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448A -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448A
KR20150065448A KR1020130150788A KR20130150788A KR20150065448A KR 20150065448 A KR20150065448 A KR 20150065448A KR 1020130150788 A KR1020130150788 A KR 1020130150788A KR 20130150788 A KR20130150788 A KR 20130150788A KR 20150065448 A KR20150065448 A KR 2015006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treaming
additional information
audio signal
audio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520B1 (ko
Inventor
전주일
김재호
유정주
홍진우
김창기
김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5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가 공용 미디어 장치에 접속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접속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Audio Streaming Service}
본 발명은 공공장소의 공용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를 통해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변환하는 동글 장치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기차 대합실 및 버스 대합실 또는 지하철의 휴게 장소 등에는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대형 TV나 멀티비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하철, 기차 등의 내부에도 LCD 패널 등이 설치되어 승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형 광장이나 빌딩의 옥상에는 대형스크린이 설치되어 소정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축구 경기 등과 같은 방송물을 방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장소나 옥외에 설치, 운영되는 LCD 패널, 대형 TV, 대형스크린 등의 옥외 방송 단말 등은 공공장소 고유의 업무나 소음문제로 인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이 매우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아예 무음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 이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방송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자막을 통하여 일정부분 추측에 의지하거나, 의미 없이 받아들임으로써, 고가의 방송 단말을 값비싼 비용으로 설치하고도 그 효용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어왔다.
더구나, 공공장소나 옥외에 설치된 이러한 방송 단말 등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리모컨 등이 고장 등을 이유로 비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이러한 방송 단말이 주는 편의성을 누려야 하는 시청자들 입장에서 매우 불합리한 행정으로 인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소정 갯수의 헤드셋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방송 오디오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별도의 헤드셋 장치를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요구되고, 또한 분실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TV 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다양한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일 예로, 구글의 크롬캐스트는 스마트 TV의 HDMI 포트에 연결하여 오디오나 비디오를 WiFi를 통해 수신하여 TV에서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는 PC나 스마트 기기의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유투브, 구글 플레이 뮤직, 구글 플레이 무비 등의 콘텐츠를 크롬캐스트가 연결된 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러캐스트(Miracast)는 블루투스 기술과 유사하게 Wi-Fi Direct를 통해 연결된 두 장치 간에 멀티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애플의 에어플레이(AirPlay)는 애플 장치(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터치)에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정보와 함께 무선으로 다른 기기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에어플레이와 미러캐스트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모두 해당 기술을 지원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며, 크롬캐스트의 경우 웹 콘텐츠를 TV를 통해 재생하는 기술이라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공공장소나 옥외에 설치된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로 무선 송신하여 주변의 소음과 상관없이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헤드셋 장치가 필요없이 각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 기기로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디어 장치를 따로 제작할 필요없이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가 공용 미디어 장치에 접속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접속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연결된 공용 미디어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로,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접속 설정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접속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 공용 미디어 장치에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에 스트리밍하는 무선 오디오 송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된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를 휴대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다. 예컨대, 수험생이 있는 가정에서 수험생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을 통해 TV의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TV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기차역, 버스터미널, 공항 등의 대합실이나 노래방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하나의 대형 스크린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경우, 외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본인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선명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입원실, 은행 고객 대기실 등 조영한 장소에서 TV 오디오가 없는 경우에도 자신의 스마트 기기의 이어폰을 통해 TV 시청과 통시에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회의 등 통역이 필요한 곳에서 고가의 통역 기기가 아닌 본인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통역자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맞춤형 광고 및 정보 제공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를 TV나 오디오 장치의 내장형으로 설치하여 동일 형태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적용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용 미디어 장치(10)에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가 장착되고,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200)에 오디오를 스트리밍한다.
공용 미디어 장치(10)는 공용 TV, 오디오 방송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이 버스 또는 대합실과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방송 또는 미디어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는 공용 미디어 장치(10)에 접속되어, 공용 미디어 장치(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통신 가능한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200)에 무선 전송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무선 A/V 송수신 기기들은, 외장형 박스형태이거나, 전자기기들의 메인보드에 빌트인(Built-in)되어 있는 형태이다. 외장형 박스는 별도의 전원 라인을 가지고 있고,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HDMI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Cable)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무선환경이 아니다. 또한, 보드에 빌트인되어 있는 경우로 무선환경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무선기능이 없는 전자기기는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동글 타입으로 AV 송수신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는 플러그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기기에 장착된 PCMCIA 포트를 이용하여 동글타입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외장형 박스형태로 구현된 경우와 빌트인(Built-in) 타입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기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이 휴대하는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이어폰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에 따라, 주변의 공용 미디어 장치(10)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신호 뿐만 아니라 인터넷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이하 '장치'라 기재함)(100)는 오디오 입력부(110), 오디오 신호 변환부(120), 무선 오디오 송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110)는 공용 미디어 장치(10)에 직접 연결되거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공용 미디어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일 예로, 동글 타입으로 구현된 장치는 기존의 PCMCIA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되, 입력 신호를 기존의 USB 신호가 아닌 LVDS 타입의 신호를 사용하고, 수신장치는 HDMI 타입의 신호를 사용하여 A/V 신호 전송을 가능케 하며, 주변 기기와의 호환성을 높였다.
