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897A -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897A
KR20150063897A KR1020130148861A KR20130148861A KR20150063897A KR 20150063897 A KR20150063897 A KR 20150063897A KR 1020130148861 A KR1020130148861 A KR 1020130148861A KR 20130148861 A KR20130148861 A KR 20130148861A KR 20150063897 A KR20150063897 A KR 2015006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ze
reference image
scaling factor
sca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돈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14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897A/ko
Publication of KR2015006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는 단계,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는 단계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메모리 크기가 작은 모바일 단말에서도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빠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MPRESSED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량은 디지털 이미지를 해당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들의 개수와 각 픽셀에 포함된 데이터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저장 용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이미지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단말상에서 메모리가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단말상에 메모리가 미리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단말은 이미지 자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이미지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를 압축하여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또는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와 같은 포맷의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압축된 압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압축 이미지의 압축을 해제하여 비트맵으로 변환하는 디코딩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때, 디코딩을 위해서는 압축 이미지의 크기에 비례하여 메모리가 더 할당되어야 한다.
특히, 압축 이미지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압축 이미지를 디코딩 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스마트폰 등과 같이 화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해당 이미지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축소시키기 위한 메모리도 확보되어야 하므로,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는 단계,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는 단계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 및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의 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준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의 최상단부터 점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준 이미지는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 기준 이미지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라인의 폭은 이미지 스캔 라인의 폭보다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준 이미지에서 픽셀 변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픽셀들은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픽셀은 복수의 픽셀들의 평균 색상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 기준 이미지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영역의 크기는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준 이미지가 압축 이미지인 경우, 기준 이미지는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 기준 이미지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명령어 세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로서, 명령어 세트들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고,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메모리 크기가 작은 모바일 단말에서도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빠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 기준 이미지를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에 기준 이미지를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대각선 길이, 또는 이미지의 크기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을 기초로 계산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이미지란, 다운 스케일링 되지 않은 이미지로서, 기준 이미지는 BMF, 또는 TIFF 등과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진 비압축 이미지일 수 있고, JPEG, GIF, 또는 PNG 등과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진 압축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압축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가 손실 또는 무손실 압축되어 저장 용량이 감소된 이미지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출력 이미지란, 기준 이미지가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 스캔 라인이란, 기준 이미지가 다운 스케일링 되는 1군의 영역을 의미하며, 이러한 1군의 영역은 수평선 또는 수직선을 따라 연장한다. 이미지 스캔 라인이 수평선을 따라 연장하는 경우, 이미지 스캔 라인이 기준 이미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미지 스캔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이미지의 가로 방향의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되게 된다. 이미지 스캔 라인이 수직선을 따라 연장하는 경우, 이미지 스캔 라인이 기준 이미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미지 스캔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이미지의 세로 방향의 픽셀들이 다운 스케일링 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픽셀 변환 영역이란, 기준 이미지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경우에, 기준 이미지에서 출력 이미지의 일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1군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1군의 영역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 변환 영역이 이미지 스캔 라인에서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기준 이미지에서 픽셀 변환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에서 일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00) 는 저장부 (102), 처리부 (104) 및 표시부 (106)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00) 는 기준 이미지를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도록 구현된 장치 (100) 로서,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tablet PC), 네비게이션 (navigation),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저장부 (102) 는 프로그램이나 명령어 세트를 비롯하여, 기준 이미지 및 기준 이미지가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 (102) 는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롬 (ROM; read-only memory) 과 같은 메모리, 자기 디스크 (magnetic disk) 장치, 광 디스크 (optical disk)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처리부 (104) 는 저장부 (102) 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는 등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고,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도록 구성된다.
표시부 (106) 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그래픽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며, 표시부 (106) 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 기준 이미지를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참조한다.
먼저,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한다 (S100).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200) 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개의 픽셀씩 총 100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그 크기가 <10 x 10> 에 해당하며, 픽셀들은 흰색 또는 검은색의 색상을 갖는다. 흰색을 갖는 픽셀의 RGB 색상값은 (255, 255, 255) 로 표현되고, 검은색을 갖는 픽셀의 RGB 색상값은 (0, 0, 0) 으로 표현된다. 다만, 기준 이미지 (200) 의 크기, 픽셀들의 색상 및 픽셀들의 색상에 따른 색상값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이미지 (260) 는 기준 이미지 (200) 의 크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비율만큼 축소된 크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 이미지 (260) 는 기준 이미지 (200) 의 절반 크기를 갖도록 구현되어, <5 x 5>의 크기를 가진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이미지 (260) 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미리 할당하여, 이후에 기준 이미지 (200) 가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 (260) 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출력 이미지 (260) 의 크기에 비례하여 메모리가 할당되어도, 기준 이미지 (200) 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어 보다 작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기준 이미지 (200) 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이미지의 크기가 결정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한다 (S110).
