형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회전의 배치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은, 가열, 보온, 냉각의 기능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와 상기 수용부(100)의 각이 서로 메칭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지시하는 것으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삼각기둥을 예시한다. The controller 200 and the receptacle 100 may be provided in a prismatic shape. For example, a triangular prism, a square prism, or a prismatic prism. In the shape of the polygonal column provided herein, each vertical edge or vertical surface can be said to mean any function in the food storage device. In other cases, it may be provided in other shapes such as circular and elliptical rather than polygonal. In this case, an identification mechanism capable of separately grasp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rotation can be provided. Here, the function may exemplify the functions of heating, keeping warm, and cooling. When the angles of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0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performed by designating any one of the function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riangular pillars are exemplified.

또 다른 경우로서, 어느 수용부의 어느 일 지점(점 또는 면 또는 지시부가 해당될 수 있다)과 제어부의 어느 일 지점(점 또는 면 또는 지시부가 해당될 수 있다)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부와 수용부가 서로 메칭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면, 특히, 제어부와 수용부가 서로 근접하는 접촉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에 더 편리하게 사용자가 메칭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삼각기둥형상으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는 수용부 및 제어부의 각 면이 서로 메칭되어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a certain point (point or plane or indication portion may correspond to any receiving point) and one point (point or plane or indication portion corresponds to each other) of the control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gnize that the control unit and the accommodation unit are matched with each other. However, it will be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state of contact when the respective faces, in particular, the contact positions where the control and accommodation parts are close to each other,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provid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separated in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안에는 식품저장용기(300)가 수용부의 상부를 통하여 그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101)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은 상기 안착부(101)의 안으로 슬라이드되며 안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되면서 안착부(101)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부(101)의 내면과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의 외면은 바람직하게 서로 면접촉될 수 있고, 냉열부(103)의 냉기 또는 열기가 식품저장용기(300)으로 높은 열전달효율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eceiving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01 for allow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to be sea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slid into and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101 and may be slid off the seating portion 101 as well. As a result,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ld or hot air of the cold heat part 103 can transfer heat 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with high heat transfer efficiency Lt; / RTI &gt;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의 바깥에 제공되는 손잡이(301)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놓임부(102)가 더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301)와 상기 손잡이 놓임부(102)가 서로 안정되게 대응되도록 자리를 잡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올바른 위치에 놓인 것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A handle holding portion 102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so that the handle 301 provided outside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can be positioned at an accurate posi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firm that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handle 301 and the pull holding portion 102 are positioned so as to stably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바람직한 동작 및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The preferred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먼저, 사용자는 취침시에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 전원을 연결하고, 가열, 냉각, 보온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기능은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기능이 올바르게 설정된 것은, 상기 수용부(100)의 모서리와 상기 제어부(200)의 모서리가 올바르게 정렬된 상태인 것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수용부와 제어부가 올바르게 정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At first, the user connects a power source to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the time of sleeping, and can select functions such as heating, cooling, and warming. At this time, the sel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accommodation part 100 about the central axis for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rt 200, and the function is set correctly when the corner of the accommodation part 1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rners of the control unit 200 are correctly aligned. 1 and 2 show tha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re properly aligned.

이후에 사용자는 식품저장용기(300)에 원하는 음료로서, 바람직하게 물을 담고, 식품저장용기(300)를 수용부(100)에 안착시키고 뚜껑(302)을 덮는다. 이후에는 조작부(201)를 조작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다음에 상기 냉열부(103)를 동작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알람을 위한 시간설정의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puts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as a desired beverage, preferably water, and places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n the receptacle 100 and covers the lid 302.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cooling unit 103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01. At this time, the time setting function for the alarm can also be performed.

그러면,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냉열부(103)가 동작하여 원하는 음료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때에는 가열, 냉각, 또는 보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냉열부(103)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알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상시간을 알리고,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Then, after the lapse of a specified time, the cooling / heating unit 103 operates to make a desired beverage state. At this time, the function of heating, cooling, or keeping the temperature can be performed, and this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oling unit 103. On the other hand, by making the alarm sound,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weather time and can be made to wake up.