오디오 신호 변환부(120)는 공용 미디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코딩한다.
무선 오디오 송출부(130)는 오디오 스트리밍 서버 기능을 가지며,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RTP, HTTP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멀티캐스팅 또는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글 장치(10)의 각 동작을 제어하며, 공용 미디어 장치(10)에 접속 신호에 따라, 오디오 신호 변환부(1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주변의 스마트 기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접속 설정한 후, 접속 요청된 스마트 기기(200)에 오디오 신호가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그캐스트 형태로 무선 전송되도록 무선 오디오 송출부(130)를 제어한다. 전원부(150)는 동글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오디오 수신부(220),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부가 정보 수신부(250) 및 부가 정보 처리부(260)을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변의 동글 장치(100)을 탐색하고, 탐색된 동글 장치(100)로 접속 설정을 요청한다. 이때,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수신부(220)는 동글 장치(100)에서 송신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처리부(220)는 오디오 수신부(220)에서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재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240)의 오디오 출력부(241)를 통해 오디오를 재생한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241)는 스마트 기기(200)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과 연결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는 부가 정보 서버(20)로부터 동글 장치(100)의 식별자 및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된 부가 정보(광고, 안내정보 등)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수신부(25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부가 정보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부가 정보 처리부(260)에 전송한다.
부가 정보 처리부(260)는 수신한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용이한 정보로 가공하여, 부가 정보 출력부(242)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 출력부(242)는 스마트 기기(240)의 스크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글 장치(100)는 S410에서 접속된 공공장소의 공용 미디어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되어, S420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무선 스트리밍에 적합하게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동글 장치(100)는 S430에서 주변의 스마트 기기(200)의 접속 여부를 탐색하여, S440에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10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440에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20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글 장치(100)는 S450에서 해당 스마트 기기(100)에 공용 미디어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트리밍한다. 이러한 오디오 스트리밍은 공용 미디어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 입력이 중단(S460)될 때까지 계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 기기(200)는 S510에서 주변에 연결할 수 있는 동글 장치(100)가 있는지를 탐색하여 발견되면 해당 동글 장치(100)를 목록으로 표시하여 스마트 기기(20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동글 장치는 하나 이상이 발견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S520에서 목록으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동글 장치들을 본 사용자로부터 동글 장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S520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글 장치가 선택되면, 스마트 기기(200)는 S540에서 동글 장치(100)로부터 공용 미디어 장치(10)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이때, 또한 해당 동글 장치의 식별 정보(ID)를 이용하여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부가 정보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비즈니스 모델과 연동된 광고, 또는 현재 장소와 상황에 맞게 사용자에게 유용한 부가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S540에서 동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를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S550에서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는 부가 정보 서비스 서버(20)를 통해 수신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쉽도록 처리하여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용 미디어 장치(100)의 자막 안내나 좌석에 부착되어 있는 안내문을 참고(S610)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오디오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S620). 예컨대, QR 코드나 NFC 태그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 정보를 받을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공용 미디어 장치(10)에 연결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100)은 S640에서 오디오 입력받고 무선 송신 준비를 한다.
스마트 기기(200)는 오디오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630)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100)을 발견하고 연결한다(S650).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100)은 연결된 스마트 기기(200)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행(S660)하고, 스마트 기기(200)는 오디오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한편, 스마트 기기(200)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가정보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100)의 식별 정보 및 설치된 장소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S670)하고, 부가 정보 서버(20)로부터 적합한 부가정보를 수신(S680)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적용되는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버스나 기차 같은 운송 수단에는 공용 TV(10)가 존재하지만 주변 소음과 낮은 볼륨으로 정상적으로 오디오를 들을 수 없을 때,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 기기(200)를 통해 정상적으로 오디오와 함께 TV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장소 및 방송과 연계된 부가 정보 역시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용 TV(10)에 본 발명의 무선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를 연결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자리에서 스마트 기기(200)에 오디오 수신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역 대합실, 병원 또는 관공서 등의 공용 TV(10)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공공장소의 TV(10) 역시 주변 소음으로 인해 만족할만하게 오디오와 함께 시청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전술한 버스와 기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선 스트리밍 동글 장치(100)를 공용 TV(10)에 연결하고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 기기(200)를 통해 오디오와 부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국인 강연자가 강연을 하는 회의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외국인의 강연 등을 들을 때 청자는 고가의 통역 장비 없이,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을 이용하여 통역가 통역한 내용을 자신의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하여 청취할 수 있다.

