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437A -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437A
KR20150066437A KR1020140139070A KR20140139070A KR20150066437A KR 20150066437 A KR20150066437 A KR 20150066437A KR 1020140139070 A KR1020140139070 A KR 1020140139070A KR 20140139070 A KR20140139070 A KR 20140139070A KR 20150066437 A KR20150066437 A KR 2015006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eer
signal strength
acoustic signal
pe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280B1 (ko
Inventor
마얀크 고엘
스테이시 히비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116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4010A1/ko
Priority to EP14866991.4A priority patent/EP307944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46Indirect determination of position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3/80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803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from receiving transducers or transducer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3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 G01S5/0264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at least one of the systems being a non-radio wave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5/2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통신 시스템은,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인터페이스, 제어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음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왼쪽음향 신호와 오른쪽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무선 지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와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DEVICE COMMUNICATION SYSTEM WITH PROXIMITY SYNCHRON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으로 장치 리소스를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소비자 및 산업용 전자 기기, 특히 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 텔레비전, 프로젝터(projector), 휴대 전화,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결합 장치와 같은 장치는 현대 생활을 지원하고 있고 이들의 기능 레벨은 계속 향상되고 있다. 편리한 영향을 미치는 이들 전자 기기는 기능의 중복을 낳고 있다.
지능형 텔레비전 세트는 가정의 중심 장치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랩탑(laptop) 컴퓨터 및 스마트폰들은 사진을 보여주거나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텔레비전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적인 케이블링(cabl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지능형 텔레비전과 연결된 네트워크에 위치하기만 한다면 어떠한 장치도 네트워크 라우터(network router)를 통해 지능형 텔레비전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은 일부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스마트폰은 사진과 동영상을 찍을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로 인해 그것들을 감상하기 위한 좋은 플랫폼(platform)이 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전자 메일로 전송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전송은 오랜 시간 동안 스마트 폰의 리소스(resource)를 소비할 수 있고, 어떠한 경우에는 컴퓨터 바이러스 또는 악성 코드에 대한 우려로 인한 시스템 방화벽 및 보호 소프트웨어로 인해 파일의 전송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집에 있는 컴퓨터에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도킹(docking)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사안의 긴급성 때문에 스마트폰에 의해 생성된 많은 파일은 저장되지 않거나, 적당하게 전송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근접해 있는 여러 개의 장치의 겹치는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은 여전히 필요하다.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업적 경쟁력 보유의 압박 속에서, 소비자의 증가하는 기대와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제품 차별화를 만드는 기회의 감소에 따라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지만 이전의 연구개발은 어떠한 해결 방안도 제시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회피하는 과제였다.
원격으로 근접해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 리소스를 결합하는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통신 시스템은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음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좌측 음향 신호와 우측 음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결합되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에 결합되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장치의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장치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1 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이 형성되었을 때,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자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근접 리소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왼쪽 스피커로부터의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스피커로부터의 오른쪽 음향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왼쪽 스피커와 상기 오른쪽 스피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왼쪽 음향 신호와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를 위해 음향 방향을 제공하고, 무선 신호 세기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음향 방향과 상기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통신부에 결합하여, 상기 무선 신호 세기, 상기 좌측 음향 신호, 상기 음향 우측 신호를 이용하여 반경을 형성하는 무선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명령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작동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은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의 음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송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함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는, 제 1 반경을 결정하기 위해 근접 리소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음향 방향으로의 모션 동작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무선 안테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기 위해 제1 반경보다 작은 제 2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제 1 반경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서버 장치에게 근접 리소스 요청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 왼쪽 음향 신호, 오른쪽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무선 신호 세기와 좌측 음향 신호와 우측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왼쪽 음향 신호와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를 기초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무선 신호 세기, 상기 왼쪽 음향 신호 및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원격으로 근접해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 리소스를 결합하는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서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가진 장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도1 의 장치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3 은 장치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4 는 도1의 장치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적으로 제 1 무선 신호를 통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하기 위해, 제 1 무선 신호의 진폭 해석과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음향 신호의 진폭 차이의 해석을 조합함으로서, 무선 지원 장치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까지의 거리와 음향 방향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장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거리 계산과 음향의 방향은 상기 무선 지원 장치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상호 작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모바일 장치가 무선 지원 장치의 왼쪽에 있는 경우, 선택된 파일은 제 1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모션(motion)에 의해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로 복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를 무선 지원 장치의 제 2 반경 내에 둠으로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와 상기 무선 지원 장치 사이에 형성되면, 제 1 모바일 장치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 1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제1모바일 장치에서 무선 지원 장치로 자동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제 1 모바일 장치에서 무선 지원 장치로 전송하는데 어떠한 개입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만약 응용 프로그램 파일이 상기 무선 지원 장치로부터 차단되어 있더라도 갱신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의 사본은 상기 제1 모바일 장치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립(sleep) 모드에서와 같이 상기 무선 지원 장치가 전자적으로 잠금되어 있을 때에도 보안 접근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 있는 장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무선 지원 장치로부터 제 2 반경에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를 둠으로서 어떠한 개입 없이 무선 지원 장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암호 키를 제공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무선 지원 장치에서의 동작이 진행되도록 자동으로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로 암호화된 암호 키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 예들 역시 본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시스템, 프로세스 또는 어떠한 기계적 변화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는 바, 몇몇의 잘 알려진 회로, 시스템 구성 및 공정 단계는 상세하게 개시되지 않았다.
