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485A -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485A
KR20150065485A KR1020130150866A KR20130150866A KR20150065485A KR 20150065485 A KR20150065485 A KR 20150065485A KR 1020130150866 A KR1020130150866 A KR 1020130150866A KR 20130150866 A KR20130150866 A KR 20130150866A KR 20150065485 A KR20150065485 A KR 2015006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information
data
radiation dos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954B1 (ko
Inventor
권명은
양정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5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기관 시스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별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구축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Method of managing personal radiation doses and management service platform for it}
본 발명은 개인별로 방사선 노출량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인별로 의료상황이나 실생활 등에서 실시간으로 노출되는 방사선 노출량을 관리하여 개인별 인체 내 누적되는 방사선량을 관리하고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물질은 그 상태가 불안정해서 스스로 붕괴를 일으키는 바, 이러한 원소들이 붕괴하여 다른 물질로 바뀌게 될 때 몇가지 입자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데 이것이 바로 방사선이다.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방사성 물질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라고 하며 이렇게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을 방사능이라고 하고, 방사성 물질이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은 α(알파)선, β(베타)선, γ(감마)선, 중성자 등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방사선이라고 할 때는 이들뿐만 아니라 X선과 같은 전자기파나 중하전입자 등을 합쳐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사선은 자연에도 존재하면서 우리 몸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방사선 노출은 발암률과도 깊은 관계가 있는데, 특히,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발암률이 급속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방사선 노출 경로는 의료기관에서 X-선 영상 촬영기, CT(Computed Tomography), CR(Computed Rad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혈관투시장치, 혈관조영장치, 유방 엑스레이장치 등과 같은 의료 영상 기기 등을 통한 영상 촬영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실생활 자연속에 존재하는 방사선량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의료 기기를 통한 방사선 노출은 각 병원에서 환자별로 진료내용이 기록화되면서 해당 병원내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정보 등을 통해 방사선 노출량을 기록할 수는 있으나, 다른 병원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정보는 취합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개인별로 의료 기기를 통해 노출되는 방사선량에 대한 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방사능 노출 구역(예, 방사능 관련 특수 작업장, 방사능 노출 지역)의 방문, 비행기 탑승시 또는 자연속에 존재하는 방사능과 같이 사람이 인지하지 못한 다양한 경로로 방사능에 노출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방사능 측정장치 등의 보급을 통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서의 방사능 노출량이 측정가능하지만 측정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는 개인정보로 국한되고 공유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일본 방사능 유출로 인해 사람들의 방사능에 대한 관심과 두려움이 증폭되고 있어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재의 방사선 노출량을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 노출된 방사선량 정보를 지속적으로 누적관리하며 시간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누적량 및 방사선 누적량에 기초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병원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의료 영상 촬영 과정에서 노출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생활에서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동일한 조건에 놓인 사용자가 타인이 제공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관 시스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별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구축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다수의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 및 정형화된 방사능 노출량 평균 정보를 저장하는 방사선량 정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외부 시스템 또는 통신장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소정의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오류 정보를 보정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DB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상기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 노출 부위 등의 신체적 특징에 기반한 변환팩터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유효 방사선량 데이터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오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DB 생성부는, 상기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와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된 상황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연계하여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축적하여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발암률 데이터로 포함하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등의 신체적 특징에 기초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인체 내 자연소거되거나 인위적으로 소거될 수 있는 방사능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방사능 노출 요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검색 및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범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경고알람 서비스 또는 방사능 노출 관련 정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은 (a)의료기관시스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수집하는 단계; 및 (b)상기 수집한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인체 내 누적되는 개인별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고 이에 기초한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 단계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사능 노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에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소정의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의 요건에 부합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검색 및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 검색 단계는,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의 요건에 부합되는 필수 메타데이터 및 옵션 메타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기준으로 1차 검색하는 단계; 상기 1차 검색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수 메타데이터와 일치하고 상기 옵션 메타데이터와는 유사 범주내 속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2차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검색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수 메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3차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소정의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의 