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661A -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661A
KR20150066661A KR1020130151880A KR20130151880A KR20150066661A KR 20150066661 A KR20150066661 A KR 20150066661A KR 1020130151880 A KR1020130151880 A KR 1020130151880A KR 20130151880 A KR20130151880 A KR 20130151880A KR 20150066661 A KR20150066661 A KR 2015006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y
unit
signa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661A/en
Publication of KR2015006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6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avoiding undesired transient condition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Introduced is an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It includes a sensing part which is prepared on a side of a battery module consisting of battery cells and detects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module; a current blocking part which blocks a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module; and a control part which operates the current blocking part when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module is detected.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충전으로 인한 배터리 모듈의 팽창시, 팽창되는 배터리 모듈으로의 충전을 차단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harge preven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blocks charging of a battery module to be expanded when the battery module expands due to overcharging.

최근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전압 배터리의 수명 연장은 차량의 수명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 맞추어 필수적인 부분이며, 따라서 많은 배터리 제조 업체에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수명 연장을 위한 연구가 논의중이다.
As interest in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has increased recently, interest in high-voltage batteries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is also increasing. Particularly, the extension of the life of a high voltage battery is an essential part of the current trend in which the life of the vehicle is getting longer. Therefore, many battery manufacturers are discussing a study for extending the life of the high voltage battery.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는 실질적으로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 셀과 복수개의 상기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및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high-voltage battery used in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is composed of a battery cell that substantially stores current,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 형태로써 내부에 충전을 위한 다종의 화학 물질들을 내포하고 있는바, 상기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의 과충전시 상기 화학 물질들 간의 반응으로 인해 배터리 셀이 부풀어 올라 결국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battery cells are pouch-shaped and contain a variety of chemical substances for charging. The battery cells cause the battery cells to swell due to the reaction between the chemical substances when the battery cells are overcharged, There was a problem to be done.

또한 하나의 배터리 셀이 폭발하게 되면 배터리 모듈 내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다른 배터리 셀에도 손상을 주어 결국 배터리 모듈 전체에 손상을 주게됨에 따라 배터리 셀의 손상으로 배터리 팩 전체의 사용이 중지되는 문제가 있어왔던 것이다.
In addition, when one battery cell explodes, other battery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battery module are damaged, thereby damaging the entire battery module. As a result, damage to the battery cell causes the use of the entire battery pack to be stopped will b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009-013157310-2009-0131573 AA (2009.12.29)(December 29, 20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 셀이 과충전되어 팽창하게 될 시 이를 감지하여 배터리 모듈로의 충전을 차단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팽창을 막고 더 나아가 배터리 팩 전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for preventing battery pack from being further inflated by further preventing battery pack from being damaged,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vercharge prevention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배터리 모듈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부;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ns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a battery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detect whether the battery module is inflated; A current blocking unit for block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current cutoff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attery module is inflated.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면 위를 지나는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다시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다시 상기 송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송출된 신호의 미 수신시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over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receiving the signal again,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unit back to the transceiver. 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It can detect the expansion of the module.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반사판은 배터리 모듈 일면의 양단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unit and the reflection plate may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상기 신호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The signal may be an infrared signal.

상기 전류차단부는 작동시 개방되어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일 수 있다.The current interrupting unit may be a relay that is opened during operation to cut off current.

상기 제어부는 송출된 신호의 미수신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전류차단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current cutoff unit when an unreceived state of the transmitted signal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이 손상되기 전에 미연에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팩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fe of the battery pack can be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pack management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battery cell before it is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회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구성도로써,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200)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100); 상기 배터리 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부(400);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차단부(4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200 includes a battery module 200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0); A current interrupter 400 for interrup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module 200; And a control unit 300 for activating the current interruption unit 400 when the battery module 200 is detected to be infl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일면 위를 지나는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다시 수신하는 송수신부(110)와 상기 송수신부(110)에서 송출된 신호를 다시 상기 송수신부(110)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30)을 포함하며, 송출된 신호의 미 수신시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을 감지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100 includes a transceiving unit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passing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200, and a signal transmitter / Receiving unit 110 and detects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module 200 when the transmitted signal is not received.

