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740A -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7740A KR20150067740A KR1020140176013A KR20140176013A KR20150067740A KR 20150067740 A KR20150067740 A KR 20150067740A KR 1020140176013 A KR1020140176013 A KR 1020140176013A KR 20140176013 A KR20140176013 A KR 20140176013A KR 20150067740 A KR20150067740 A KR 20150067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me retardant
- glass fiber
- resin composition
- retardant resin
- fiber reinforc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 등 관련 강도를 개선시켜 박막의 복잡한 성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연성 등 기존 물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내충격 및 인성을 개선시켜 박막의 복잡한 성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전기/전자 및 기타 사무용 기기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열을 많이 발산시키는 대형 사출물에 적용된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용도 및 발열량이 많은 전자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브롬화 및 연소화 난연제는 연소시 발생 가스가 인체에 유해하며, 브롬화 및 염소화 난연제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 또는 부산물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및 용도 관련 장비를 부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인 함유 화합물 포함 비할로겐화 난연제가 폴리카보네이트의 난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슬림화에 따른 두께의 감소에 따라 사출 성형품의 두께가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때 중요한 물성이 고강성이다.
이러한 고강성을 확보하도록 유리섬유, 특히 평판 유리섬유를 고함량 투입하고 나아가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유동 개질제로 투입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내충격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 등 관련 강도를 개선시켜 박막의 복잡한 성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 등 관련 강도를 개선시켜 박막의 복잡한 성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유리섬유; 충격보강제;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는 애스펙트비(δ)가 50 내지 300이고,
상기 충격보강제는 실리콘 코어-(메트)아크릴레이트 쉘 충격보강제,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 등 관련 강도를 개선시켜 박막의 복잡한 성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계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유리섬유; 충격보강제;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는 애스펙트비(δ)가 50 내지 300이고, 상기 충격보강제는 실리콘 코어-(메트)아크릴레이트 쉘 충격보강제,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애스팩트비(δ)"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하기 식 1로 측정되는 것을 지칭한다.
[식 1]
애스펙트비(δ)=L/D
(상기 식에서, L은 유리섬유의 길이이고, D는 유리섬유의 너비로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단면의 가장 긴 변의 길이이고,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단면의 가장 긴 직경의 길이에 해당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두께가 5 내지 20 ㎛, 혹은 5 내지 15 ㎛이고 길이가 2 내지 5mm, 혹은 2 내지 4mm이며, 너비가 10 내지 50 ㎛, 혹은 20 내지 40 ㎛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강성 발현을 확보하고 제품 성형시 외관 불량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애스펙트비(δ)가 50 내지 300, 50 내지 200, 혹은 100 내지 150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고분자간 매우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강성을 증대시켜 강성이 우선시되는 플라스틱 부품 가공시 가격이 비싼 수지 및 금속을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구체적인 예로, 타원형의 유리섬유로서 에폭시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가장 짧은 변이 5 내지 15 ㎛, 혹은 7 내지 11 ㎛일 수 있고,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가장 짧은 직경이 5 내지 15 ㎛, 혹은 7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코어-쉘 충격보강제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쉘은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어-쉘 충격보강제는 구체적인 예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LG 화학의 제품명 EM-500, 혹은 TR540 grade, MRC사의 S-200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어-(메트)아크릴레이트 쉘 충격보강제는 일례로 실리콘 코어 10 내지 7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쉘 9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코어 20 내지 6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쉘 8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일례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스티렌 술폰산,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및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등의 폴리카르본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무수 말레산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가 페놀 화합물과 포스겐 또는 탄산디에스테르와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일례로 용융지수가 3 g/10분 이상(300 ℃, 1.2 kg), 혹은 3 내지 30 g/10분(300 ℃, 1.2 kg)인 비할로겐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사용량은 일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20 내지 60 중량%, 혹은 3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강성 및 흐름성과, 미려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20 내지 60 중량%, 혹은 35 내지 5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강성 및 흐름성과, 미려한 외관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일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0.1 내지 15 중량%,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코어-쉘 충격보강제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1 내지 10 중량%, 혹은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0.1 내지 5 중량%, 혹은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코어-쉘 충격보강제 1 내지 10 중량%, 혹은 1 내지 5 중량%와,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 0.1 내지 5 중량%, 혹은 0.1 내지 1 중량%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일례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 및 방향족 디포스페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는 일례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일 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옥틸 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디포스페이트는 일례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기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r1 내지 Ar4는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인 알킬기가 1 내지 3개 치환된 아릴기, R은 페닐 또는 비스페놀 A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2]
