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953A -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953A
KR20150063953A KR1020140170835A KR20140170835A KR20150063953A KR 20150063953 A KR20150063953 A KR 20150063953A KR 1020140170835 A KR1020140170835 A KR 1020140170835A KR 20140170835 A KR20140170835 A KR 20140170835A KR 20150063953 A KR20150063953 A KR 2015006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images
display image
pre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196B1 (ko
Inventor
하이빈 자오
위안요우 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6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바이스의 능력이 발전하면서,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은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다량의 이미지들을 취급하고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다량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디바이스에 저장하거나,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량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디바이스에 저장한다.
디바이스가 취급하는 이미지가 증가함에 따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이 손쉽게 다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효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이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1 측면은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기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의 위치와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 경로를 매칭 함으로써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각각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들중 중요하다고 판단된 이미지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내의 중요 영역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중요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 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능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면은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기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된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의 위치와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 경로를 매칭 함으로써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각각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들중 중요하다고 판단된 이미지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이미지들내의 중요 영역을 각각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중요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능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와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파일 경로를 매칭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TV, 태블릿 PC, 및 디스플레이 화면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분류 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콜라주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화면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210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 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를 획득한 시간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이미지의 출처, 이미지의 용량, 기 설정된 규칙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그룹화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의 주요 부분을 캡쳐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의 픽셀수를 감소시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삼각형, 사각형, 원, 또는 오각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각형과 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주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가 X개인 경우,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X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해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는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각각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매칭 정보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와,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들의 저장 경로를 매칭함으로써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와, 제 1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 포함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가 (X, Y)인 경우, (X, Y)와 제 1 이미지의 저장 경로(/sdcard/images/1.jpg)를 이용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의 입력, 기 설정된 규칙, 또는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주기적으로 디바이스(100)가 포함하는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정보,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24시간을 설정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24시간 마다 디바이스(100)가 포함하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가 보유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중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210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탭(tap)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수신한 탭(tap)입력의 위치에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매우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하로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드래그(drag)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프리뷰 이미지로 이동시킨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와 제 2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의 위치가 교환되도록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들중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상, 중, 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들중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상, 하, 좌, 우, 또는 중앙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재된 파일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고,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에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은 삭제, 복사, 공유, 또는 수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수행된 기능의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삭제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리뷰 이미지가 삭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의 중요 영역을 캡쳐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의 픽셀수를 감소시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 이미지를 획득한 시간, 이미지의 출처, 또는 이미지의 픽셀수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내에 포함된 이미지들중 시간 순서상 최근에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중요도가 높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내에서 중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 픽셀값의 분포, 또는 중요 영역 결정 알고리즘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내에서 중요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중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중요 영역 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내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얼굴 부분을 중요 영역이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중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 내에서 중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중요 영역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내에서 사람의 얼굴이 중요 영역으로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람의 얼굴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가공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삼각형, 사각형, 원, 또는 오각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각형과 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주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가 X개인 경우,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X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해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는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각각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중요하다고 판단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 그룹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상, 중, 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좌, 우, 상, 하, 또는 중앙등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는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의 위치와 이미지 그룹내에 포함된 이미지의 파일 경로를 매칭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와, 제 1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 포함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가 (X, Y)인 경우, (X, Y)와 제 1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저장 경로(/sdcard/images/1.jpg)를 이용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크기의 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만큼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다양한 크기의 복수의 원과 원들의 접선을 이용하여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분할된 화면에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때,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원과 원들의 접선을 이용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들에게 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와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의 파일 경로를 매칭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다양한 크기의 원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의 복수의 영역에 대한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구형 좌표계, 또는 직교 좌표계를 이용하여 이미지내의 복수의 영역에 대한 좌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는 다양한 크기의 원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일 예이다.