상기되는 설명에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그 각각의 배치상태가 메칭되는 경우에 소정의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설명한 바가 있다. 또한, 현재의 기능을 나타내는 배치상태는 상기 조작부(201)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수용부와 제어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ceiving unit 10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200,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is given when the respective arranging states are matched. In addition, the arrangement state indicating the current function can be based on the side on which the operating section 201 is located.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도 3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바닥에는 걸림부(104)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02)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202)가 상기 걸림부(104)에 삽입된 다음에 걸리도록 하면,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그(202)의 단면형상은 원형이 아닌 그 외의 형상으로 제안되기 때문에, 수용부(100)가 회전하면 레그(202)도 함께 회전한다. 또한, 레그(202)는 제어부(200)에 분리되는 구조물로 지지되기 때문에, 레그(202)가 회전하더라도 제어부(200)는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는 두 개의 몸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분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이고, 그 몸체의 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이로써,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삽입할 때에는 레그(202)가 좁아져서 걸림부(104)의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되는 위치에서는 레그(202)가 원래 위치로 좁아져서 넓어질 수 있다. 이로써, 수용부와 제어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레그(202)가 걸림부(104)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202)는 회전프레임(203)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제어부(200)에 놓이지만 제어부(200)의 다른 구성요소와는 별개로 움직일 수 있다. 3, a locking part 10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legs 20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rt 200. As shown in FIG. When the leg 20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4 and then hooked, the receiving part 100 can be supported by the control part 200.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gaging part and the leg 202 is not circular but other shapes, the leg 202 also rotates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00 rotates. Also, since the leg 202 is supported by the separat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may be fixed at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even if the leg 202 rotates. The leg is a structure in which two bodies are branched and extended upwar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ends of the body are annular extending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us,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portion 200, the leg 202 can be narrowed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04. In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leg 202 is narrowed to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widened. Thus,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can be assembled, and after the assembly is completed, the leg 202 can be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engaging portion 104. [ The leg 20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frame 203 and the rotary frame 203 is placed in the control unit 200 but can be mov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200.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가 회전하는 중심축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물리적인 중심축으로서의 기능은 상기 레그에도 부여될 수 있지만, 별도의 회전기구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가상적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leg functions as a central axis through whic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rotate. However, the function as a physical center axis can be imparted to the legs, but in the case where a separate rotating mechanism is provided,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about a virtual center axis.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수용부(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어부(200)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수용부(100)의 회전중심은 레그(20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레그(202)를 이루는 몸체의 사이 간격부를 통해서는 제어선 및 전력선 등의 각종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may be fixed even if the receiving unit 100 rotates,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ceiving unit 100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leg 202.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various wires such as a control line and a power line can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dies constituting the legs 202.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203)과,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플레이트(209)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대략 원형으로서, 그 중앙에서 상측으로 넓게 융기되는 융기부(205)와, 상기 융기부(205)의 주변에서 융기부(205)보다는 하측에 마련되는 연장부(204)가 제공된다. 상기 연장부(204)는 제어부(200)의 본체 외면에 드러나지 않고, 제어부 본체 외면의 안쪽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프레임(203)이 자체적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이더라도 연장부(204)가 제어부(200)에 걸려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otating frame 203 is provided with a plate 209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rotating frame 203. The rotation frame 203 is substantially circular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205 which is widely protruded upward from the center thereof and an extension portion 204 provided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205 in the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205, Is provided. The extended portion 204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ntrol unit 200 but may be plac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ntrol unit. Therefore, even if the rotating frame 203 rotates or moves itself, the extension 204 may be caught by the control unit 200 and not fall off.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수용부(100)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부품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플레이트(209)는 제어부(200)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204)의 하면에는 세 개의 홈(206)이 제공되고, 상기 플레이트(209)의 상면에는 세 개의 버튼(20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과 버튼은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의 수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가열, 냉각, 및 보온의 세 개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세 개의 홈과 버튼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기능이 늘거나 줄어드는 경우에 그에 맞추어서 홈과 버튼의 개수는 늘거나 줄 수 있다. 또한, 홈과 버튼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홈을 하나만 설치하고 버튼을 하나만 제공하여 눌러지는 버튼을 달리하고 버튼에 각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다만, 수용부(100)와 제어부(200)의 상호 간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frame 203 is a componen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On the other hand, the plate 209 may be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200. Three grooves 20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204 and three buttons 20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09. The grooves and buttons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unctions of the food storage device. In the embodiment, three functions of heating, cooling, and keeping are provided, and thus three grooves and buttons are provided. Therefore, if the function increases or decreases, the number of grooves and buttons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ly. Further, the positions of the groove and the button may be mutually changed. You can also set up a single groove, provide only one button, and assign different functions to the button.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given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the control part 200. [ Hereinafter, this background will be described.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회전각도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서 알려질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frame 203 can be known by the plate.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203 will be described.

도 5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도 5를 참조하면, 세 개의 속이 찬 원은 홈(206)을 나타내고, 세 개의 속이 빈 원은 버튼(207)을 나타낸다. 동심원은 회전프레임(203)의 기구적인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세 개의 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동심원은 상기 홈(206)이 지나가는 경로를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심원은 상기 회전프레임(203)이 회전할 때 상기 버튼(207)이 지나가는 경로를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홈에 어느 하나의 버튼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버튼은 기구적으로 동작되어 소정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three hollow circles represent the groove 206 and the three hollow circles represent the button 207. [ The concentric circles represent three circles centering on the mechanical center of the revolving frame 203. Therefore, the concentric circle may represent a path through which the groove 206 passes. In addition, the concentric circle may represent a path through which the button 207 passes when the rotating frame 203 rotate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inserting any one of the buttons in any one of the grooves, the button can be mechanically operat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signal.

상기 홈과 상기 버튼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세 개의 중복되는 동일 구조물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지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홈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버튼이 서로 위치가 대응되어 버튼의 동작이 개시되는 때에, 다른 두 개의 홈과 버튼은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버튼의 동작에 의해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어느 하나의 버튼과 어느 하나의 홈이 대응되는 때에는,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의 대응상태도 서로 메칭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홈과 버튼의 대응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기기의 동작모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두 개 이상의 버튼이 각각의 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기능을 식품저장장치에 할당할 수도 있다. At least one of the groove and the button may have three overlapping identical structures with an angle of 120 degree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has an angle of 120 degrees, when one of the buttons corresponding to one of the grooves corresponds in position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of the button is started, the other two grooves and the buttons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buttons. On the other hand, when any one of the grooves corresponds to one of the grooves, corresponding states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controller 200 may be match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grasp the corresponding state of the home button and the button, and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Further, by allowing any two or more buttons to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grooves, another function may be assigned to the food storage device.

