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43A -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43A
KR20150065043A KR1020130150105A KR20130150105A KR20150065043A KR 20150065043 A KR20150065043 A KR 20150065043A KR 1020130150105 A KR1020130150105 A KR 1020130150105A KR 20130150105 A KR20130150105 A KR 20130150105A KR 20150065043 A KR20150065043 A KR 20150065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spid
lte
availab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식
박중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5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043A/ko
Publication of KR2015006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Description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DO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에 따라 접속망을 선택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망 서비스의 상용화로 인하여 3G 망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의해, 3G 망의 가용 데이터량이 줄어들면서 유휴 망 자원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3G 망에서 LTE 망으로 사용자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유휴 망 자원을 사용을 위해 사용자에게 다시 3G 망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망을 변경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및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eN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HLR은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 경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eNB는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LTE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HLR은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eNB는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G 망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가 과금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이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NB(100)가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상기 HLR이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 경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eNB가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LTE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상기 HLR이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eNB가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이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라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eNB가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상기 3G 망을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대해 무과금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휴 망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신규망에 대한 사용자 유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른 단말의 접속망 전환을 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이 소진된 상태에서 접속망을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된 상태에서 접속망을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망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각 장치는 3GPP 표준에 따라 구현된 장비로 일부 기능이 표준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각 장치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기능은 3GPP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50), eNB(100), MME(110), HLR(120), SPR(130) 및 RNC(14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eNB(100) 및 MME(110)를 포함하는 LTE 망과 HLR(120) 및 RNC(140)를 포함하는 3G 망을 구성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LTE 망과 3G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단말(50)은 eNB(100)와 연결되어 LTE 망에 연결되거나, RNC(140)를 통해 3G 망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다. 단말(50)은 eNB(100)로부터 연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연결 제어 신호에 따라 LTE 망과 3G 망에 연결될 수 있다.
eNB(100)는 단말(50)과 MME(110) 간을 연결하고, MME(110)로부터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콘텍스트 셋업 요청(UE Context Setup Requeset)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을 수신한다. eNB(100)는 콘텍스트 셋업 요청 또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에 포함된 SPID에 따라 LTE 망 또는 3G 망에 연결하되도록 단말(50)을 제어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단말(50)로 전송한다.
MME(Mobility Mangement Entity, 110)는 HLR(120)과 연결되어 SPID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삽입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SPID를 포함하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 또는 콘텍스트 셋업 요청을 eNB(100)로 전송한다.
HLR(Home Location Register, 120)은 SPR(130)과 연결되어 단말(50)에게 책정된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을 모두 사용했음을 알리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는 UPDATE SUBSCRIBER DATA REQUEST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HLR(120)은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PID가 255인 사용자 데이터 삽입 요청을 MME(110)로 전송한다. 이 때, SPID가 255인 경우, 단말(50)은 3G 망에 접속하게 되고, SPID가 256인 경우, 단말(50)은 LTE 망에 접속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130)은 단말(50)의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을 확인하고,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이 해당 단말(50)에 미리 책정된 가용 데이터량 이상이 되는 경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여 HLR(120)로 전송한다. 이 때, SPR(130)은 단말(50)의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을 주기적으로 저장 및 갱신할 수 있고,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의 저장 및 갱신 과정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된 각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른 단말의 접속망 전환을 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단말(50)은 초기 LTE 망에 연결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가 가용 데이터량 소진이 된 단말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210에서 SPR(130)은 단말(50)의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른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HLR(120)로 전송한다.
단계 220에서 HLR(120)은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예를 들어, 255)인 SPID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삽입 요청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230에서 MME(110)는 해당 SPID를 포함하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을 eNB(100)로 전송한다.
단계 24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에 포함된 SPID가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임을 확인하고, 단말(50)로 3G 망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25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에 상응하는 콘텍스트 수정 응답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260에서 MME(110)는 사용자 정보 삽입 요청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 삽입 응답을 HLR(120)로 전송한다.
단계 270에서 단말(50)은 3G 망으로 연결을 수행하고, 3G 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단말(50)이 3G 망으로 연결되는 과정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3G 망을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과금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LTE 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받을 경우에만 가용 데이터량을 제한하고, 3G 망을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는 무제한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LTE 망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면서 3G 망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이 소진된 상태에서 접속망을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단말(50)은 3G 망과 연결된 시점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LTE 망을 통해 연결을 시도한다. 이 때, 단계 310의 과정은 3GPP에 따른 연결 과정 중 MME(110)에서 HLR(120)로 위치 갱신 요청을 하기 이전까지의 과정일 수 있다.
단계 320에서 MME(110)는 HLR(120)로 위치 갱신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을 전송한다.
단계 330에서 HLR(120)은 SPR(130)로부터 단말(50)에 대한 사용가능한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되었음을 나타내는 가용 데이터량 충전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았음에 따라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예를 들어, 255)인 SPID를 포함하는 위치 갱신 승인(Location update accept)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340에서 MME(110)는 단말(50)로 Tracking Area 갱신 승인(Tracking Area Update Accept)를 전송한다.
단계 350에서 단말(50)은 MME(110)로 Tracking Area 갱신 완료(Tracking Area Update Complete)를 전송한다.
단계 360에서 MME(110)는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콘텍스트 셉업 요청(UE Context Setup Request)를 eNB(100)로 전송한다.
