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084A -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 Google Patents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084A
KR20150066084A KR1020130151185A KR20130151185A KR20150066084A KR 20150066084 A KR20150066084 A KR 20150066084A KR 1020130151185 A KR1020130151185 A KR 1020130151185A KR 20130151185 A KR20130151185 A KR 20130151185A KR 20150066084 A KR20150066084 A KR 2015006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roller
main
seat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정희
Original Assignee
진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희 filed Critical 진정희
Priority to KR102013015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084A/en
Publication of KR2015006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7Attachments or holders for umbrellas, parasols or sunsha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for an infant to be seated on;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including a plurality of wheels on a lower part;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having a handle connected horizontally to an upper end. Provided is a stroller with a sunshade canopy for a protector comprising: a pair of main poles combined with a pair of handle frames to rotate vertically,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 pair of auxiliary poles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main poles to com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a sunshade member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to be kept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and be withdrawn to the outside, and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auxiliary poles to be folde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poles or be unfolded to the outside by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nshade canopy for a protector is installed in the stroller to be unfolded and used when necessary. Moreover, the sunshade canopy can be folded and kept when not necessary. Therefore, a protector protects from sunlight or rain, the sunshade canopy can conveniently be used and kept, and the sunshade canopy matches with the appearance of the stroller due to the structure thereof being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stroller.

Description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0001]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0002]

본 발명은 영유아를 태운 채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에 보호자용 차양막을 설치하여 유모차를 밀거나 끌고 다니는 보호자가 햇빛이나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troller used for carrying baby carriag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shield for a protector, which protects the baby stroller by pushing or pulling the baby stroller from sunlight or rain. .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영유아를 태운 채 보호자가 밀거나 끌고 다니는 것으로, 보호자가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외출할 때에 유아를 함께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된다.Generally, a stroller is used when a caregiver pushes or pulls a baby while carrying an infant, and when the baby goes out for a walk or shopping, the baby is taken out together.

도 1은 종래의 유모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1)는 영유아가 눕거나 기대어 앉는 시트(2)와, 상기 시트(2)의 상측에 구비되어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여 영유아를 보호하는 영유아용 차양막(3)과, 상기 시트(2)를 지지하고 하단에 다수의 바퀴(7)가 구비된 메인프레임(4), 및 상기 메인프레임(4)의 상부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상단에 핸들(6)을 구비한 핸들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baby carriage 1 includes a seat 2 on which an infant is laid or leaning, and an ornamental shoe for infants and children,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2 to protect sunlight or rain, A main frame 4 supporting the seat 2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7 at its lower end and a main frame 4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4 and having a handle 6 And a handle frame 5 provided with the handle frame 5.

이러한 구성요소들 중에 영유아용 차양막(3)은 보통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를 갖추어 시트의 양측에 고정되며, 날씨나 햇빛의 양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mong these components, the sunshade 3 for infants and children is usually made of cloth, and is equipped with a support and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and can be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ther or sunlight.

이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1)는 기능성과 편리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지만, 이는 대부분 영유아를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유모차를 밀거나 끌고 다니는 보호자를 햇빛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baby carriage 1 has a certain degree of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However, since the baby carriage 1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ector pushing or pulling the baby carriage can not be protected from sunlight or rain .

이로 인하여, 비를 피하거나 햇빛이 강하여 직사광선이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하여, 보호자는 한 손으로는 유모차를 밀거나 끌고 다니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우산이나 양산을 들고다녀야 하므로, 보호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는 유모차의 제어가 곤란하여 영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void rain or strong sunlight to avoid direct sunlight or ultraviolet rays, the protector must push or pull the stroller with one hand and carry an umbrella or a parcel with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troller and thus the infant can not be safely protected.

