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825A -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825A
KR20150067825A KR1020130152808A KR20130152808A KR20150067825A KR 20150067825 A KR20150067825 A KR 20150067825A KR 1020130152808 A KR1020130152808 A KR 1020130152808A KR 20130152808 A KR20130152808 A KR 20130152808A KR 20150067825 A KR20150067825 A KR 2015006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bone
display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415B1 (ko
Inventor
정낙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3015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4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와 인체를 이루는 뼈의 이미지가 저장되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저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자료나 연산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저장부, 입력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제어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는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는 종합 입력 모듈, 개인 소지품 입력 모듈,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로 이루어지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입력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는 서로 대비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An Identification System for Victims in Mass Disaster}
본 발명은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희생자 발생 사건 사고(대형 쇼핑 몰 등에 대한 테러, 지진, 대형 화재, 태풍, 쓰나미 등에 의하여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 사고)의 희생자의 신원 확인이 정확하고,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문이나 홍체 등을 이용하여 보안을 위하여 출입문 등에서 신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인력에 대해서만 출입을 허용하는 신원 확인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 다수의 기술이 출원되었다.
그러나, 사망한 희생자 특히 다수의 사망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 또는 사고에 있어서, 다수의 희생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희생자에 대한 신원이 확인되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확인 업무가 진행되나, 다수 희생자 신원 확인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지 못하여 신원 확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신원 확인이 될 수 있는 희생자들도 신원이 확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052675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사망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 또는 사고에 대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사망 희생자에 대한 신원이 확인되도록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와 인체를 이루는 뼈의 이미지가 저장되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저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자료나 연산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저장부, 입력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제어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는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는 종합 입력 모듈, 개인 소지품 입력 모듈,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로 이루어지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입력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는 서로 대비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는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이 포함되며,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은 입력을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단계와, 입력된 뼈에 대한 자료와 측정 자료가 연산되는 분석 단계로 이루어지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뼈의 이미지는 뼈를 이루는 각 영역이 분할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선택 명령 입력에 의한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는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현장 입력을 위한 현장 입력 단계와, 각 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기 위한 상세 입력 단계로 나누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현장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는 제1 분류단계로 분류된 영역에 속하는 입력 영역이 뼈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상세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석 단계는 성별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성별분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두개골 및 골반골이 디스플레이되며, 두개골 및 골반골의 사진 및 상태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두개골 및 골반골의 성별 추정 상(Phase)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석 단계는 신장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신장 분석 단계에서는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가 입력되고, 인종 및 성별이 입력되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계산식(
Figure pat00001