단계 37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에 포함된 SPID가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임을 확인하고, 단말(50)로 3G 망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38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셉업 요청에 상응하는 콘텍스트 셋업 응답(UE Context Setup Response)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390에서 단말(50)은 LTE 망으로 연결되고, LTE 망을 통해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QoS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용 데이터량에 관해서는 과금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95에서 단말(50)은 3G 망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50)이 3G 망에 연결된 이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LTE 망으로 연결을 시도하여 단말(50)에 대한 LTE 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50)이 다시 3G 망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단말의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된 상태에서 접속망을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5에서 SPR(130)은 단말(50)에 대한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됨에 따라 HLR(120)로 가용 데이터량 충전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가용 데이터량의 충전은 미리 지정된 날짜가 도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가 충전에 대한 별도의 결재를 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410에서 단말(50)은 3G 망과 연결된 시점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LTE 망을 통해 연결을 시도한다. 이 때, 단계 310의 과정은 3GPP에 따른 연결 과정 중 MME(110)에서 HLR(120)로 위치 갱신 요청을 하기 이전까지의 과정일 수 있다.
단계 420에서 MME(110)는 HLR(120)로 위치 갱신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을 전송한다.
단계 430에서 HLR(120)은 SPR(130)로부터 단말(50)에 대한 사용가능한 데이터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되었음을 나타내는 가용 데이터량 충전 메시지를 수신함 에 따라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예를 들어, 256)인 SPID를 포함하는 위치 갱신 승인(Location update accept)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440에서 MME(110)는 단말(50)로 Tracking Area 갱신 승인(Tracking Area Update Accept)를 전송한다.
단계 450에서 단말(50)은 MME(110)로 Tracking Area 갱신 완료(Tracking Area Update Complete)를 전송한다.
단계 460에서 MME(110)는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콘텍스트 셉업 요청(UE Context Setup Request)를 eNB(100)로 전송한다.
단계 47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수정 요청에 포함된 SPID가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코드임을 확인하고, 단말(50)로 LTE 망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480에서 eNB(100)는 콘텍스트 셉업 요청에 상응하는 콘텍스트 셋업 응답(UE Context Setup Response)을 MME(110)로 전송한다.
단계 490에서 단말(50)은 LTE 망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50)이 3G 망에 연결된 이후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LTE 망으로 연결을 시도하여 단말(50)에 대한 LTE 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된 경우, 단말(50)이 LTE 망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단말이 접속하는 접속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50)은 종량제인 요금제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인 가용 데이터량만큼 LTE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50)이 가용 데이터량까지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가용한 가용 데이터량이 소진되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SPID를 변경함으로써 단말(50)의 접속망을 3G 망으로 변경한다. 이후 단말(50)은 3G망을 통해 접속망을 이용하다가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LTE 망을 통해 QoS(Quality of Service)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때,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50)의 접속망을 다시 3G망으로 변경한다.
또한, QoS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가용 데이터량이 충전된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50)의 접속망을 LTE 망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가용 데이터량이 남아 있을 경우에만 단말(50)이 LTE 망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용 데이터량이 소진된 경우에는 유휴 자원이 많은 3G 망을 단말(50)이 이용하게 함으로써, 가용 데이터량의 소진에 따라 LTE 망 추가 사용에 따른 추가 과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LTE 망의 추가 사용에 따른 추가 과금을 우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용 데이터량이 소진된 단말(50)의 LTE 망 사용을 억제하여 LTE 망의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라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및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eNB(100);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 경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eNB는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LTE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eNB는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G 망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가 과금이 적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5.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이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라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NB가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이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는 경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eNB가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LTE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HLR이 상기 단말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 연결 시도에 따른 위치 갱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eNB가 상기 LTE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8.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이 단말에 상응하는 가용 데이터량 소진에 따라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상기 가용 데이터량 소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3G 망에 우선 접속할 것을 나타내는 SPID(Service Profi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eNB가 상기 SPID에 따라 3G 망으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연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상기 3G 망을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대해 무과금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20130150105A 2013-12-04 2013-12-04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5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05A KR20150065043A (ko) 2013-12-04 2013-12-04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05A KR20150065043A (ko) 2013-12-04 2013-12-04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43A true KR20150065043A (ko) 2015-06-12

Family

ID=5350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105A KR20150065043A (ko) 2013-12-04 2013-12-04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0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14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terminal
US9462457B2 (en) Subscription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382943B2 (en) Data servi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n roaming scenario
US973005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serving node
US1165946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ng a session management entity for ser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U2018265334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WO2018170798A1 (zh) 一种会话迁移方法及设备
CN105338614B (zh) 一种网络注册方法及装置
CN109417780B (zh) 覆盖增强ce功能的实现方法及设备
CN109417729B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11277720B (zh) 一种计费方法、装置及系统
WO2011041978A1 (zh) 获取物联网设备组别标识的方法及装置
CN109429366B (zh) 一种pdu会话处理方法及设备
ES2542766T3 (es) Método y sistema para seleccionar una entidad de gestión de movilidad de un grupo de terminales
JP5930438B2 (ja) アクセス方法、モビリティ管理デバイス、およびユーザ機器
US9924364B2 (en) User management method of shared network, and corresponding device and system
EP3054728A1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50065043A (ko)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7356A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EP3136770B1 (en) Pros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devices
KR101598598B1 (ko)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EP4229995A1 (en) Handling the unknown rrc establishment cause value in nr
JP6361473B2 (ja) 基地局装置
WO2022064336A1 (en) Network slice quotas in the presence of interworking
WO2013113262A1 (zh) 资源调度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