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511A - 블루투스 목걸이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511A
KR20150062511A KR1020130147239A KR20130147239A KR20150062511A KR 20150062511 A KR20150062511 A KR 20150062511A KR 1020130147239 A KR1020130147239 A KR 1020130147239A KR 20130147239 A KR20130147239 A KR 20130147239A KR 20150062511 A KR20150062511 A KR 2015006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ound
control unit
bluetooth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즈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즈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즈업
Priority to KR102013014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511A/ko
Publication of KR2015006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물을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음악, 라디오와 같은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리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두 개의 소리출력부; 및 상기 두 개의 소리출력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목걸이{Bluetooth neckla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물을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음악, 라디오와 같은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명찰이나 출입증 등을 포함하는 제반 신분증은 일반회사 또는 공공기관의 직원은 항상 휴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방문자에게도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신분증은 클립 등을 이용하여 양복 등의 윗주머니에 착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끈 등으로 만든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목에 걸어 휴대하고 있다. 이는 출입자의 신분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514호(2006.01.24 등록)는 목걸이 홀더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목걸이 줄이 그리고 하부에는 신분증이 결합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목걸이 줄의 일단을 절단하되 각 끝단에는 암체결구 및 숫체결구를 각각 결합하는 한편, 암체결구의 상, 하단에는 결합구멍을 천공하고 숫체결구의 말단에는 일단에 결합돌기를 갖는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암,수체결구의 결합시 숫체결구의 탄성편에 의해 결합돌기가 암체결구의 결합구멍에 탄력적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신분증이 구동되고 있는 기계 등에 맞물려 말려 들어가면서 목걸이 줄이 당겨질 경우 이 목걸이 줄을 연결한 암,수체결구의 신속한 분리 작용에 의해 목걸이 줄이 신분증 패용자의 목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신체가 기계 등에 닿아 부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2009호(2010.02.04)는 이러한 불편한 점과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걸이 줄에 블루투스 기기를 장착하고, 버섯모양의 이어폰 줄을 홈이 있는 목걸이 줄에 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이어폰 줄에는 유연성 있는 얇은 금속 선을 삽입하여 넥 밴드 이어폰처럼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고, 이어스피커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핀 커넥터를 제공하며, 오른쪽 이어폰을 선택에 따라 마이크 겸용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휴대용기기들을 직접 휴대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전화통화 및 음악감상을 할 수 있고, 핀 커넥터에 이어 스피커 결함 시 교체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어-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분증 목걸이는 단순한 신분증 홀더 내에 태엽식으로 감겨진 연결끈과 결합된 단순한 구조로서, 음악과 같은 음향기기를 청취하거나 전화를 할 때에는 따로 이어폰을 구비하여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51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200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 내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물을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음악, 라디오와 같은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리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두 개의 소리출력부; 및 상기 두 개의 소리출력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목걸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꽂아 소리를 출력하는 두 개의 이어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엽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라인권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인권취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라인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1 라인 권취드럼;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라인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2 라인 권취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라인 권취드럼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 권취드럼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라인을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3 라인 권취드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라인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이 인출되거나 감기는 동작을 안내하는 다수의 라인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재; 기능키 누름을 감지하여 감지된 기능키를 입력하는 입력부재; 및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부를 당겼을 때 늘어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소리출력부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착용부재; 상기 소리출력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착용부재; 상기 제1 착용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암부재; 및 상기 제2 착용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와 체결되도록 한 숫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암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착용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숫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착용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물을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음악, 라디오와 같은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 중에도 신분증을 항상 목에 걸어 업무에 임하도록 하는데 그때 일을 하면서 음악 청취 또는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 및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목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소리출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3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착용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착용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목걸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목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목걸이는 케이스부(100), 제어부(200), 소리출력부(300) 및 착용부(40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목걸이는 공공기관 또는 회사 등에서 사원증, 출입증, 명찰 등과 같은 신분증을 목에 걸어 휴대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케이스부(100)는 가죽, 섬유원단, 비닐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부(100) 내부에 수납물을 수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의 수납물은 사원증, 출입증, 명찰, 주민등록증, 사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케이스부(100)에 수납하여 사람들이 신분파악을 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한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부(100)는 측면, 상면 또는 상측에 수납물을 끼워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10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수납물을 끼우거나 제거하기 편리하도록 수납물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또한 케이스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부(200)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부(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사원증, 출입증, 명찰 등과 같은 신분증을 목에 걸어 휴대할 때 공공기관 또는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것은 무관하지만 외부에서 사용할 경우 신분노출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이어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케이스부(100)에 결합되며, 특히 케이스부(100) 상측 말단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앙에 형성하도록 하여 케이스부(100)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00)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제어하도록 한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을 뜻하며, 주로 10미터 이내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더욱 자세히는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는 휴대폰, MP3, MP4, PMP,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기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와 제어부(200)와 전선, 케이블과 같은 연결선 없이도 음악, 라디오와 같은 음향 청취 또는 휴대폰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300)는 제어부(2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제어부(200)에서 제어된 소리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도록 한다. 소리출력부(300)는 사용자의 귀에 꽂거나 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가 마련되며, 제어부(200)에서 전달받은 음성, 음향을 사용자의 귀로 전달해줄 수 있다.
