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919A -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919A
KR20150066919A KR1020130152559A KR20130152559A KR20150066919A KR 20150066919 A KR20150066919 A KR 20150066919A KR 1020130152559 A KR1020130152559 A KR 1020130152559A KR 20130152559 A KR20130152559 A KR 20130152559A KR 20150066919 A KR20150066919 A KR 2015006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reas
head unit
application
ap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853B1 (ko
Inventor
이동호
이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3015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동된 위치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용 헤드유닛에서 한 화면에서 동시적으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EXECUTING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A HEAD UNIT OF VEHICLE, AND THE HEAD UNIT OF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의 제1 영역 상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편의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헤드 유닛(Head Unit)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고 이를 화면(screen)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발달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Service provider)에 의해 차량제조자(vehicle manufacturer)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자동차 운전자 등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일 시간대에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공간의 제약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었다.
또한, 자동차 헤드 유닛의 사용자는 운전자 또는 그 동승자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을 분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분할된 화면 각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동된 위치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차 헤드유닛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센서, 및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을 상기 입력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드래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를 변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동된 위치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유닛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적 및 환경적인 제약 조건하에 있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헤드 유닛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상의 특정 기준포인트의 변동된 위치를 중심으로 화면의 제1영역을 편의상 4개로 분할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항목을 드래그 앤 드랍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면(100)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인 제1 영역(1)과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2 영역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제1 영역(1)은 이동 가능한 기준포인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제1 영역(1)은 제1-1 영역(1-1), 제1-2 영역(1-2), ……, 제 1-n 영역(1-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자동차 헤드 유닛의 화면 영역을 구획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영역 상의 특정 기준포인트(1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한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영역 각각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서, 상기 n 개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는 헤드유닛을 통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은 글자(Text)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림(Image)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화면의 하단, 상단, 좌면, 우면 등 전체화면 중의 일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며, 크기는 제 1영역(1)의 나머지 n-1개의 분할된 영역에 비하여 작은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 1 영역(1)는 1-1 ~ 1-n으로 n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데,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n 개의 영역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크기로도 분할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각 영역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추후 설명할 도 3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일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기준포인트(110)를 중심으로 각 영역을 구획함에 있어서, 특정 기준포인트(110)를 제외한 각 영역의 꼭지점들의 위치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결정하게 할 수도 있고 디폴트 값으로서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기준포인트(110)를 제외한 각 영역의 꼭지점들이 정하여진 이후에도, 각 꼭지점을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제1 영역(1)의 테두리 상에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자동차 헤드유닛(200)은 인식센서(210),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 및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헤드유닛(200)은 인식센서(210),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사용자가 편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210)는 디스플레이(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는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의 제1 영역을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n개의 영역 각각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n 개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헤드유닛을 통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상정한다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상기 특정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드래그(drag)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특정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영역인n-1개의 영역 중 제1-k영역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k영역 상에서 드랍(drop)되면, 상기 제1-k영역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1 이상 n 이하의 자연수임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상의 특정 기준포인트의 변동된 위치를 중심으로 화면의 제1영역을 편의상 4개로 분할한 것을 도시화한 것으로, 헤드유닛의 특정 기준포인트 변동에 따른 화면 분할의 변화(30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기준포인트(110)을 중심으로 제1-1영역(1-1)에서 제1-4영역(1-4)까지로 분할된 제1 영역(1)에 있어서,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경우, 이동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제1-1영역(1-1)에서 제1-4영역(1-4)이 재구획될 것이다. 이와 같이 재구획된 상태는 도 3의 아래그림의 참조번호(320)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에서 제1-3영역(1-3)에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도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어느 항목을 드래그 앤 드랍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에 해당하는 App 1을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포함된 영역인 제1-3영역(1-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1-1영역(1-1) 또는 제1-2영역(1-2) 또는 제1-4영역(1-4) 에 드래그 앤 드랍함으로써, App 1을 제1-1영역(1-1) 또는 제1-2영역(1-2) 또는 제1-4영역(1-4)을 통해 실행되는 상태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제1 영역 내의 소정 세부 영역 내에서 실행 중일 때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항목을 제1 영역 내의 다른 세부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할 경우 세부 영역 사이에서 상호 전환(Switching)이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2영역(1-2)에서 App 1이 실행되고 있을 때, 제1-3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App 1과 관련된 항목을 제 1-4영역(1-4)에 드래그 앤 드랍하면, App 1을 제 1-4영역(1-4)을 통해 실행되도록 함과 동시에(여기서, 현재까지 실행되던 상태를 이어받아 계속 실행할 수도 있고 처음부터 실행할 수도 있음), 제1-2영역(1-2)을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1-2영역(1-2)에서 App 1 이 실행되고 있었을 때 상기 제1-4영역(1-4)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다른 하나의 항목에 해당하는 App 2가 실행되고 있었다고 가정한다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230)는, App 1을 제1-2영역(1-2)에서 실행되도록 하지 않고 제1-4영역(1-4)에서 실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2영역(1-2)에는 App 2를 실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편의적인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가령,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1 터치(가령, 단순 터치)가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는, 상기 제1-k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k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영역 상의 나머지 영역의 면적은 그에 따라 조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2 터치(가령, double tap)가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는,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3 터치(가령, "x" box를 터치)가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220)는, 상기 제1 영역을 원래대로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추천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추천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제1 영역
1-1: 제1-1 영역
1-2: 제1-2 영역
1-3: 제1-3 영역
1-4: 제1-4 영역
100: 헤드유닛의 화면
110: 기준포인트
200: 헤드유닛
210: 인식센서
220: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
23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240: 디스플레이
300: 헤드유닛의 특정 기준포인트 변동에 따른 화면 분할의 변화
310: 헤드유닛의 특정 기준포인트 변동
320: 헤드유닛의 특정 기준포인트 변동 후 화면의 분할