특히, 출산 후 여성은 피부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여 직사광선이나 자외선에 노출되어 발생되는 각종 기미, 주근깨, 피부트러블 등으로 인해 큰 스트레스를 받고, 이로 인하여 산후 우울증까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Especially, after giving birth, women are very sensitive to skin, and are exposed to direct sunlight or ultraviolet rays, and are exposed to a great deal of stress due to various stains, freckles, and skin troubles. As a result, postpartum depression may occu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모차에 보호자용 차양막을 설치하여 필요할 때에는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를 햇빛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유모차의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하여 유모차의 외관과 잘 조화를 이루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stroller, which can be easily spread when necessary, and can be folded when not need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stroller having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child, which is easy to use and store and which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baby carriage so as to harmonize with the appearance of the baby carriage.

또한, 햇빛의 방향에 따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폴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폴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shield for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po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to use the poles apart from the stroller in the room, There is also an object that can be us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종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한쌍의 보조폴대; 및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의 사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사이로 접혀지거나 외부로 펼쳐지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ild seat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 pair of main poles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reof; A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an orbiting member slidably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to be stor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 members or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pole member to be folded or unfolded outwardly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pole members by pivot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oll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for a protector.

이때, 상기 차양부재는,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차양막,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awning member is also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ir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both sides, an ornamental film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an interrupter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게다가,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차양막이 설치된 한쌍의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 the shade memb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extension frames hinged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provided with a shroud, and the extension frame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mechanism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There are features.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한쌍의 보조폴대; 및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한다.The main frame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supporting the seat,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 pair of main poles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A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a shin member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blocks and formed in a folded shape and having an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여기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 개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의 사이에 형성된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Here, the shad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an ornamental film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더불어,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보조폴대; 상기 보조폴대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ild seat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he main stroller includes a main pole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pivoting verticall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ole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 support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pole; And a shin member hinge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shin member being formed in a folded shape and having an interlocking member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이때,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 개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의 사이에 형성된 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shade membe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hinged to the support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an ornamental film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그리고, 본 발명은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보조폴대; 상기 보조폴대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에 삽입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휘어지는 자바라관; 및 상기 자바라관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한다.The main frame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supporting the seat,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he main stroller includes a main pol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ole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 suppor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pole; A bellows tu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to bend the bellows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a shade memb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llows pipe.

이때, 상기 차양부재는 파라솔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sunshade member is also a parasol.

아울러,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는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main pole piece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에 보호자용 차양막을 설치하여 필요할 때에는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를 햇빛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유모차의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하여 유모차의 외관과 잘 조화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tecting film for a protector to a baby carriage so that the protecting film can be easily spread out when necessary, and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needed, so that the protector can be protected from sunlight and rain, So that the stroller can be configur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stroller so as to be in harmony with the appearance of the stroller.

또한, 햇빛의 방향에 따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폴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폴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shield for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po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to use the poles apart from the stroller in the room,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used.

도 1은 종래의 유모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차양부재가 펼쳐진 유모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용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단속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폴대의 단속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with an opening member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wn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to 4 (e)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ittent aperture of an obliqu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ittent aperture of a main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R)는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2)와, 상기 시트(2)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7)가 구비된 메인프레임(4)과, 상기 시트(2)의 상측에 구비되어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여 영유아를 보호하는 영유아용 차양막(3)과, 상기 메인프레임(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6)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5)을 포함하고, 이때 보호자를 직사광선이나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메인폴대(10), 보조폴대(20), 및 차양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지대(40)나 지지구(50), 자바라관(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 stroller R having a protective sheath for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2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4 supporting the seat 2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7 at a lower end thereof, A sun visor 3 for protecting infants and children from sunlight or rain by shielding the sunlight or rain and a handle 6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4 and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2, And further comprises a main pole 10, a secondary pole 20 and an awning member 30 for protecting the protector from direct sunlight or ultraviolet rays, and the support frame 40 (50), and a bellows pipe (60).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R)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2B, a baby carriage R having a protective film for a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5)의 외측에 한쌍의 메인폴대(10)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A pair of main pole pieces (10)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5)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예컨대, 상기 메인폴대(10)에 끼움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프레임(5)에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게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폴대(10)의 회동과 함께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메인폴대(10) 등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fitting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main pole 10, and a fitt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handle frame 5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protrusion, The main pole 10 and the like can be separated from the stroller and used in the room.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폴대(10)와 핸들프레임(5)에 각각 단속구(14)가 구비되고, 중심에 힌지(15)가 연결되며, 이때 상기 단속구(14)는 복수 개의 치부(14a)와 홈부(14b)가 교번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단속구(14)의 치부(14a)와 홈부(14b)가 서로 치합되어 상기 메인폴대(10)의 회동 각도를 단속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9 (b), the main pole 10 and the handle frame 5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intermittent port 14 and a hinge 15 is connected to the center thereof.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eeth 14a and a plurality of grooves 14b are alternately formed so that the teeth 14a and the grooves 14b of the pair of intermittent ports 1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r the like.