오류 정보를 보정하는 연산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상기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와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된 상황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연계하여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축적하여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발암률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 상기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상기 발암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시간경과에 따라 인체 내 자연소거되는 방사능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은 (c)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범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경고알람 서비스 또는 방사능 노출 관련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방사선 노출량을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 노출된 방사선량 정보를 체계적, 지속적으로 누적관리하며 시간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누적량 및 방사선 누적량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병원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의료 영상 촬영 과정에서 노출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상생활에서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동일한 조건에 놓인 사용자가 타인이 제공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에서는 불필요한 방사선 영상 촬영을 감소시키는 등 합리적인 의학용 영상촬영을 유도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국가의 보건재정을 건전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방사선 노출 누적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별 방사선 정보 DB를 구축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기 구축된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 정보 DB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의료기관에서 활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병원 내 경로 안내서비스를 제고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개인별로 방사선 노출량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인별로 의료상황이나 실생활 등에서 실시간으로 노출되는 방사선 노출량을 관리하여 개인별 인체 내 누적되는 방사선량을 관리하고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방사선 노출 누적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별로 수집될 수 있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다수의 의료기관 시스템(110),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방사능 측정기(120), 사용자가 수동으로 방사능 노출 상태 또는 방사능 노출량 정보 등을 입력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30), 일반적으로 학술지 또는 통계상으로 공개된 방사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량 정보 DB(140) 및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며 시간에 따라 누적되는 방사선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으로 구성된다.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상기 다수의 의료기관 시스템(110),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120), 사용자 단말(130) 및 방사선량 정보 DB(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개인별 방사선 노출 정보를 수집하며, 시간에 따라 인체 내 누적되는 방사선량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 정보 DB(160)를 구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방사선 의료기기를 사용하여 의학용 영상 정보의 획득, 저장, 판독 및 검색 기능 등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의학영상정보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PACS를 통해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으로 의학용 영상 정보와 함께 해당 방사선 의료기기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CS내의 메타정보 또는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에서 전자의무기록 (electnonic medical record: EMR) 또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을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으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각 의료기관에서 제공받은 의료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저장장치(예, 콤팩트 디스크 등)에 저장하여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120)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방사능에 노출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측정한 시간, 장소 등의 정보와 함께 방사능 노출량 측정 정보를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으로 제공한다. 방사능 노출량 측정 시점에서의 기타 여건에 관한 정보는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의 요청에 따라 차후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가 의료행위 또는 일상생활속에서 방사능에 노출될 우려가 있거나 노출된 경우 수동으로 해당 사항을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으로 입려전송하기 위한 통신 장비로서, 이동단말 및 고정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방사선량 정보 DB(140)는 학술지 또는 논문 등을 통해 연구조사된 특정 상황, 특정 장소, 특정 기후, 특정 요건 하에서의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사능 노출량 평균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행기에 탑승하여 운행중인 경우 노출되는 방사선량 정보, 방사능 피폭 사건이 발생한 일본에서 지역별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선량 정보, 음식 등을 통해 섭취될 수 있는 방사선량 정보, 특정 날씨나 기후, 고도에 따라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선량 정보 등 일반적인 정보에서부터 특정 상황에 연구조사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상기 다수의 의료기관 시스템(110),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120), 사용자 단말(130) 및 방사선량 정보 DB(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나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별 방사선 노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하는 개인별 방사선 정보 DB(150)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150)의 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200)은 외부 시스템 또는 통신장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0), 시스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방사선량 정보 DB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220) 및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 시스템 또는 통신장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211), 소정의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12) 및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2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200)은 통신부(210)를 통해 다수의 의료기관 관리 시스템 또는 통신장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다양한 경로로 방사능 노출량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에서 전송하는 의학용 영상정보, EMR, PHR 또는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통해 의학용 영상정보와 함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120)를 통해 측정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정보 제공 시스템과 연동하여 요건별로 통계화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각각의 데이터 수집 경로를 통해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221), 데이터 수집부(221)에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오류 