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04A -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04A
KR20150065204A KR1020130149829A KR20130149829A KR20150065204A KR 20150065204 A KR20150065204 A KR 20150065204A KR 1020130149829 A KR1020130149829 A KR 1020130149829A KR 20130149829 A KR20130149829 A KR 20130149829A KR 20150065204 A KR20150065204 A KR 20150065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obot
boarding
boarding robo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5930B1 (en
Inventor
김동헌
김연균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of a ridable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ntrol system of a ridable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ving direction of a ridable robot is controlled as the direction pointed by a mobile terminal changes.

Description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mobile robot,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의 변화에 따라 탑승로봇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boarding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for a boarding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ving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단말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고 있어서 모바일단말을 이용해서 로봇을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s greatly improved the performance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various sensors including acceleration sensors, gyro sensors and geomagnetic sensors have been installed, so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to control robots using mobile terminals It is constantly being done.

또한, 모바일단말을 이용하여 로봇을 제어하고자 할 때에는 로봇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모바일단말에 설치하면 별도의 장치를 제작할 필요없이 로봇의 제어가 가능하다.When an application (App, App) for controlling the robot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when controlling the robot using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without having to manufacture a separate device.

또한,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로봇제어는 대개 모바일단말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단말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방향 버튼을 확인하고, 특정 방향버튼을 눌러서 로봇이 이동하는 방향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In addition, robot control using a mobile terminal is generally implemented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a user using a touch interface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the user is provided to identify the direction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o specify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moves by pressing a specific direction button.

한편, 로봇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발판 또는 좌석이 구비된 탑승로봇인 경우, 탑승자가 탑승로봇에 탑승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모바일단말의 화면을 상시 확인하여야 하므로 탑승로봇의 제어가 곤란하고 충돌 및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oarding robot provided with a footrest or a seat so that the user can ride the boarding vehicl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boarding robot because the occupant must always check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move in a desired direction after boarding the boarding robot And the risk of collision and accidents increases.

본 발명자들은 탑승로봇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모바일단말의 화면을 확인하지 않고도 원하는 방향으로 탑승로봇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tempted to control the boarding robot in a desired direction without checking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boarding robot. As a resul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모바일단말의 화면을 확인하지 않고 전방을 주시하면서 탑승로봇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boarding robot while the passenger observes the front side without checking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 상기 모바일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모바일단말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가리키는 방향을 방향각으로 계산하고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기능하는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단말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산된 방향각에 따라 이동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이 회전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탑승로봇;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which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alculates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direc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left and right by a direction angle, And a wheel. The mobile robot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calculated i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and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rotates And a boarding robot provided to move the boarding robo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의 방향각을 절대 방향각으로 계산하는 절대방향 제어모드; 및 특정 방향각인 기준 방향각이 설정된 후 상기 모바일단말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준 방향각과의 변화값을 상대 방향각으로 계산하는 상대방향 제어모드;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includes: an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in which an orientation angle in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calculated as an absolute direction angle; And a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in which a change valu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gle is calculated as a relative direction ang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left and right after a reference direction angle that is a specific direction imprinting is se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1byte의 제어명령 및 1byte의 방향각으로 이루어진 통신패킷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adio signal is a communication packet consisting of a control command of 1 byte and a direction angle of 1 byt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은, 상기 탑승로봇이 바라보는 방향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아이엠유(IMU) 모듈; 및 상기 탑승로봇의 현재 방향각을 상기 무선신호에서 수신된 모바일단말의 절대 방향각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의 상대 방향각과 비교하여, 상기 탑승로봇이 이동할 방향을 계산한 후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엠씨유(MCU) 모듈;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arding robot includes an IMU module for measuring a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in a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And compares a current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with an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ed from the radio signal or a relativ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to calculate a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robot moves, And an MCU module for outputting the MCU.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은, 상기 바퀴를 각각 구동하는 좌,우측 모터; 상기 엠시유 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측 모터의 토크를 각각 제어하는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 및 상기 바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 바퀴;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arding robot includes left and right motors for driving the wheels, respectively;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torque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MSU module; And a secondary wheel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wheel.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에 따라 탑승로봇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므로, 탑승로봇을 제어할 때 모바일단말의 화면을 확인하지 않고도 탑승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탑승로봇 제어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충돌 및 사고의 위험은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arding robo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is sto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without check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trol of the boarding robot and reducing the risk of collision and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a board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wireless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differential drive robo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the meaning described or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part of the invention The meaning must be grasp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board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oard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발판 또는 좌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방 또는 가고자 하는 방향을 주시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단말(110),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 및 탑승로봇(130)을 포함한다.1 to 4, a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move forward while watch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standing on a footstool or a seat, A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and a boarding robot 130.