상기 홈과 상기 버튼의 구성은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구성, 형상 및 배치로 다양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groove and the button is merely an exampl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arry out various operations in various configurations, shapes and arrangements.

도 6은 버튼과 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9)에 제공되는 홀을 버튼(207)의 상단부가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한다. 버튼의 하단부와 플레이트(209)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부재(210)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상기 버튼(207)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제공하여 버튼(207)이 플레이트(209)를 뚫고 돌출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207)의 하단부에는 스위치(211)가 제공되어 있다.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button and its structure. 6, the hole provided in the plate 209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button 207 and protrudes upward. An elastic member 21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utt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09. The elastic member 210 provides a force to push the button 207 upward so that the button 207 can penetrate the plate 209 and protrude. A switch 2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207.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버튼(207)과 홈(206)이 정렬되지 않았을 때에는 버튼(207)은 연장부(204)의 하면에 의해서 하방으로 밀리는 힘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버튼(207)은 탄성부재(210)의 힘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버튼(207)과 홈(206)이 대응하여 정렬되었을 때에는 버튼(207)은 홈(206)의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어서, 회전프레임(203)이 더 회전하여, 버튼(207)이 홈(206)에서 빠질 때에는 연장부(204)의 하면에 의해서 다시금 하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207)의 단부는 부드러운 원형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button 207 and the groove 206 are not aligned, the button 207 is provided with the force of being pushed downwar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204. Accordingly, the button 207 moves downward against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However, when the button 207 and the groove 206 are aligned in a corresponding manner, the button 207 can be pushed into the groove 206. The rotating frame 203 further rotates and is pushed downward again by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204 when the button 207 is released from the groove 206. In order to perform this operation smoothly, The end of the button 207 may be provided in a soft circular shape.

상기 버튼(207)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때에, 상기 스위치(211)는 온오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온오프의 동작은 식품저장장치의 가열, 냉각, 및 보온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button 207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witch 211 can perform on / off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is on-off can perform a mode of heating, cooling, and keeping the food storage device.

도 8은 상기 조작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eration unit.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201)로는 다이얼이 예시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알람시간 또는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시작되는 시간 또는 기상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1)의 배면에는 발광부(208)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208)로는 파란색(냉각에 대응할 수 있다), 빨간색(가열에 대응할 수 있다), 노랑색(보온에 대응할 수 있다)의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의 배치상태가 소정의 기능모드로 회전되어 있을 때에는, 소정 기능모드에 맞는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201)의 색을 보고서 현재 기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원하는 모드를 위하여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더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dial is illustrated as the operation unit 201, and the alarm time or the time when the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starts or the weather time can be inputted by rotating the dial. A light emitting portion 208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201.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8 may be colored blue (which may correspond to cooling), red (which may correspond to heating), and yellow ) May be provided. Therefore, whe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is rotated in the predetermined function mode, the light emitting diod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function mode can emit light.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rmine the current function state of the color of the operation unit 201 and know whether the receiver 100 should be furthe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ler 200 for a desired mode.

도 3내지 도 5 및 그와 관련되는 설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가 서로 대응하여 정렬되는 경우에는 그 배치상태에 따라서, 식품저장장치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to 5 and the related description, when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the food storage devic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다른 측면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nother aspect.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400)가 식품저장장치의 전체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컨르롤러(400)의 제어하에서, 스위치1(107), 스위치2(406), 스위치3(405)이 제공되어, 상기 감지부를 제공하는 상기 버튼(207)으로부터의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다. 상기 냉열부(404)는 수용부(100)에 마련되어 가열, 냉각, 보온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전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입력부(408)는 상기 조작부(201)를 통하여 시간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알람부(401)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음료가 완성되었거나, 기상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시그널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이머(402)는 상기 입력부(408)의 지시에 따른 시간경과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라이팅부(403)는 상기 조작부(201)의 발광을 실시하고 이를 제어하는 일체를 지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controller 40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Switch 1 107, switch 2 406 and switch 3 405 are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to read a signal from the button 207 providing the sensing por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cold / hot part 404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00 to entirely indicate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heating, cooling, and warming operations. The input unit 408 can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time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01. [ The alarm unit 401 is a part for providing a signal to the user that the beverage has been completed or the wake-up time has elap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timer 402 is a unit for measuring a time lapse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input unit 408. The lighting unit 403 may refer to an integrated unit that emits light from the operation unit 201 and controls the light.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수용부(100)를 회전하여 상기 감지부를 조작한다. 그러면, 스위치1(407), 스위치2(406), 및 스위치3(40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대응하는 스위치의 기능은 컨트롤러(400)에 의해서 제어되어 추후에 냉열부(404)를 조작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는,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상기 라이팅부(403)가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빨간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이 식품저장장치의 각 동작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가 있다. 상기 색깔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407)을 이용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입력하는데, 입력된 정보는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타이머(402)를 동작시키게 된다.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user rotates the receptacle 100 to operate the sensing unit. Then, at least one of the switch 1 407, the switch 2 406, and the switch 3 405 can be operated.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and is used as information for later operating the cold / hot unit 404. Whether or not the switch is normally operated can be informed to the user by operating the lighting unit 40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red, blue, or yellow can direct each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By referring to the color,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unction. In addition, the user inputs a waiting time using the input unit 407, and the inputted information causes the timer 402 to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