정보를 제거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222), 데이터 처리부(222)에서 처리한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능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DB 생성부(223) 및 생성된 각 DB를 구성하는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DB 관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221)는 의료기관 시스템,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 방사선량 정보 DB 등 다양한 정보 제공 소스로부터 개인별로 특정 요건하에 노출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30)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 제공 소스로부터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되는 특정 환경에 부합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검색하여 누락되는 방사능 노출량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2)는 데이터 수집부(22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미 구축된 방사선 데이터베이스부(230)에 기초하여 동일 또는 유사조건에 부합하는 방사선량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방사선량 정보와 수집한 정보를 비교하여 오류 데이터를 보정하는 등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연산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222)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인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에 노출된 부위 등에 따라 실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량을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여 유효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변환팩터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 노출 부위 등의 개별 신체적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효 방사선 노출량을 도출하기 위한 값이다. 변환팩터는 사용자 개별 신상정보를 토대로 방사선량 정보 DB(252)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는 값으로 고정되는 값은 아니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수학식 1에 사용된 연산기호(*)는 일 예를 든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B 생성부(223)는 데이터 처리부(22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DB를 생성한다.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DB는 해당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된 날짜, 시간, 환경정보 등과 함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DB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DB 관리부(224)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인체 내 축적되는 방사선량은 상술한 사용자의 변환팩터에 따라 개별적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서 자연적으로 소멸되거나 또는 인위적인 방법(예, 방사능 제거 치료, 방사능 제거용 양 복용, 음식물 섭취 등)으로 소멸될 수 있으므로, DB 관리부(224)는 소정 주기로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추가, 제거, 수정 등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DB 관리부(224)는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발암률 정보도 업데이트하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30)는 DB 생성부(223)에서 생성한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관리내역을 저장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231) 및 과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방사선량 정보 DB(2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231)는 DB 생성부(223)에서 생성되며 DB 관리부(224)에 의해 시간에 따라 방사선 노출 시점부터 일정 기간 경과하여 소멸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시간에 따라 인체 내 축적된 방사선량을 소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된다.
방사선량 정보 DB(232)는 주로 데이터 수집부(221)에서 데이터 검색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용 DB의 일종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현재 또는 과거 방사선에 노출되었던 상황에서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 또는 특정 요건에서 학술연구 등을 통해 정형화된 방사선 노출량 통계치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별 방사선 정보 DB를 구축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상술한 것처럼,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기관 시스템(310),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320) 및 방사선량 정보 DB(3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나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별 방사선 노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의료기관에서 방사선 노출을 수행하는 방사선 의료기기를 통해 의학용 영상정보 촬영 등의 진료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해당 의료기관 시스템에 속한 관리 시스템, PACS 또는 사용자가 해당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 저장장치(예, 콤팩트 디스크 등)를 통해 의학용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1).
데이터를 수집하면, 수집한 의학용 영상정보의 메타데이터 또는 헤더 정보 등에 의료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조사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예를 들어, 의료기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의학용 영상정보의 메타데이터로는 환자 개인정보, 영상정보와 관련된 모달리티(modality), 촬영부위 정보, 촬영장소 정보, 의료기기 정보 및 영상촬영시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 노출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메타데이터에 의료 영상 촬영시 면적선량 정보, 촬영기사 정보, 의료기기 시리얼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메타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환자 개인정보를 제외하는 데이터 객관화 작업을 수행한다(S303). 개인정보가 제외된 데이터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2)로 전달된다.
한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또는 타인이 소지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를 통해 일상생활속에서 측정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304).
이때, 사용자는 방사능 측정 날짜/시간, 방사능 측정장소, 환경정보 등의 방사능 측정 상태정보를 측정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와 함께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방사능 측정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도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2)로 전달된다.
다른 한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이미 구축된 방사선 정보 DB에 기초하여 특정 요건에 따라 연구조사되거나 통계화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할 수 있다(S305).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방사능에 노출될 수 있는 특정 환경에 처하였으나 방사능 측정기를 소지하지 않아 데이터가 누락되거나 또는 특정 의료기관에서 의학용 영상 촬영한 기기의 정보가 누락되어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이미 구축된 정보 DB로부터 동일 도는 유사 조건에 부합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검색하여 도출할 수 있다.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도출한 데이터도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2)로 전달된다.
데이터 처리부(222)는 상기 단계 S301 내지 S305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 수집 경로를 통해 수집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 구축된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동일 또는 유사조건에서 정형적으로 수치화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306), 정형화된 기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수집된 데이터의 오류정보를 필터링한다(S306, S307).
