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09A -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09A
KR20150065209A KR1020130149924A KR20130149924A KR20150065209A KR 20150065209 A KR20150065209 A KR 20150065209A KR 1020130149924 A KR1020130149924 A KR 1020130149924A KR 20130149924 A KR20130149924 A KR 20130149924A KR 20150065209 A KR20150065209 A KR 2015006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dule
optical
smartphon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태
성충일
윤태수
정호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와이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와이에스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209A/ko
Publication of KR2015006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는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배터리 전원과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스마트폰 케이스에 착탈되는 구성임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활용성 및 확장성이 증대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는 광을 생성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광자극모듈과; 광자극모듈이 접속되고, 광자극모듈의 동작을 위한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광자극모듈이 설정된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키며 해당 인체 부위에 대한 광자극이 수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Light stimulating device linked to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배터리 전원과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스마트폰 케이스에 착탈되는 구성임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활용성 및 확장성이 증대되며, 특히 각종 신체 통증 완화나 두피 건강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신체자극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LED를 이용한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가 현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는 광자흡수(Photon Absorption)에 의한 포토 모듈레이션(Photomodulation)으로 세포구조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새롭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하는 의료장비이다.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는 장비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음에 따라, 최근 급속하게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특히 수술 후 상처 치유, 광회춘(Photorejuvenation), 여드름 치료, 비 흑색종 피부암(Non-melanoma Skin Cancer), 백반증(Vitiligo), 건선(Psoriasis), 통증 완화 등 각종 피부 질환 치료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9022호 "다파장 출력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 등록번호 제10-1039636호 "광 에너지를 이용한 휴대용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31316호 "색광 치료기", 공개번호 제10-2011-0042616호 "고휘도 LED를 이용한 색채 심리 치료 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는 별도로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에 LED 광원이나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별도의 조작기구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이어서 휴대성과 활용성이 그리 높지 않은 한계가 있어 휴대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9022호 "다파장 출력 의료용 LED 광치료기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39636호 "광 에너지를 이용한 휴대용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31316호 "색광 치료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42616호 "고휘도 LED를 이용한 색채 심리 치료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켜 광자극을 수행하는 광자극모듈이 연결케이블에 의해 스마트폰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의 배터리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하고, 광자극모듈의 베이스 프레임이 스마트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활용성 및 확장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개의 LED가 구비된 광자극모듈을 통한 설정패턴의 광자극으로 각종 신체 통증 완화나 두피 건강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신체자극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광을 생성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광자극모듈과; 상기 광자극모듈이 접속되고, 상기 광자극모듈의 동작을 위한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광자극모듈이 설정된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키며 해당 인체 부위에 대한 광자극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는 상기 광자극모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는 일측 연결단자는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접속되고, 타측 연결단자는 상기 광자극모듈의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이 구비되되, 상기 광자극모듈은 상기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을 전달받게 되는 한편, 상기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서 상기 광자극모듈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체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에 다수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는 복수개의 LED 및; 상기 스마트폰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LED 출력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높이방향 양단부와 폭방향 양단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향의 양단부에 걸림고정되는 한쌍의 고정용 클립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서 상기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개의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 조사량, 광 출력세기, 광 출력파장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광 조사량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광 출력세기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광 출력파장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타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에 의하면,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켜 광자극을 수행하는 광자극모듈이 연결케이블에 의해 스마트폰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의 배터리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하고, 광자극모듈의 베이스 프레임이 스마트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활용성 및 확장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복수개의 LED가 구비된 광자극모듈을 통한 설정패턴의 광자극으로 각종 신체 통증 완화나 두피 건강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신체자극에 적용되어 신체자극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극모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극모듈을 이루는 메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광자극기, 광 치료기기, LED, 스마트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케이스, 스마트폰 배터리, 연결케이블, 클립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광자극모듈(10), 스마트폰(20),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30), 스마트폰 케이스(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광자극모듈(10)은 광을 생성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광자극모듈(10)은 경량화된 소형 평판체 또는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케이스(4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광자극모듈(10)은 직사각 단면, 정사각 단면, 원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극모듈(10)은 베이스 프레임(11), 복수개의 LED(12), 메인 컨트롤러(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11)은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케이스(4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1)은 도 2과 도 3에서와 같이 스마트폰 케이스(40) 높이방향 양단부나 폭방향 양단부에 걸림고정되는 고정용 클립(11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클립(111)은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용 클립(111) 중앙부에 관통홀(114)에 끼워지는 고정볼트(115)가 베이스 프레임(11) 저면에 형성된 볼트공(113)에 체결되면서 고정용 클립(111)이 베이스 프레임(11)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LED(12)는 베이스 프레임(11) 표면에 다수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LED(12)는 메인 컨트롤러(13)와 연결되어 설정패턴으로 광을 외부로 발산시키게 된다.
메인 컨트롤러(13)는 베이스 프레임(11)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마트폰(20)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복수개의 LED(12) 출력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13)는 도 5에서와 같이 광 조사량 제어용 서브컨트롤러(131), 광 출력세기 제어용 서브컨트롤러(132), 광 출력파장 제어용 서브컨트롤러(133), 타이머(134)를 포함한다.
스마트폰(20)은 광자극모듈(10)이 접속되는 것으로, 광자극모듈(10)의 동작을 위한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21)은 복수개의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 조사량, 광 출력세기, 광 출력파장을 제어하면서 복수개의 LED(12)가 설정패턴으로 광을 발산시키도록 한다.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30)은 일측 연결단자가 스마트폰(20)의 충전포트(23)에 접속되고, 타측 연결단자가 광자극모듈(10)의 연결포트(112)에 접속되어 광자극모듈(10)과 스마트폰(2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광자극모듈(10)은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30)을 통해 스마트폰(20)에 구비된 배터리(22)의 전원을 전달받게 되는 한편,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스마트폰 케이스(40)는 스마트폰(20)이 장착되는 케이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40)은 광자극모듈(1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100)는 스마트폰(20)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21)에 의해 구동되는 광자극모듈(10)이 설정된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키며 해당 인체 부위에 대한 광자극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100)는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켜 광자극을 수행하는 광자극모듈(10)이 연결케이블(30)에 의해 스마트폰(20)에 접속되어 스마트폰(20)의 배터리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고, 광자극모듈(10)의 베이스 프레임(11)이 스마트폰 케이스(4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임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높은 활용성 및 확장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100)는 복수개의 LED(12)가 구비된 광자극모듈(10)을 통한 설정패턴의 광자극으로 팔, 다리, 목, 어깨, 허리 등의 근육, 인대 부분의 통증을 완화하거나, 멍, 찰과상, 피부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이 있어 붓거나 물이 차 오르지 않는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거나, 두피 건강 증진, 추가적인 탈모 방지, 모발 굵기 증진을 유도하거나, 근육 피로, 생활 습관, 생리통으로 인한 허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신체자극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광자극모듈 11 : 베이스 프레임
111 : 고정용 클립 112 : 연결포트
113 : 볼트공 114 : 관통홀
115 : 고정볼트 12 : LED
13 : 메인 컨트롤러 131 : 광 조사량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132 : 광 출력세기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133 : 광 출력파장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134 : 타이머 20 : 스마트폰
21 :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
22 : 배터리 23 : 충전포트
30 :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 40 : 스마트폰 케이스
100 :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Claims (6)