더불어,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삽입홀(11)이 형성되어 후술될 보조폴대(20)가 상기 삽입홀(11)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메인폴대(10)의 내측에 종 방향으로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후술될 차양부재(30)가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거나 보관된다.An insertion hole 11 is formed in the main pole 10 so that an auxiliary pole 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11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po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groove 12 is formed and a later-described awning member 30 is pulled out or stored along the guide groove 12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보조폴대(20)는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11)의 내외로 출몰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보조폴대(20)의 내부에도 삽입홀이 형성되고 여기에 또 다른 보조폴대가 삽입 연결되어 더 많은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auxiliary pole 20 is installed in a pair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pole 10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11 by projecting in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11. Of course,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auxiliary pole 20, and another auxiliary pole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multi pole.

상기 차양부재(30)는 상기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의 사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인출된다.The shingling member 30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guide groove 12 and is sli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be stor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or drawn ou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차양부재(30)는 상기 보조폴대(20)의 상단에 힌지(35)로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20)의 사이로 접혀지거나 외부로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유모차를 밀거나 끄는 보호자를 햇빛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shingl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pole 20 by a hinge 35 and is folded or unfolde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20 by pivoting to push the stroller Protecting the protector from sunlight or rain.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부재(30)는,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상단과 힌지(35) 연결되어 회동되며 상기 메인폴대(1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31)이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31)의 사이에는 차양막(C)이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31)의 상·하단에는 횡프레임(33)이 연결 설치된다.3, the shingling member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20 by a hinge 35 to be rotatable, and the guide member 30,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pole 10, A pair of support frames 31 slidable in the groove 12 are provided and an ornamental film C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 A transverse frame 33 is connected.

더불어,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31)에는 차양막(C)이 설치된 한쌍의 연장프레임(32)이 힌지(35)로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상기 차양부재(30)가 한번 더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32)의 선단에는 횡프레임(33)이 연결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extension frames 32 provided with a shading film C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31 by a hinge 35 so that the shading member 30 is folded or unfolded once again by rotation , And a transverse frame (33)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elongate frame (32).

이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1),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2)에 각각 단속구(34)가 구비되고, 중심에 힌지(35)가 연결되며, 상기 단속구(34)는 복수 개의 치부(34a)와 홈부(34b)가 교번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단속구(34)의 치부(14a)와 홈부(14b)가 서로 치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31) 및 연장프레임(32)의 회동 각도를 단속할 수 있다.9 (a), the auxiliary frame 20 and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extension frame 32,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teeth 34a and a plurality of grooves 34b are formed alternately so that the teeth 14a and the grooves 14b of the pair of the intermittent apertures 34 are connected to the hinge 35,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extension frame 32 can be interrupted.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2)이 접혀질 경우 이와 접촉되는 상기 보조폴대(20)와 지지프레임(31)의 해당 부위에는 걸림홈(37)이 요입 형성되어 부재 간에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차양부재(30)가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elongated frame 32 are folded, a locking groove 37 is formed in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auxiliary pole 20 and the support frame 31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hading member 30 can be easily folded.