의하여 신장이 연산되어 저장부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며; 계산식에서 Hum은 대퇴골 길이, Rad는 상완골 길이, Ulm은 경골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석 단계는 연령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연령 분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사진 및 상태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치골 결합면 및 장골 귀모양면의 상(Phase)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각 이에 대하여 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와 병기된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과, 번호와 이의 모형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이의 모형은 치아가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중심에 사각형과 사각형을 둘러싸는 4개의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에서는 "Normal"(정상), "Filling"(메움), "Crown"(씌움), "Pontic"(브릿지), "Implant"(임플란트), "Missing"(손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선택 영역에서 선택 결과에 따라 해당 이의 모형은 선택 결과가 반영되어 각각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의 대비에서 번호와 선택 결과가 반영된 이의 모형이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양 손바닥 모형이 디스플레이되고, 손바닥 모형에는 엄지 손가락 부분이 2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나머지 손가락 부분은 3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영역이 형성되며, 손바닥 부분에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4개의 영역이 형성되어; 각 영역과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 이미지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소지품 입력 모듈에서는 의류(모자, 스카프, 타이, 외투, 풀오버, 셔츠, 쪼끼, 가디건, 러닝셔츠, 드레스, 블라우스, 속치마, 장갑, 자켓, 바지, 양말, 벨트, 벨트버클)와 신발에 대하여 재질, 색상, 형태, 라벨, 크기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고, 시계에 대하여 끈의 형태(체인, 스트랩), 재질, 색상, 디자인, 상표, 기재된 글씨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안경에 대하여 렌즈 형태, 컨택트 렌즈 여부, 렌지 재질, 다초점 여부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신분증(여권, 신용카드, 기부카드, 신분증, 여행자 수표, 개인 수표, 건강 카드)의 형태, 사진, 지문, 혈액형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소지품(지갑, 현금 벨트, 뱃지, 통화, 휴대폰, PDA, Sim Card, 티켓, 카메라)의 재질, 색상, 디자인, 제조사, 기재사항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링 체인(반지, 귀걸이, 이어클립, 목걸이, 펜던트, 팔찌, 피어싱, 노즈링)의 재질, 색상, 디자인, 기재된 글씨, 착용 부위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신체를 이루는 머리, 목, 오른팔, 외팔, 오른손, 왼손, 몸통 정면, 몸통 후면,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 오른발, 왼발에 대한 상태가 입력되며, 상태는 "Damaged", "Burnt", "Decomp", "Skelet", "Missing", "Loos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추정나이, 키, 몸무게, 체형(마른체형, 보통 체형, 뚱뚱한 체형), 머리 형태(계란형, Pointheaded, Pyramidal, Circular, Rectangular, Quandrangular), 인종(Caucasoid, Mongoloid, Negroid), 머리카락 종류(Natural, Articifial, Wig, Braided, Implanted, Hair-piece), 머리카락 길이(Short, Medium, Long, Shaved), 머리카락 색상(Blond, Brown, Black, Red, Grey, White, Yellow), 머리카락 두께(Thin, Medium, Thick), 머리카락 형태(Straight, Wavy, Curly, Parted)가 더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앞이마 비(Low, Medium, High, Narrow), 눈썹의 형태, 눈의 색상, 코의 형태, 얼굴모의 형태와 색상, 귀의 형태와 크기, 입의 크기, 입술의 두께, 흡연 흔적, 턱의 크기와 형태, 목의 길이, 손의 크기와 형태, 손톱의 길이, 발의 크기와 형태, 발톱의 상태, 체모량과 체모 색상, 음모량과 음모 색상이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사망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 또는 사고에 있어서, 체계적으로 희생자 신원 확인 업무가 진행되도록 하여, 다수 사망 희생자의 신원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체계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입력 DB를 이루는 사후 자료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입력 DB를 이루는 생전 자료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실행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개인 소지품 및 신체 데이터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치과 데이터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치과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형성한 이(치)의 구조도이며,
도 13은 치과 데이터 입력에 따란 이(치)의 구조 모식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치과 데이터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치과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치과 데이터의 사후 데이터와 생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지문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지문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0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를 이루는 뼈의 분류 단계를 이루는 제1 및 제2 분류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인체 골격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구비된 분류 단계를 따라 분류된 인체 골격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분류 단계에 따라 인체를 이루는 각 뼈에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류 단계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에 부여된 코드들을 도시한 것이며,
도 2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 골격의 입력 단계를 이루는 현장 입력 단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 골격의 입력 단계를 이루는 상세 입력 단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두개골에 대한 자료 입력 화면으로서 분석 단계에서의 성별 입력 화면이며,
도 29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성별 입력 화면이며,
도 30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연령 입력 화면이며,
도 31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신장 연산 자료 입력 화면이며,
