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379A -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 Google Patents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379A
KR20150066379A KR1020130151827A KR20130151827A KR20150066379A KR 20150066379 A KR20150066379 A KR 20150066379A KR 1020130151827 A KR1020130151827 A KR 1020130151827A KR 20130151827 A KR20130151827 A KR 20130151827A KR 20150066379 A KR20150066379 A KR 2015006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s
phase
diodes
voltage
serie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136B1 (ko
Inventor
노정욱
박소영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1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는, 3상 교류전원(Va,Vb,Vc)이 각각의 리액터(La,Lb,Lc)와 커패시터(Ca,Cb,Cc)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부와 접속되고 상기 공진회로부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와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중성점에 접속된 회로를 포함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 있어서,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의 애노드부에 제1 스위칭소자(Q1)가 연결되고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캐소드부에 제2 스위칭소자(Q2)가 연결되고,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에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직렬연결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Q2)는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 사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중성점(N1)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중성점(N2)는 제1리액터(Lsn)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중성점(N3)과 상기 공진회로부의 커패시터(Ca,Cb,Cc)의 종단부는 제2리액터(Lr)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F THREE-PHASE STEP DOWN RESONANT TYPE}
본 발명은 공진형 능동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와 부하단 사이에 소정의 컨버터를 배치하여 3상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고 그 평활된 직류전압을 컨버터를 통해 강압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에너지 절약 활동과 제품의 에너지 효율 제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도 중요하지만 발전소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버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역률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는 에너지의 사용이 많은 생활가전에도 적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시스템 에어컨이나 다수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기존의 3상 인버터 구동회로는 수동정류기를 적용한다. 종래의 정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전원부(10)에 각 상별로 리액터(21)와 커패시터(22)로 구성된 공진회로(20)가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3상 전원부(10)에 필터부가 접속될 수도 있다. 공진회로(20)에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와 연결되고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30)와 부하단(50) 사이에는 LC 필터(40)가 연결된다.
부하단(50)은 다양한 부하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시스템이나 가전제품의 경우 인버터모듈(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0)의 3상 교류전원은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30) 및 LC 필터(40)를 거치면서 평활되어 인버터모듈로 직류전원 Vo로 출력되며, 이러한 직류전원 Vo를 이용하여 인버터를 구동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정류기에서는 각 상(phase)의 전류 왜곡 문제가 발생한다. IEEE 61000-3-4 표준에 의하면 정류기의 THD(Total Harmonic Distortion)가 3% 미만이어야 하지만, 3상 수동정류기의 THD는 30% 이상이므로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지 못하고 에너지 효율저감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의 정류기에서는 높은 내압을 갖는 고가의 3상 인버터 모듈을 사용해야 한다. 즉, 3상 교류전원을 평활시켜 출력하는 직류전원이 높기 때문에 높은 내압을 가진 고가의 3상 인버터 모듈을 사용해야만 인버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부피와 원가의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5982호
이에, 본 발명은 고조파 규제를 만족하도록 역률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낮은 내압의 3상 인버터 모듈을 사용하여 인버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상 교류전원을 평활시켜 강압된 직류전원을 보장하여 경량화 및 원가경쟁력이 있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를 제공하는데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는,
3상 교류전원(Va,Vb,Vc)이 각각의 리액터(La,Lb,Lc)와 커패시터(Ca,Cb,Cc)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부와 접속되고 상기 공진회로부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와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중성점에 접속된 회로를 포함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 있어서,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의 애노드부에 제1 스위칭소자(Q1)가 연결되고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캐소드부에 제2 스위칭소자(Q2)가 연결되고,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에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직렬연결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Q2)는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 사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중성점(N1)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중성점(N2)는 제1리액터(Lsn)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중성점(N3)과 상기 공진회로부의 커패시터(Ca,Cb,Cc)의 종단부는 제2리액터(Lr)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패시터(Ca,Cb,Cc) 