상기 모바일단말(110)은 후술할 탑승로봇(13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전화통화, 인터넷 검색 및 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사용자가 후술할 탑승로봇(130)에 탑승하였을 때에는 컨트롤러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mobile terminal 110 is for controlling a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mart phone, allowing a user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such as telephone conversation, internet search and game in daily life, When the user boarded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ler functions as a controller.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110)은 지자기 센서가 탑재되고, 또한, 외부장치로 특정 정보 및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모듈(132)이 구비되며, 이외에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장치 및 카메라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10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module 132 for mounting a geomagnetic sensor and transmitting specific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to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various sensor devices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a camera device.

여기서,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를 측정한 측정값을 제공하여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방향각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지자기 센서 이외에도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회전한 방향을 측정 및 계산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geomagnetic sensor provides a measured value of geomagnetism to calculate a direction angle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In addition to the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may be used to measure and calculate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10 rotates.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110)과 같이 다양한 센서가 구비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태블릿PC를 사용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을 제어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1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may be provided to control a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using a tablet PC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에 저장되어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후술할 탑승로봇(130)을 제어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상기 지자기센서에서 지자기를 측정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가리키는 방향을 계산한 후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무선신호는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신호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functions to control the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mobile terminal 110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measures the geomagnetism of the geomagnetism sensor Calculates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mounts it in a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to a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radio signal may preferably be provided as a Bluetooth signal.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상기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100㎜/sec의 시간 간격마다 지자기를 측정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mobile terminal 110 to measure geomagnetism at a time interval of 100 mm / sec using the geomagnetic sensor.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을 이용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을 제어할 때에는 절대방향 제어모드 또는 상대방향 제어모드로 설정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대방향 제어모드 및 상대방향 제어모드는 상기 모바일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When controlling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escribed later by using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it is possible to set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or the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130 have. Also,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and the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can switch.

여기서, 상기 절대방향 제어모드는 지구의 지자기를 기준으로 하는 절대 방향각을 계산하여 후술할 탑승 로봇이 상기 절대 방향각에 맞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상대방향 제어모드는 특정 방향을 기준 방향각으로 설정한 후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현재 가리키는 방향각과 상기 기준 방향각 간의 변화값을 상대 방향각으로 계산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이 상기 상대 방향각에 맞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한다.Here,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calculates an absolut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geomagnetism of the earth, and causes the boarding robo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mov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A directional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and a change value between the reference angle and the current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are calculated as a relative direction angle so that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escribed later moves leftward or rightward .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을 상기 절대방향 제어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가리키는 방향의 방향각인 절대 방향각을 계산한 후 상기 절대 방향각을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으로 전송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Whe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is set to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1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Calculates the angle, and then loads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on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을 상기 상대방향 제어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상기 지자기 센서에서 측정된 제 1측정값을 기준 방향각으로 설정한 후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지자기 센서에서 측정된 제 2측정값을 상기 제 1측정값과 비교하여 변화값인 상대 방향각을 계산하도록 기능한다. Whe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is set to the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determines that the mobile terminal 110 has measured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geomagnetic sensor, When the mobile terminal 110 is rotated left or right after setting the angle,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geomagnetic sensor is compared with the first measured value to calculate a relative angle which is a change value.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상기 상대 방향각을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으로 전송하도록 기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functions to mount the relativ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on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boarding robo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상기 방향각 이외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110)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후술할 탑승로봇(130)으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되는 통신 패킷은 1byte의 제어명령 및 1byte의 방향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패킷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후술할 탑승로봇(130)으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loads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to the mobile terminal 110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angle, to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escribed later . Here, the communication packet mounted on the radio signal is composed of a control command of 1 byte and a direction angle of 1 byte, and the communication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escribed later at regular time intervals.