도 5a를 참조할때,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의 복수의 영역에 대한 좌표를 직교 좌표계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다양한 크기의 원으로 분할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좌하측을 기준으로 측정된 특정 원의 중점의 좌표를 특정 영역의 좌표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5a에서 좌하측이 좌표 측정의 기준으로 설정된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좌표 측정의 기준은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좌하측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다양한 크기의 원으로 분할된 경우, 특정 원의 반지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반지름을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다양한 크기의 원으로 분할된 경우, 측정된 원의 반지름, 측정된 특정 원의 중점의 좌표, 및 특정 원의 영역에 배치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의 파일 경로를 매칭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생성된 이미지 매칭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디바이스(100)가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 그룹내의 이미지들에 대해, 디바이스(100)는 도 5b와 같이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이미지 매칭 정보의 항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탭(tap)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수신한 탭(tap)입력의 위치에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할때,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저장된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재된 파일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제 1 이미지를 오픈(Open)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프리뷰 이미지를 더블 탭(double tap)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오픈(Open)할 수 있다.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탭(tap)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수신한 탭(tap)입력의 위치에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할때,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와 제 2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저장된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재된 파일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제 2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은 삭제, 복사, 공유, 또는 수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할때, 디바이스(100)는 저장된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제 1 이미지와 제 2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제 2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수행된 기능의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제 2 이미지를 삭제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리뷰 이미지 및 제 2 프리뷰 이미지가 삭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 할때,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핀칭(pinching)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줌 인(zoom in)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핀치(pinch)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손가락 또는 터치 도구들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동작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2개 이상의 손가락을 화면에 접촉한 후 이들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동작을 언핀칭(unpinching)이라 칭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동작을 핀칭 (pinching)이라 칭한다.
또한, 디바이스(100)가 사용자로 부터 언핀칭(unpinching)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줌 아웃(zoom out)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표시부(14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각각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각각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그룹화 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를 획득한 시간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이미지의 출처, 이미지의 용량, 기 설정된 규칙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그룹화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의 주요 부분을 캡쳐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의 픽셀수를 감소시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이미지를 획득한 시간, 이미지의 출처, 또는 이미지의 픽셀수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내에 포함된 이미지들중 시간 순서상 최근에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중요도가 높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중요하다고 판단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삼각형, 사각형, 원, 또는 오각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각형과 오각형의 조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콜라주 형태로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분할된 화면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가 X개인 경우,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X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해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는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각각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중요하다고 판단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설정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 그룹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상, 중, 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좌, 우, 상, 하, 또는 중앙등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의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와, 제 1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 포함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가 (X, Y)인 경우, (X, Y)와 제 1 이미지의 저장 경로(/sdcard/images/1.jpg)를 이용하여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 하나의 이미지 그룹에 대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의 입력, 기 설정된 규칙, 또는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디바이스(100)가 포함하는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정보,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24시간을 설정한 경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24시간 마다 디바이스(100)가 포함하는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 또는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디바이스(100)가 보유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중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210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성공한 경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검색에 실패한 경우, 선택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탭(tap)입력을 수신하고,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수신한 탭(tap)입력의 위치에 매칭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드래그(drag)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프리뷰 이미지로 이동시킨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와 제 2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의 위치가 교환되도록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들중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상, 중, 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들중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상, 하, 좌, 우, 또는 중앙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에서 제 1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고,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제 1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매칭 정보에 기재된 파일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되는 이미지에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수행된 기능의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디바이스(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디바이스가 이미지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기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프리뷰 이미지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의 위치와,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 경로를 매칭 함으로써,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기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에 설정된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이미지들 각각내의 중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중요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 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능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8.