착용부(400)는 소리출력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끈형태로 형성된다. 착용부(400)는 사용자가 목에 걸었을 때 피부에 이상 자극을 주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없도록 하는 향균성 섬유원단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소리출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리출력부(300)는 연결부재(310) 및 이어폰부재(32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10)는 제어부(20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와 제어부(200)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두 개 마련된다. 연결부재(310)는 전선을 내장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전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310)는 구부려 모양을 변형하여 이어폰부재(320)를 귀에 걸거나 꽂기 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는 철사(미도시)를 포함하여 철사(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폰부재(320)는 연결부재(31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꽂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폰부재(320)는 몸체(321), 걸림체(322), 이어폰캡(324) 및 지지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21)는 귀에 꽂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부분으로, 형태는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걸림체(322)는 몸체(321)의 일측에 귀의 트여있는 구멍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어폰부재(320)는 귀와 접하는 부분에 부드러움을 제공하고 귀에서 빠지지 않도록 잘 끼워주는 역할을 하는 이어폰캡(32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21)의 후면부에는 지지대(326)가 형성되어 귀를 꽂을 때 귀에 접촉되는 부분에 지지하여 줄 수 있다.
이어폰부재(320)는 걸림체(3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어폰캡(324)으로 이어폰부재(320)와 걸림체(322)를 덮어 씌우는 구조로 되거나, 이어폰부재(320)만 덮어 씌우고 걸림체(322)는 따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캡(324)은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귀에 삽입시에 수축시켜서 귓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하고, 삽입 후에는 이어폰캡(324)이 서서히 복원되어 귓구멍에 맞게 복원되므로 귓구멍에 긴밀하게 착용되어 장시간 사용 시에도 편안하게 이어폰부재(3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체(322)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개 이어폰부재(320)의 재질과 같거나 이어폰부재(320)에 별도로 장착되어 이어폰부재(320)를 귀에 꽂을 때 부드러움을 제공하고 귀에 보다 잘 맞도록 끼워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라인권취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권취부재(210)는 제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연결부재(3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태엽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300)는 라인권취부재(210)에 의해 필요 시 소리출력부(300)의 연결부재(310)를 당겨 인출하여 쓰고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원상태로 감아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소리출력부(300)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라인권취부재(210)는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에 의해 두 개의 연결부재(310) 각각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라인권취부재(210)는 제어부(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은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처럼 라인권취부재(210)가 보이지 않는 것이 외장의 미를 높이는 데에 유리하지만 라인권취부재(210)가 보이도록 제품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라인권취부재(21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재(310)는 제1 연결부재(312)와 제2 연결부재(314)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1 연결부재(312)는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좌측에 연결되어 있는 소리출력부(300)를 나타내며, 제2 연결부재(314)는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우측에 연결되어 있는 소리출력부(300)를 나타내나, 제1 연결부재(312) 및 제2 연결부재(314)의 좌측, 우측과 같은 방향성에 대해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재(312)와 제1 라인(222)는 재질 및 직경이 같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연결부재(314)와 제2 라인(232) 또한 재질 및 직경이 같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연결부재(312)는 제1 라인(222) 및 하기에서 설명할 통과공보다 직경이 큰 구조로 구성되며, 그리하여 제1 연결부재(312)는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제1 라인(222)은 통과공을 인출 또는 인입하도록 하여 제1 연결부재(3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연결부재(314) 또한 제1 연결부재(31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200)의 측면에는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의 권취해제를 위한 해제버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를 당겨 사용한 후에는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을 다시 감아 제자리에 배치시켜야 하는데, 이럴 때는 해제버튼부를 가압하면 된다.