또한, 상기 제어명령은 예컨대, ‘#’, ‘$’, ‘&’, ‘%’, 또는 ‘!’ 문자로 구비되어 첫 번째 1byte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은 절대방향 이동모드, ‘%’는 절대방향 회전모드, ‘$’는 상대방향 이동모드, ‘&’는 상대방향 회전모드, ‘!’는 정지모드를 뜻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command is provided to be a first byte in the form of '#', '$', '&', '%' % 'Means absolute direction rotation mode,' $ 'means relative direction movement mode,' & 'means relative direction rotation mode, and'! 'Means stop mode.

또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의 절대 방향각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110)의 상대 방향각을 상기 1byte의 방향각으로 탑재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0 내지 180 사이의 특정 값을 전환하여 탑재하도록 구비된다.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may mount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or the relativ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at the direction angle of 1 byte, And is mounted to switch the specific value.

상기 탑승로봇(130)은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 또는 좌석이 구비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모바일단말(110)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된 방향각에 따라 이동 방향이 제어되고,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110)이 회전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바퀴(131), 블루투스 모듈(132), 아이엠유(IMU) 모듈(133), 엠씨유(MCU) 모듈(134), 좌,우측 모터(135),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136) 및 보조 바퀴(137)를 포함한다.The boarding robot 130 is equipped with a footrest or a seat for the user to ride on. The boarding robot 130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A Bluetooth module 132, an IMU (IMU), and a mobile terminal 110. The mobile terminal 110 is controll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10 rotates, Module 133, a MCU module 134, left and right motors 135,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136, and auxiliary wheels 137.

또한, 상기 탑승로봇(130)은 1인용 교통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이 저장된 모바일단말(110)에 의해 원격조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robot 130 may be used as a single-person transportation means, and may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in which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is stored even when the user is not boarding.

또한, 상기 탑승로봇(130)은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이 저장된 모바일단말(1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제어되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arding robot 130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real time by the mobile terminal 110 in which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is stored.

상기 바퀴(131)는 상기 탑승로봇(1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탑승로봇(13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차등구동(differential drive)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탑승로봇(130)을 직진 또는 후진시킬 경우 좌측 및 우측 바퀴(131)가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탑승로봇(13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좌측 및 우측 바퀴(131)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The wheels 13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robot 130 to be driven by a differential drive system. That is, when the boarding robot 13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131 rotate in the same speed and direction and when the boarding robot 130 is rotated leftward or rightward, 131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블루투스 모듈(132)은 상기 모바일단말(110)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단말(110)에 저장된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된 제어명령 및 방향각을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도록 구비된다. The Bluetooth module 132 is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and is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by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20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o receive control commands and direction angles at regular time intervals.

상기 아이엠유(IMU) 모듈(133)은 상기 탑승로봇(130)이 바라보는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된 탑승로봇(130)의 방향을 후술할 엠씨유 모듈(134)로 전송하여 후술할 엠씨유 모듈(134)이 상기 탑승로봇(13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지 계산할 수 있게 한다.The IMU module 133 is for measur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robot 130 is viewed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130 to the MCU module 134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CU module 134 can calculate whether to move the boarding robot 130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아이엠유 모듈(133)은 적어도 3개의 축 상에서 상기 탑승로봇(130)이 바라보는 방향 및 자세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탑승로봇(130)의 이동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및 방향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로 이루어진 통합 유니트(Unit)로 구비될 수 있다.The IFM module 133 may be provided to measure a direction and an attitude of the boarding robot 130 on at least three axes. The IFM module 133 preferably measures the moving inertia of the boarding robot 130 A gyro system capable of measuring the rotational inertia and a magnetic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directional angle.