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은 반 도식화되어 있고 반드시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것이 아니며 특히 차원의 일부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서 과장되게 표시되었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방향(view) 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방향을 표시하지만, 도면의 묘사는 대부분의 경우 임의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임의의 방향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실시 예의 번호는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등으로 매겨졌으며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다른 의미를 포함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언급되는 “모듈(module)” 이란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machine code),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 코드(embedded code), 및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 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EMS), 수동 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1 은 그 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가진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을 나타낸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서버와 같은 제 2 장치 (106) 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같은 제 1 장치(102)를 포함한다. 제 1 장치 (102)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경로 (104)를 통해 제 2 장치 (106)와 통신 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 의 몇몇개는 통신 경로(104)의 측면에서 서로 무선 네트워킹을 통해 통신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제 1장치 (102)는 휴대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지능형 텔레비전, 스마트 폰, 게임 콘솔, 또는 기타 다기능 통신과 같은 다양한 장치 또는 엔터테인먼트 기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 1 장치(102) 는 제2 장치 (106)와 통신하기 위해 통신 경로(104)와 직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독립형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제 2 장치(106)는 다양한 형태의 중앙 집중적 컴퓨터 기기 또는 분산적 컴퓨팅 기기로 이루어진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장치 (106)는 중앙 서버, 멀티미디어 컴퓨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그리드 컴퓨팅 리소스, 가상화 된 컴퓨터 리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 피어-투-피어 분산 컴퓨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2 장치(106)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나 GM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다양한 첨단 위치 서비스로부터 추출된 지리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제 1 장치(102)의 모든 네트워크 가능한 버전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106)은 단일 컴퓨터실에서 집중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다른 방들에 걸쳐서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걸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 2 장치(106)은 상기 제 1장치(102) 와 통신하는 통신 경로(104) 와 결합시킬 수 있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제 2 장치(106)는 비록 다른 유형의 장치가 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컴퓨팅 장치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비록 장치 통신 시스템(100) 은 제 1 장치(102)와 제 2 장치(106), 그리고 통신 경로(104) 사이에 상이한 파티션을 가질 수 있다 할지라도, 설명 목적을 위해 상기 장치 통신 시스템(100) 은 제 2 장치(106) 와 제 1 장치(102)를 통신 경로(104)의 종말 지점(end point)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장치 (102), 제 2 장치 (106), 또는 이들의 조합은 통신 경로 (104)의 일부로서 기능 할 수 있다.
통신 경로(104)는 다양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경로 (104)는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학, 초음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위성 통신, 이동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데이터 협회 표준(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lrDA),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그리고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는 통신 경로(104)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들이다. 이더넷(Ethernet),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그리고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들은 통신 경로 (104)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더욱이, 통신 경로(104)는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경로(104)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예로서 도 1의 통신 경로(104)를 통해 제 2 장치(106)와 통신하는 제 1 장치(102)의 하나의 그룹을 묘사하고 있다. 제 1 장치(102) 의 그룹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4), 무선 안테나(206), 왼쪽 스피커(208), 오른쪽 스피커(210)을 가지고 있으면서 무선 지원장치(202), 테블릿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저장장치,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장치 (102)는 또한 제 1 모바일 장치 (212) 및 제 2 모바일 장치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212)는 무선 지원 장치(202)와 같이 근접 리소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 PDA(digital personal data appliance),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모바일 장치도, 무선 지원 장치(202)와 같이 근접 리소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 PDA(digital personal data appliance),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을 말한다.