도 32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유전자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입력 DB를 이루는 사후 자료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입력 DB를 이루는 생전 자료 입력 DB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실행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개인 소지품 및 신체 데이터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치과 데이터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치과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형성한 이(치)의 구조도이며, 도 13은 치과 데이터 입력에 따란 이(치)의 구조 모식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치과 데이터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치과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치과 데이터의 사후 데이터와 생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지문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지문 입력 메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0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를 이루는 뼈의 분류 단계를 이루는 제1 및 제2 분류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인체 골격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구비된 분류 단계를 따라 분류된 인체 골격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분류 단계에 따라 인체를 이루는 각 뼈에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류 단계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에 부여된 코드들을 도시한 것이며, 도 24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 골격의 입력 단계를 이루는 현장 입력 단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인체 골격의 입력 단계를 이루는 상세 입력 단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8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두개골에 대한 자료 입력 화면으로서 분석 단계에서의 성별 입력 화면이며, 도 29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성별 입력 화면이며, 도 30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연령 입력 화면이며, 도 31은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서 신장 연산 자료 입력 화면이며, 도 32는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을 이루는 유전자 확인 모듈의 플로우 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100)은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200)와 인체를 이루는 뼈의 이미지가 저장되며 제어부(110)에 연결된 저장부(120)와, 제어부(110)에 연결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130)와, 제어부(110)에 연결되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나 연산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상기 저장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120)는 하드디스크나 외장 메모리를 예로 들 수 있고, 입력부(130)는 키보드와 마우스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모니터로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마이컴(CPU)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50은 연산부이며, 연산부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제어부(110)에서 연산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200)는 사후 자료(PM) 입력 DB(210)와 생전 자료(AM) 입력 DB(220)로 이루어진다. 사후 자료 입력 DB(210)는 수습된 희생자에 대하여 조사되어 입력 저장되어 마련된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는 수습된 희생자의 유가족으로부터 제공되거나 수사 기관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 마련된다. 사후 자료(PM)는 사건 또는 사고(이하에서 '사고'라고 한다)가 발생한 현장에서 수습된 희생자에 대한 자료가 입력되어 마련되며, 생전 자료(AM)는 유가족 등으로부터 사고의 희생자와 관련있는 것으로 신고되어 유가족으로부터 제공된 희생자에 대한 자료나 희생자 수습 중에 발견된 신분증 등과 같은 자료를 기초로 수사 기관 등에서 수집한 자료가 입력되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후 자료 입력 DB(210)는 종합 입력 모듈(211), 개인 소지품 입력 모듈(213),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215),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217),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219),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2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전 자료 입력 DB(220)도 사후 자료 입력 DB(210)와 같이 종합 입력 모듈(221), 개인 소지품 입력 모듈(223),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225),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227),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229),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222)로 이루어진다. 입력 DB(200)에 희생자에 대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가 입력되고, 입력부(130)를 통하여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가 대비되고 대비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후 자료 입력 DB(210)와 생전 자료 입력 DB(220)는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대비가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에 대하여 사고마다 사후 자료 입력 DB(210)와 생전 자료 입력 DB(220)가 마련되어 저장되고, 대비되어(Matching) 디스플레이되도록 시스템이 작동된다. 대비 결과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디스틀레이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제어부(110)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출력 수단(예,프린터)을 통하여 출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제공된 대비 결과는 법의관 등 전문가에게 제공되어 확인(Confirmation), 협의(Reconciliation), 승인(Approval) 됨으로써 희생자 확인 절차가 마무리된다. 