또한, 상기 아이엠유 모듈(133)은 AHRS(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으로 구비되어 상기 탑승로봇(130)의 자세와 상기 탑승로봇(130)의 방향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엠유 모듈(133)을 통합 유니트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탑승로봇(130)이 바라보는 방향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air conditioner module 133 may be provided as an 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AHRS) to measure the posture of the boarding robot 130 and the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130. The geomagnetic sensor may be provided not only as the integrated module but also as a geomagnet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130.

상기 엠씨유(MCU) 모듈(134)은 상기 탑승로봇(13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탑승로봇(130)이 이동 또는 정지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바퀴(131) 중 적어도 하나의 바퀴(13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MCU module 134 is for controlling the boarding robot 130. The MCU module 134 controls the boarding robot 130 to move or stop the boarding robot 130 o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130 to the left or right.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t least one wheel 131 among the plurality of wheels 131.

또한, 상기 엠씨유 모듈(134)은 상기 아이엠유 모듈(133)에서 측정된 방향각을 통해 상기 탑승로봇(130)이 현재 바라보는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단말(11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방향을 인식한 후 상기 탑승로봇(130)이 이동할 방향 및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하도록 구비된다.The MCU module 134 recognizes the direction that the boarding robot 130 is currently viewing through the direction angle measured by the iMUU module 133 and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Calculates the direction and angle in which the boarding robot 130 moves, and outputs the calculated direction and angle as the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엠씨유 모듈(134)은 상기 무선신호에서 수신된 상기 모바일단말(110)의 절대 방향각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110)의 상대 방향각에 따라 상기 탑승로봇(130)의 좌측 바퀴(131) 또는 우측 바퀴(131)를 구동하여 상기 탑승로봇(130)의 방향각을 조정하며, 또한, 상기 무선신호에 탑재된 특정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탑승로봇(130)이 이동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MCU module 134 is connected to the left wheel 131 of the boarding robot 130 according to an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or a relativ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110 received from the radio signal, ) Or the right wheel 131 to adjust the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130 and controls the boarding robot 130 to move or stop according to a specific control command mounted on the wireless signal .

상기 좌,우측 모터(135)는 상기 한 쌍의 바퀴(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BLDC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퀴(131)에 각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are provided to rotate the pair of wheels 131.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may be provided as BLDC motors and each motor may be connected to each wheel 131 to provide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좌,우측 모터(135)는 후술할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136)에 의해 구동 또는 정지하도록 구비되며,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되게 된다.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are provided to be driven or stopped by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136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controlled.

상기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136)는 상기 좌,우측 모터(135)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엠씨유 모듈(1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측 모터(135)의 토크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136 are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The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136 control the torque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

또한, 상기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136)는 상기 엠씨유 모듈(134)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측 모터(135)를 정회전, 역회전 또는 정지시키며, 또한, 상기 좌,우측 모터(135)의 토크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한다.The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136 forward, reverse, or stop the left and right motors 135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CU module 134, Thereby making the torque of the motor 135 faster or slower.

상기 보조 바퀴(137)는 상기 탑승로봇(130)이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바퀴(131)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바퀴(131)와는 소정 간격이 이격되게 구비된다.The auxiliary wheel 137 is provided for balancing the traveling robot 130 so that the robot 130 stably travels. The auxiliary wheel 137 is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pair of wheels 131, and the pair of wheels 131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보조 바퀴(137)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바퀴(131)와 함께 삼각형의 꼭지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137 may be disposed on the vertex of the triangle together with the pair of wheels 131 when viewed in a plan view.

또한, 상기 보조 바퀴(137)는 상기 탑승로봇(130)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퍼지 알고리즘 또는 신경망 회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137 can easily maintain stability without using a control algorithm including a complicated fuzzy algorithm or a neural network circuit algorithm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arding robot 13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fferential drive robo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로봇 제어시스템은,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을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구비되며, 탑승로봇(130)의 엠씨유 모듈은 상기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을 이용하여 좌측 바퀴 또는 우측 바퀴를 구동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boarding robo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operat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and the MCU module of the boarding robot 130 uses 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The left wheel or the right wheel is driven.

