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320A -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320A
KR20150065320A KR1020130150493A KR20130150493A KR20150065320A KR 20150065320 A KR20150065320 A KR 20150065320A KR 1020130150493 A KR1020130150493 A KR 1020130150493A KR 20130150493 A KR20130150493 A KR 20130150493A KR 20150065320 A KR20150065320 A KR 2015006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window
user input
window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송이
이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5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320A/ko
Publication of KR2015006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은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및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관리하는 윈도우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FORMATION FOR CONTENT,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TV 서비스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방송 컨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기능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IPTV를 통해 TV의 본 역할로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나, 이에 그치지 않고,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게임 컨텐츠, 웹 컨텐츠 등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은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관리하는 윈도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장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윈도우 표시부,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은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텔레비전 장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f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은 텔레비전 장치(100), 윈도우 관리 서버(200) 및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고, 임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된 복수의 컨텐츠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카테고리는 컨텐츠의 특성 별로 구분된 카테고리임을 알 수 있다. 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텔레비전 장치(100)의 일례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STB(Settop Box)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제 1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제 2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좌우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제 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끔 구성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제 1 방향으로의 내비게이팅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받고, 내비게이팅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방향으로 위치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비전 장치(100)가 제 1 방향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텔레비전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인접한 다른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일부 영역을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제 2 방향으로의 내비게이팅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받고, 내비게이팅 요청에 대응하여 제 2 방향으로 위치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비전 장치(100)가 제 2 방향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텔레비전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인접한 다른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일부 영역을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TV 리모컨에 포함된 버튼 등)를 통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교환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 1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 2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윈도우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윈도우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텔레비전 장치(100)는 윈도우 관리 서버(200)의 판단 하에, 윈도우 관리 서버(200)에 의해 일괄적으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업데이트 받을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간의 배열 및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간의 배열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간의 배열 및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간의 배열을 재조정하는 입력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간의 배열은 컨텐츠 각각의 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등록될 컨텐츠의 위치를 설정하는 입력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텔레비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300) 중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종류나 수에 관계없이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명명하겠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게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와 관련있되 등록되지 않은 컨텐츠를 요청하고, 요청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컨텐츠의 카테고리는 텔레비전 장치(100)에서 해당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제시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생성, 삭제, 스케쥴, 및 업데이트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간의 배열 및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간의 배열을 더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별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이 들어온 컨텐츠에 대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윈도우 관리 서버(200)의 판단 하에,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 관리 서버(200)는 윈도우 관리 서버(200)의 판단 하에,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텔레비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와 관련있되 등록되지 않은 컨텐츠를 요청받고, 요청받은 컨텐츠를 텔레비전 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윈도우 표시부(210), 유저 입력 수신부(220), 컨텐츠 제공부(230), 업데이트 요청부(240), 컨텐츠 등록부(250) 및 DB(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윈도우 표시부(21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해당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컨텐츠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게 요청한 컨텐츠로서,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일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컨텐츠만을 묶어놓은 내비게이션 윈도우가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윈도우 표시부(210)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위치한 차순위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차순위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은 제 1 방향에 포함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제 2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로, 해당 카타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으로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는 윈도우이고, 해당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포함하여 제 2 방향으로 구성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예를 들어, MBC, SBS 등에서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 중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가 즐겨 찾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표시부(210)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표시부(210)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윈도우 표시부(210)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인접한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 있는 다른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표시부(210)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인접한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 있는 다른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3f를 참조하여,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3f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101)에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를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따라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는 웹 컨텐츠, VOD 컨텐츠, 실시간 방송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외장 메모리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윈도우(302)를 웹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시킬 수 있고, 내비게이션 윈도우(303)를 VOD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시킬 수 있고,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를 실시간 방송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시킬 수 있고, 내비게이션 윈도우(305)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시킬 수 있고, 내비게이션 윈도우(306)를 외장 메모리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시킬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삭제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삭제 요청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삭제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추가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추가 요청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간의 배열에 대한 위치 재조정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수신된 위치 재조정 요청에 따라,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간의 배열을 재조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삭제, 생성 및 배열 수정은 내비게이션 윈도우 관리부(미도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수행 결과는 윈도우 관리 서버(200)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3b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2 내지 306)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를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따라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할 수 있다. 단, 이 때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는 기본 제공 화면으로서, 방송 컨텐츠 카테고리에 포함시켰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카테고리가 정해지지 않은 별도의 단일 내비게이션 윈도우로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삭제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삭제 요청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추가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추가 요청된 컨텐츠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100)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 간의 배열에 대한 위치 재조정 요청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경우, 수신된 위치 재조정 요청에 따라,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 간의 배열을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10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 각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컨텐츠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가 즐겨 찾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예를 들어, MBC, SBS 등에서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c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내지 305)를 제 1 방향(309)으로 내비게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101)에서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309)으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내지 305)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은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으로서, 제 1 방향(309)에 포함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내지 305)를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309)으로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내지 305)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309)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에 인접한 제 1 방향(309)에 있는 다른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및 305)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d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를 제 2 방향(310)으로 내비게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텔레비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101)에서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310)으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은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으로서,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를 내비게이팅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이 때, 제 2 방향(310)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4, 307 내지 308)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로,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아이콘 형식으로 등록한 내비게이션 윈도우일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310)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에 인접한 제 2 방향(310)에 있는 다른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7 내지 308)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e는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를 제 1 방향(309) 또는 제 2 방향(310)으로 내비게이팅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101)에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내지 305, 307 내지 308)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309)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하거나,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310)으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교환할 경우,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304)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에 인접한 제 1 방향(309)에 있는 다른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및 305) 및 제 2 방향(310)에 있는 다른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307 내지 308)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304)가 축소되고, 이에 인접한 내비게이션 윈도우(303, 305, 307 및 308)의 일부 영역을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304)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101)에 표시되는 것은,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 또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이 아닌, 별도의 내비게이팅 요청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도 3f는 사용자의 컨텐츠 추가 요청에 따른,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f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장치(10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311)를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시키기 위한 내비게이션 윈도우 추가 요청(312)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임을 식별하고, 해당 실시간 방송 컨텐츠(311)의 위치로서, 복수의 위치(315 내지 316) 중 어느 하나의 위치(315 또는 316)를 지정하는 유저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유저 입력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위치(315 또는 316)에 내비게이션 윈도우(314)를 생성할 수 있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생성된 내비게이션 윈도우(314)에 해당 실시간 방송 컨텐츠(311)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부(2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내비게이팅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카테고리별로 내비게이팅하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별로 내비게이팅하는 것은 제 1 방향으로 내비게이팅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는 것은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제 2 방향으로 내비게이팅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컨텐츠 제공부(23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등록과 대응하는 등록될 컨텐츠의 위치(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결정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간의 배열 및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간의 배열 위치 정보를 재조정하는 입력을 텔레비전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컨텐츠 추가를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유저 입력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삭제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23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 요청부(240)는 윈도우 관리 서버(200)에게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요청부(24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업데이트를 윈도우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등록부(250)는 컨텐츠 제공부(23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등록을 내비게이션 윈도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내비게이션 윈도우이며,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해당 등록될 컨텐츠가 해당 내비게이션 윈도우에서 등록 수행될 수 있다.
DB(26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텔레비전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텔레비전 장치(100)와 텔레비전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60)는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내비게이팅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60)는 텔레비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내비게이션 윈도우 및 컨텐츠의 배열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6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60)의 일 예에는 텔레비전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윈도우 표시부(210), 유저 입력 수신부(220), 컨텐츠 제공부(230), 업데이트 요청부(240), 컨텐츠 등록부(250) 및 DB(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장치(100), 윈도우 관리 서버(2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텔레비전 장치(100), 윈도우 관리 서버(2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단계 S401에서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단계 S402에서 수신된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카테고리 별로 내비게이팅하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단계 S404에서 수신된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텔레비전 장치(100)는 단계 S406에서 수신된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텔레비전 장치
200: 윈도우 관리 서버
300: 컨텐츠 제공 장치