이와 같이, 도 2a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2)은 회동되어 접혀진 후 상기 보조폴대(20)가 상기 메인폴대(10)의 삽입홀(11)로 삽입되면서 상기 차양부재(30)가 상기 가이드홈(12)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인폴대(10)의 사이에 수납 보관되거나,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필요시 상기 보조폴대(20)를 인출함에 따라 함께 인출된 상기 차양부재(30)를 수평 방향 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시킨 후 단속구(34)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2A, after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extension frame 32 are rotated and folded, the auxiliary pol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main pole 10, 30 are slid into the guide grooves 12 and stored between the main poles 10 or when the auxiliary poles 20 are taken out as necessary as shown in FIGS. The shingled member 30 taken out together is rotated horizontally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fixed by the intermittent port 34 to be used.

따라서, 보호자용 차양부재(30)를 유모차에 설치하여 필요할 때에는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용 차양막의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유모차의 외관과도 잘 조화를 이룬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rotecting shade member 30 on the stroller so that it can be easily unfolded when necessary, and when it is not necessary, it can be folded and stored,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store the protecting shade for the protector, It accomplishes.

또한, 햇빛의 방향에 따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폴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폴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lso,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unligh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protective film for the protector, the angle and height of the po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the poles can be separated from the stroller in the room. You ca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R)도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5)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11)이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10)와,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11)의 내외로 출몰하는 한쌍의 보조폴대(20)를 구비한 것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길이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폴대(10)만 구비하고, 상기 메인폴대(10)에 차양부재(3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5, the stroller R having the protective film for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5 a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ir of main pole pieces 10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s 11 and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20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piece 10 so as to protrude in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11, 1 embodiment. However, if length adjustment is not required, the main pole 10 may be provided only, and the shingling memb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ole 10.

다만, 차양부재(30)는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20)의 상단에 힌지(35)로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35)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34)가 결합되는 방식이다.The shingle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20 by a hinge 35 and is formed in a folding manner so that an intermittent port 34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35 is coupled Method.

즉, 상기 차양부재(30)는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2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지지살(36)이 힌지(35)로 결합되고, 복수 개의 지지살(36)의 사이에는 차양막(C)이 설치되어 있어, 복수 개의 지지살(36)이 회동에 의하여 서로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으로써 상기 차양부재(3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어 차양부재(3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36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20 by the hinge 35, and the shade film C is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ieces 36, So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fingers 36 are pivoted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pivoting so that the fence member 30 is folded or unfolded and the area of the fence member 30 can be adjusted.

이로써, 햇빛의 방향에 따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폴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폴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protective film for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and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po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to use the poles apart from the stroller in the room, You ca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R)는 주요 구성은 제 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다만, 메인폴대(10)와 보조폴대(20)가 한쌍이 아니라 1개만이 존재하는 외팔이식 구조이다. 다만, 길이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폴대(10)만 구비하고, 상기 메인폴대(10)에 차양부재(30)와 지지대(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6, the stroller R having the protective film for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the main pole 10 and the auxiliary pole (20) are not a pair but only one. However, if length adjustment is not required, the main pole 10 may include only the main pole 10, and the shingle 30 and the suppo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ole 10.

어째든, 외팔이식 구조이기 때문에 차양부재(3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폴대(2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support the shingle member 30, the support pole 4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pole 20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차양부재(30)는 상기 지지대(40)에 힌지(35)로 결합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 개의 지지살(36)과, 상기 지지살(36)의 사이에 형성된 차양막(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ade member 3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36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by a hinge 35 to the support 40 and an ornamental film C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36, .