예컨대, 수집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의 오류 정보 필터링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것처럼, 수집한 기본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 노출 부위 등의 신체적 특징에 기반한 변환팩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별 유효 방사선량 데이터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DB 생성부(223)는 오류 보정된 데이터를 필수 메타데이터와 함께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로 생성하며 개인별 DB를 구축할 수 있다(S30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DB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정보 D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DB의 일부로서 PACS를 통해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의료영상 정보를 토대로 구성한 기본 방사선량 정보 DB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DB(400)는 차후 방사선량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의료영상정보에 관한 메타데이터(410)와 함께 하나 이상의 방사선 노출량 정보(430)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방사선량 정보 DB의 메타데이터로는 필수 메타정보(M)와 옵션 메타정보(O)로 단계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은 데이터 저장 및 습득 시에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 메타정보(M)로는 측정일자(411), 모달리티(412), 노출부위(촬영부위)(413), 노출장소(촬영장소)(414), 의료기기정보(41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옵션 메타정보(O)로는 경우별로 의료영상촬영의 경우 의료기기 정보(421), 의료기기의 시리얼 넘버(422), 방사선 노출 면적선량(423), 노출시간(424), 노출레벨(425), 의료기관 정보(426), 촬영기사 정보(4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 예시된 정보 DB는 상기 도 3에서 단계 S301 내지 S303의 과정을 거쳐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단계 S304에서와 같이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 또는 단계 S305에서와 같이 기 구축된 방사선량 정보 DB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도출하여 정보 DB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기 구축된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 정보 DB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현재 또는 과거 사용자가 의료기관이나 일상생활 속에서 방사선 피폭에 노출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S501),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방사선 노출량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502). 이때, 방사선 노출량 정보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개인이 소지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방사선 노출시에 부합하는 방사선량 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경우,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방사선량 정보 DB(232)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사선에 노출된 요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요건에서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1차 검색한다(S503).
1차 검색시, 방사선량 정보 DB(232)에서 검색하는 데이터로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메타데이터와 같이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정보 중 일정 기준치 이상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준으로 데이터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일치되는 정보로는 상술한 필수 메타데이터 및 옵션 메타데이터를 통합하여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기 구축된 방사선량 정보 DB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과거 방사선에 노출되었던 상황에서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특정 요건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피폭되는 방사선 노출량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방사선량 정보 DB에 대한 1차 검색시 요청된 메타데이터에 부합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메타데이터와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 노출 관리내역에 기록한다(S504, S509).
반면, 요청된 메타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수 메타데이터와 옵션 메타데이터를 구분하여 방사선량 정보 DB를 2차 검색한다(S505). 예를 들어, 요청된 필수 메타데이터는 일치하되, 옵션 메타데이터는 소정 유사조건 범위 내 속하는 데이터들로 방사선량 정보 DB를 2차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방사능에 피폭된 상황과 동일한 상황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 최대 유사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2차 검색 결과, 상술한 조건에 부합되는 메타데이터와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메타데이터 및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 노출 관리내역에 기록한다(S506, S509).
반면, 2차 검색시에도 요청된 메타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수 메타데이터만을 기준으로 방사선량 정보 DB를 3차 검색한다(S507).
최소 요건만으로 사용자의 피폭 상황에 대응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옵션 메타데이터를 제외하고 필수 메타데이터만으로 DB 검색을 수행하는 것이다.
3차 검색 결과, 부합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검새된 필수 메타데이터에 부합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대하여 최소값, 최대값 또는 평균값 등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사용자 방사선량 관리내역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S508, S509).
이와 같이,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피폭된 상황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3차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방사능 피폭 상황에 대응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하고, 타 사용자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개인 방사선 관리내역을 관리함으로써 현재 또는 과거 사용자가 처한 특정 상황에서의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 및 현 시점까지의 방사선 노출 누적량을 통산하며 방사선량 정보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510).
나아가, 사용자의 방사선 노출 누적량 데이터가 기 설정된 안전기준 내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경고 메시지 또는 방사능과 관련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S511, S512).