Claims (18)

  1.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관리하는 윈도우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간의 배열 및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간의 배열을 더 관리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별로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윈도우 관리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윈도우 관리 서버는 상기 텔레비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시스템.
  7.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윈도우 표시부;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상기 카테고리 별로 내비게이팅하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응하고,
    상기 유저 입력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방향으로 위치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방향으로 위치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한 내비게이팅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축소시켜 표시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축소되어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인접한 내비게이션 윈도우의 일부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개인 방송 컨텐츠, VOD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컨텐츠, 웹브라우징 컨텐츠, 및 외장 메모리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윈도우 관리 서버에게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업데이트가 필요한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업데이트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등록을 수행하는 컨텐츠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입력 수신부는 상기 등록될 컨텐츠의 위치로서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지정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텔레비전 장치.
  16.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상기 카테고리 별로 내비게이팅하는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비게이션 윈도우 중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내비게이팅하는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 표시부는 상기 제 2 내비게이팅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내비게이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윈도우에 대응하는 것인, 컨텐츠 개인화 편성 방법
KR1020130150493A 2013-12-05 2013-12-05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KR20150065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93A KR20150065320A (ko) 2013-12-05 2013-12-05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93A KR20150065320A (ko) 2013-12-05 2013-12-05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20A true KR20150065320A (ko) 2015-06-15

Family

ID=5350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93A KR20150065320A (ko) 2013-12-05 2013-12-05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3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978B2 (en) Dynamic video image synthesis using multiple cameras and remote control
US1011452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device by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US9351043B2 (en) Metadata system for real-time updates to electronic program guides
US20160142760A1 (en) A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DE202014011066U1 (de) Digitale Vorrichtung
CN104145434A (zh) 智能电视的频道切换器
CN109417652A (zh) 不管地理内容限制用于确保对播放列表的媒体的连续访问的系统和方法
US11290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ree viewpoint video
CN109565619A (zh) 用于针对自然语言查询执行补充功能的系统和方法
JP6445117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ークアップ構成装置及び方法
CN109997094A (zh) 用于重建来自媒体资产的参考图像的系统和方法
EP2874405B1 (en) A client device, system and software for providing a defined view of an image on a client device
KR20140095854A (ko) 디스플레이장치, 컨텐츠 추천정보 수신방법, 서버 및 컨텐츠 추천방법
US20160132278A1 (en) Method, server, client and software
CN103024602A (zh) 一种针对视频添加批注的方法及装置
US105583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based video manipulation resources to a client device
US9106939B2 (en) Location-based program listing
US10943265B2 (en) Targeted user digital embedded advertising
US20150143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shup service based on the content of media content
CN103716692A (zh) 提供个人化信息的系统及其方法
CN110337024A (zh) 智能电视以及用户界面上实现资源交换的信息处理方法
KR102319768B1 (ko) 개인화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065320A (ko) 컨텐츠 개인화 편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KR20140094995A (ko)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US8856837B2 (en) Location-based tu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