사용자의 입력이 끝난 다음에는 식품저장용기(300) 및 뚜껑(302)을 장착하고 식품저장장치를 소정 위치에 둔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침실이나 공부방이 좋을 것이다. After the user's input is complete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and the lid 302 are mounted and the food storage devic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the user's bedroom or study room would be good.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타이머(402)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가 지시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냉열부(404)의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알람부(401)를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알람부(401)의 동작을 개시하는 시간은, 상기 냉열부(404)에 작동에 의해서 음료가 사용자가 지시한 상태로 충분히 가열 또는 냉각상태에 이른 때인 것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can recognize that the predetermined time instructed by the user has passed by the control of the timer 402.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404 is started, and the alarm unit 401 is operat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time has passed. The time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401 may be a time when the beverage is sufficiently heated or cooled by the user in the state instructed by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404.

그러면, 사용자는 알람부(401)의 지시에 따라서 일어나서 식품저장용기(300)을 꺼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마실 수 있다.Then, the user can get up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alarm unit 401, take out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and drink the desired beverage.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음용수를 준비한다(S1). 사용자는 음용수가 수용된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2).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00)가 회전하는 각도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어느 쪽으로도 무제한 회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drinking water is prepared (S1). The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by rotating the accommodation part 100 containing the drinking water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rt 200 (S2).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the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veniently recognize the current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can rotate unlimitedly eith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나아가서, 가열, 냉각, 보온 등의 특정 모드가 지시되는 것은 특정 각도의 배치상태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다각형기둥으로 제공되는 수용부와 제어부의 해당하는 면이나 모서리가 메칭되는 때의 그 회전각이, 기능을 선택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지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단일 형태의 중복적인 기구의 메칭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ndication of a specific mode such as heating, cooling, keeping warm, etc. can be limited to a specific angle of arrangement. For example, the fun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ame polygonal column and its rotation angle when the corresponding surface or edge of the control portion is matched can be set to the selected state. According to this method of use, an advantage that the user's perception is further improved can be expected,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with a single type of overlapping mechanism.

원하는 기능이 선택된 다음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식품저장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S3). 동작되는 상태로는 냉열부동작, 알람부동작을 예시할 수 있다. After the desired function is selected, the food storage device may be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3). In the operating state, the operation of the cold / hot s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alarm section can be exemplifi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제공을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이 편리한 사용자 인지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동작상태를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기기의 동작상태를 인지하고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ability of the user who desires to provide the beverage is improved, the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a convenient user recognition means, and since the user can instruct the operation state by simply operating the food storage device ,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operate the device.

<제 2 실시예>&Lt; Embodiment 2 >

제 2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감지부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특별히 언급한 것과, 제 2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은 제 2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second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nsing unit and its associated configuration are distinctive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parts which are specifically mentioned and the parts which a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ing unit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와 제어부(200)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부(100)의 하면에는 걸림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20)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220)가 상기 걸림부(111)에 삽입되어 수용부와 제어부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한계로 하여 서로 구속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receiving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00 are provided. A locking part 111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a leg 22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rt 200. The legs 220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s 111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re constrained to each other with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as a limit.

상기 수용부(100)의 하면에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버튼(110)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20)를 중심으로 그루브(221)가 제공되고, 상기 그루브를 따라서 세 쌍의 홈(22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튼(11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스위치(211)가 사용됨이 없이 버튼으로부터 냉열부로 연결되는 전원선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A button 110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00. A groove 22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rt 200 about the leg 220, A pair of grooves 222 may be provided.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11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r only the power line connected from the button to the cold / heat unit may be connected without using the switch 211.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0)가 회전하면, 특정의 회전각에서는 상기 한쌍의 버튼(110)이 상기 한쌍의 홈(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서 각각의 버튼(110)이 각각의 홈(222)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홈의 내부에는 전극이 마련될 수 있고, 버튼은 도전성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한쌍의 홈(222)을 통하여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한쌍의 버튼(110)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위치에 수용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수용부(100)가 회전하여 있는 각도가 식품저장장치가 어느 모드가 지시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고,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개시된 다음에는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홈과 버튼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을 설명하면, 가열의 경우와 냉각의 경우에 인가전원의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eceiving portion 100 rotates, the pair of buttons 110 ar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the grooves 222 at a specific rotation angl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groove 222. The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and the button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t this tim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200 to the receptacle 100 through the pair of grooves 222 through the pair of buttons 11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at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Therefore, the angle at which the accommodating unit 100 is currently rotated may determine which mode is indicated by the food storage devic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started,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groove and the butt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t is possible. Describing the power supp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ower in the case of heating and in the case of cooling.

상기되는 제 2 실시예는 감지부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전원선이 구비됨이 없이도 수용부로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서 단락하는 일이 없고, 식품저장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unit without having various power lin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storage unit is not short-circuited by the rotation of the storage unit continuous in one direction, and the service life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prolonged.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부(221)는 상기 버튼(110)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버튼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groove 221 is provided for guiding the button 110, and may not be provided when the rotation of the button can be stably performed.