및 제2리액터(Lr)을 통해 흐르는 각 상(phase)별 전류의 왜곡(distortion)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Q2)는 각각 50%의 듀티비(duty ratio)로 스위칭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상 교류전원이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에 의해 Vdc 직류전압으로 평활되어 상기 제1커패시터(C1) 및 제2커패시터(C2)에 각각 분배되어 충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 또는 제2커패시터(C2) 중 어느 하나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상기 제3 커패시터(C3) 및 제4 커패시터(C4)에 분배되어 충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정전용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에 각각 Vdc/2 직류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 또는 제2커패시터(C2) 중 어느 하나에 충전된 Vdc/2 직류전압은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각각 분배되어 충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정전용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각각 Vdc/4 직류전압이 충전되고 상기 평활된 Vdc 직류전압의 1/2 직류전압이 최종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조파의 기준인 THD가 3% 미만이므로 IEEE61000-3-4 표준의 고조파 규제를 만족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발전소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상 전류의 왜곡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소형의 리액터를 사용하므로 시스템의 부피와 무게 및 원가저감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활된 직류출력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류기 대비 상대적으로 저가의 낮은 내압을 갖는 3상 인버터 모듈을 사용하여 인버터 구동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정류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회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모드별 전류도통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시뮬레이션 회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3상 교류입력전압 및 직류출력전압의 파형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는 전원부(10)의 3상 교류전원(Va,Vb,Vc)은 각각 리액터(La,Lb,Lc)와 커패시터(Ca,Cb,Cc)로 구성된 공진회로부(20)와 접속되고, 이러한 공진회로부(20)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와 접속된다.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는 6개의 다이오드(D1~D6)로 구성된다. 6개의 다이오드(D1~D6)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전류는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중 하나와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중 하나가 온(on)되어 흐르게 된다. 즉 상단부에서는 임의의 시간에 3상 전원 각각이 공진회로부(20)를 통과한 값들 중 전압크기가 양의 방향으로 가장 큰 상의 다이오드가 온(on)되고 나머지 2개의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되어 오프(off)상태를 유지한다. 하단부에서는 역으로 3상 전원 각각이 공진회로부(20)를 통과한 값들 중 전압크기가 음의 방향으로 가장 큰 상의 다이오드가 온(on)된다. 따라서, 다이오드는 상호 120°의 위상차를 가지고 온(on)되고, 상하 다이오드는 상호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온(on)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서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와 부하단(50) 사이에 컨버터 회로(100)가 접속된다. 컨버터 회로(100)에서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의 애노드부에 제1스위칭소자(Q1)가 연결되고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캐소드부에 제2스위칭소자(Q2)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2 스위칭소자(Q1,Q2)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온/오프(on/off) 스위칭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컨버터 회로(100)에서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30)에 각각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직렬연결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D11,D12)의 직렬연결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은 제1,2 스위칭소자(Q1,Q2)를 통해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직렬연결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과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중성점(N1)과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중성점(N2)는 제1리액터(L1)를 통해 연결되고,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중성점(N3)과 공진회로부(20)의 커패시터(Ca,Cb,Cc)의 종단부는 제2리액터(Lr)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 간의 용량 및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 간의 용량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치(Q1,Q2)는 각각 50%의 듀티비(duty ratio)로 스위칭된다. 또한, 각 상(phase)의 전압에 따라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30)의 다이오드(D1~D6)가 다르게 도통함으로써 3상 교류전원을 평활시키고 부하단(50)에 강압된 직류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나아가, 공진회로부(20)의 커패시터(Ca,Cb,Cc)와 제2리액터(Lr)를 이용하여 각 상(phase)의 전류의 왜곡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컨버터 회로(100)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압을 강압시켜 출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각 모드별로 전류의 도통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해석]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서, 각 상(phase) 전압의 크기가 Va>Vb>Vc인 조건에서 모드해석을 수행한다. 도면에는 주요 전류도통과정을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주요 모드별 전류도통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각 모드는 설명의 편의상 시간(t)의 구간으로 구분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제1 및 제2 모드에서의 전류도통과정을 나타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제5 및 제6 모드에서의 전류도통과정을 나타낸다.