설명 목적을 위해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는,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위치에 있을 뿐, 둘 다 제1 장치(102)로서 하나의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설명적인 목적으로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제 2 모바일 장치(214)는 모바일 장치로서 예시되었으나,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제 2 모바일 장치(214), 또는 이들의 조합이 반드시 모바일 유형의 기기일 필요는 없고 고정된 기기일 수도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로부터의 근접 리소스 요청(215)은 제 2 장치(106) 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을 위해 제 2장치(106)은 네트워크 기능을 할 수 있는 제 1 장치(102)의 위치를 모니터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제 1 장치(102) 내에서 GSM 이나 GPS를 통해 추출하며 그것은 제2 장치(106)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장치(106)은 제 1 모바일 장치(212)의 제 1 반경(216) 안의 어떠한 제 1 장치(102)를 식별하기 위해 모든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정렬할 수 있다. GPS 는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GSM 데이터의 세분화도 매우 높지 않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반경(216)의 초기 반경은 클 수 있으며 이는 100 미터가 될 수도 있다. 제 2 장치(106)가 근접 리소스 요청(215)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제1 반경(216)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장치(102)의 각각을 식별할 때, 제2 장치(106)로부터의 무선 활성화 명령(217)을 통해 제1 장치(102)의 각각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활성화되어 무선 지원 장치(202)가 된다.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는 제 2 반경(218) 의 범위 안에 있는 각각의 무선 지원 장치(202)를 탐지할 수 있으며, 제 2 반경(218)은 30미터보다 적을 수 있다. 제 2 반경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무선 지원 장치(202)의 대응하는 무선 신호의 강도는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지원 장치(202)의 무선 신호 강도는 거리의 증가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정도로 감소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현상은 초기 3m 범위 내에서 매우 강하게 발생한다. 즉 무선 지원 장치(202)의 주위의 처음 3 미터 이내에서 신호 강도의 감소가 불균일하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무선 지원 장치(202)의 대부분의 경우는 모든 방향성을 가지는 안테나와 같은 무선 안테나(206)를 가질 수 있으나 무선 지원 장치(202)에 장착된 전자 하드웨어는 대개 장치 바로 옆에서 측정한 신호 강도와 좌우 측면에서의 신호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무선 지원 장치(202)의 무선 안테나(206) 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제 1 모바일 장치(212)에 의해 수신된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은 무선 지원 장치 (202)로부터의 개별적인 거리에 따라 제 2 모바일 장치(214)에 의해 수신된 제 2 무선 신호 세기(222)보다 상당히 약할 수 있다. 무선 안테나(206) 의 위치에 따라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 은 제 2 무선 신호 세기(222) 보다 10~15 데시벨 정도 감쇠될 수 있다. 만약 무선 지원 장치(202) 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 (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까지의 음향 방향(230) 를 안다면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 과 제 2 무선 신호 세기(222) 는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 및 제 2 무선 신호 세기(222)의 진폭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방송 진폭의 표준을 안다면 거리는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제 2 모바일 장치(21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무선 지원 장치(202)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제 2 모바일 장치 (214)의 음향 방향(230)을 알아내기 위해, 무선 지원 장치(202)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진폭은 동일하지만 주파수는 다른 두 개의 신호를 방사하는데 이들 신호는 왼쪽 스피커(208)와 오른쪽 스피커(210)로부터 나오게 된다. 예를 들면 왼쪽 스피커(208)은 왼쪽 음향 신호(224)로 18kHz의 사인파를 방사할 수 있고, 오른쪽 스피커(210)은 동시에 오른쪽 음향 신호(226)로 18.5kHz 사인파를 방사할 수 있다. 왼쪽 음향 신호(224)의 진폭과 오른쪽 음향 신호(226)의 진폭을 비교함으로서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제 2 모바일 장치(214)가 무선 지원 장치(202)로의 음향 방향 (230)을 알아낼 수 있다. 무선 지원 장치(202)까지의 음향 방향(230)을 알게 되면, 무선 지원 장치(202)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나 제 2 무선 신호 세기(222)를 해석하기 위한 근접 조정 모델 (proximity adjustment model) 이 선택될 수 있다.
장치 통신 장치(100)은 제 1 무선신호 세기(220)를 통한 자동적으로 피어-투 -피어 네트워크 연결(232)을 위해 정확하게 무선 지원 장치(202) 로부터 제 1 모바일 장치(212)의 거리와 음향방향(230)을 계산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제1 무선신호 세기(220)과 왼쪽 음향 신호(224)와 오른쪽 음향 신호(226)의 진폭 비교의 해석을 조합함으로서 알 수 있다. 상기 거리와 음향 방향(230)은 무선 지원 장치(202)와 제 1 모바일 장치 (212)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모바일 장치(212) 가 무선 지원 장치(202)의 왼쪽 편에 위치하고 있다면 선택된 파일은 제 1 모바일 장치(212)의 터치 스크린(213) 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모션에 의해, 즉 무선 지원 장치(202)의 음향 방향을 향한 모션에 의해 선택된 파일이 복사될 수 있다.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와 같은 종류가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 지원 장치(202)의 오른쪽 편에 있는 제 2 모바일 장치(214)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선택된 파일은 제 2 모바일 장치(213)의 터치 스크린(213)의 오른쪽 편에서 왼쪽 편으로의 모션에 의해, 즉 무선 지원 장치(202)의 음향 방향을 향한 모션에 의해 복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어떠한 파일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는 제 2 모바일 장치(214)의 터치 스크린(213)의 오른쪽에서부터 터치 스크린(213) 의 왼쪽까지의 모션, 즉 무선 지원 장치(202)의 음향 방향을 향한 모션에 의해 무선지원장치(202)에 제어를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무선지원장치(202) 로부터 제 2 모바일 장치(214) 나 제 1 모바일 장치(212)로 파일을 전송할 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일례로서, 만약 무선 지원 장치(202) 가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에 서 재생되고 있는 파워포인트™(Power Point ™) 응용프로그램 파일(228)을 가지고 있다면 제 2 모바일 장치(214)의 터치스크린(213)의 모션, 즉 터치스크린(213) 의 왼쪽에서 터치스크린(213)의 오른쪽으로의 모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무선 지원 장치(202)에서부터 제 2 모바일 장치(214)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전송하기 전에 제 2 모바일 장치(214)가 적절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상주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 2 모바일 장치(214)를 검사할 수 있다. 