여기서,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일면은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을 말하며, 상기 송수신부(110)와 상기 반사판(130)은 배터리 모듈(200) 상면의 양단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되어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을 감지하게 된다.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200 refers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0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are positioned at opposite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Thereby sensing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200.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 감지에 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배터리 모듈(200) 상면의 양단에 상기 송수신부(110)와 반사판(130)이 서로 대면하게 마련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2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송수신부(110)로의 송신과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배터리 모듈(200)에 포함된 배터리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이 과충전되어 팽창하게 되면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배터리 셀간에 밀림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도 2의 (b)와 같이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이 상방으로 부풀어 올라 돌출되게 되며, 돌출된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에 의해 송신된 신호는 반사판(130)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반사되어 돌아오는 중에 돌출된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에 막혀 차단됨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110)로 수신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부(110)는 배터리 모듈(200)이 팽창되어 있음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battery module Receiving unit 110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ceiver unit 110 so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and from the transceiver unit 110 can be smoothly performed as shown in FIG. do. However, when at least one of th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200 is overcharged and expanded, the battery cells stacked up and down are squeezed, and eventually the battery module 200 as shown in FIG. 2 (b)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ed battery module 200 is ref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protruding from the reflective module 130 whe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ive module 130 does not reach the reflection plate 130 Receiving unit 110 is blocked due to blockage. Therefore, the transceiver 110 senses that the battery module 200 is expanded.

상기 송수신부(110)가 위치되는 곳은 특정된 곳에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배터리 모듈(200) 상면이 아니더라도 배터리 모듈이(200) 팽창하는 곳은 어디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배터리 모듈(200) 상면 중 단부가 아니더라도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 어디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배터리 모듈(200) 상면의 단부에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 중 어느 곳이 팽창하게 되어 돌출될지 예측할 수 없고, 상기 신호가 지나가는 길목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돌출된다면 배터리 모듈(200)의 팽창을 정확히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location where the transceiver 110 is locate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lace and the place where the battery module 200 is expanded can be installed anywhere o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Also, the battery module 200 can be installed anywhe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even if it is not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It is not predictable which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0 is expanded and protruded. If the battery module 200 protrudes from a position other than the one where the signal passes, ) Can not be accurately detected.

한편, 상기 송수신부(110)는 직진성이 있는 신호를 송출함이 바람직한 바, 상기 송수신부(110)는 적외선 센서가 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송수신부(110)는 별도의 브라켓(111)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2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신호는 적외선 신호가 되며, 상기 반사판(130)은 적외선 반사판이 됨이 바람직하다.The transceiver 110 may be an infrared sensor and the transceiv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110 through a separate bracket 111. In this case, And is fixed to the battery module 200. Accordingly, the signal is an infrared ray signal,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is preferably an infrared ray reflector.

물론, 상기 송수신부(110) 및 반사판(130)은 상기 적외선 센서가 아니라도 레이저의 송출과 수신이 가능한 레이저 센서 및 레이저 반사판이 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Of course, the transceiver 110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may be laser sensors and laser reflector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ser beam, and may be various other embodiments.

또한, 상기 센싱부(100)는 송수신부(110)와 반사판(130)으로 구성되지 않고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일단에는 송신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기 송신부와 대면하도록 수신부가 마련되어 송신부에서 송신한 신호가 반사판(130)을 거치는 일 없이 바로 수신부로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instead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10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The battery module 200 may include a transmitting unit at one end thereof and a receiving unit So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can be received by the receiver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flector 130. [

한편, 상기 전류차단부(400)는 작동시 개방되어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로써 도 3의 회로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2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300)에서 송출되는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제어 전류가 인가될 때 개방되어 통전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500) 전체에 전류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충전을 중단시킨다.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3, the current cutoff unit 400 is a relay that is opened during operation and cuts off current, and is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200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ontrol current for operating the relay is applied, the current is cut off to prevent current from being input to the entire battery pack 500, thereby stopp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200.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부(400)는 배터리 팩(500)에 하나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Therefore, only one current interruption part 400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500.

상기 릴레이가 개별적인 배터리 모듈(200)마다 구비되지 않고 배터리 팩(500) 전체의 전류 라인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이유는 과충전되는 배터리 모듈(200)에만 충전전류를 차단 할 시 배터리 모듈(200) 간에 출력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전체적인 배터리 팩(500)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출력의 균일성을 위하여 과충전되는 배터리 모듈(200)의 발생시 배터리 팩(500) 전체에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relay is not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battery module 200 and blocks the current line of the entire battery pack 500 is that when the charging current is interrupted only in the overcharged battery module 200, Which is a factor for lowering the output of the battery pack 500 as a whole, the current input to the entire battery pack 500 is blocked when the battery module 200 is overcharged for the sake of uniformity of output will be.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부(100)에서 송출된 신호의 미수신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전류차단부(400)에 제어 전류를 송출하여 상기 전류차단부(400)를 작동시킴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300 transmits a control current to the current cutoff unit 400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부(100)에서 송출된 신호가 미수신되는 순간부터 시간 카운팅을 시작하고, 이후 설정시간, 예컨데 10초가 지난 뒤에도 계속 송출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300)는 현재 배터리 모듈(200)이 팽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차단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0 starts time counting from the momen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is not received. If the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battery module 200 is in an expanded state and operates the current cutoff unit 400. [

상기 설정시간은 10초 이외에도 다양한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송출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이 팽창되었기 때문임을 확신할 수 있는 시간이라면 어느 시간이든 지정될 수 있다.The set time may be various times other than 10 seconds, and any time may be set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transmitted signal is not received because the battery module 200 is inflated.