대비에 있어서 사후 자료 입력 DB(210)와 생전 자료 입력 DB(220)에 각각 입력되어 저장된 개인 소지품(Personal Effects)에 대한 자료, 신체(Physical characteristics) 데이터, 치아(Teeth) 데이터, 유전자(DNA) 데이터, 지문(Fingerprints) 데이터가 대비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100)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사후 자료 입력을 위한 화면과 생전 자료 입력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각 화면에는 사후 자료와 생전 자료 입력을 위한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사후 자료와 생전 자료가 입력되는 각 모듈이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고, 각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자료는 입력 후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저장부(13)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사용자가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종합 입력 모듈(211)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사고 장소, 사고명, 발생일, 희생자 발견 장소와 일시, 희생자 사진 촬영 여부, 사진이 필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었는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었는지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종합 입력 모듈(211)에서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여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종합 데이터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사용자가 생전 자료 입력 DB(220)의 종합 입력 모듈(221)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성명, 생년월일, 성별, 사고 장소, 사고명, 발생일, DNA정보용 자료 제공여부, 생전자료 제공 일자, 생전자료 제공자 성명, 생전자료 제공자 연락처(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국적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종합 입력 모듈에서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여 생전 자료 입력 DB(220)의 종합 데이터가 마련된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소지품 입력 모듈(213, 223)에서는 의류(모자, 스카프, 타이, 외투, 풀오버, 셔츠, 쪼끼, 가디건, 러닝셔츠, 드레스, 블라우스, 속치마, 장갑, 자켓, 바지, 양말, 벨트, 벨트버클)와 신발에 대하여 재질, 색상, 형태, 라벨, 크기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고, 시계에 대하여 끈의 형태(체인, 스트랩), 재질, 색상, 디자인, 상표, 기재된 글씨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안경에 대하여 렌즈 형태, 컨택트 렌즈 여부, 렌지 재질, 다초점 여부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신분증(여권, 신용카드, 기부카드, 신분증, 여행자 수표, 개인 수표, 건강 카드)의 형태, 사진, 지문, 혈액형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소지품(지갑, 현금 벨트, 뱃지, 통화, 휴대폰, PDA, Sim Card, 티켓, 카메라)의 재질, 색상, 디자인, 제조사, 기재사항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링 체인(반지, 귀걸이, 이어클립, 목걸이, 펜던트, 팔찌, 피어싱, 노즈링)의 재질, 색상, 디자인, 기재된 글씨, 착용 부위에 대한 사항이 입력된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에서는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어 제공되어 선택 입력된다. 입력된 자료는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입력됨으로써 입력 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저장부(120)에 동일한 포멧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입력된 내용의 대비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재질, 색상은 선택만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7은 생전 자료와 사후 자료의 소지품 입력 모듈(213, 223)에서 입력된 내용이 대비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215, 225)에서는 신체를 이루는 머리, 목, 오른팔, 외팔, 오른손, 왼손, 몸통 정면, 몸통 후면,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 오른발, 왼발에 대한 상태가 입력되며, 상태는 "Damaged", "Burnt", "Decomp", "Skelet", "Missing", "Loos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추정나이, 키, 몸무게, 체형(마른체형, 보통 체형, 뚱뚱한 체형), 머리 형태(계란형, Pointheaded, Pyramidal, Circular, Rectangular, Quandrangular), 인종(Caucasoid, Mongoloid, Negroid), 머리카락 종류(Natural, Articifial, Wig, Braided, Implanted, Hair-piece), 머리카락 길이(Short, Medium, Long, Shaved), 머리카락 색상(Blond, Brown, Black, Red, Grey, White, Yellow), 머리카락 두께(Thin, Medium, Thick), 머리카락 형태(Straight, Wavy, Curly, Parted)가 더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앞이마 비(Low, Medium, High, Narrow), 눈썹의 형태, 눈의 색상, 코의 형태, 얼굴모의 형태와 색상, 귀의 형태와 크기, 입의 크기, 입술의 두께, 흡연 흔적, 턱의 크기와 형태, 목의 길이, 손의 크기와 형태, 손톱의 길이, 발의 크기와 형태, 발톱의 상태, 체모량과 체모 색상, 음모량과 음모 색상이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에서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선택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입력된 자료는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215, 225)을 통하여 입력된 자료는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217, 227)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에 대하여 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와 병기된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과, 번호와 이의 모형이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의 모형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가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중심에 사각형과 사각형을 둘러싸는 4개의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표시된 평면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치아가 중심부에 사각형을 가지는 5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평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치아의 치료 위치를 정확하게 입력하여 대비가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에서는 "Normal"(정상), "Filling"(메움), "Crown"(씌움), "Pontic"(브릿지), "Implant"(임플란트), "Missing"(손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선택 영역에서 선택 결과에 따라 해당 이의 모형은 선택 결과가 반영되어 각각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3은 선택 영역에서의 선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이의 모형 변형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 이의 위치를 선택하고 선택 영역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이의 모형이 변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한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217, 227)의 화면에서 이를 선택하고 이의 상태를 선택하면 이의 모형에 이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어 변형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후 자료와 사전 자료가 대비되어 같은 번호에 같은 상태를 가지는 데이터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전 자료와 사후 자료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212, 222)에서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양 손바닥 모형이 디스플레이되고, 손바닥 모형에는 엄지 손가락 부분이 2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130)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나머지 손가락 부분은 3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130)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영역이 형성되며, 손바닥 부분에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4개의 영역이 형성된다. 손바닥의 각 영역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문 이미지가 링크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손바닥 모형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이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문 이미지와 링크됨으로써 지문에 대한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대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문을 대비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공지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215, 225)은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이 포함되며,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은 입력을 위하여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단계와, 입력된 뼈에 대한 자료와 측정 자료가 연산되는 분석 단계로 이루어진다.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뼈의 이미지는 뼈를 이루는 각 영역이 분할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체를 이루는 뼈는 위치에 따라 분할 분류되고 코드가 부여되어 코드와 매칭되는 뼈의 이미지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분류 단계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가 인체를 뼈를 위치에 따라 중심축부와 좌우 상하로 나누어지는 제1 분류단계와, 제1 분류단계에서 나누어진 영역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제2 분류단계와, 제2 분류단계서 나누어진 영역에 해당하는 뼈들에 대하여 좌우 상하로 나누어 생성되는 코드가 뼈들의 명칭과 함께 부여되어 코드가 생성되는 코드 생성 단계로 이루어지며, 생성된 코드들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코드들은 뼈의 명칭에 링크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상기 제2 분류단계에서 상기 중심축부는 중심부와 중심주변부로 나누어지고 부속부는 좌우의 상부림부와 하부림부로 나누어져, 중심부, 중심주변부(우), 중심주변부(좌), 상부림부(우), 상부림부(좌), 하부림부(우), 하부림부(좌)로 분할된다.
인체를 이루는 뼈 중 두개골(하악골 포함)과, 경추, 요추, 흉추, 흉골, 천골, 미골은 중심부(Central Axis Part)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중심부를 이루는 뼈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지대(쇄골, 견갑골), 늑골, 하지대는 중심주변부(우)로 분류되고; 중심부를 이루는 뼈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지대(쇄골, 견갑골), 늑골, 하지대는 중심주변부(좌)로 분류되고; 좌우 팔(상완골, 요골, 척골)과 손을 이루는 뼈(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 중수골, 기절골, 중절골, 말수골)는 각각 상부림부(좌) 및 상부림부(우)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좌우 다리(대퇴골, 슬개골, 경골, 비골)와 좌우 발을 이루는 뼈(종골, 거골, 주상골, 설상골, 입방골, 근지골, 중지골, 원지골)는 각각 하부림부(좌)와 하부림부(우)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코드 부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에는 코드 '0', 상부에는 코드 '1', 하부에는 코드 '2', 좌측부에는 코드 '1', 우측부에는 코드 '2'가 부여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부를 이루는 중심부에 속한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00'이 부여되고, 중심주변부(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01'이 부여되고, 중심주변부(좌)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02'가 부여되고, 우측 상부림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11'이 부여되고, 좌측 상부림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12'가 부여되며, 우측 하부림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21'이 부여되고, 좌측 하부림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뼈들에는 코드 '22'가 부여되어; 뼈의 약어와 함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2는 코드 생성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뼈의 위치에 따르는 2개의 숫자와, 뼈의 약어가 함께 코드로 생성되어 각 뼈를 나타내는 코드로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2에서 좌측의 빈 2개의 박스에는 위에서와 같이 위치에 따라 분할된 영역의 2개의 숫자 자리이다. "location"은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추, 요추, 손의 기절골, 중절골, 말절골, 발의 근지골, 중지골, 원지골과 같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01", "02", "03" 등과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를 부가하여 코드가 생성된다. 경추, 요충 등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01", "02" 등과 같이 위치 숫자가 부여될 수 있다.