만약 제 2 모바일 장치(214)가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무선 지원 장치(202)는 제 2 모바일 장치(214)로의 전송을 위해 파일 포맷(File format) 을 좀 더 보편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 변환의 옵션은 제 2 모바일 장치(214)의 터치스크린(213)에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제 2 모바일 장치(214)에서 바로 재생하고자 한다면 파일 변환이 이루어지고 변환된 파일은 무선 지원 장치 (202)로부터 제 2 모바일 장치 (214)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에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이 제 2 모바일 장치(214)에 의해 아직 적절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장치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변환은 승인되지 않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은 원래의 포맷으로 무선 지원 장치(202)로부터 제 2 모바일 장치(214)로 전송될 수 있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 은 제 1 모바일 장치(212)를 무선 지원 장치(202)의 제 2 반경(218)에 둠(놓음)으로서 자동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무선 지원 장치(202) 사이에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이 구성되면,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로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구성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에 재생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이 설정되는 대로 이러한 구성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로 이동하는 것에서 어떠한 개입도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만약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이 무선 지원 장치(202)로부터 닫혀져 있다면 어떠한 개입없이 업데이트 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복사본은 제 1 모바일 장치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슬립 모드로서 전자적으로 잠겨져 있는 무선 지원 장치(202)를 위한 보안 접근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무선 지원 장치(202) 로부터 제 2 반경(218) 안에 제 1 모바일 장치를 위치시킴(놓음)으로서 어떠한 개입의 필요없이도 무선 지원 장치(202)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어떠한 암호키를 제공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은 자동적으로 무선 지원 장치(202)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암호화된 암호키를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지원 장치(202)와 제 1 모바일 장치(212) 사이의 상기 동작은 본 발명을 제한 없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제 1 모바일 장치 (212)의 모든 동작들은 제 2 모바일 장치(214)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모바일 장치와 무선 지원 장치(202) 가 동시에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 (232)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 은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의 일 예이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제 1 장치(102), 통신 경로(104) 그리고 제 2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는 제 2 장치(106)로 통신 경로(104)의 제 1 전송 장치 (308)를 통하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장치(106)는 제 1 장치(102)에 통신 경로(104)의 제 2 전송 장치(310)를 통하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장치 통신 시스템(100)이 제 1 장치(102)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한다고 나타내었지만,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제 1 장치(102)를 다른 형태의 기기로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장치(102)는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클라이언트를 가지고 있는 휴대용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장치 통신 시스템(100)이 제 2 장치(106)를 서버 장치로 한다고 나타내었지만,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제 2 장치(106)를 다른 형태의 기기로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장치(106)는 클라이언트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제 1 장치(102)를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제 2 장치(106)를 서버로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기기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시는 본 발명의 일례일 뿐이다.
제 1 장치(102)는 제 1 제어부(312), 제 1 저장부(314), 제 1 통신부(316),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12)는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12)는 장치 통신 시스템(100)에 지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소프트웨어(3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12)은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부(312)는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 는 제 1 제어부(312)와 제 1 장치(102)의 다른 기능부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제 1 장치(102) 외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제어 인터페이스(622)는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의 대상(destination)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들과 외부 대상들은 제 1 장치(102) 외부의 소스들과 대상들을 의미한다.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을 통해 도 2의 제 1무선 신호 세기(220)를 받는 것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22)는 도2의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같은 제 1 장치(102)로부터 도 2의 무선 지원 장치 (202)의 무선 안테나(206)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 전송으로부터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의 진폭 감소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서로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어떤 기능부들 또는 외부 장치들이 상기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접속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전자 기계 시스템(MEMS),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저장부(314) 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내장 메모리, 외장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저장부(314) 는 NVRAM(nonvolatile storage such as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저장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저장장치가 될 수도 있고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과 같은 휘발성 저장장치가 될 수도 있다.