도 3을 참조하면, 출력 이미지 (260) 에 대한 기준 이미지 (200) 의 가로 길이의 길이비는 2이며, 스케일링 팩터는 가로 길이의 길이비와 동일한 2이다. 즉, 스케일링 팩터는 기준 이미지 (200) 의 가로 길이를 출력 이미지 (260) 의 가로 길이로 나눈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스케일링 팩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준 이미지 (200) 의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케일링 팩터가 결정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한다 (S120).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 및 기준 이미지 (200) 의 가로 길이의 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스캔 라인은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인 2 와 기준 이미지 (200) 의 가로 길이인 10 의 곱인 20의 크기를 갖는다. 다만,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준 이미지 (200) 의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미리 할당하여, 이후에 기준 이미지 (200) 가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가 다운 스케일링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만약, 기준 이미지 (200) 가 압축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디코딩 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가 결정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케일링 팩터 및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준 이미지를 스케일링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S130).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분할된 기준 이미지 (210, 220, 230, 240, 250) 가 도시되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미리 할당하도록 구현된 경우, 분할된 기준 이미지 (210, 220, 230, 240, 250) 는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부분은 순차적으로 출력 이미지 (260) 로 다운 스케일링 된다. 종래 방법에 따르면, 기준 이미지 (200) 가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는, 기준 이미지 (200) 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가 할당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가 할당되면, 기준 이미지 (200) 가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될 수 있다.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분할된 기준 이미지 (210, 220, 230, 240, 250) 는 최상단에 위치한 기준 이미지 (210) 부터 점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분할된 기준 이미지 (210, 220, 230, 240, 250) 가 순차적으로 기준 이미지 (200) 로 다운 스케일링 됨에 따라, 출력 이미지 (260) 는 최상단부터 점차 아래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여, 기준 이미지 (200) 에서 픽셀 변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픽셀들이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픽셀 변환 영역은 기준 이미지 (200) 의 가장 왼쪽에서부터 스케일 팩터의 정수부만큼씩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픽셀 변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에서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이미지에서는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다운 스케일링 된 픽셀이 채워지게 된다.
픽셀 변환 영역이 기준 이미지 (200) 의 가장 왼쪽에서 스케일 팩터의 정수부만큼씩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출력 이미지 (260) 는 가장 왼쪽부터 점차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픽셀 변환 영역은 정사각형을 이루고, 그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의 제곱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케일링 팩터가 2인 경우,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제곱인 4이다. 따라서, 정사각형을 이루는 픽셀 변환 영역에 속하는 4개의 픽셀은 출력 이미지 (260) 에서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된다. 이때, 하나의 픽셀은 복수의 픽셀들의 평균 색상값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흰색 픽셀의 색상값이 (255, 255, 255) 이고, 검은색 픽셀의 색상값이 (0, 0, 0) 인 경우, 기준 이미지 (200) 에서 2개의 흰색 픽셀과 2개의 검은색 픽셀의 평균 색상값은 반올림하여 (128, 128, 128) 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준 이미지 (200) 에서 흰색 픽셀 2개 및 검은색 픽셀 2개, 총 4개 픽셀이 출력 이미지 (260) 에서 1개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경우에는, 해당 1개 픽셀은 색상값이 (128, 128, 128) 인 회색으로 표현된다.
기준 이미지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운 스케일링 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S140).
데이터가 기록된 출력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보다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 할당되어야 하는 메모리가 작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작은 메모리를 사용하면서도 실질적으로 기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한편,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 기준 이미지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이미지 스캔 라인 및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는, 기준 이미지에서 다른 부분이 다운 스케일링 될 때와 상이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에 기준 이미지를 그 크기가 더 작은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400) 는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0개의 픽셀씩 총 100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그 크기가 <10 x 10> 에 해당하며, 출력 이미지 (460) 는 기준 이미지의 9/100 크기를 갖도록 구현되어, <3 x 3>의 크기를 가진다.
출력 이미지에 대한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의 길이비는 10/3이며, 스케일링 팩터는 가로 길이의 길이비와 동일한 10/3이다. 즉, 스케일링 팩터는 기준 이미지 (400) 의 가로 길이를 출력 이미지 (460) 의 가로 길이로 나눈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일링 팩터는 기준 이미지 (400) 의 가로 길이를 출력 이미지 (460) 의 가로 길이로 나눈 몫인 3과 나머지인 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몫은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와 동일하며, 나머지는 스케일링 팩터의 소수부와 동일하다.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 및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의 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는 기준 이미지 (400) 의 가로 길이를 출력 이미지 (460) 의 가로 길이로 나눈 값의 목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스캔 라인은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인 3과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인 10 의 곱인 30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에, 기준 이미지 (400) 가 다운 스케일링 되는 동안 이미지 스캔 라인이 계속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면, 마지막 이미지 스캔 라인에 속하지 않는 가로 방향의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되지 않아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400) 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10개의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준 이미지 (400) 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이미지 스캔 라인의 폭은 다른 부분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이미지 스캔 라인의 폭보다 더 커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400) 가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부분 (430) 의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가 40이고, 이로써 기준 이미지 (400) 의 모든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될 수 있다.
