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858A -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858A
KR20150063858A KR1020130148741A KR20130148741A KR20150063858A KR 20150063858 A KR20150063858 A KR 20150063858A KR 1020130148741 A KR1020130148741 A KR 1020130148741A KR 20130148741 A KR20130148741 A KR 20130148741A KR 20150063858 A KR20150063858 A KR 2015006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mobile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안
Original Assignee
신정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안 filed Critical 신정안
Priority to KR102013014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858A/ko
Publication of KR2015006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잘못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발신자가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해 회수요청을 하게 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회수요청을 받아 해당하는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를 통하여 잘못된 내용의 메시지가 수신자의 확인에 앞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Method for retrieving sent mobile message}
본 발명은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잘못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발신자가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해 회수요청을 하게 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회수요청을 받아 해당하는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를 통하여 잘못된 내용의 메시지가 수신자의 확인에 앞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잘못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모바일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통신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술중 모바일 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Communication System) 방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들 사이에 사용자들간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모바일 메시지서비스(SMS)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도 1에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메뉴에서 메시지작성을 선택한다(ST1). 상기 모바일 메시지 작성이 선택됨에 따라 모바일 메시지 작성화면에서 사용자는 상대방에게 보낼 모바일 메시지를 작성한다(ST2). 모바일 메시지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T3). 또한 상대방이 누구로부터 발송되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연락받을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T4). 상기 새문장과 상대방 전화번호와 연락받을 전화번호가 포함된 모바일 메시지가 완성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를 전송하게 된다(ST5). 이렇게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는 이동통신 서비스회사에 있는 모바일 메시지관리서버에 의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물론 이동통신사마다 서비스방식이 다르므로 모바일 메시지 관리서버가 일정조건에서 모바일 메시지를 구비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도 있다.
상기 진술한 방식이 현재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있는 모바일 메시지의 전송과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방식에 따를 경우 발신자가 상대방에 전송한 모바일 메시지가 잘못된 내용일 경우에도 일단 모바일 메시지가 전송되고 나면 상대방이 이를 확인하기 전에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참고할 만한 선행문헌으로는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89941호가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여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잘못 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잘못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단말기에 있는 메모리부터 삭제함으로써 상대방이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여 기지국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된 기지국제어기와; 상기 기지국제어기로부터 들어온 호를 타교환기 또는 자국 호인 경우에 자국교환기와 연결하고, 스위칭 동작을 통해 호를 연결하여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과;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 메시지 관리서버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 모바일 메시지 회수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자가 해당 모바일 메시지를 읽어보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확인한 경우에는 메시지읽음을 통보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상기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를 통하여 잘못된 내용의 메시지가 수신자의 확인에 앞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메시지의 확인과정을 구현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서 기술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도를 보여주는 회로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에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에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잘못보낸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이 확인하기 전에, 단말기에 있는 메모리부터 삭제함으로써 상대방이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여 기지국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된
기지국제어기와; 상기 기지국제어기로부터 들어온 호를 타교환기 또는 자국 호인 경우에 자국교환기와 연결하고, 스위칭 동작을 통해 호를 연결하여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과;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바일 메시지 관리서버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 모바일 메시지 회수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자가 해당 모바일 메시지를 읽어보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확인한 경우에는 메시지읽음을 통보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상기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이 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이를 중요 구성요소로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 201), 기지국(210), 기지국제어기(220), 이동통신 교환기(230), 모바일 메시지관리서버(2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200, 201)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 제어부(300),키패드(310), 디스플레이부(320), 메모리부(330), 오디오변환부(340), 무선회로부(350) 등의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명확한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발신자로, 이동통신 단말기(201)는 수신자로 각각 표시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요소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메시지 회수요청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메시지에 대한 회수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키패드(310)는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버튼과 단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300)에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여러 가지 정보화면을 제공하게 된다.메모리부(330)는 제어부(30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오디오변환부(3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30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선회로부(350)는 기지국(220)과 실시간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0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330)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210)은 고정국의 한 형태로써 해당영역의 개인이동통신 가입자와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제어한다.
기지국제어기(220)는 기지국(210)과 접속하여 기지국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교환국(230)내의 제어기정합과정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된다. 이동통신 교환국(230)은 기지국제어기(220)로부터 들어온 호를 타교환기 또는 자국 호인 경우에 자국교환기와 연결하고, 스위칭동작을 통해 호를 연결하여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課金) 등을 수행한다.
모바일 메시지 관리서버(24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전송되어 온 모바일 메시지를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물론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모바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수신이 가능하게 되기까지 모바일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메시지DB(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모바일 메시지를 일시저장하는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와함께 모바일 메시지 관리서버(24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가입정보를 위한 가입자정보DB(341)가 구비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는 과정이 구현되게 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에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즉 발신자가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해 회수요청을 하게 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1)가 상기 회수요청을 받아 해당하는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발신자(200)가 모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발신자가 모바일 메시지를 작성하여 여기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모바일 메시지가 상기 전화번호의 수신자(201)에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게된다. 이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에서 도 1을 첨부하여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모바일 메시지 전송과정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바일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가 만일 상기 모바일 메시지에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잘못되었거나 메시지 내용이 올바르지 않아 이를 회수하고 싶다면 모바일 메시지회수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대한 화면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발신자가 보낸모바일 메시지관리함에서 잘못된 모바일 메시지인 "모임약속"(500)을 회수하고 싶다면 모임약속(500)을 선택하고 회수버튼(510)을 누른다.
물론 여기 회수버튼(510)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면메뉴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달리 이동통신 단말기(200, 201)의 키패드(310)에 특정키버튼을 구비하거나 다른 키버튼을 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과정에 의하여 전송된 모바일 메시지에 대한 회수요청이 있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회수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1)에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회수요청메시지는 모바일 메시지관리서버(240)를 걸쳐 수신자(201)에 도달하게 된다(단계 S400). 물론 상기 회수요청메시지에는 회수요청을 표시하는 필드와 회수대상 모바일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모바일 메시지 회수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1)는 상기 회수요청메시지를 읽어들여 해당하는모바일 메시지가 수신자에 의하여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0).
만일 상기 수신자 확인여부에서 수신자가 아직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았다면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1)는 회수요청된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단계 S420).
이와달리 상기 수신자 확인여부단계에서 수신자가 상기 모바일 메시지를 이미 확인하였다면 이동통신 단말기(201)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수신자가 해당 모바일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통보하게된다(단계 S430).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된 발명의 분야에 종사한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00 : 이동통신 단말기 (발신자)
201 : 이동통신 단말기 (수신자)
210 : 기지국
220 : 기지국제어기
230 : 이동통신 교환국