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그룹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들과 각각 매칭된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기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된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내에서의 위치와 상기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 경로를 매칭함으로써 이미지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들에 설정된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들중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영역에 배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이미지들 각각내의 중요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중요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에 매칭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능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수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수정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매칭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 그룹에 대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70835A 2013-12-02 2014-12-02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6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637189.0A CN103677517B (zh) 2013-12-02 2013-12-02 一种图片查找方法和装置
CN201310637189.0 2013-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53A true KR20150063953A (ko) 2015-06-10
KR102266196B1 KR102266196B1 (ko) 2021-06-18

Family

ID=5031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835A KR102266196B1 (ko) 2013-12-02 2014-12-02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59965B2 (ko)
KR (1) KR102266196B1 (ko)
CN (1) CN103677517B (ko)
WO (1) WO20150840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35A1 (ko) * 2019-04-03 2020-10-08 서울대학교병원 병리 진단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4489549A (zh) * 2022-01-30 2022-05-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投屏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3963B2 (ja) * 2015-02-25 2019-05-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CN105183837B (zh) * 2015-09-02 2020-06-02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缩略图列表视图显示方法及系统
CN107644092A (zh) * 2017-09-27 2018-01-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照片管理方法、照片管理装置及智能终端
CN108537111A (zh) * 2018-02-26 2018-09-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活体检测的方法、装置及设备
KR102627658B1 (ko) 2018-10-11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아웃에 대한 이미지의 배치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8884A1 (en) * 2004-11-12 2007-03-15 Microsoft Corporation Auto Collage
KR100783553B1 (ko) * 2007-01-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전화번호부의 그룹사진 생성 방법및 그를 이용한 통신 이벤트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124A (ja) * 2004-09-24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保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0458778C (zh) 2005-09-30 2009-02-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图片搜索方法及其装置
KR100802082B1 (ko) * 2006-02-28 2008-02-12 이재영 휴대단말기의 웹 연동 테그 기반 사진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1576932B (zh) 2009-06-16 2012-07-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近重复图片的计算机查找方法和装置
JP5552769B2 (ja) * 2009-07-29 2014-07-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64353B1 (ko) 2009-10-23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콘텐츠 열람 및 관련 기능 실행 방법과 장치
CN101710267A (zh) * 2009-11-13 2010-05-19 深圳市五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快速显示图片的方法和装置
KR101103671B1 (ko) 2009-11-17 2012-01-11 엔에이치엔(주)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619469B2 (en) * 2009-12-22 2017-04-11 Apple Inc. Adaptive image browsing
KR101303166B1 (ko) 2012-01-2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진 검색방법
KR101191172B1 (ko) 2012-02-15 2012-10-15 (주)올라웍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87132B1 (ko) 2012-03-21 2014-04-21 강석훈 사용자의 사진 선택 패턴에 기초한 사진 추천 방법
CN102819397A (zh) 2012-08-02 2012-1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持设备相册的快速浏览查找方法
CN103164504A (zh) 2012-09-07 2013-06-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手机精细化图片搜索系统及方法
CN103092946A (zh) 2013-01-11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批量图片选择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8884A1 (en) * 2004-11-12 2007-03-15 Microsoft Corporation Auto Collage
KR100783553B1 (ko) * 2007-01-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전화번호부의 그룹사진 생성 방법및 그를 이용한 통신 이벤트 수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35A1 (ko) * 2019-04-03 2020-10-08 서울대학교병원 병리 진단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4489549A (zh) * 2022-01-30 2022-05-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投屏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9965B2 (en) 2019-10-29
CN103677517A (zh) 2014-03-26
US20160299893A1 (en) 2016-10-13
CN103677517B (zh) 2016-06-29
WO2015084034A1 (ko) 2015-06-11
KR102266196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196B1 (ko)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64510B1 (en) Displaying clusters of media items on a map using representative media items
RU2583727C2 (ru) Динамическ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изображения
US842750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graphical objects with desired physical features for usage in animation
US8990727B2 (en) Fisheye-bas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for mobile devices
US201400753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ata management
US10168861B2 (en) Menu display device, menu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WI611338B (zh) 縮放螢幕畫面的方法、電子裝置及電腦程式產品
EP2972950B1 (en) Segmentation of content delivery
CN1050945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807764A (zh) 一种页面展示方法及客户端
US20170212906A1 (en)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r elements representing files
EP31983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
WO2019019372A1 (zh) 移动终端的图片操作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介质
WO2016045500A1 (zh) 一种目标库中目标对象选定方法、装置及系统
CN109873980B (zh) 视频监控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7943381A (zh) 热区调整方法和装置、客户端
CN107831965A (zh) 一种信息显示的方法及装置
US201603219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28369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order to browse through photos
Schaefer et al. Immersive browsing in an image sphere
US20130215083A1 (en) Separating and securing objects selected by each of multiple users in a surface display computer system
CN106406702B (zh) 一种图片显示方法及装置
US11221753B2 (en) Method for adaptively switching graphic user interfaces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CN106569699B (zh) 一种内容展示方法、装置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