<제 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제 3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각 외면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특별히 언급한 것과, 제 3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3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third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each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for what is specifically mentioned and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의 적어도 어느 일 면에는 도광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도광판(130)의 어느 일측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발광모듈(131)이 설치된다. 상기 발광모듈(131)에는 빨간색(가열에 해당한다), 파란색(냉각에 해당한다), 및 노란색(보온에 해당한다)의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이 때에는 도 8에 제시되는 발광부(208)는 제공되지 아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light guide plate 13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t least two light emitting modules 131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ei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is provided with light emitting diodes of red (corresponding to heating), blue (corresponding to cooling), and yellow (corresponding to insulating).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portion 208 shown in Fig. 8 may not be provided.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발광모듈(131)에서 발광된 빛은 도광판(130)으로 조사되고, 도광판(130)의 내부 매질에서 빛이 퍼지는 과정을 거치고, 도광판(130)의 외면으로 조사되어 나온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용부의 어느 일면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현재 상태에서 수용부(100)와 제어부(200)의 상대적인 회전상태, 및 그에 따라서 지시된 동작모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지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is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inner medium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and irradia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0. [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relative rotation stat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00 and the control portion 200 and the operation mode instructed accordingly by observing the state of any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refore, an advantage that the user's perception is improved can be expected.

상기 발광모듈(131)은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can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상기 발광모듈의 발광상태는,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지시할 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저장장치의 동작 지시가 끝난 다음에 알람을 기다리는 시간에도 발광할 수 있고. 이 때에는 수면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로서 알람의 동작시에 경광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used not only when the user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but also when the food storage device is instructed to operate and wait for an alarm. At this time, it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sleeping.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warning light in the operation of the alarm.

도 11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어느 한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수용부(100)가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향하지 않는 다른 방향에 상기 도광판(130)이 놓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인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various colors are implemented by using one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receiving portion 100 rotates and the light guide plate 130 is plac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at the user does not face, the user's perception is degraded.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수용부의 각 외면에 도광판(132)(어느 하나만 지시하였으나 삼면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이 제공되고, 각각의 도광판으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모듈(133)(134)(135)가 마련된다. 각각의 상기 발광모듈(133)(134)(135)에는 어느 하나의 색상을 구현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12, a light guide plate 132 (one of which is indicated by one but provided on all three surfaces) is provided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light emitting modules 133, 134, 135 ). Each of the light emitting modules 133, 134, and 135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of any color.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트롤러(400)가, 수용부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세 개의 스위치(405)(406)(407) 중에서 어느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는 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항상 전방을 향하고 있는 면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광모듈(133)(134)(135)의 색상과 스위치의 배치상태는 미리 조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지시모드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향상되는 인지가능성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which of the three switches 405, 406, and 407 the signal is input to in response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receptacle,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from the facing surface. In this case, the color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s 133, 134 and 135 and the arrangement of the switches may be set in advance. Thus, the present instruction mode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more easily grasped, and the user can obtain improved perceptual ability.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30)은 빛을 전파시켜서 소정의 면적을 통하여 빛이 제공될 수 있는 일 구성품을 예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은 그것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소정의 면적에서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부품도 제 3 실시예의 구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상기 도광판 및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구성부품은 면발광부로 이름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light guide plate 130 exemplifies a component in which light can be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by propagating light,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any component that enables light emission in a predetermined area can be appli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component parts that can replace it can be referred to as a face lightening part.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 4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상단부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4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4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fourth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upper end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except for the portion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nd those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의 상면의 각 모서리에는 손잡이 놓임부(141)(142)(143)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 놓임부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파여지는 홈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식품저장용기(300)의 손잡이(301)가 놓이게 된다. Referring to FIG. 13, handle holding portions 141, 142, and 143 are provided at respectiv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The handle hold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which is drawn downward from the upper end so that the handle 301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placed.

상기 손잡이 놓임부(141)(142)(143)가 각각의 상면 모서리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품저장용기(3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food storage device when the knob setting portions 141, 142, and 143 are provided at the respective top edges. More 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100 can be convenient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200 without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being mounted.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 손으로는 제어부(2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수용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바닥에 지지되지 않고 사용자가 들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편리하게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작모드로 회전시킨다. 이때, 어느 수용부(100)의 회전상태가 어느 모드인지는 이미 제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0)가 적절한 위치로 회전된 다음에는 식품저장용기(300)를 수용부(100)에 놓는다. 이때에 상기 손잡이(301)는 식품저장장치의 전면 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쪽의 손잡이 놓임부에 놓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ing part 100 can be rotated by one hand while holding the control part 200 with one h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is not supported on the floor but can be hel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rotates the receiving unit 100 in a desired operation mode. At this time, it can be known to the user in various ways in other embodiments already shown which mode the rotation state of which accommodation unit 100 is. After the receptacle 100 is rotated to the proper position,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placed in the receptacle 100. At this time, the handle 301 can be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od storage device or on the knob-laying portion on the sid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is use stat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놓임부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손잡이 놓임부(141)(142)(143)는 빛이 소정량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 놓임부의 어느 일측에는 발광모듈(144)이 놓인다. 상기 발광모듈(144)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손잡이 놓임부(141)(142)(143)를 통하여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용부(100)의 회전시에 전면에 위치하는 손잡이 놓임부(144)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고, 그것은 현재 시점에서 식품저장장치의 운전모드로 메칭될 수 있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ull-hol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4, the knob setting portions 141, 142, and 143 ar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pass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4 is placed on either side of the knob setting por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4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knob setting portions 141, 142, and 143. According to this, the handle holding portion 144 located at the front in the rot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can be made to emit light, which can be matched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food storage device at the present time.