도 5에 예시된 방사선 노출량 유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의학용 영상정보를 촬영중에 방사선 피폭되었으나 해당 촬영시 피폭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과거 사용자가 진료받았던 의료기관의 EMR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EMR 정보로부터 과거 자신의 영상정보 촬영기록을 참고하여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행기에 탑승한 탑승자가 탑승일자, 탑승 비행기 정보를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입력하면, 탑승자가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사용하여 비행시 피폭된 방사선 노출량 정보를 직접 전송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방사선량 정보 DB로부터 해당 탑승일자, 해당 비행기 정보에 부합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도출하여 탑승자의 방사선 노출량 관리내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방사선량 정보 DB에 저장된 비행기 탑승시 방사선 노출량은 동일 조건하에 탑승한 다른 탑승자가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이거나 연구조사된 통계치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방사선 노출량 유추 방법은 사용자가 미래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사선 노출 상황에 놓이기 이전에 미리 방사선량 정보 DB에 접근하여 해당 요건에 부합하는 노출 방사선량을 예측해봄으로써, 사용자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총 노출 방사선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는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또는 PACS 등의 의료기관 시스템에서 다양한 시스템들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의료기관에서 활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610)은 방사선량 정보 DB(611)와 의료기관 시스템(620)의 EMR DB(621)를 연동하여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EMR DB(621)와 연동하여 환자의 과거 EMR 정보로부터 과거 의료과정에서 피폭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610)은 의료기관 시스템(620) 내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622) 또는 PACS(623) 등의 정보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방사선 노출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기관 시스템(620)은 의학용 영상정보를 촬영해야하는 경우,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610)에서 제공하는 환자 개인의 누적 방사능 노출량을 고려하여 방사선 노출이 없는 다른 모달리티로 유도하거나 같은 의료기기 내 환자 상태에 따른 최적의 면적선량을 권고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 내 다양한 영상촬영 의료기기가 존재하는경우, 방사선량 노출 위험 환자를 우선으로 저선량 기기로 유도할 수 있다.
개인의 방사선 노출량이 기 설정된 안전 권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기본 촬영가이드 내(예, 판독가능범위 내)에서 촬영 횟수를 조정하거나 또는 촬영기기의 면적선량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개인의 누적 방사선 노출량 정보를 의료기기 조작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610)은 HIS(622)와 연동하면 이하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노출량이 위험수준인 환자에게 병원 내 방사선량 노출 위험 지역을 회피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방사선 감소를 위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병원 내 경로 안내서비스를 제고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기관은 환자의 방사선 노출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누적 방사선 노출량이 위험 수준에 도달한 상태로 병원 내 진입한 경우(S701), 방사능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병원 내 방사선량 노출 지역 및 노출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S702), HIS를 통해 병원 내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는 지역을 통한 경로(S703)가 아닌 방사선 노출 위험 지역을 회피하는 안전성 기반의 이동 경로(S704)를 구성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05).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누적 방사선 노출량 정보 DB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사용자 상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사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방사선 노출 가능성이 높은 항공사에서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한 이동경로 또는 해외 여행지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임산부의 경우 옵션사항인 태아 CT검사를 제한할 수 있으며 누적 방사선 노출량 위험 수준인 사용자에게는 방사선 배출에 효과적인 음식, 운동 등의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등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정보 DB를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의료기관 시스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별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한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구축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다수의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 및 정형화된 방사능 노출량 평균 정보를 저장하는 방사선량 정보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 시스템 또는 통신장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소정의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오류 정보를 보정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DB 생성부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 노출 부위 등의 신체적 특징에 기반한 변환팩터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유효 방사선량 데이터를 도출하며 오류 정보를 보정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B 생성부는,
    상기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와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된 상황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연계하여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축적하여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발암률 데이터로 포함하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경과에 따라 인체 내 자연소거되거나 인위적으로 소거될 수 있는 방사능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방사능 노출 요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검색 및 도출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범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경고알람 서비스 또는 방사능 노출 관련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10. 개인별로 방사선 노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의료기관시스템,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수집하는 단계; 및
    (b)상기 수집한 개인별 방사선 노출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별 인체 내 누적되는 개인별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고 이에 기초한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상기 휴대용 방사선 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사능 노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에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소정의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의 요건에 부합되는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를 검색 및 도출하는 방사선량 정보 DB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량 정보 DB 검색 단계는,
    상기 방사능 노출 정보의 요건에 부합되는 필수 메타데이터 및 옵션 메타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기준으로 1차 검색하는 단계;
    상기 1차 검색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수 메타데이터와 일치하고 상기 옵션 메타데이터와는 유사 범주내 속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2차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검색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수 메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3차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소정의 방사선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의 오류 정보를 보정하는 연산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정보 보정 단계는,
    상기 수집한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방사선 노출 부위 등의 신체적 특징에 기반한 변환팩터를 적용하여 사용자별 유효 방사선량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개인별 방사능 노출량 데이터와 사용자가 방사능에 노출된 상황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연계하여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을 축적하여 개인별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누적 방사선량에 따른 발암률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선량 관리내역, 상기 누적 방사선량 정보 및 상기 발암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6. 제10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시간경과에 따라 인체 내 자연소거되거나 인위적으로 소거될 수 있는 방사능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정보를 변경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c)상기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 DB의 방사선량 관리내역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범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경고알람 서비스 또는 방사능 노출 관련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방사선 노출 누적량 관리 방법.