이러한 외팔이식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는 유모차들의 구조에 대응하여 한쌍의 부재를 함께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양부재(3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유모차의 외관과도 잘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다.Such a foreign-made structure can be used by installing the shingling member 30 even when a pair of members can not be attached toge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baby stroller which is released in various forms, and can be used in harmony with the appearance of such a stroller hav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R)는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5)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11)이 형성된 메인폴대(10)와,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11)의 내외로 출몰하는 보조폴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길이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 상기 보조폴대(20)를 구비하지 않고 삽입홀(11)이 형성되지 않은 메인폴대(10)만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폴대(10)에 자바라관(60)이 연결될 수 있다.7, the baby carriage R having the protective film for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5 a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in pole 10 on which a hole 11 is formed and an auxiliary pole 20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10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11. In this embodiment, Which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length adjustment is not required, only the main pole 10 having no insertion hole 11 without the auxiliary pole 20 is connected, and the bellows pipe 60 is connected to the main pole 10 .

또한, 상기 보조폴대(20)의 상부에 지지구(50)가 형성되고, 자바라관(60)의 하부가 상기 지지구(50)의 내부로 삽입 연결되며, 상기 자바라관(60)의 내부에 차양부재(30)의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연결된다. 다만, 상기 지지구(50)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고, 상기 자바라관(60)이 상기 메인폴대(10)나 보조폴대(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bellows tube 60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ortion 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llows tube 60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tube 6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hading member 30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However, the support 5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the bellows pipe 6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pole 10 or the auxiliary pole 2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관(6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파라솔(P)과 같이 차양지주와 차양막으로 이루어진 차양부재(30)가 상기 자바라관(60)에 삽입 연결되면, 상기 자바라관(60)을 구부려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게 되면 사이 차양부재(30)의 설치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8, an oblique member 30 including an orbital column and an ornamental shim, for example, a parasol P, is formed in the bellows pipe 60 The angle of the interposing member 30 can be easily adjusted by bending the angle of the bellows pipe 60 to a desired angle.

또한, 상기 차양부재(30)를 유모차에 설치하여 사용한 후 필요가 없게 된 경우에는 상기 차양부재(30)를 자바라관(60)으로부터 분리하여 유모차의 하부에 구비된 수납칸(8)에 수납 보관한다.When the needles 30 are installed on the stroller and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m, the beveling member 30 is separated from the bellows tube 60 and stored in the bin 8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oller .

이로써, 햇빛의 방향에 따라 보호자용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폴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유모차로부터 폴대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protective film for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and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po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to use the poles apart from the stroller in the room, You can.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종래의 유모차 2. 시트
3. 유아용 차양막 4. 메인프레임
5. 핸들프레임 6. 핸들
7. 바퀴 8. 수납칸
10. 메인폴대 11. 삽입홀
12. 가이드홈 14. 단속구
14a. 치부 14b. 홈부
15. 힌지 20. 보조폴대
30. 차양부재 31. 지지프레임
32. 연장프레임 33. 횡프레임
34. 단속구 34a. 치부
34b. 홈부 35. 힌지
36. 지지살 37. 걸림홈
40. 지지대 50. 지지구
60. 자바라관 C. 차양막
P. 파라솔 R.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Conventional stroller 2. Seat
3. Baby Shield 4. Mainframe
5. Handle frame 6. Handle
7. Wheel 8. Bin
10. Main pole 11. Insertion hole
12. Guide groove
14a. Tooth 14b. Groove
15. Hinge 20. Supporting pole
30. Shovel member 31. Support frame
32. Extension frame 33. Transverse frame
34. Regulation 34a. Chi
34b. Groove 35. Hinge
36. Supports 37. Jam home
40. Support 50. Support
60. Bellows tube C. Shield
P. parasol R. Baby stroller with protective shield