구체적인 예로 아데카사의 제품명 FP-600 gra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5 내지 20 중량%, 혹은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 다른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난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공)중합체(유동 개질 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공중합체,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0.1 내지 10 중량%, 혹은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 유동 개질 및 취성 보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조색제, 윤활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제, 광안정제, 사슬연장제,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불활성화제, 발연억제제, 무기 충진제, 내마찰제, 및 내마모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본 발명의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성형시 충격강도와 인장강도가 보강된 성형품 제작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성형품은 상기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성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상기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와 함께, 믹서 혹은 슈퍼믹서에서 일차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250 내지 300 ℃의 온도구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압출 가공하여 펠렛(Pellet)을 얻고, 이 펠렛을 제습 건조기 또는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출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전기/전자 제품, 건축 자재 또는 자동차의 내외장재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노트북 하우징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기재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에 사용한 각 수지의 제품명은 다음과 같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1): 수지의 용융지수는 22 g/10분(ASTM D1238, 300 ℃, 1.2 kg)인 제품명 LUPOY PC 1300-22 grade (㈜LG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2): 수지의 용융지수는 15 g/10분(ASTM D1238, 300 ℃, 1.2 kg)인 제품명 LUPOY PC 1300-15 grade (㈜LG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유리섬유(B): 제품명 CSG3PA-830(Nittobo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너비(D) 28 ㎛, 두께 7㎛, 길이(L) 3mm로서 상기 식 1로 계산한 애스펙트비(δ)가 107이고 에폭시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제품이다.
코어-쉘 충격보강제(C): 제품명 S-2001(MRC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고, 쉘 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 제품이다.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충격보강제(D): 제품명 KFM-PB050 (NPK(주) 제조)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무수 말레산(함량 1-2wt%)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g-MAH) 제품이다.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E): 제품명 FP-600 grade(㈜아데카사 제조)의 방향족 디포스페이트계 제품을 사용하였다.
유동 개질 및 취성 보강제(F):
(F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로서 제품명 PET BB8055(SK 케미칼 사제)를 사용하였다.
(F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투명 공중합체로서 제품명 PETG S2008(SK 케미칼 사제)를 사용하였다.
(F3)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로서 제품명 1100-211M(CCP사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제시한 종류 및 함량을 배합하고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의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1 | 2 | |
A-1 | 46.5 | 43.5 | 43.5 | 43.5 | 37.5 | 37.5 | ||
A-2 | 51 | 41 | ||||||
B | 42 | 42 | 42 | 42 | 48 | 48 | 40 | 48 |
C | 3 | 3 | 3 | 3 | 3 | 3 | ||
D | 0.5 | 0.5 | 0.5 | 0.5 | 0.5 | 0.5 | ||
E | 8 | 8 | 8 | 8 | 8 | 8 | 9 | 8 |
F1 | 3 | 3 | 3 | |||||
F2 | 3 | 3 | ||||||
F3 | 3 |
수득된 각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산화방지제 및 활제를 0.5 중량부씩 투입하고 280 ℃하에 용융 혼련한 다음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280℃ 조건 하에 사출 성형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각 시편의 평가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하고 측정된 물성을 하기 표 2에 각각 정리하였다.
[시험예]
*인장강도(kg/cm2): ASTM D 638법에 따라 아령 형상의 1/8” 시편을 인스트론 인장강도 측정기의 물림쇠(jaw)에 물리고 5mm/min의 속도 하에 당겨 절단 시점의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절단시 하중(kg)을 시편 두께(cm)와 폭(cm)의 곱으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굴곡강도, 굴곡탄성율(kg/cm2): ASTM D790 기준에 따라 1.3mm/min, 시편 3.2 mm 두께로 측정하였다.
*충격강도(kgf.cm/cm): ASTM D 256법에 따라 두께 3.2 mm 시편에 노치를 내어 노치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유동성(유동지수, Spiral): MI와 spiral flow의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중 MI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60℃에서 하중이 5.0㎏일 때 10분간 측정되는 무게를 g으로 측정하였다. 스파이럴(Spiral)은 300 ℃에서 1.5mm의 두께에서 사출하여 사출 길이를 측정하였다.
*면충격(J): ASTM D3763(시편두께 1.5mm, 23℃)에 명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난연도: UV94 버티컬(vertical) 방법으로 1.0mm의 두께에서 측정하였다.