KR1020130150866A 2013-12-05 2013-12-05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KR10159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66A KR101592954B1 (ko) 2013-12-05 2013-12-05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866A KR101592954B1 (ko) 2013-12-05 2013-12-05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85A true KR20150065485A (ko) 2015-06-15
KR101592954B1 KR101592954B1 (ko) 2016-02-12

Family

ID=5350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866A KR101592954B1 (ko) 2013-12-05 2013-12-05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320A (ko) 2015-08-20 2017-03-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방사선 피폭량 자가 검진 방법
KR20190119883A (ko) * 2018-04-13 2019-10-23 김예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방사선량 측정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96A1 (ko) * 2017-08-07 2019-02-14 주식회사 티플러스 방사선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17A (ko) * 2011-05-27 2012-12-0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207898B1 (ko) * 2011-12-29 2013-02-01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방사선 개인선량계의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17A (ko) * 2011-05-27 2012-12-0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207898B1 (ko) * 2011-12-29 2013-02-01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방사선 개인선량계의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320A (ko) 2015-08-20 2017-03-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방사선 피폭량 자가 검진 방법
KR20190119883A (ko) * 2018-04-13 2019-10-23 김예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방사선량 측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54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chez et al. Staff radiation doses in a real-time display inside the angiography room
Hendee et al. Radiation risks of medical imaging: separating fact from fantasy
Metaxas et al. Patient doses in common diagnostic X-ray examinations
US88311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ation doses and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same
US9044197B2 (en) Method for x-ray dose tracking
Gress et al. AAPM medical physics practice guideline 6. a.: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dose index monitoring systems
Xie et al. Assessment of CT dose to the fetus and pregnant female patient using patient-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Vodovatov et al. Proposals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for radiography for adult patients based on regional dose surveys in Russian Federation
Kim et al. Comparison of effective radiation doses from X-ray, CT, and PET/CT in pediatric patients with neuroblastoma using a dose monitoring program
KR20150024987A (ko) 엑스선 누적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엑스선 장치
Lukoff et al. Minimizing medical radiation exposure by incorporating a new radiation “vital sign” into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KR101592954B1 (ko) 개인별 방사선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개인 방사선 노출량 관리 방법
Efthymiou et al. Low BMI patient dose in digital radiography
Bolch et al. Guidance on the use of handheld survey meters for radiological triage: time-dependent detector count rates corresponding to 50, 250, and 500 mSv effective dose for adult males and adult females
Martin Effective dose in medicine
Balonov et al. Russian practical guidance on radiological support for justification of x-ray and nuclear medicine examinations
Vano et al. Real-time measurement and audit of radiation dose to patients undergoing computed radiography
EP3773213B1 (en) Flexible dose estimation with user-defined volumes
Kim et al. Real-time patient radiation dose monitoring system used in a large university hospital
Ria et al. Statement of the Italian Association of Medical Physics (AIFM) task group on radiation dose monitoring systems
Ngaile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radiation dose to patients from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Tanzania
Dimov et al. Elaboration of new NDRLs as part of third national patient dose survey in diagnostic radiology in Bulgaria
Thakur et al. Canadian Association of Radiologists Radiation Protection Working Group: review of radiation units and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y dose indicators in Canada
KR101670885B1 (ko) 방사선 조사량 관리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Žiliukas et al. Results of a patient dose survey on diagnostic radiology in Lithu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