도 23은 위와 같은 과정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각 뼈의 코드들을 도 5의 위치에 따라 정렬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인체를 이루는 뼈가 분류되고 코드가 부여되어 저장됨으로써, 인체 뼈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사고 현장등에서 수습되는 뼈에 대하여 간단하면서도 일률적으로 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기존에는 수습되는 뼈에 그 뼈의 명칭을 기재한 태그를 부착하고 촬영하면서 수습하였다.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선택 명령 입력에 의한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은 디스플레이될 때 현장 입력을 위한 현장 입력 단계와, 각 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기 위한 상세 입력 단계로 나누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현장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제1 분류단계로 분류된 영역에 속하는 입력 영역이 뼈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상세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현장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제1 분류단계로 분류된 영역에 속하는 입력 영역이 뼈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현장에서 수습할 때 상세 정보를 입력하기에는 환경이 좋지 않을 수 있고, 수습에 보다 집중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제1 분류단계로 분류된 영역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충실한 수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세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선택 명령 입력 영역은 뼈의 명칭 코드 우측의 청색과 적색 버튼 그리고 "nomal", "burnt", "damaged"이라는 인덱스를 가지는 뼈의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분석 단계는 성별 분석 단계와, 신장 분석 단계와, 연령 분석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성별 분석 메뉴를 선택하면 성별 분석 단계가 실행된다. 성별 분석 단계에서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두개골 및 골반골(Hipbone)이 디스플레이되며, 그 특징 라인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수습 중 촬영되어 저장된 두개골 및 골반골의 사진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진 촬영 저장 시 두개골 및 골반골에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되어 생성되는 코드가 부여되어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사용자는 두개골 및 골반골의 특징 형태를 비교하면서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해당 사항을 클릭하여 입력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신장 분석 메뉴를 선택하며 신장 분석 단계가 실행된다. 신장 분석 단계에서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함께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림도 함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가 입력되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계산식(동아시인 남자 신장 계측식) 의하여 신장이 연산되어 연산값(신장)은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아래 계산식에서 Hum은 대퇴골 길이, Rad는 상완골 길이, Ulm은 경골 길이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성별 분석 메뉴를 선택하며 성별 분석 단계가 실행된다. 성별 분석 단계에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무명골(Hipbone)이 디스플레이되며, 그 특징 라인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수습 중 촬영되어 저장된 무명골의 사진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진 촬영 저장 시 무명골에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되어 생성되는 코드가 부여되어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사용자는 무명골의 특징 형태를 비교하면서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해당 사항을 클릭하여 입력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연령 분석 메뉴를 선택하며 연령 분석 단계가 실행된다. 연령 분석 단계에서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이미지와 함께 그 상(Phase)도 디스플레이된다. 이와함께 수습 중 촬영되어 저장된 치골의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이미지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진 촬영 저장 시 치골 및 장골에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되어 생성되는 코드가 부여되어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사용자는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특징 형태를 비교하면서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해당 사항을 클릭하여 입력하여 저장한다.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의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219, 229)에서 사후 자료로는 수습된 희생자로부터 얻어진 유전자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고, 생전 자료로는 사고의 희생자와 관련있는 것으로 신고되어 유가족으로부터 제공된 희생자에 대한 유전자 내용, 희생자의 부모, 형제(자매)로부터 마련된 유전자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생전 자료 입력 DB(220) 및 사후 자료 입력 DB(210)에 각각의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들은 같은 생전 자료와 사후 자료가 동일 포멧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므로, 직접 대비가 되며 사후 자료와 사전 자료가 대비되어 사후 자료를 기준으로 서로 일치하는 내용이 많은 생전 자료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100: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저장부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16)