  1. 광을 생성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광자극모듈과;
    상기 광자극모듈이 접속되고, 상기 광자극모듈의 동작을 위한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광자극모듈이 설정된 인체 부위로 광을 발산시키며 해당 인체 부위에 대한 광자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자극모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3. 제 2항에 있어서,
    일측 연결단자는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접속되고, 타측 연결단자는 상기 광자극모듈의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이 구비되되,
    상기 광자극모듈은 상기 광자극모듈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을 전달받게 되는 한편, 상기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자극모듈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체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에 다수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는 복수개의 LED 및;
    상기 스마트폰의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LED 출력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높이방향 양단부와 폭방향 양단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향의 양단부에 걸림고정되는 한쌍의 고정용 클립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자극모듈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개의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 조사량, 광 출력세기, 광 출력파장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광 조사량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광 출력세기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광 출력파장 제어용 서브컨트롤러,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KR1020130149924A 2013-12-04 2013-12-04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KR20150065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24A KR20150065209A (ko) 2013-12-04 2013-12-04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24A KR20150065209A (ko) 2013-12-04 2013-12-04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09A true KR20150065209A (ko) 2015-06-15

Family

ID=5350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924A KR20150065209A (ko) 2013-12-04 2013-12-04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883A (ko) 2016-07-20 2018-01-30 이지형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883A (ko) 2016-07-20 2018-01-30 이지형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9837C (en) Handheld low-level laser therapy apparatus
KR101496370B1 (ko) 치료용 및/또는 미용 요법에 이용되는 발광 장치
US8435273B2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US9610214B2 (en) Sexual stimulation method using light therapy
US10905846B2 (en) Phototherapy sleep mask
US20120150265A1 (en) LED Phototherapy Apparatus
KR20130134022A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KR20140089720A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KR101725149B1 (ko) 광 자극 브래지어
DE102013017586A1 (de) BEHANDLUNGSGERÄT für magnetfeldunterstützte BESTRAHLUNGSTHERAPIEN
KR20130031172A (ko) 복합 파장 광 요법 진동 마사지 장치
JP6608806B2 (ja) 複数アパーチャのハンドヘルド型レーザ治療装置
KR20150065209A (ko) 스마트폰 연동형 광자극기
JP3180069U (ja) 皮下脂肪分解促進装置
KR20110118039A (ko) 다방향 광 조사가 가능한 광 치료장치
KR101724080B1 (ko) 레이저 조사 유닛과 전자기장 발생 유닛을 결합한 피부 및 두피 관리 장치
EP2386329A1 (en) Apparatus for the skin treatment with visible light
KR20100013650A (ko) 로프형 광 치료 장치
KR20170128653A (ko) 스마트 단말기와 광원을 이용한 치료기
ES2386308T3 (es) Dispositivo para la aplicación de fototerapia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CA2775529C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US20230364440A1 (en) Battery powered systems for light therapy and related methods
KR20230037125A (ko) Led를 구비한 웨어러블 마사지기
US20210268301A1 (en) Battery powered systems for light therapy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