라인권취부재(210)는 제1 라인 권취드럼(220) 및 제2 라인 권취드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 권취드럼(220)은 연결부재(310) 중 하나인 제1 연결부재(312)에 연결되는 제1 라인(222)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고, 제2 라인 권취드럼(230)은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인 제2 연결부재(314)에 연결되는 제2 라인(232)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된다. 이때, 제1 라인 권취드럼(220) 및 제2 라인 권취드럼(230)은 태엽식 권취드럼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라인 권취드럼(220) 및 제2 라인 권취드럼(230)이 태엽식으로 적용되는 경우, 별도의 동력 없이도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을 자유롭게 당기거나 풀 수 있어 동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라인 권취드럼(220)과 연결되는 제1 라인(222) 또는 제2 라인 권취드럼(230)과 연결되는 제2 라인(232)을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3 라인권취드럼(240)을 더 포함한다.
제3 라인 권취드럼(240)은 제1 라인 권취드럼(220)과 제2 라인 권취드럼(2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라인(222) 또는 제2 라인(232)에 의해 제1 연결부재(312) 또는 제2 연결부재(314)의 길이를 조절해준다.
제1 라인 권취드럼(220), 제2 라인 권취드럼(230), 제3 라인 권취드럼(240)으로부터 제1 라인(222) 및 제2 라인(232)이 인출되거나 감기는 동작을 안내하는 라인 안내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라인 안내부재(250)는 다수개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라인(222)이 외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라인 통과공이 형성되고, 제2 라인(232)이 외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라인 통과공이 형성되며, 이때의 통과공은 제1 연결부재(312) 및 제2 연결부재(314)의 직경 정도의 사이즈를 갖도록 하여 제1 연결부재(312) 및 제2 연결부재(314)가 통과공을 통과할 수 있되, 이어폰부재(320)는 통과공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블루투스 송수신부재(250), 입력부재(260) 및 제어부재(27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송수신부재(250)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며, 더욱 자세히는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신호를 증폭 또는 주파수 변조 등의 신호 처리 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재(260)는 기능키 누름을 감지하여 감지된 기능키를 입력하도록 한다. 기능키는 볼륨업/다운 기능, 멈춤 기능, 반복 기능, 통화전환기능, 라디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는 제어부(200)의 측면, 전면, 후면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LED조명(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재(270)는 입력부재(260)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블루투스 송수신부재(25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직접 단말기를 컨트롤할 필요없이 블루투스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200)에 의해 편리하게 조작 명령을 시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라인권취부재(210)가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재(260)는 외부에 형성되지만, 블루투스 송수신부재(250) 및 제어부재(270)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어부의 제 3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케이스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80)는 사용자가 케이스부(100)를 당겼을 때 늘어나도록 하여 케이스부(100)를 인식기에 가까이 갖다 댈 경우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몸을 인식기에 밀착시키지 않고서도 인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80)는 위에서 설명한 라인권취부재(210)와 같은 태엽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80)는 수용홈(282)을 구비하여 수용홈(282) 내부에 탄성력 있는 고무줄(284)이 삽입되어 케이스부(100)를 당겼을 때 늘어나도록 하며, 케이스부(100)를 놓았을 경우는 원위치로 위치하여 케이스부(100)와 제어부(200)가 서로 접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착용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용부(400)는 제1 착용부재(410), 제2 착용부재(420), 암부재(430) 및 숫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용부재(410)는 소리출력부(300) 중 하나에 연결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부재(312)에 연결될 수 있으나 제2 연결부재(314)에 연결되어도 무관하다.
제2 착용부재(420)는 소리출력부(30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구체적으로는 위에 선택된 제1 연결부재(312) 또는 제2 연결부재(314)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착용부(400)는 두 갈래로 나뉘는 구조로, 즉 제1 착용부재(410)와 제2 착용부재(420)로 나뉘며,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할 때 뒤에서 제1 착용부재(410)와 제2 착용부재(420)를 서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암부재(430)는 제1 착용부재(410)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숫부재(440)는 제2 착용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암부재(430)와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재(430) 및 숫부재(44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암부재(430)는 결합돌기(432)를 형성하고 숫부재(440)의 말단부에는 결합구멍(442)을 형성하여 결합돌기(432) 안으로 결합구멍(442)을 끼워 결합하도록 한다. 결합돌기(432) 및 결합구멍(442)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부재(430) 및 숫부재(44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에 의해 결합돌기(432)가 결합구멍(442) 내부로 휘어지면서 무리없이 삽입되고 결합구멍(442)에 이르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견고하고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재(430)와 숫부재(440)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석에 의해 암부재(430)와 숫부재(440)를 서로 체결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암부재(430)와 숫부재(440)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암부재(430)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되며, 숫부재(440)는 숫벨크로가 형성되서 서로 부착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착용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착용부(400)는 길이조절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450)는 암부재(43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제1 착용부재(41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숫부재(44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제2 착용부재(4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착용부재(410) 또는 제2 착용부재(430)의 하단부에는 제3 착용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착용부재(452)는 제1 착용부재(410) 또는 제2 착용부재(430)에 연장형성되어 암부재(430) 또는 숫부재(440)를 중심으로 말단부에서 접히도록 형성된다.