  1.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와 인체를 이루는 뼈의 이미지가 저장되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저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자료나 연산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저장부, 입력부,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제어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원 확인을 위한 입력 DB는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는 종합 입력 모듈, 개인 소지품 입력 모듈,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 유전자 데이터 입력 모듈,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로 이루어지며; 사후 자료(PM) 입력 DB와 생전 자료(AM) 입력 DB로 입력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는 서로 대비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는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이 포함되며, 골격 데이터 입력 모듈은 입력을 위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단계와, 입력된 뼈에 대한 자료와 측정 자료가 연산되는 분석 단계로 이루어지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뼈의 이미지는 뼈를 이루는 각 영역이 분할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선택 명령 입력에 의한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는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현장 입력을 위한 현장 입력 단계와, 각 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기 위한 상세 입력 단계로 나누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장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는 제1 분류단계로 분류된 영역에 속하는 입력 영역이 뼈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가 상세 입력 단계를 선택하면,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체를 이루는 뼈의 명칭과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 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인체를 이루는 각 뼈의 명칭은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뼈의 이미지에서 각 뼈에 해당되는 영역과 선택 명령 입력 영역 및 상태 명령 입력 영역은 링크되어,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습된 뼈에 대한 선택 명령 입령 영역을 선택하면 입력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뼈의 이미지에서 해당되는 뼈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분석 단계는 성별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성별분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두개골 및 골반골이 디스플레이되며, 두개골 및 골반골의 사진 및 상태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두개골 및 골반골의 성별 추정 상(Phase)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7.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신장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신장 분석 단계에서는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대퇴골, 상완골, 경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가 입력되고, 인종 및 성별이 입력되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계산식(
    Figure pat00003
    의하여 신장이 연산되어 저장부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며; 계산식에서 Hum은 대퇴골 길이, Rad는 상완골 길이, Ulm은 경골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연령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연령 분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치골 결합면과 장골 귀모양면의 사진 및 상태 입력 영역이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치골 결합면 및 장골 귀모양면의 상(Phase)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각 이에 대하여 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와 병기된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과, 번호와 이의 모형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이의 모형은 치아가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중심에 사각형과 사각형을 둘러싸는 4개의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이의 상태를 선택하는 영역에서는 "Normal"(정상), "Filling"(메움), "Crown"(씌움), "Pontic"(브릿지), "Implant"(임플란트), "Missing"(손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선택 영역에서 선택 결과에 따라 해당 이의 모형은 선택 결과가 반영되어 각각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의 대비에서 번호와 선택 결과가 반영된 이의 모형이 사후 자료(PM)와 생전 자료(AM)가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지문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양 손바닥 모형이 디스플레이되고, 손바닥 모형에는 엄지 손가락 부분이 2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나머지 손가락 부분은 3마디로 분리되어 마디마다 입력부를 통한 클릭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영역이 형성되며, 손바닥 부분에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과 링크되도록 하기 위한 4개의 영역이 형성되어; 각 영역과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 이미지가 링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소지품 입력 모듈에서는 의류(모자, 스카프, 타이, 외투, 풀오버, 셔츠, 쪼끼, 가디건, 러닝셔츠, 드레스, 블라우스, 속치마, 장갑, 자켓, 바지, 양말, 벨트, 벨트버클)와 신발에 대하여 재질, 색상, 형태, 라벨, 크기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고, 시계에 대하여 끈의 형태(체인, 스트랩), 재질, 색상, 디자인, 상표, 기재된 글씨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안경에 대하여 렌즈 형태, 컨택트 렌즈 여부, 렌지 재질, 다초점 여부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신분증(여권, 신용카드, 기부카드, 신분증, 여행자 수표, 개인 수표, 건강 카드)의 형태, 사진, 지문, 혈액형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소지품(지갑, 현금 벨트, 뱃지, 통화, 휴대폰, PDA, Sim Card, 티켓, 카메라)의 재질, 색상, 디자인, 제조사, 기재사항에 대한 사항이 입력되며, 링 체인(반지, 귀걸이, 이어클립, 목걸이, 펜던트, 팔찌, 피어싱, 