이 때에는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1).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면서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가 회전하는 각도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어느 쪽으로도 무제한 회전할 수 있고, 발광상태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더 편리하게 현재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을 확인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unction by rotating the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S1).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while selecting the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receiving part can rotate unlimitedly in either the clockwise direction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present food storage device can be more conveniently confirmed by interlocking the light emitting state.

또한, 식품저장장치가 가열, 냉각, 보온 등의 특정 모드가 지시되는 것은 특정의 각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으로 제공되는 수용부와 제어부가 서로 각도의 정렬상태가 메칭되는 때의 그 회전각이, 기능을 선택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지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단일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food storage device to be limited to a specific angle to indicate a specific mode such as heating, cooling, and keeping warm.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 when the alignment state of the angles is matched with the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polygon and the control part can be set to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is use method, an advantage that the user's perception is further improved can be expected,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a single state.

기능이 선택된 다음에는 음용수를 준비한다(S2). 상기 과정 중의 어느 때라도 타이머를 준비하여 소정의 대기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After the function is selected, the drinking water is prepared (S2). At any time during the above process, a timer can be prepared and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can be input.

원하는 기능선택 및 대기시간의 입력이 수행된 다음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식품저장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동작되는 상태로는 냉열부동작, 알람부동작을 예시할 수 있다. After the desired function selection and the input of the waiting time have been performed,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e operating state, the operation of the cold / hot s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alarm section can be exemplified.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항상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서,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user can always place the grip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at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제 5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식품저장장치의 상부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5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5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fifth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ifth embodiment, except for what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도 1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수용부(100)의 일측에 차투입기기(500)가 더 제공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상기 차투입기(500)로 식품저장용기에 투입될 수 있는 녹차, 허브차, 커피 등 어떠한 차도 무방하다. Referring to FIG. 16,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nd the car dispenser 500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Any tea, such as green tea, herbal tea, and coffee, which can be put in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by the car dispenser 500, is also acceptable.

상기 차투입기기(5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100)와 동일한 단면 외양을 가지는 기기로서 실시예에서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차투입기기(500)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도 2의 101참조)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차가 놓일 수 있는 차수용부(503)가 제공되고, 상기 차수용부(503)의 하면에는 마개(501)와 상기 마개(501)를 움직이는 솔레노이드(502)가 제공된다. 상기 차수용부(503)는 뚜껑(302)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502)는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식품저장장치의 다른 구성부분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50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음료가 충분히 가열 또는 냉각된 다음에 투입될 수도 있고, 음료가 가열 또는 냉각되기 전에 투입될 수도 있고, 음료가 가열 또는 냉각되는 중에 투입될 수도 있다. 이는 투입되는 차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차투입기기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ar insertion apparatus 500 will be described.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in the embodiment,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ppearance as the receptacle 100. The inside of the car insertion apparatus 500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see 101 in FIG. 2), and a car accommodating portion 503 in which a car can be placed is provided, A stopper 501 and a solenoid 502 for moving the stopper 501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503. The car accommodating portion 503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302. Here, the solenoid 50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solenoid 502 can be interlock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food storage device. Thu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502, the beverage may be introduced after it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or cooled, may be introduced before the beverage is heated or cooled, or may be introduced while the beverage is being heated or cooled. Thi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serted car or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car insertion device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실시예 5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장착, 음료투입 등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에는 차투입기기(500)를 수용부(100)의 위에 장착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설정, 알람설정, 및 차투입시기설정 등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내용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되고, 사용자는 일어난 후에 편리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다. The user performs other tasks such as mounting a food storage container, dispensing drinks, and the like. Thereafter, the car insertion apparatus 50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section 100. Then, the user can perform settings such as set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food storage device, setting the alarm, and setting the time of turning on the tea. Thereafter, when the set time passes,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t contents is performe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drink after the set time.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차를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502)는 마개(501)를 밀고 당기는 것에 의해서 차를 투입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및 마개는 제시되는 바와 같은 구조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마개(501)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개(501)가 열려서 차가 투입되는 것은 어느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다른 방식의 차투입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것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a car can be picked up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fifth embodiment, the solenoid 502 is described as merely inputting a car by pushing and pulling the stopper 501. However, the solenoid and stopper are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as shown, and may also perform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stopper 501 upwards or downwards or side to side. In this case as well, the stopper 501 is opened and the car is put in any case. Of course, it does not exclude that other types of car-input devices can be applied.

<제 6 실시예><Sixth Embodiment>

제 6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6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6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sixth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except for what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도 17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수용부(100), 제어부(200), 및 식품저장용기(300)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100)에는 식품저장용기감지기구가 더 마련되어 식품저장용기의 안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감지기구로서 상기 수용부(100)의 내측, 더 상세하게는 안착부(161)의 내측면에는 스위치(160)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160)는 도면에 제시되는 형태로 제안되지 않고 광센서, 접근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다양한 장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위치(160)는, 식품저장용기(300)이 수용부(100)에 안착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60)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오프상태로 바뀔 수 있다. 17, a storage unit 100, a control unit 200, and a food storage container 300 are provided, and the storage unit 100 further includes a food storage container sensing mechanism, To be detected. As the food storage container sensing mechanism, a switch 16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61. The switch 160 is not suggested in the drawings, but various types of switches such as an optical sensor and an access sensor may be applied to various places. The switch 160 may sense whether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seated in the receptacle 100 or not. For example, the switch 160 maintains the on state when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161,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161 State to the off state.