*표면품질 및 휨 특성: 성형품의 외관 표면은 1등급(양호)에서 5등급(불량)까지 시각적, 촉각적 그리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등급의 기준은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소재의 외관을 1등급으로 삼았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1 | 2 | |
인장강도 (kg/cm2) |
1500 | 1580 | 1610 | 1620 | 1650 | 1650 | 1500 | 1700 |
굴곡강도 (kg/cm2) |
2080 | 2240 | 2280 | 2310 | 2350 | 2340 | 2100 | 2360 |
굴곡탄성율 (kg/cm2) |
127800 | 132500 | 131500 | 134000 | 48143300 | 143400 | 133500 | 152500 |
충격강도 (kg.cm/cm) |
12 | 13 | 17 | 16 | 15 | 16 | 11 | 12 |
용융지수 (g/10min) |
24 | 28 | 28 | 28 | 15 | 16 | 28 | 10 |
Spiral | 22 | 26 | 24 | 24 | 25 | 25 | 21 | 823 |
면 충격(J) | 6.2 | 6.8 | 7.5 | 7.8 | 7.1 | 7.6 | 5.5 | 5.6 |
난연도 | V-0 | V-0 | V-0 | V-0 | V-0 | V-0 | V-0 | V-0 |
외관/평활도 | 3등급 | 2등급 | 2등급 | 2등급 | 3등급 | 3등급 | 3등급 | 4등급 |
상기 표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성형시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 등 관련 강도를 개선시키고, 표면의 외관 상태가 뛰어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지수가 부적절하고, 나아가 충격보강제와 유동 개질/취성 보강제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6 대비, 충격강도와 유동성 중 스파이럴 유동지수, 및 면 충격 측정치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지수가 부적절하고, 나아가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6 대비, 유동성 중 용융지수(MI), 면 충격 측정치 및 외관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8)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유리섬유; 충격보강제;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는 애스펙트비(δ)가 50 내지 300이고, 상기 충격보강제는 실리콘 코어-(메트)아크릴레이트 쉘 충격보강제,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유동 개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두께가 5 내지 20 ㎛이고 길이가 2 내지 5mm이며, 너비가 10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쉘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코어-(메트)아크릴레이트 쉘 충격보강제는 실리콘 코어 10 내지 70 중량%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쉘 9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스티렌 술폰산,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및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지수가 3g/10분 이상(300 ℃, 1.2 kg)인 비할로겐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0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0.1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 및 방향족 디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일 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옥틸 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유동 개질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유동 개질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중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전기/전자 제품, 건축 자재 또는 자동차의 내외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2903 | 2013-12-10 | ||
KR20130152903 | 2013-12-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7740A true KR20150067740A (ko) | 2015-06-18 |
Family
ID=5351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6013A KR20150067740A (ko) | 2013-12-10 | 2014-12-09 |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774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35049A (zh) * | 2018-06-27 | 2019-01-04 | 中广核俊尔(上海)新材料有限公司 | 一种阻燃lft-d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2014
- 2014-12-09 KR KR1020140176013A patent/KR201500677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35049A (zh) * | 2018-06-27 | 2019-01-04 | 中广核俊尔(上海)新材料有限公司 | 一种阻燃lft-d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044B1 (ko) | 비할로겐 난연 고강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KR101288561B1 (ko) |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935087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1537655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JP5719482B2 (ja) |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難燃性樹脂組成物 | |
JP5925912B2 (ja) |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KR20120075053A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CN100528961C (zh) | 高韧性阻燃pc(聚碳酸酯)/abs合金 | |
JP6087052B2 (ja) | 難燃性樹脂組成物 | |
WO2014185217A1 (ja) |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JP2024534756A (ja) |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 |
KR101812892B1 (ko) | 기계적 강도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KR101766038B1 (ko) | 충격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KR101776990B1 (ko) |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난연수지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 |
KR20150067740A (ko) | 충격 및 인성이 보강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WO2015053159A1 (ja) |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KR20170025917A (ko)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 |
KR20120077465A (ko) |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JP2021021046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 |
JP2020176159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 |
KR101895364B1 (ko) |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재생수지 조성물 및 그 제품 | |
KR102183907B1 (ko) |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EP4431566A1 (en) | Pellets, molded product, and pellet manufacturing method | |
KR20230049783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20140146772A (ko) |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