제 1 저장부(314)는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제 1 장치(102)에서 다른 기능부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외장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drives), 또는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제 1 장치(102) 외부로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의 대상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과 외부 대상(destination)들은 제 1 장치(102) 외부의 소스들과 대상들을 의미거나 제 1 장치 (102)에 일시적으로 머물러 있다가 삭제될 수 있는 것들을 말한다.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어떤 기능부들 또는 외부 장치들이 제 1 저장부(314)와 접속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른 구현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의 구현 기술들과 유사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통신부(316)는 제 1 장치(102)와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부(316)는 제 1 장치(102)가 도 1의 제 2 장치(106), 주변 장치 또는 컴퓨터 데스크탑 및 통신 경로(104)와 같은 부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통신부(316)는 제 1 장치(102)가 통신 경로(104)의 도착점 또는 단말 기기(terminal unit)로 기능이 제한되지 않고 통신 경로(104)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316)는 통신 경로(104) 및 통신 채널(317)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전자회로 또는 안테나와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316)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제 1 장치(102)에서 제 1 통신부(316) 및 다른 기능부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다른 기능부로부터 정보를 수신 하거나, 다른 기능부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어떤 기능부들 또는 외부 기기들이 제 1 통신부(316)과 접속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른 구현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 인터페이스(328)는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의 구현 기술들과 유사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사용자가 제 1 장치(102)에 접속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의 입력 장치의 예로 데이터와 통신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 터치 패드, 소프트 키, 키보드, 마이크로폰, 원격 신호를 받기 위한 적외선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제 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는 디스플레이, 영사기, 터치 스크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 1 제어부(312)는 장치 통신 시스템(1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312)는 장치 통신 시스템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하여 제 1 소프트웨어(6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12)는 제 1 통신부(316) 와 무선 채널(317)을 통해 통신 경로(104)와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제 1 소프트웨어(3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 2 장치(106)는 제 1 장치(102)가 포함된 복수 장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제 2 장치(106)는 제 1 장치(102)에 비하여 더 뛰어난 연산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제 2 장치(106)는 관계되는 정보의 공통된 범주를 공유하는 제 1 장치(102)의 선택된 사용자들의 그룹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제 1 장치(102)의 관계되는 정보를 집속할 수 있다. 제 2 장치 (106)는 어떤 제 1 장치 (102)의 범위 안에 있는 근접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몇몇의 제 1 장치(102) 의 지리적 위치를 감시할 수 있다. 제 2 장치(106)는 제 2 제어부(334), 제 2 통신부(336)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사용자가 제 2 장치(106)에 접속하여 상호 작용하도록 기능한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의 입력 장치의 예로는 데이터와 통신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 터치 패드, 소프트 키, 키보드, 마이크로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의 출력 장치의 예는 제 2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34)는 장치 통신 시스템(100) 안의 제 2 장치(106)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소프트웨어(342)를 실행할 수 있다. 제 2 소프트웨어(342)는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모듈들의 동작을 위해 제 1 소프트웨어(326)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34)는 제 1 제어부(312)에 비해 추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34)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334)는 통신 경로(104)를 통해 제 1 장치(102)와 통신하기 위하여 제 2 통신부(336)를 실행하는 등의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하여 제 2 소프트웨어(342)를 실행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34)는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부(334)는 프로세서,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 2 제어부(334)는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제 2 장치(106)에서 제 2 제어부(334) 및 다른 기능부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제 2 장치(106) 외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의 대상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과 외부 대상들은 제 2 장치(106) 외부의 소스들과 대상들을 의미한다.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서로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기능부들 또는 외부 장치들이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와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른 구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EMS), 광학 회로, 도파관,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는 제 2 소프트웨어(342)를 저장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는 들어온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음향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는 제 1 저장부(314)를 보충할 수 있도록, 제 1 저장부(314)에 추가적인 저장 용량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 은 통신 경로(104)를 통해 제 1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도록 다른 소스들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제 2 저장부(346)는 단일 소자로서 표현하였지만, 제 2 저장부(346)는 두 개 이상의 소자가 여러 장소에 나뉘어 분포할 수도 있다. 설명을 위하여 장치 통신 시스템(100)은 제 2 저장부(346)가 단일 계층 저장 시스템을 가진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제 2 저장부(346)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저장부(346)는 캐쉬 메모리, 메인 메모리, 회전 담체(rotating media), 오프라인 저장 장치와 같은 메모리 계층 시스템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저장 기술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저장부(346)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저장 장치 등의 비 휘발성 저장매체 또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와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가 될 수 있다.