이처럼 상기 설정시간을 두는 이유는 순간적으로 상기 송수신부(110)와 반사판(130) 사이에 이물질이 위치되거나 일시적인 오류로 송출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황은 과충전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이 때에는 정상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설정시간을 두는 것이다.
The reason for setting the set time is that a foreign matter may be instantaneously placed betwe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and the reflection plate 130, or a signal transmitted as a temporary error may not be received. This situation is not related to overcharging At this time, the set time is set so that charging is performed normally.

한편,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미수신되는지 여부는 전류의 변화를 통해 감지될 수 있는데, 상기 센싱부(100)는 송출된 신호의 수신시에는 상기 제어부(300)에 일정한 전류값을 송출하지만, 송출된 신호의 미수신시에는 제어부(300)에 송출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됨으로써 현재 송출된 신호가 미수신 상태임을 제어부(30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The sensing unit 100 senses whethe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is not received or not, and when the sensing unit 100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The control unit 300 can block the current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when the transmitted signal is not received, so that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transmitted signal is not received. Or vice vers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이 손상되기 전에 미연에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팩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fe of the battery pack can be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pack management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battery cell before it is damag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센싱부 110 : 송수신부
130 : 반사판 111 : 브라켓
200 : 배터리 모듈 300 : 제어부
400 : 전류차단부 500 : 배터리 팩
100: sensing unit 110: transmitting /
130: reflector 111: bracket
200: battery module 300:
400: Current interruption part 500: Battery pack

Claims (6)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배터리 모듈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부;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A sens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for sensing whether the battery module is inflated;
A current blocking unit for block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modu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current interruption unit when the battery module is detected to be infl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면 위를 지나는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다시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다시 상기 송수신부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송출된 신호의 미 수신시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over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receiving the signal again,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unit to the transceiver unit. 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And detects the expansion of the modu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반사판은 배터리 모듈 일면의 양단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and the reflection plate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is an infrared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부는 작동시 개방되어 통전을 차단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interruption unit is a relay that is opened during operation to shut off energiz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출된 신호의 미수신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전류차단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current interruption unit when an unreceived state of the transmitted signal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KR1020130151880A 2013-12-06 2013-12-06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KR201500666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80A KR20150066661A (en) 2013-12-06 2013-12-06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80A KR20150066661A (en) 2013-12-06 2013-12-06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661A true KR20150066661A (en) 2015-06-17

Family

ID=5351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880A KR20150066661A (en) 2013-12-06 2013-12-06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66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411B2 (en) 2016-02-03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EP4071887A4 (en) * 2020-03-09 2023-12-20 LG Energy Solution, Ltd. Pouch-type battery having swelling detection unit added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411B2 (en) 2016-02-03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EP4071887A4 (en) * 2020-03-09 2023-12-20 LG Energy Solution, Ltd. Pouch-type battery having swelling detection unit add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0574B (en) Battery expans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EP3246215B1 (en) Vehicular st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EP2068420B1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and device
JP6790474B2 (en) Secondary battery monitoring device, battery system,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system, vehicle
KR101601379B1 (en) Safety unit for overcharge of battery
KR1012452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ck
KR101449306B1 (en) Safety unit for overcharge of battery
KR101634933B1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ca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82835B1 (en) Apparatus for sensing overcharge of battery
KR20210012103A (en) Apparatus For Fire Detection of Vehicle Battery and Method Thereof
KR20190097928A (en) Battery safety detection sistem
KR20210046331A (en) Apparatus For Fire Detection of Vehicle Battery and Method Thereof
KR102520912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having fail-safe function
KR20150066661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ar battery overcharge
KR2012010245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hutting off connection to the battery
KR20210130283A (en)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rash signal
US20150086815A1 (en) Method for checking a sleep mode of a cell supervision circuit and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KR1017443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attery using protective circuit
KR102511551B1 (en) Battery management sytem and battery pack incuding the same
KR101480649B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4019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attery Overcharge
KR201200041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ttery power
JP2018505639A (en) Battery pack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902446B1 (en) Emergency power suppression units and method
EP3200309B1 (en) Vehicle-use storage batt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