한편, 픽셀 변환 영역은 정사각형을 이루고, 그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의 제곱이 되도록 구현된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는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인 3의 제곱인 9이다. 따라서, 정사각형을 이루는 픽셀 변환 영역에 속하는 9개의 픽셀은 출력 이미지 (460) 에서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된다. 이때, 하나의 픽셀은 복수의 픽셀들의 평균 색상값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흰색 픽셀의 색상값이 (255, 255, 255) 이고, 검은색 픽셀의 색상값이 (0, 0, 0) 인 경우, 기준 이미지 (400) 에서 6개의 흰색 픽셀과 2개의 검은색 픽셀의 평균 색상값은 반올림하여 (170, 170, 170) 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준 이미지 (410) 에서 가장 왼쪽의 흰색 픽셀 6개 및 검은색 픽셀 3개, 총 9개 픽셀이 출력 이미지 (460) 에서 1개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경우에는, 출력 이미지 (460) 의 1개 픽셀은 색상값이 (170, 170, 170) 인 연한 회색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다운 스케일링 되는 동안 픽셀 변환 영역이 계속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면, 하나의 이미지 스캔 라인마다 마지막 픽셀 변환 영역에 속하지 않는 세로 픽셀들은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되지 않아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400) 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10개의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준 이미지 (400) 에서 각 이미지 스캔 라인마다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픽셀 변환 영역은 다른 부분이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픽셀 변환 영역보다 더 커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400) 에서 각 이미지 스캔 라인마다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될 때의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가 12이고, 하나의 이미지 스캔 라인에서 기준 이미지 (400) 의 모든 픽셀들이 출력 이미지 (460) 로 다운 스케일링 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02: 저장부
104: 처리부
106: 표시부
200, 210, 220, 230, 240, 250, 400, 410, 420, 430: 기준 이미지
260, 261, 262, 263, 264, 265, 266, 460, 461, 462, 463, 464: 출력 이미지

Claims (12)

  1.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이미지에 대한 상기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링 팩터 및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는 단계;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다운 스케일링 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는 상기 스케일링 팩터의 정수부 및 상기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의 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최상단부터 점차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라인의 폭은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폭보다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상기 픽셀 변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픽셀들은 하나의 픽셀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픽셀은 상기 복수의 픽셀들의 평균 색상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팩터가 소수부를 갖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마지막으로 다운 스케일링 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픽셀 변환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가 압축 이미지인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별로 디코딩 되어 다운 스케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1.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에 대한 상기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팩터 및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도록 구성된 처리부;
    상기 기준 이미지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상기 출력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다운 스케일링 된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2. 명령어 세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로서,
    상기 명령어 세트들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기준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에 대한 상기 기준 이미지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의 길이비를 획득하여, 스케일링 팩터 (scaling factor) 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팩터를 기초로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팩터 및 상기 이미지 스캔 라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출력 이미지로 다운 스케일링 (down scaling) 하고,
    다운 스케일링 된 상기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매체.
KR1020130148861A 2013-12-02 2013-12-0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3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61A KR20150063897A (ko) 2013-12-02 2013-12-0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61A KR20150063897A (ko) 2013-12-02 2013-12-0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97A true KR20150063897A (ko) 2015-06-10

Family

ID=5350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861A KR20150063897A (ko) 2013-12-02 2013-12-0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808A1 (en) * 2019-09-24 2021-04-01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808A1 (en) * 2019-09-24 2021-04-01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804166B2 (en) 2019-09-24 2023-10-31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5340B2 (ja) 二次元画像の拡大およびピンチング
US84283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1472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zing and squeezing base values of associated tiles in an image
US854293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different compression methods
JP5080678B2 (ja) 二次元画像の透視変換
KR20070064649A (ko) 이미지 회전기능을 가진 내장형 장치
JP2006014341A (ja) Mcuバッファを用いて画像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493826B (zh) 电子显示器边界增益系统和方法
JP2014211709A (ja) 1次元バーコードリサイ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1次元バーコードシステム
US8582902B2 (en) Pixel block processing
US9076408B2 (en) Frame data shrinking method used in over-driving technology
JP2019049705A5 (ko)
US84283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in a graphics processing system
KR20150063897A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7322810A (ja) フォントデータベース生成プログラム及びフォントデータ構造
US20160314615A1 (en) Graphic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raphic images
US9659383B2 (en) Image compression devic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image compression program
US20110221775A1 (en) Method for transforming displaying images
JP2011151572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12508831A (zh) 一种超声宽景图像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74191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609566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12304B1 (ko) 압축 이미지 분할 디코딩 방법 및 분할 디코딩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09075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ot-based image of a character by scaling strokes of the character
JP2005301457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