Claims (1)

  1. 스마트폰이 모바일 메시지 회수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메시지의 회수요청 메시지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자가 해당 모바일 메시지를 읽어보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확인한 경우에는 메시지읽음을 통보하는 단계와,
    수신자가 아직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상기 모바일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KR1020130148741A 2013-12-02 2013-12-02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KR20150063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41A KR20150063858A (ko) 2013-12-02 2013-12-02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41A KR20150063858A (ko) 2013-12-02 2013-12-02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58A true KR20150063858A (ko) 2015-06-10

Family

ID=5350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741A KR20150063858A (ko) 2013-12-02 2013-12-02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6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Pushed-To Terminal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KR101306119B1 (ko) 휴대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EP1968289B1 (en) Moving notification message via the SIM card
CN101340210A (zh) 一种多终端捆绑式的通信方法及通信终端
US20070232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calling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KR102003740B1 (ko)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장치 및 방법
CN106304030B (zh) 一种基于虚拟身份信息的通讯方法、装置及系统
CN101316300A (zh) 用于识别用户终端的存储器中存储的呼叫号码的运营商的系统和方法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CN105100407A (zh) 联系人自动备注方法及装置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63858A (ko) 발송한 모바일 메시지 회수방법
CN104796488A (zh) 信息推送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320718B2 (ja) 携帯端末装置、発番サーバ、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2597423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050057765A (ko) 발송한 단문메시지 회수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20050020385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06508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회수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100249B1 (ko) 브랜드 정보를 이용한 통신방법 및 이를 위한 브랜드 스위칭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