상기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은 현재 위치와 기준 프레임에 대한 방위각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벡터를 포함하며,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includes three vectors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azimuth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frame, and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θc는 탑승로봇(130)이 회전하는 각도인 회전각을 뜻하며, 탑승로봇(130)의 한 쌍의 바퀴의 중심(P)을 기준으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Here,? C denotes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boarding robot 130 rotates, and it ca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 of the pair of wheels of the boarding robot 130 .

또한, 상기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은 상기 탑승로봇(130)의 선속도 및 각속도를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한다.Also, 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calculates the linear velocity and angular velocity of the boarding robot 130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v는 탑승로봇(130)의 선속도를 뜻하며 w는 탑승로봇(130)의 각속도를 뜻한다.Here, v denotes the linear velocity of the boarding robot 130 and w denote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boarding robot 130.

또한, 상기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의 선속도 및 각속도를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로 계산된다.In addition, the linear velocity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3) and (4).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4]&Quot; (4)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vr 및 vl은 우측 모터 및 좌측 모터의 pwm값이며, 2dc는 탑승로봇(130)의 한 쌍의 바퀴 간의 수평거리를 뜻한다.Here, v r and v l are the pwm values of the right motor and the left motor, and 2d c i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 pair of wheels of the boarding robot 130.

또한, 상기 차등 구동 로봇 모델은 상기 탑승로봇(130)의 절대방향 제어모드 및 상대방향 제어모드에 따라 좌,우측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Also, the differential driving robot model controls the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according to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and the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of the boarding robot (130).

먼저, 절대방향 제어모드의 경우에는 좌,우측 모터의 속도를 아래의 수학식 5로 계산하여 제어하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the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are controlled by calculating the following equation (5).

[수학식 5]&Quot; (5)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 vl은 좌측 모터의 속도이고, vr은 우측 모터의 속도이고, sm은 탑승로봇(130)의 전진을 위한 상수의 속도값이고,

Figure pat00006
는 탑승로봇(130)의 절대 방향각에 대한 비례제어기이며, kp는 탑승로봇(130)의 방향에 대한 비례상수이며,
Figure pat00007
는 모바일단말에서 수신된 절대방향각을 뜻한다.Where v l is the velocity of the left motor, v r is the velocity of the right motor, s m is the velocity value of the constant for advancing the boarding robot 130,
Figure pat00006
Is a proportional controller for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130, k p is a proportional constant for the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130,
Figure pat00007
Refers to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received at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대방향 제어모드의 경우에는 좌,우측 모터의 속도를 아래의 수학식 6으로 계산하여 제어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the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are controlled by calculating the following equation (6).

[수학식 6]&Quot; (6) "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여기서, vl은 좌측 모터의 속도이고, vr은 우측 모터의 속도이고, sm은 탑승로봇(130)의 전진을 위한 상수의 속도값이고,

Figure pat00009
는 탑승로봇(130)의 절대 방향각에 대한 비례제어기이며, kp는 탑승로봇(130)의 방향에 대한 비례상수이며,
Figure pat00010
는 모바일단말에서 수신된 절대방향각을 뜻한다.Where v l is the velocity of the left motor, v r is the velocity of the right motor, s m is the velocity value of the constant for advancing the boarding robot 130,
Figure pat00009
Is a proportional controller for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130, k p is a proportional constant for the direction of the boarding robot 130,
Figure pat00010
Refers to the absolute direction angle received at the mobile termin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10 : 모바일단말 120 :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
130 : 탑승로봇 131 : 바퀴
132 : 블루투스 모듈 133 : 아이엠유 모듈
134 : 엠씨유 모듈 135 : 좌,우측 모터
136 :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 137 : 보조 바퀴
110: mobile terminal 120: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130: Boarding robot 131: Wheel
132: Bluetooth module 133:
134: MC module 135: Left and right motor
136: Left and right motor driver 137: Auxiliary wheels