Claims (13)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종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한쌍의 보조폴대; 및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의 사이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사이로 접혀지거나 외부로 펼쳐지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pair of main poles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pivo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A pair of main pole pieces that are slid in the guide grooves and are stored or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auxiliary pole pieces to be folded or unfolded outwardly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by pivoting; A stroller with a protective sheath for inclu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차양막,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oller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provided on both sides, an ornamental film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an interrupter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차양막이 설치된 한쌍의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de memb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extension frames hing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provided with a shade film,
Wherein the extension frame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athing film to which an intermittent port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is coupled.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 및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pair of main poles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configured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hin member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poles and foldably formed and having an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한쌍의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한쌍의 보조폴대; 및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pair of main poles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pivo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A pair of auxiliary pole piece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nd
And a shin member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blocks and formed in a folded shape and having an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한쌍의 보조폴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 개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의 사이에 형성된 차양막을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roll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fingers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auxiliary pole members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a shielding film formed between the support fingers.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main pole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configured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member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pole; And
And a shade member hinge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he shade member being formed in a folded shape and having an interlocking member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보조폴대;
상기 보조폴대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힌지 연결되고,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구가 결합된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main pole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ole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 support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pole; And
And a shade member hinge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he shade member being formed in a folded shape and having an interlocking member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hin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 개의 지지살과, 상기 지지살의 사이에 형성된 차양막을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roll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fingers hing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lded or unfolded by pivoting, and a shielding film formed between the support fingers.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휘어지는 자바라관; 및
상기 자바라관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main pol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and configured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 bellows tube connected to the main pole and bent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And a shade memb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llows pipe.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지지하고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핸들이 연결된 한쌍의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의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폴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의 내외로 출몰하는 보조폴대;
상기 보조폴대에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휘어지는 자바라관; 및
상기 자바라관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 A stroller comprising a seat on which an infant ride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seat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handle frame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
A main pol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andle frames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ole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le to protrude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hole;
A bellows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pole and bent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And a shade memb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llows pip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파라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hild-facing member is a parasol.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메인폴대는 상기 한쌍의 핸들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용 차양막이 구비된 유모차.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the pair of main pole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handle frames.
KR1020130151185A 2013-12-06 2013-12-06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KR201500660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85A KR20150066084A (en) 2013-12-06 2013-12-06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85A KR20150066084A (en) 2013-12-06 2013-12-06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84A true KR20150066084A (en) 2015-06-16

Family

ID=5351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185A KR20150066084A (en) 2013-12-06 2013-12-06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08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187A (en) * 2015-09-28 2016-01-20 谭文博 Sunshade of baby stroller
CN114148398A (en) * 2020-09-08 2022-03-0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Support body and ceil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187A (en) * 2015-09-28 2016-01-20 谭文博 Sunshade of baby stroller
CN114148398A (en) * 2020-09-08 2022-03-0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Support body and ceil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744B1 (en) A parasol
KR101046695B1 (en) Awnings with variable shades
US20140028062A1 (en) Extendable stroller shade
US8210193B2 (en) Sun shade protector
KR20060047225A (en) Baby-care implement provided with hood
KR20150066084A (en) Stroller with sunshade canopy for protector
CN109070955A (en) Perambulator caterpillar system
TWI734025B (en) Canopy and cart
KR100856086B1 (en) A sunshade and a baby carriage with sunshade on
KR20180020837A (en) Foldable screen for a scooter
KR101075107B1 (en) Canopy of baby stroller and baby stoller comprising the same
KR20200145070A (en)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KR101516865B1 (en) Sun awnings
US20130087177A1 (en) Handheld or Attachable Visor
KR101942284B1 (en) Sunshade
KR20120002831U (en) Stroller weather shield having sun shade
JP3186571U (en) Windproof rain cover for wheelchair
JPH0719948Y2 (en) Folding and unfolding mechanism of hood in infant furniture
JP2007327322A (en) Sunshade device
KR100997519B1 (en) Supplementary sun visor for baby stroller with canopy
KR200440300Y1 (en) A Cap adjustable Visor
KR200460032Y1 (en) 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maintained in form by wire frame
JP7146044B2 (en) Stroller with concealed awning
KR20190000729A (en) Multipurpose Light Blind Wheelchair
KR200322465Y1 (en) Supplementary sun visor for baby stroller with can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