1) 제1모드(t0~t1)
제1모드(t0~t1)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되고 제2 스위칭소자(Q2)는 오프(off)되면 시작된다. 이때,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30)의 다이오드 D6와 컨버터 회로(100)의 제4 다이오드(C8)이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1~D5,D7은 모두 차단된다. 제1,2 커패시터(C1,C2)의 용량이 동일하면 컨버터 회로(100)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dc)은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에 각각 동일하게 분배되므로,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전압은 Vdc/2가 된다. 따라서, 제1모드에서는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Vdc/2)에 의해 제1 스위칭소자(Q1), 제3 커패시터(C3), 제4 커패시터(C4), 다이오드 D8 및 제1 리액터(Lsn)의 폐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써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는 각각 Vdc/4의 전압이 충전된다. 다시 말하면, 제3 커패시터(C3)와 제4 커패시터(C4)에 각각 충전되는 전압의 합이 Vdc/2가 되므로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별개로 각각 충전되는 전압은 Vdc/4가 되는 것이다. 이는 곧 컨버터 회로(100)의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Vo)은 Vdc/2(=Vdc/4+Vdc/4)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Q2)의 선택적 스위칭 동작에 의해 3상 입력교류전원을 평활시켜 최종 출력단에 출력직류전원을 1/2로 강압할 수 있게 된다. t=t1에서 다이오드 D6가 차단되고 제1모드는 종료된다. 물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Q2)의 각 용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출력전압(Vo)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강압의 원리는 후술하는 제2모드 내지 제8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패시터(C1) 또는 제2 커패시터(C2) 중 어느 하나에 충전된 충전전압(Vdc/2)이 제3 커패시터(C3) 및 제4 커패시터(C4)에 각각 Vdc/4로 충전되고,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각각 충전된 충전전압(Vdc/4)의 합인 Vdc/2이 능동정류기의 출력단으로 출력됨으로써 출력직류전원을 1/2로 강압하도록 한다. 또한, 공진회로(20)의 커패시터(Ca,Cb,Cc) 및 제2 리액터(Lr)을 통해 각 상의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왜곡발생이 억제된다.
2) 제2모드(t1~t2)
제2모드(t1~t2)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6가 차단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1과 D8이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2~D7은 모두 차단된다. 제2모드도 상기한 제1모드와 같은 과정으로 3상 입력교류전원을 평활시켜 최종 출력단에 출력직류전원을 1/2로 강압할 수 있다. t=t2에서 다이오드 D8이 차단되고 제2모드는 종료된다.
3) 제3모드(t2~t3)
제3모드(t2~t3)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8이 차단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1만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2~D8은 모두 차단된다. t=t3에서 다이오드 D2만 도통되고 제3모드는 종료된다.
4) 제4모드(t3~t4)
제4모드(t3~t4)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2가 도통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1과 D2가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3~D8은 모두 차단된다. t=t4에서 다이오드 D2가 차단되고 제1스위칭소자(Q1)가 오프(off)되고 제2스위칭소자(Q2)가 온(on)되면서 제4모드는 종료된다. 이때, 제2 스위칭소자(Q2)의 전압이 0V인 상황에서 제2 스위칭소자(Q2)가 온(on)되므로 영전압스위칭(Zero-Voltage-Switching) 동작이 가능하다.
5) 제5모드(t4~t5)
제5모드(t4~t5)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b와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오프(off)되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온(on)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1만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2~D8은 모두 차단된다. t=t3에서 다이오드 D2만 도통되고 제5모드는 종료된다.