제 2 저장부(346)는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제 2 장치(106) 내부의 서로 다른 기능부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제 2 장치(106) 외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능부들 또는 외부 대상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과 외부 대상들은 제 2 장치(106) 외부의 소스들과 대상들을 의미한다.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어떠한 기능부들 또는 외부 장치들이 제 2 저장부(646)와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른 구현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의 구현 기술들과 유사한 기술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통신부(336)는 제 2 장치(106)가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부(336)는 제 2 장치 (106)가 통신 경로(104)를 통해 제 1 장치(102)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336)는 제 2 장치(106)가 통신 경로(104)의 도착점 또는 단말 기기(terminal unit)로 기능이 제한되지 않고 통신 경로(104)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336)는 통신 경로(104)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전자회로 또는 안테나와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336)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제 2 장치(106)에서 제 2 통신부(336) 및 다른 기능부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다른 기능부들로부터 정보를 수신 하거나, 다른 기능부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어떠한 기능부가 제 2 통신부(336)와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른 구현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제 2 제어 인터페이스(344)의 구현 기술들과 유사한 기술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위치부(352)는 전지구적 위치 인공위성과의 통신에 의해 제 1 장치(102)의 장치 위치 정보(353)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위치 정보(353)은 제 1 장치(102) 에 대한 라우팅(routing) 및 목적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에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 1 제어부(312) 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위치 정보(353)은 제 1장치의 위치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제 1 제어부(312)로부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16)와 제 1 전송 장치(308) 를 통해 제 2 장치(106)까지 보내질 수 있다. 제 1 장치(102)의 장치 위치(353)의 보고는 도 2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의 구성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장치(102)는 주기적으로 또는 제 2 장치(106)의 요청에 의해 장치 통신 시스템 (100) 의 필요적인 구성으로서 장치 위치(353)를 보고할 수 있다.
제 1 시간 모듈(354)는 제 1 제어부(312)와 결합 될 수 있다. 제 1 시간 모듈(354)는 제 1 제어부(312)의 관심 이벤트의 시간 간격을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시간 모듈(354)은 초(seconds) 에서 달(months)로 시간 재는 간격을 늘릴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시간 모듈(354)는 시간을 재거나 주기적인 업데이트 요청을 위해 일(days), 주(weeks), 또는 달(months)과 같이 늘어난 시간 주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시간 모듈(354)는 제 1 제어부 (312)가 관심 이벤트과 연결되도록 타임 스탬프(time stamp)나 시스템 클락(system clock)과 같은 시간 표시자(355)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의 모듈들이 제 1 장치(102)의 클라이언트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네비게이션(navigation) 모듈은 제 1 제어부 (312), 제 1 위치부(352), 제 1 저장부(314), 그리고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 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엔터테인먼트 모듈은 제 1 제어부(312), 제 1 저장부(314), 그리고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 과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안전 모듈은 제 1 장치(102)를 통해 스위치와 센스 제어되는 제 1 제어부 (312), 제 1 통신 인터페이스(328), 제 1 저장부(314), 그리고 제 1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결합되어 작동될 수 있다.
제 1 통신부(616)는 제 1 전송 장치 (308) 안에서 무선 채널(317)을 통해서 제 2 장치 (106)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통신 경로(104)와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제 2 장치 (106)는 제 2 통신부(336)를 통해 통신 경로(104)의 제 1 전송 장치 (308)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336)는 제 2 전송 장치(310)를 통하여 제 1 장치(102)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통신 경로(104)와 연결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는 제 1 통신부(316)에서 통신 경로(104)의 제 2 전송 장치(3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제 1 제어부(312), 제 2 제어부(334),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제 2 장치(106)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 제 2 저장부(346), 제 2 제어부(334) 및 제 2 통신부(336) 네 개의 파티션(partition)으로 분할하였을 뿐, 제 2 장치(106)는 다른 종류의 파티션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소프트웨어(342)는 그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 2 제어부(334) 및 제 2 통신부(336)에 있을 수 있도록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장치(106)는 도 6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의 기능부들은 다른 기능부들과 개별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는 제 2 장치(106), 통신 경로(104)로부터 개별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 2 장치(106)의 기능부들은 다른 기능부들과 개별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 2 장치(106)는 제 1 장치(102), 통신 경로(104)로부터 개별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장치 통신 시스템(100)을 제 1 장치(102)와 제 2 장치(106)의 동작으로 설명하였다. 제 1 장치(102) 또는 제 2 장치(106)는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의 다른 모듈이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도 1의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제어 흐름(401)을 나타낸다.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의 제어 흐름(401)은 도 2의 제 1 모바일 장치(212) 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요청 모듈(402)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232)를 구성하기 위해서 도 2의 제 2 반경 내의 중복되는 리소스들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흐름은 장치 필터 적용 모듈(404)로 진행되는데, 장치 필터 적용 모듈(404)에서는 제 1 모바일 장치(212)의 제 1 반경(216) 내부에 있는 도 1의 제 1 장치(102) 각각이 식별될 수 있다. 상기 흐름은 무선 활성화 모듈(406)로 진행되고, 무선 활성화 모듈(406) 은 제 1 반경(216)안에 있는 제 1 장치(102) 각각이 도 1의 제 2 장치(106)에 의해 무선 활성화 명령(407)으로 보내지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장치(102)는 도 2의 무선 신호 세기 (220), 도 2의 왼쪽 음향 신호(224), 그리고 도 2의 오른쪽 음향 신호(226) 을 송신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장치(102)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때, 그것은 도 2의 무선 지원 장치(202)가 된다.
상기 흐름은 신호 세기 측정 모듈(408)로 진행된다. 신호 세기 측정 모듈 (408)은 근접한 무선 지원 장치(202)를 식별하기 위해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측정된 무선 신호 세기(220)의 최대값을 제공한다.