Claims (5)

모바일단말;
상기 모바일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모바일단말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가리키는 방향을 방향각으로 계산하고 무선신호에 탑재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기능하는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단말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산된 방향각에 따라 이동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이 회전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탑승로봇;을 포함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
A mobile terminal;
A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which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alculates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direc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left and right by a direction angle, And
The mobile robot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he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robot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rotates And a boarding robot provided to the boarding rob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단말이 가리키는 방향의 방향각을 절대 방향각으로 계산하는 절대방향 제어모드; 및
특정 방향각인 기준 방향각이 설정된 후 상기 모바일단말이 좌,우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준 방향각과의 변화값을 상대 방향각으로 계산하는 상대방향 제어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arding robot control application comprises:
An absolute direction control mode in which the direction angle of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calculated as an absolute direction angle; And
And a relative direction control mode in which a change valu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gle is calculated as a relative direction ang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left and right after a reference direction angle that is a specific direction imprinting is set. Robot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1byte의 제어명령 및 1byte의 방향각으로 이루어진 통신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signal is a communication packet having a control command of 1 byte and a direction angle of 1 by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은,
상기 탑승로봇이 바라보는 방향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아이엠유(IMU) 모듈; 및
상기 탑승로봇의 현재 방향각을 상기 무선신호에서 수신된 모바일단말의 절대 방향각 또는 상기 모바일단말의 상대 방향각과 비교하여, 상기 탑승로봇이 이동할 방향을 계산한 후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엠씨유(MCU)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robot includes:
An IMU module for measuring a directional ang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robot looks; And
And compares the current direction angle of the boarding robot with an absolut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ed from the radio signal or a relativ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to calculate a direction in which the boarding robot moves, (MCU)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using the mobile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로봇은,
상기 바퀴를 각각 구동하는 좌,우측 모터;
상기 엠씨유 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측 모터의 토크를 각각 제어하는 좌,우측 모터 드라이버; 및
상기 바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탑승로봇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arding robot includes:
Left and right motors for respectively driving the wheels;
Left and right motor drivers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torques of the left and right motor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CM module; And
And a second wheel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wheel.
KR1020130149829A 2013-12-04 2013-12-04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KR101555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29A KR101555930B1 (en) 2013-12-04 2013-12-04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29A KR101555930B1 (en) 2013-12-04 2013-12-04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04A true KR20150065204A (en) 2015-06-15
KR101555930B1 KR101555930B1 (en) 2015-09-30

Family

ID=5350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829A KR101555930B1 (en) 2013-12-04 2013-12-04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30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710A (en) * 2005-11-22 2007-06-07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Walking-aid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30B1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5452B (en) Multi-axis controller
JP5973608B1 (en) Control equipment for unmanned work vehicles
US10620232B2 (en) Detecting controllers in vehicles using wearable devices
US11231708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551215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6625569B (en) Self-balancing detection robot with two-axis self-stabilizing cradle head
US10598506B2 (en) Audio navigation using short range bilateral earpieces
US9457861B2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KR20160131579A (en) Autonomous driv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90250615A1 (en) Autonomous Skateboard
WO2013018558A1 (en) Haptic system
JP2017077296A (en) Behavior estimation system, behavior estimation method, and wearable device
KR20160148394A (en) Autonomous vehicle
JPWO2018020884A1 (en) Terminal device and device system
JP694352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steering device,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KR101555930B1 (en) Control system of Personal Riding Robot using mobile terminal
KR20160148395A (en) Autonomous vehicle
KR20160144643A (en) Apparatus for prividing around view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5915519B2 (en) Sound image localization apparatus and program
KR20170011881A (en) Radar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16002204A1 (en) Electronic compass device for vehicle, portable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device, control progra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compass calibration system for vehicle
US20200150688A1 (en) Movable body and remote guidance system
TW201017103A (en) Navig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display
KR20160131580A (en) Apparatus for prividing around view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10022394A (en) A moving robot for the bli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