6) 제6모드(t5~t6)
제6모드(t5~t6)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b와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오프(off)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온(on)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1이 차단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6와 D7이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1~D5,D8은 모두 차단된다. t=t6에서 다이오드 D7이 차단되고 제6모드는 종료된다.
7) 제7모드(t6~t7)
제7모드(t6~t7)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b와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오프(off)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온(on)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7이 차단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6만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1~D5,D7~D8은 모두 차단된다. t=t7에서 다이오드 D5가 도통되고 제7모드는 종료된다.
8) 제8모드(t7~t8)
제8모드(t7~t8)는 공진회로부(20)의 리액터 Lb와 Lc에 흐르는 전류가 음의 값이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오프(off)이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온(on)인 상태에서 다이오드 D5가 도통되면 시작된다. 이때, 다이오드 D5와 D6이 도통되고 나머지 다이오드 D1~D4,D7~D8은 모두 차단된다. t=t7에서 다이오드 D2가 차단되고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되고 제2 스위칭소자(Q2)가 오프(off)되면서 제8모드는 종료된다. 이때, 제1 스위칭소자(Q1)의 전압이 0V인 상황에서 제1 스위칭소자(Q1)가 온(on)되므로 영전압스위칭(Zero-Voltage-Switching) 동작이 가능하다.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의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3상 입력교류전원을 430V/50㎐로, 공진회로(20)의 리액터(La,Lb,Lc) 및 커패시터(Ca,Cb,Cc)를 각각 2mH 및 4μ로 구현하였다. 또한, 컨버터 회로(100)의 제1 내지 제4 커패시터(C1~C4)를 50μ로 구현하고 제1 리액터(Lsn)와 제2 리액터(Lr)을 각각 10μ와 600μ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부하단(50)에는 17.5A의 전류원을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8과 같다.
도 8은 도 7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3상 교류입력전압 및 직류출력전압의 파형도이다.
도 8의 (a)에는 3상 입력교류전압(Va,Vb,Vc), 평활된 직류전압(Vdc) 및 정류기의 출력단에서의 출력전압(Vo)에 대한 파형이 도시되고, (b)에서는 각 상의 전류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a)에서 알 수 있듯이, 3상 입력교류전압(Va,Vb,Vc)에 대하여 평활된 직류전압(Vdc)이 800V이고, 출력단의 출력전압(Vo)은 평활된 직류전압(Vdc)의 1/2인 400V의 직류전압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b)의 파형에서 알 수 있듯이, 공진회로부(20)의 커패시터(Ca,Cb,Cc)와 제2 리액터(Lr)을 이용함으로써 각 상 전류의 왜곡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원부 20 : 공진회로부
21 : 리액터(La,Lb,Lc) 22 : 커패시터(Ca,Cb,Cc)
30 :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 40 : LC필터
50 : 부하단 100 : 컨버터 회로

Claims (6)

  1. 3상 교류전원(Va,Vb,Vc)이 각각의 리액터(La,Lb,Lc)와 커패시터(Ca,Cb,Cc)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부와 접속되고 상기 공진회로부는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와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중성점에 접속된 회로를 포함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에 있어서,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의 상단부 다이오드(D1,D2,D3)의 애노드부에 제1 스위칭소자(Q1)가 연결되고 하단부 다이오드(D4,D5,D6)의 캐소드부에 제2 스위칭소자(Q2)가 연결되고,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에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직렬연결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Q1,Q2)는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직렬연결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직렬연결 사이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중성점(N1)과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7,D8)의 중성점(N2)는 제1리액터(Lsn)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중성점(N3)과 상기 공진회로부의 커패시터(Ca,Cb,Cc)의 종단부는 제2리액터(Lr)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Ca,Cb,Cc) 및 제2리액터(Lr)을 통해 흐르는 각 상(phase)별 전류의 왜곡(distortion)이 방지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Q2)는 각각 50%의 듀티비(duty ratio)로 스위칭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상 교류전원이 상기 3상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부에 의해 Vdc 직류전압으로 평활되어 상기 제1커패시터(C1) 및 제2커패시터(C2)에 각각 분배되어 충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 또는 제2커패시터(C2) 중 어느 하나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상기 제3 커패시터(C3) 및 제4 커패시터(C4)에 분배되어 