Claims (15)

  1. 스마트 기기가 공용 미디어 장치에 접속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와,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접속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에 배치되는 QR 코드나 NFC 태그를 통해 설치 정보를 획득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가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미디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부가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설정하는 단계는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를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 선택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에 접속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에서의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공용 미디어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스트리밍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설정된 스마트 기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결 설정된 스마트 기기가 있을 경우, 해당 스마트 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9.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접속 설정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접속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에 배치되는 QR 코드나 NFC 태그를 통해 설치 정보를 획득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공용 미디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미디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부가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부가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부가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주변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를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 선택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에 접속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14. 공용 미디어 장치에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에 스트리밍하는 무선 오디오 송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송출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스트리밍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동글 장치.
KR1020130150788A 2013-12-05 2013-12-05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8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788A KR101980520B1 (ko) 2013-12-05 2013-12-05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788A KR101980520B1 (ko) 2013-12-05 2013-12-05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448A true KR20150065448A (ko) 2015-06-15
KR101980520B1 KR101980520B1 (ko) 2019-05-21

Family

ID=5350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788A KR101980520B1 (ko) 2013-12-05 2013-12-05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5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11A (ko) * 2017-06-12 2018-12-20 조기용 미디어 주변기기 무선 연결 시스템
KR101955259B1 (ko) 2017-09-28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스마트 모듈을 활용한 패밀리 보드 서비스 제공 방안
JP2020074602A (ja) * 2015-09-08 2020-05-14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音声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デバイス
US11375271B2 (en) 2015-09-08 2022-06-28 Google Llc Video media stream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57Y1 (ko) * 2004-06-09 2004-09-21 최석천 휴대폰을 이용한 옥외 방송단말의 오디오신호 청취 장치
KR2008010486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방송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28279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카서 존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73431A (ko) * 2011-12-23 2013-07-03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범용 방송수신 동글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106533A (ko) * 2012-03-20 2013-09-30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공정보 안내시스템의 무선 음성수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57Y1 (ko) * 2004-06-09 2004-09-21 최석천 휴대폰을 이용한 옥외 방송단말의 오디오신호 청취 장치
KR2008010486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방송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28279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카서 존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73431A (ko) * 2011-12-23 2013-07-03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범용 방송수신 동글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106533A (ko) * 2012-03-20 2013-09-30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공정보 안내시스템의 무선 음성수신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4602A (ja) * 2015-09-08 2020-05-14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音声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デバイス
US11277169B2 (en) 2015-09-08 2022-03-15 Google Llc Audio media streaming device
US11375271B2 (en) 2015-09-08 2022-06-28 Google Llc Video media streaming device
US11943500B2 (en) 2015-09-08 2024-03-26 Google Llc Video media streaming device
KR20180135211A (ko) * 2017-06-12 2018-12-20 조기용 미디어 주변기기 무선 연결 시스템
KR101955259B1 (ko) 2017-09-28 2019-03-08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스마트 모듈을 활용한 패밀리 보드 서비스 제공 방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520B1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420B2 (en) Audio or visual output (A/V) devices registering with a wireless hub system
US11050817B2 (en) Voice operated control device
US20190253665A1 (en) Communicating content and call information over a local area network
US92885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US20150296247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video devices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JP2002330099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をもつシステム
US9438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dio component of a multimedia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to one or more wireless computing devices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247807A (zh) 用于扩展电视画面或频道的适配器装置及其方法
JP2013141180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EP287687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90222863A1 (en) Wireless video and audio broadcasting device
US20130315417A1 (en) Bluethooth-to-rf tranceiver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12904B1 (en) Adapter device for television screen or channel extension
US8966545B2 (en) Connecting a legacy device into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KR101348624B1 (ko) 영상 및 음성 출력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JP201314315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27643A (ko) 모바일기기에서 텔레비젼으로 영상 및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범용 연결장치
WO2020151019A1 (zh) 商场广告的中介传输装置
KR202300464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5620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did의 음향신호 무선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N116915350A (zh) 显示设备
RU73112U1 (ru) Система направленной рассылки информ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