상기 흐름은 스테레오(stereo) 음향 분석 모듈(410)로 진행된다. 스테레오(stereo) 음향 분석 모듈 (410)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진폭은 동일하지만 주파수는 다른 두 개의 신호를 방사하는데 이들 신호는 왼쪽(좌측) 스피커(208)와 오른쪽(우측) 스피커(210)로부터 나오게 된다. 예를 들면 왼쪽 스피커(208)은 왼쪽 음향 신호 (224)로 18kHz 의 사인파를 방사할 수 있고, 오른쪽 스피커(210)은 동시에 오른쪽 음향 신호 (226) 로 18.5 kHz 사인파를 방사할 수 있다. 왼쪽 음향 신호 (224)의 진폭과 오른쪽 음향 신호 (226)의 진폭을 비교함으로서 제 1 모바일 장치 (212)는 무선 지원 장치 (202)로의 음향 방향 (230)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흐름은 로드(load)용 근접 모델 모듈(412)로 진행된다. 로드용 근접 모델 모듈(412) 은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까지의 음향 방향이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측정된 무선 신호 세기를 조정하는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측정된 무선 신호 세기의 진폭에 대한 보정은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무선 지원 장치(202)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흐름은 출력용(output) 근접성과 방향 모듈(414)로 진행된다. 근접성과 방향 출력 모듈(414)에서 제 1 모바일 장치(212)는 제 1 무선 신호 세기(220)에서 계산된 거리와 무선 지원 장치(202)로의 음향 방향(230)을 이용하여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 를 구성한다.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 은 제 1 모바일 장치(212)를 무선 지원 장치(202)의 제 2 반경(218)에 둠(놓음)으로서 자동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제 1 모바일 장치(212)와 무선 지원 장치(202) 사이에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이 구성되면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로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구성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에 재생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232)가 설정되는 대로 이러한 구성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제 1 모바일 장치(212)로부터 무선 지원 장치(202)로 이동하는 것에서 어떠한 개입도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만약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이 무선 지원 장치(202)로부터 닫혀져 있다면 어떠한 개입 없이 업데이트 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복사본은 제 1 모바일 장치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 (232)가 구성되면 제 1 모바일 장치(212) 와 무선 지원 장치(202) 사이의 어플리케이션 파일 (228)의 전송이 어느 한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즉, 제 1 모바일 장치 (212) 또한 무선 지원 장치 (202) 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검색할 수 있음을 말한다. 상기 방향은 제 1 모바일 장치(2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무선 지원 장치 (202)로부터 끌어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은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무선 지원 장치(202)의 도 3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Display interface)에서 표시되어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는 모듈들은 도 6의 제 1 제어부(316) 또는 도 6의 제 2 제어부(334) 내부에 있는 하드웨어 구현물 또는 하드웨어 가속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들은 제 1 장치(102) 또는 제 2 장치(106) 내부에 있으나, 도 6의 제 1 제어부(316) 또는 도 3의 제 2 제어부(334)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제어부(316)와 제 2 제어부(334), 또는 그 조합들이 상기 모듈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가속기를 총괄하여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설명된 상기 모듈은 제 1 제어부(312), 제 2 제어부 (33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서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도 3의 제 1 저장부(314), 도 3 의 제 2 저장부(346), 또는 그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SSD (solid-state storage device),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ideo disk), 또는 USB (universal serial bus)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장치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의 한 부분으로서 집적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장치 통신 시스템 (100)의 삭제 가능한 부분으로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212)에서 도 2의 어플리케이션 파일(228)로부터의 물리적 변형은 어떠한 개입 없이 무선 지원 장치(202)로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것은 무선 지원 장치(202) 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04)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파일(228)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물질계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물질계의 움직임은 무선 지원 장치(202) 의 사용자의 개입 없이 무선 지원 장치(202)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제 1 모바일 장치(212)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변화를 야기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장치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 (50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500) 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버(server) 장치에 접속하여 단계502의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 단계504 에서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 단계506 안 에서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지원 장치의 음향 방향을 결정하는 것; 그리고 단계508 에서 무선 신호 세기와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 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것.
본 발명에 의한 방법, 프로세스, 기구, 장치, 제품 및/또는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적으로 효과적이며, 복잡하지 않으면서 매우 다양하고 정확하고 민감하고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장치, 제품 및 시스템에 알려진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즉시 이용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조, 응용 및 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비용 절감, 시스템 단순화, 성능 증가를 요구하는 역사적 추세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볼 수 있는 유용한 양상은 결과적으로 적어도 현 기술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최상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외에 본 발명에 대체, 변형 및 수정이 적용된 발명들은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대체, 변형 및 수정된 발명을 포함하도록 해석한다. 그러므로 이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음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좌측 음향 신호와 우측 음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결합되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에 결합되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와 결합되어, 상기 장치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 1 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이 형성되었을 때,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자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시스템.