노즈링)의 재질, 색상, 디자인, 기재된 글씨, 착용 부위에 대한 사항이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에서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신체를 이루는 머리, 목, 오른팔, 외팔, 오른손, 왼손, 몸통 정면, 몸통 후면,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 오른발, 왼발에 대한 상태가 입력되며, 상태는 "Damaged", "Burnt", "Decomp", "Skelet", "Missing", "Loos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에서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추정나이, 키, 몸무게, 체형(마른체형, 보통 체형, 뚱뚱한 체형), 머리 형태(계란형, Pointheaded, Pyramidal, Circular, Rectangular, Quandrangular), 인종(Caucasoid, Mongoloid, Negroid), 머리카락 종류(Natural, Articifial, Wig, Braided, Implanted, Hair-piece), 머리카락 길이(Short, Medium, Long, Shaved), 머리카락 색상(Blond, Brown, Black, Red, Grey, White, Yellow), 머리카락 두께(Thin, Medium, Thick), 머리카락 형태(Straight, Wavy, Curly, Parted)가 더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에서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의 신체 데이터 입력 모듈에서는 앞이마 비(Low, Medium, High, Narrow), 눈썹의 형태, 눈의 색상, 코의 형태, 얼굴모의 형태와 색상, 귀의 형태와 크기, 입의 크기, 입술의 두께, 흡연 흔적, 턱의 크기와 형태, 목의 길이, 손의 크기와 형태, 손톱의 길이, 발의 크기와 형태, 발톱의 상태, 체모량과 체모 색상, 음모량과 음모 색상이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생전 자료 및 사후 자료 입력 DB에서 동일하며 선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KR1020130152808A 2013-12-10 2013-12-10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KR10159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08A KR101595415B1 (ko) 2013-12-10 2013-12-10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08A KR101595415B1 (ko) 2013-12-10 2013-12-10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25A true KR20150067825A (ko) 2015-06-19
KR101595415B1 KR101595415B1 (ko) 2016-02-18

Family

ID=5351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08A KR101595415B1 (ko) 2013-12-10 2013-12-10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4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9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20052675A (ko) 2010-11-16 2012-05-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정보코드를 통한 유실사체에 대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9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20052675A (ko) 2010-11-16 2012-05-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정보코드를 통한 유실사체에 대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415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een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diabetic retinopathy: a review on datasets, methods and evaluation metrics
CN105393252B (zh) 生理数据采集和分析
Akram et al. Implementation of digitalized technologies for fashion industry 4.0: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un et al. An exploratory study on a chest-worn computer for evaluation of diet, physical activity and lifestyle
CN109477951A (zh) 在保护隐私的同时识别人及/或识别并量化疼痛、疲劳、情绪及意图的系统及方法
US201001911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ree dimensional infrared imaging to provide psychological profiles of individuals
Mesejo et al. A survey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biomedical image analysis in skeleton-based forensic human identification
US20190011700A1 (en) Customizable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visualization and multi-sensory system and method
Ruminski et al. Interactions with recognized patients using smart glasses
TW201237802A (en) Content-providing system using invisible information, invisible information embedding device, recognition device, embedding method, recognition method, embedding program, and recognition program
Simmons et al. Anthropology in a forensic context
Jilala et al. Sexing contemporary Tanzanian skeletonized remains using skull morphology: a test of the walker sex assessment method
Banerje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3D printing: a revolution in health care
Olthof et al. A Dutch regional trauma registry: quality check of the registered data
KR101707025B1 (ko) 희생자 신원 확인 시스템
Oriola et al. Virtual anthropology: Forensic applications to cranial skeletal remains from the Spanish Civil War
KR101595415B1 (ko) 대량재해 희생자 신원확인 시스템
JP5782540B2 (ja) 美容カウンセリング方法
Ghosh et al. An unusual case of cranial image recognition
CN110199355A (zh) 在医疗程序中使用机器可读信息的系统和方法
AU2021205077B2 (en) Dermal image capture
Raut et al. Skin Lesion Detection Using MobileNet CNN
Rosado et al. A novel framework for supervised mobile assessment and risk triage of skin lesions
CN110168653A (zh) 用于印制可用于医疗程序中的机器可读信息的系统和方法
JP670883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