Claims (15)

  1.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동된 위치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n 개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는 상기 n 개의 영역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n-1 개의 영역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d) 상기 특정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드래그(drag)되어 상기 n-1개의 영역 중 제1-k영역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k영역 상에서 드랍(drop)되면, 상기 제1-k영역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영역 각각의 꼭지점 중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제외한 꼭지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1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1-k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되, 상기 제1-k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영역 상의 나머지 영역의 면적은 그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2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제3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을 원래대로의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차 헤드유닛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센서, 및
    상기 자동차 헤드유닛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한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1-1영역, 제1-2영역, … 제1-n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n 개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을 상기 입력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드래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의 위치를 변동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동된 위치의 특정 기준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영역을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는 상기 n 개의 영역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n-1 개의 영역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드래그(drag)되어 상기 n-1 개의 영역 중 제1-k영역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k영역 상에서 드랍(drop)되었음을 상기 입력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제1-k영역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n개의 영역 각각의 꼭지점 중 상기 특정 기준포인트를 제외한 꼭지점을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 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상기 입력센서가 제1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는,
    상기 제1-k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1-k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영역 상의 나머지 영역의 면적은 그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입력센서가 제2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는,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k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전체를 차지하도록 확장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k영역 내의 공간에 대해 입력센서가 제3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영역 구획부는,
    상기 제1 영역을 원래대로의 n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헤드유닛.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52559A 2013-12-09 2013-12-09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8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59A KR101580853B1 (ko) 2013-12-09 2013-12-09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59A KR101580853B1 (ko) 2013-12-09 2013-12-09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919A true KR20150066919A (ko) 2015-06-17
KR101580853B1 KR101580853B1 (ko) 2015-12-30

Family

ID=5351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559A KR101580853B1 (ko) 2013-12-09 2013-12-09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075A (zh) * 2018-08-24 2019-01-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触控交互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4596A (ja) * 2008-12-03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92049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분할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KR20120092487A (ko) * 2011-02-11 2012-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4596A (ja) * 2008-12-03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92049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분할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KR20120092487A (ko) * 2011-02-11 2012-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075A (zh) * 2018-08-24 2019-01-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触控交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53B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272B1 (ko) 3차원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51162B1 (ko)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US9933922B2 (en) Child container control of parent container of a user interface
US107473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AU2011296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US201203114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002290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32790B2 (ja) ディスプレイ上のオブジェクトの強調
US11163420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a tree structure
JP5723586B2 (ja) ポインタ制御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700831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6784784B2 (ja) スライダコントロールの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並びにスライダセレクタ
US9933929B1 (en) Automatic layout management through static GUI analysis
US10515475B2 (en) Implementing layered navigation using interface layers
US20140013255A1 (en) Object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object display control method
CA2943602A1 (en) Cursor control for aircraft display device
US9552797B2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KR101580853B1 (ko)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0866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visually altering user interface based on application program runtime information
KR101592885B1 (ko) 자동차 헤드유닛에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사용한 자동차 헤드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243678B2 (en) Method of panning image
US20140351730A1 (en) Treemap Perspective Manipulation
US20180260096A1 (en) Operation system,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US20180121044A1 (en) Run-time event handler generation in json environments
KR102077578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유연한 메뉴를 표출하는 경로 안내 장치 및 경로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