상기 스위치(160)의 온과 오프상태에 따라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60)가 오프되면 가열, 냉각, 또는 보온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지시 기능만을 제외하고 모든 기능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는,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 놓여 있는 동안에는, 가열 또는 냉각이 종료되더라도 보온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서 빠진 때에 보온의 기능을 유지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The operation state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switch 160. [ For example, when the switch 160 is turned off, there is no need to heat, cool, or keep warm. Therefore, all functions except the operation instruction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turned off. In other cases, while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placed on the seating part 161, the user may maintain the desired beverage state by keeping the heat insulation even if the heating or cooling is completed,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nction of keeping the heat insulation from being retained in the seat portion 161 when it is missing. By doing this, unnecessary energy waste can be prevented,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enhanced.

도 18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식품저장장치에 식품저장용기가 놓여지고 식품저장장치의 세팅이 종료되고서 타이머가 동작이 시작한다(S31). 이후에 초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32), 동작이 시작하고 일정이 시간이 경과하면 원하는 음료가 원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S33). 여기서 상기 동작은 가열 또는 냉각이 될 수 있다. 음료가 완성되면, 알람을 울려 사용자에게 음료가 완성되었음을 알린다(S34). 이때, 음료가 완성된 것 다음에는 가열 또는 냉각의 동작은 정지하고 보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 취식을 위하여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를 안착부에서 제거하면 알람이 정지할 수 있다(S35). 알람이 정지하는 것과 함께 보온기능이 정지될 수도 있고, 사용자 지시를 제외하는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placed in the food storage device, the setting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terminated, and the timer starts operation (S31). When the initial set time has elapsed (S32), the operation starts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desired beverage reaches a desired state (S33). Where the operation can be heating or cooling. When the beverage is completed, an alarm is sound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beverage has been completed (S34). At this time, after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heating or cooling is stopped and the function of keeping the temperature can be performed. Thereafter, if the user removes the food storage container from the seat for food, the alarm may be stopped (S35). The alarm function may be stopped, the warm-up function may be stopped, or the func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excluding the user instruction may be stopp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가 꺼내지는 것을 신호로 하여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changed by signaling that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taken out from the food storage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expect the effect that the food storage device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제 7 실시예><Seventh Embodiment>

제 7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안착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7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7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seventh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portion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except for what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nd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 19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도 19를 참조하면, 수용부(100), 안착부(171), 제어부(200), 식품저장용기(300)가 제공되고, 상기 안착부(171)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식품저장용기승강기구가 더 마련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승강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9, the storage unit 100, the seating unit 171,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are provided,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seating unit 171 A food storage container elevating mechanism for moving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further provided. The food storage container eleva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안착부(171)의 바닥에는 받침대(170)가 더 마련된다. 상기 받침대(170)는 플레이트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받침대(170)의 하측으로는 지주(173)가 제공되어 지주(173)의 상하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받침대(170) 및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는 식품저장용기이 승강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주(173)에는 랙(171)이 제공되고, 상기 랙(171)과 적어도 피니언부분이 치합되는 모터(172)가 더 마련된다. First, a pedestal 17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171. The pedestal 170 may be provided in a plate or mesh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column 173 is provided below the pedestal 170 so that the pedestal 170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supported by the pedestal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llars 173. [ The struts 173 are provided with a rack 171 and further provided with a motor 172 in which the rack 171 is engaged with at least a pinion portion.

따라서, 상기 모터(172)의 동작에 따라서 랙(171)과 지주(173)와 받침대(17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받침대(170)의 상하 승강작용에 의해서 식품저장용기(30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는 많이 움직일 수도 있으나, 그와 같이 많이 움직일 필요가 없이 약간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에 제시되는 상기 승강기구는 일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의 기구가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rack 171, the struts 173, and the pedestal 170 m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172, and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moves up and down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edestal 170 .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may move a great deal, but it may be necessary to move the food storage container 300 a little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moved as mu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food storage container. The elevator mechanism shown in th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other types of mechanisms may be propo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용기을 잡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음료가 제공되어 있음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hold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conveniently confirm that the drink is provided as desired by the user.

도 2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도 20을 참조하면, 음료가 제공된 상태로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부(171)에 놓이고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지시한다(S41).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여 설정시간에 도달하면(S42), 가열 또는 냉각의 동작이 시작하고(S43), 음료가 원하는 상태에 도달하면 알람이 동작한다(S44). 동작이 종료하면, 승강기구에 의해서 식품저장용기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45). Referring to FIG. 20,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placed on the seating part 171 with the beverage being supplied, and the user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S41).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set time is reached (S42), the operation of heating or cooling is started (S43) and the alarm is activated when the drink reaches a desired state (S44).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moved upward by the elevating mechanism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drink the beverage (S45).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품저장용기를 취출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conveniently take out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drink the beverage.

<제 8 실시예>&Lt; Eighth Embodiment >

제 8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식품저장장치의 제어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8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8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eighth embodiment is large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for the portion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portion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도 2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system of a foo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도 21을 참조하면, 식품저장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단말기(600)는 식품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식품저장장치에는 통신부(506)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컨트롤러(501), 스위칭부(507), 알람부(502), 타이머(503), 라이팅부(504), 및 냉열부(505)가 제공되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600)는 휴대폰을 예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terminal 600 provided outside the food storage device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food storage device. To this end, the food storag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506. The food storage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501, a switching unit 507, an alarm unit 502, a timer 503, a lighting unit 504, and a cooling unit 505, The description in other embodiments can be used. The terminal 600 may illustrate a cellular phone.