길이조절부재(450)는 제1 착용부재(410) 또는 제2 착용부재(430)가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길이조절부재(450)로 제1 착용부재(410) 또는 제2 착용부재(4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3 착용부재(452)의 말단부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길이조절부재(450)는 고정가이드(미도시)로 구성되어 제1 착용부재(410) 또는 제2 착용부재(420)를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 뒤 원하는 길이에 맞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공기관 또는 회사 등에서 사원증, 출입증, 명찰 등과 같은 신분증을 목에 걸어 휴대하면서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으로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가 높은 블루투스 목걸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스부
200 : 제어부
210 : 라인권취부재
220 : 제1 라인 권취드럼
222 : 제1 라인
230 : 제2 라인 권취드럼
232 : 제2 라인
240 : 제3 라인 권취드럼
250 : 블루투스 송수신부재
260 : 입력부재
270 : 제어부재
280 : 탄성부재
300 : 소리출력부
310 : 연결부재
320 : 이어폰부재
400 : 착용부
410 : 제1 착용부재
420 : 제2 착용부재
430 : 암부재
440 : 숫부재
450 : 길이조절부재

Claims (10)

  1.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리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두 개의 소리출력부; 및
    상기 두 개의 소리출력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꽂아 소리를 출력하는 두 개의 이어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엽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라인권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권취부재는,
    상기 연결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라인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1 라인 권취드럼;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라인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2 라인 권취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권취드럼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 권취드럼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라인을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3 라인 권취드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라인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이 인출되거나 감기는 동작을 안내하는 다수의 라인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재;
    기능키 누름을 감지하여 감지된 기능키를 입력하는 입력부재; 및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부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부를 당겼을 때 늘어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소리출력부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착용부재;
    상기 소리출력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제2 착용부재;
    상기 제1 착용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암부재; 및
    상기 제2 착용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암부재와 체결되도록 한 숫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암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착용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숫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착용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목걸이.




KR1020130147239A 2013-11-29 2013-11-29 블루투스 목걸이 KR20150062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39A KR20150062511A (ko) 2013-11-29 2013-11-29 블루투스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39A KR20150062511A (ko) 2013-11-29 2013-11-29 블루투스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511A true KR20150062511A (ko) 2015-06-08

Family

ID=5350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239A KR20150062511A (ko) 2013-11-29 2013-11-29 블루투스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5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87A1 (ko) * 2015-06-19 2016-12-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KR102264149B1 (ko) * 2020-09-16 2021-06-10 윤여근 마스크 목걸이줄
WO2022050493A1 (ko) * 2020-09-03 2022-03-10 윤여근 목걸이줄
KR102408555B1 (ko) * 2020-12-21 2022-06-13 윤여근 마스크 목걸이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87A1 (ko) * 2015-06-19 2016-12-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WO2022050493A1 (ko) * 2020-09-03 2022-03-10 윤여근 목걸이줄
KR102264149B1 (ko) * 2020-09-16 2021-06-10 윤여근 마스크 목걸이줄
KR102408555B1 (ko) * 2020-12-21 2022-06-13 윤여근 마스크 목걸이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5184A1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US9883275B2 (en) Wear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a form of a necklace
US9167329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US10993012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CN103916724B (zh) 一种用于移动电子设备的耳机
US11153671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KR20150062511A (ko) 블루투스 목걸이
US20140220893A1 (en) Bluetooth receiv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WO2015187054A1 (ru)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вязи
US7640042B2 (en) Buckle phone
US9888313B2 (en) Wearable modular telecommunication device
JP7464982B2 (ja) 保持具
CN109729455A (zh) 用于脖戴式语音交互耳机的语音唤醒装置
CN208299789U (zh) 一种一体式对讲机
GB2417166A (en) A headset assembly
KR200413423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장치
JP2002177040A (ja) 携帯物品用ストラップの取付具、携帯物品用ストラップ並びに携帯電話
KR101919186B1 (ko) 리트렉터블 웨어러블 기기
RU2574840C2 (ru)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вязи
TWM405691U (en) Wireless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