  8.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근접 리소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왼쪽 스피커로부터의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스피커로부터의 오른쪽 음향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왼쪽 스피커와 상기 오른쪽 스피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왼쪽 음향 신호와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를 위해 음향 방향을 제공하고, 무선 신호 세기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음향 방향과 상기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결합하여, 상기 무선 신호 세기, 상기 좌측 음향 신호, 상기 음향 우측 신호를 이용하여 반경을 형성하는 무선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명령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작동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2.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지원 장치의 음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왼쪽 음향 신호와 오른쪽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음향 방향을 기초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무선 지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송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함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는,
    제 1 반경을 결정하기 위해 근접 리소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음향 방향으로의 모션 동작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무선 안테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기 위해 제1 반경보다 작은 제 2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제 1 반경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서버 장치에게 근접 리소스 요청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지원 장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신호 세기, 왼쪽 음향 신호, 오른쪽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무선 신호 세기와 좌측 음향 신호와 우측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 세기와 상기 왼쪽 음향 신호와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를 기초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세기, 상기 왼쪽 음향 신호 및 상기 오른쪽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서버 장치로부터 무선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39070A 2013-12-06 2014-10-15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28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660 WO2015084010A1 (ko) 2013-12-06 2014-12-02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EP14866991.4A EP3079440B1 (en) 2013-12-06 2014-12-02 Apparatus equipped with proximity synchroniza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9,013 2013-12-06
US14/099,013 US9179243B2 (en) 2013-12-06 2013-12-06 Device communication system with proximity synchron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437A true KR20150066437A (ko) 2015-06-16
KR102281280B1 KR102281280B1 (ko) 2021-07-23

Family

ID=5327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70A KR102281280B1 (ko) 2013-12-06 2014-10-15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9243B2 (ko)
EP (1) EP3079440B1 (ko)
KR (1) KR10228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7071A (zh) * 2014-12-04 2015-04-08 英业达科技有限公司 通过异质网络提供更新档案的系统及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02A (ko) * 2003-02-18 2004-08-26 (주)조원정보 감시시스템에서의 음원 탐지 및 위치 제어방법
KR20090020769A (ko) * 2007-08-24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61505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제어방법
KR20100111346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046697B1 (ko) * 2007-08-03 201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통신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20006900A (ko) * 2010-07-13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투피 통신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18364A (ko) * 2008-06-27 2013-02-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레이트 근접성 기반 피어 발견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748B2 (en) 2000-06-10 2003-04-01 Telcontar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based on distance
US7129891B2 (en) 2003-11-21 2006-10-31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JP2006258442A (ja) 2005-03-15 2006-09-28 Yamaha Corp 位置検出システム、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端末装置
JP4634878B2 (ja) * 2005-07-07 2011-02-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20080085014A1 (en) * 2006-02-13 2008-04-10 Hung-Yi Chen Active gain adjusting method and related system based on distance from users
US8681997B2 (en) * 2009-06-30 2014-03-25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beamforming for audio and data applications
US9316717B2 (en) 2010-11-24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on determination of devices using stereo audio
US20130024018A1 (en) * 2011-07-22 2013-01-24 Htc Corporation Multimedia control method and multimedia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02A (ko) * 2003-02-18 2004-08-26 (주)조원정보 감시시스템에서의 음원 탐지 및 위치 제어방법
KR101046697B1 (ko) * 2007-08-03 201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통신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90020769A (ko) * 2007-08-24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61505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제어방법
KR20130018364A (ko) * 2008-06-27 2013-02-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레이트 근접성 기반 피어 발견 방법들 및 장치들
KR20100111346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20006900A (ko) * 2010-07-13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투피 통신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440A1 (en) 2016-10-12
EP3079440A4 (en) 2017-07-26
US20150163618A1 (en) 2015-06-11
KR102281280B1 (ko) 2021-07-23
EP3079440B1 (en) 2018-11-07
US9179243B2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423B2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US945110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25972B2 (en) Continuous and concurrent device experience in a multi-device ecosystem
US20160072896A1 (en) Computing system with control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82347B1 (ko)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26274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50009064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26964B1 (ko) 관심 포인트들을 로케이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153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udio device, and method that is performable by the electronic apparatus to set network of the audio device
US9894164B2 (en) Computing system with control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MX2013005358A (es) Sistema de politica dinamica a base de contexto para dispositivos moviles e infraestructura de red de apoyo.
KR20180080620A (ko) 전자 장치 간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콘텐츠 공유 방법
WO2023125946A1 (zh) 用户访问请求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2237982B1 (ko) 검출 메커니즘을 가진 컴퓨팅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281280B1 (ko)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1026452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piggyback in a distributed device environment
CN108028851B (zh) 设备群组管理方法、装置和系统
US10149130B2 (en)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storing computer programs for notifying data reception
KR20190021636A (ko) 키보드 시스템
WO2015084010A1 (ko) 근접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비한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268552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