상기 단말기(600)는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설정, 동작모드설정, 및 위의 실시예에서 보이는 다양한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저장장치는 통신부(506)를 통하여 단말기(60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되는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erminal 600 can direct the operation time setting of the food storage device, the operation mode setting, and various operation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od storage device receives signals from the terminal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6, and can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ignals.

이와 같은 동작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operation, the user can control the food storage device by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obtain the desired beverage.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원하는 어떠한 상태로도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만족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고, 식품저장장치 산업에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can be provided in any state desired by an individual. Therefore, users are more satisfied by positively satisfying individual preferen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open up new markets that have not existed until now, and to open new markets for the food storage industry.

100: 수용부
200: 제어부
300: 식품저장용기
100:
200:
300: Food storage container

Claims (16)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한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장치.
A receptacle in which food is received and rotatable;
A cool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 control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unit via a central axis for rotation,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operating states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And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accommod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공되는 버튼과 홈으로 제공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ood and beverage storage unit provided with buttons and groove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작부가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time of the food storag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에는, 가열모드, 냉각모드가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tate includes a heating mode and a cool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팅부가 제공되고, 상기 라이팅부는 발광부로 제공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unit is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the placement state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면발광하거나,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부근에 제공되어 손잡이 부분이 발광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발광하도록 하는 식품저장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as to emit light or to be provided near the handl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emits light or an operation portion operated by the user emits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제공되어 차를 투입하는 차투입기기가 더 마련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r loadin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insert a c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이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구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sensing whether the food is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vat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elevate the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의 외면을 이루는 각기둥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배치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동작하는 식품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re provided in a prismatic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oling and hea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prismatic surface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por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Device.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그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이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Rotating the housing part in which the food is received relative to the control part, and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rotation angle; And
And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제 11 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timer is adjusted so that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 11 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 method of using a food storage device in which an alarm sounds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adjusting a timer.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식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수용부가 포함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동작모드가 지시될 수 있고,
상기 동작모드를 사용자에게 빛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라이팅부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And
And an accommodation portion capable of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ortion is accommodated and the operation mode can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nd a lighting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operation mode as light to a user.
식품저장장치 및 상기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는 단말기가 포함되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대적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신부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A food storage device and a terminal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food storage device,
In the food storage device,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food is received and rotatably provided;
A cool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 controll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ccommodat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stat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And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relative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roller and the accommoda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내부에 식품저장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식품저장용기에 인접하여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상기 냉열부의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food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 seating part on which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seated; And
A cold storage portion adjacent 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cold / hot section can be instruc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ccommodation section and the control section.
KR1020130153657A 2013-12-11 2013-12-11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KR102201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en) 2013-12-11 2013-12-11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en) 2013-12-11 2013-12-11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86A true KR20150067986A (en) 2015-06-19
KR102201413B1 KR102201413B1 (en) 2021-01-12

Family

ID=535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en) 2013-12-11 2013-12-11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1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09Y1 (en) * 2002-01-24 2002-04-12 박정환 Potable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with Tea Bag Type of Teas and/or Coffees Supplier
JP2002134053A (en) * 2000-10-25 2002-05-10 Jeol Ltd Apparatus for inclining sample mounting member at low temperature, sample holder, and sample holder mounting member
JP2003304977A (en) * 2002-02-15 2003-10-28 Pfu Ltd Warmth keep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
KR20040067252A (en) * 2003-01-22 2004-07-30 한영태 Heating device for portable of using the heat pipe
KR20050078356A (en)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60117639A (en)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Kimchi-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structure of kimchi-refrigerator
KR20130019148A (en) * 2011-08-16 2013-02-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ortable type cooling and he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053A (en) * 2000-10-25 2002-05-10 Jeol Ltd Apparatus for inclining sample mounting member at low temperature, sample holder, and sample holder mounting member
KR200271909Y1 (en) * 2002-01-24 2002-04-12 박정환 Potable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with Tea Bag Type of Teas and/or Coffees Supplier
JP2003304977A (en) * 2002-02-15 2003-10-28 Pfu Ltd Warmth keep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
KR20040067252A (en) * 2003-01-22 2004-07-30 한영태 Heating device for portable of using the heat pipe
KR20050078356A (en)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60117639A (en)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Kimchi-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structure of kimchi-refrigerator
KR20130019148A (en) * 2011-08-16 2013-02-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ortable type cooling and he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13B1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260B2 (en) Drinkware contain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AU2019200595B2 (en)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US10188229B2 (en)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CN105555603B (en) Glass stand
US8618448B2 (en) Heated or cooled dishwasher safe dishware and drinkware
US8759721B1 (en) Heated or cooled dishwasher safe dishware and drinkware
US9035222B2 (en)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RU2011117342A (en) CONVENIENT CONVENIENT MACHINE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CN115500696A (en) Heated or cooled tableware and drinking utensils
US11950726B2 (en) Drinkware contain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KR101685880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150067986A (en) 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CN219982688U (en) Hot drink preparation device
KR102388092B1 (en) Smart artificial intelligence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160055527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1492978B1 (en) Complex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