충전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의 정전용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C1,C2)에 각각 Vdc/2 직류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 또는 제2커패시터(C2) 중 어느 하나에 충전된 Vdc/2 직류전압은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각각 분배되어 충전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의 정전용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커패시터(C3,C4)에 각각 Vdc/4 직류전압이 충전되고 상기 평활된 Vdc 직류전압의 1/2 직류전압이 최종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KR1020130151827A 2013-12-06 2013-12-06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KR10157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27A KR101578136B1 (ko) 2013-12-06 2013-12-06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27A KR101578136B1 (ko) 2013-12-06 2013-12-06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379A true KR20150066379A (ko) 2015-06-16
KR101578136B1 KR101578136B1 (ko) 2015-12-16

Family

ID=5351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827A KR101578136B1 (ko) 2013-12-06 2013-12-06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192B1 (ko) * 2017-09-27 2019-07-2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압 배터리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절연형 모터 구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04A (ko) * 1998-07-11 2000-02-07 구자홍 역률제어기능을 갖는 소프트 스위치 단상 능동정류기
KR100915982B1 (ko) 2007-08-09 2009-09-1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률 개선용 3상 정류기 제어방법
US20120268976A1 (en) * 2009-02-27 2012-10-25 Delta Electronics (Shanghai) Co., Ltd. Three-phase rectifier circuit
JP2013158239A (ja) * 2012-01-31 2013-08-15 Delta Electronics Inc 三相ソフトスイッチング力率改善整流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04A (ko) * 1998-07-11 2000-02-07 구자홍 역률제어기능을 갖는 소프트 스위치 단상 능동정류기
KR100915982B1 (ko) 2007-08-09 2009-09-1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률 개선용 3상 정류기 제어방법
US20120268976A1 (en) * 2009-02-27 2012-10-25 Delta Electronics (Shanghai) Co., Ltd. Three-phase rectifier circuit
JP2013158239A (ja) * 2012-01-31 2013-08-15 Delta Electronics Inc 三相ソフトスイッチング力率改善整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136B1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tivachis et al. Analysis of a synergetically controlled two-stage three-phase DC/AC buck-boost converter
EP3063854B1 (en) Power supply control
US20140334199A1 (en) Five-Level Power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CN110048617B (zh) 分相功率转换装置、方法和系统
RU2645726C2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 переменное
CN103731047A (zh) 电源设备
US11569746B2 (en) DC coupled electrical converter
KR20190115364A (ko) 단상 및 3상 겸용 충전기
CN103959627A (zh) 电能供应系统
Babaei et al. High step-down bridgeless Sepic/Cuk PFC rectifiers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reduced current stress
Alhamroun et al. Comparison of two and four switches inverter feeding series resonant converter
Silva et al. Switched capacitor boost inverter
CN110546874A (zh) 电力转换系统
CN104578725A (zh) 可输出交流电压和直流电压的双级式矩阵变换器拓扑结构
KR101578136B1 (ko)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WO2015141319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63900B1 (ko) 역률 개선용 3상 강압 공진형 능동정류기
Ding et al. Single-phase ac-dc buck PFC converter based on flying-capacitor topology with active power decoupling control
Won et al. Auxiliary power supply for medium-voltage power electronics systems
US981298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verter, and inverter
JP6696626B2 (ja) 電気またはハイブリッド車両の車載充電装置用の三相整流器を制御する方法
US20150340871A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Mary et al. Design of new bi-directional three phase parallel resonant high frequency AC link converter
US20150043258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bdelsalam et al. An improved single-phase ac-dc buck-boost converter operating in a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